KR102164366B1 -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366B1
KR102164366B1 KR1020190156534A KR20190156534A KR102164366B1 KR 102164366 B1 KR102164366 B1 KR 102164366B1 KR 1020190156534 A KR1020190156534 A KR 1020190156534A KR 20190156534 A KR20190156534 A KR 20190156534A KR 102164366 B1 KR102164366 B1 KR 10216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virtual
content
platform
virtual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브이알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브이알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브이알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9015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또는 AR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컨텐츠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비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은 저작도구 단말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 훈련장비 플랫폼; 및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 단말기에 설치된 저작도구 에이전트를 통해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이용하여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하는 컨텐츠 제작단계; 상기 컨텐츠 제작단계에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단계; 및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요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IMPLEMENTATION METHOD OF PLATFORM FOR PROVIDING CONTENTS IN VIRTUAL MAINTENANCE TRAINING}
본 발명은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R 또는 AR용 가상정비훈련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가상정비훈련 컨텐츠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가상정비훈련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비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따라 VR/AR 기술을 이용한 교육/훈련 방식이 새롭게 자리잡고 있으며, 국방분야에서도 정비사업에 관심도가 무척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국방관련 정비사업은 복잡하고 정밀하며, 특히 국방관련 정비사업 중에서 무기체계에 대한 정비의 위험성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고가 및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장비를 다루는 분야일수록 가상정비 교육/훈련은 그 가치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VR/AR 교육훈련시스템은 기존 교육시스템과는 차원이 다른 몰입감과 사실에 가까운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VR/AR 교육훈련시스템에 대한 고품질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콘텐츠 제작 전문업체에 의존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VR/AR 교육훈련시스템을 콘텐츠 제작 전문업체에 의존하게 되면, 비용과 시간 문제로 직결되게 되고, 단일성 콘텐츠 개발사업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아, 장비의 변경이나 고도화에 따른 지속적인 업데이트에 지불되는 비용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로 현재 VR/AR 교육훈련 콘텐츠는 시연용 VR/AR 콘텐츠개발 중심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나, 실질적으로 현장 상황에 적합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에 더하여 지속적인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가상정비훈련에서의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952131호에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방법 및 프로그램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360도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공간배치도를 결정하고, 상기 공간배치도의 특정 지점에 상기 360도 영상 데이터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배치도에 상기 360도 영상 데이터가 배치된 지점에 해당 360도 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배치도 상에 배치된 상기 360도 영상데이터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이동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60도 영상의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태그 및 상기 정보태그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장치가, 제1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작 중인 지점 및 시점에 대한 제작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장치가,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제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공유한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공간배치도에 360도 영상을 배치한 후 썸네일 이미지를 설정하고, 360도 영상 데이터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이동태그를 구비해야 하는 것으로서, 컨텐츠 제작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작된 컨텐츠를 훈련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성되지 않아 효율적인 교육 또는 훈련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KR 10-1952131 B1 (2019. 02. 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VR/AR용 컨텐츠를 쉽게 저작(authoring)할 수 있고,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가상정비훈련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은 저작도구 단말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 훈련장비 플랫폼; 및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 단말기에 설치된 저작도구 에이전트를 통해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이용하여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하는 컨텐츠 제작단계; 상기 컨텐츠 제작단계에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단계; 및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요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작단계는 가상객체를 등록하는 가상객체 등록단계; 가상공구를 등록하는 가상공구 등록단계; 상기 가상객체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가상객체의 구조를 분석하는 GBL(General Breakdown List) 구조 분석단계;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 생성단계; 상기 GBL 구조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GBL 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시나리오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항목을 생성하는 세부항목 생성단계; 상기 세부항목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각 세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별 절차를 제작하는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 및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에서 제작된 세부항목별 절차를 모의하는 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객체 등록단계는 가상객체를 임포트(import)하는 가상객체 임포트단계; 상기 가상객체 임포트단계단계에서 임포트된 가상객체를 분석하는 가상객체 분석단계; 상기 가상객체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가상객체에 오브젝트 아이디를 부여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부여단계 및 상기 아이디 부여단계에서 아이디가 부여된 가상객체에 대한 트리구조를 생성하는 트리구조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는 세부항목별 절차를 선택하는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에서 선택된 절차의 가상객체에 대한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에 대한 절차를 생성하는 절차 제작단계; 상기 절차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절차에 대한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단계; 상기 키값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의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정보 생성단계 및 상기 절차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절차를 등록하는 절차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의 단계는 등록된 절차를 선택하는 등록절차 선택단계; 상기 등록절차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절차에 대한 가상객체의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가상객체에 대한 절차 키값을 확인하는 절차 키값 확인단계;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상기 절차 키값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절차 키값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는 아이디/키값 확인단계; 상기 아이디/키값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절차 키값에 근거하여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는 상태정보 로드단계; 상기 상태정보 로드단계에서 읽어온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절차를 수행하는 절차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VR/AR용 컨텐츠를 쉽게 저작할 수 있고,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가상정비훈련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작된 컨텐츠의 변경이 용이함에 따라 모의를 통해 저작된 컨텐츠를 실제 정비환경에 적합한 절차로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이 적용된 가상정비훈련의 컨텐츠 제공용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가상객체를 등록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를 제작하는 인터페이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에 대한 모의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VR 또는 AR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컨텐츠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비에서 운용할 수 있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이 적용된 가상정비훈련의 컨텐츠 제공용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이 적용된 가상정비훈련의 컨텐츠 제공용 시스템은 저작도구 단말기(100),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 훈련장치 플랫폼(300), 컨텐츠 관리서버(400) 및 훈련장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작도구 단말기(100)는 설치된 저작도구 에이전트를 통해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이용하여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저작도구 단말기(100)는 에이전트의 설치를 위한 저장장치, 연산장치, 표시장치 등이 포함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작도구 에이전트는 저작도구 단말기에 설치되어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의 저작시 요구되는 인터페이스와 3D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단기 교육에 의해 직접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정비절차 또는 제품의 변경 등에 의해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간 및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는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버전별, 상황별, 훈련장치별로 구분하여 저장 관리되며, 사용자는 훈련 상황에 맞는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는 훈련 방법의 노하우, 팁 등의 부가정보를 별도로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훈련장치 플랫폼(300)은 제공받은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정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장치 플랫폼(300)에는 자가학습 단말기(310), 훈련 단말기(320) 및 전자칠판(330)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서버(400)는 사용자를 저장 관리하며, 저작도구 단말기(100)에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거나, 로그인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훈련장비(500)는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실행하여 가상정비를 수행하거나 가상정비에 대한 교육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VR 훈련장치, 탁상용 훈련장치 및 교육용 전자칠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전체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은 컨텐츠 제작단계(S100), 컨텐츠 저장단계(S200) 및 컨텐츠 제공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컨텐츠 제작단계(S100)
컨텐츠 제작단계(S100)는 저작도구 단말기에 설치된 저작도구 에이전트를 통해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이용하여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authoiring)하는 단계이다.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저작도구는 조작하기가 쉽고, 직관적이어야 하며,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을 통해 저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저작도구를 통해 만들어진 콘텐츠는 정비절차를 시각적으로 모의(Simulation)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필요에 따라 사용지침서(Tutorial) 또는 체험 훈련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방산분야의 정밀무기체를 다루는 정비분야의 경우, 정비항목은 정확한 순차적인 절차가 존재한다.
정밀무기체계의 정비는 복잡도, 위험도, 고가의 최첨단 장비, 장비의 희소성 등의 문제로 정비절차에 대한 기술교범이 존재하며 절차숙지에 대한 중요도가 상당히 높다. 이때, 기술교범에 수행되는 정비절차 방식은 주로 제거/설치 단계로 진행된다. 제거(분해)는 기준 레벨을 통해 단계별로 진행되고, 설치(조립)는 일반적으로 제거(분해)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작단계는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 가상공구 등록단계(S120), GBL(General Breakdown List) 구조 분석단계(S130),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 및 세부항목별 절차 모의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1.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는 가상객체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하여 저작도구 에이전트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상객체는 조립된 형태의 가상 공간상에 표시되는 부품, 장치 및 장비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가상객체를 등록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는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 오브젝트 아이디 부여단계(S113) 및 트리구조 생성단계(S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1.1.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는 가상객체를 로드하여 임포트(import)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가상객체는 3D 설계파일로 제작되어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 상기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는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객체의 3D 설계파일을 로드하여 임포트(import)하는 것이다.
1.1.2.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는 상기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단계에서 임포트된 가상객체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가상객체가 3D 설계파일로 제작된 경우, 3D 설계파일의 노드트리(node tree)는 일반적으로 설계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노드트리는 가상정비훈련에 적합한 트리 구조로 재구성해야 한다.
1.1.3. 오브젝트 아이디 부여단계(S113)
오브젝트 아이디 부여단계(S113)는 상기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에서 분석된 가상객체에 오브젝트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1.1.4. 트리구조 생성단계(S114)
트리구조 생성단계(S114)는 상기 아이디 부여단계(S113)에서 아이디가 부여된 가상객체에 대한 트리구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1.2. 가상공구 등록단계(S120)
가상공구 등록단계(S120)는 가상공구를 저작도구 에이전트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상공구는 가상객체를 운용하거나 분해 또는 조립에 사용되는 공구(치공구 포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패너, 렌치, 드라이버, 볼트, 너트 및 지그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가상공구는 가상정비훈련시 가상객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관리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가상공구를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3. GBL 구조 분석단계(S130)
GBL(General Breakdown List) 구조 분석단계(S130)는 상기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에서 등록된 가상객체의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가상객체를 등록하는 과정 중,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에서 임포트된 가상객체를 분석하면, 가상객체의 조립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설계항목을 구성할 때 단위 수리부속을 제작하고 단위 수리부속을 조립체로 구성시키며, 조립체의 조합을 상위 조립체로 결합시켜서 완제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구조를 본 발명에서는 GBL(General Breakdown List) 구조라고 정의한다.
부연하면, GBL 구조는 3D 설계파일의 가상객체를 임포트(Import)하여 분해시키고 분해된 상태의 트리(tree)구조를 분석한 것으로서, GBL 구조에 의해 레벨 단위로 조립의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저작도구 에이전트에서 GBL구조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어를 교체하는 정비훈련인 경우, 타이어 모듈은 타이어와 휠로 분해되고, 휠은 휠 본체, 휠 커버, 결합너트 및 에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휠을 자동차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분해시 사용되는 공구, 에어를 충전시키기 위한 컴프레셔 등은 타이어 교체에 필요한 장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타이어 모듈을 자동차에서 탈거하고 휠에서 타이어를 분리한 후 교체하는 일련의 순서는 GBL 구조의 분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GBL 구조를 통해 정확한 정비절차의 구현이 가능하다.
1.4.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는 가상정비훈련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시나리오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즉, 1개의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1개 이상의 시나리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1개의 시나리오가 1개의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시나리오가 결합되어 1개의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시나리오는 수정 또는 편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1.5.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는 GBL 구조 분석단계(S130)에서 분석된 GBL 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에서 생성된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항목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1.6.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는 상기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에서 생성된 각 세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별 절차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는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 절차 제작단계(S163), 키값 생성단계(S164),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 및 절차 등록단계(S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6.1.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는 세부항목별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선택된 하나의 시나리오에는 수개 ~ 수십개의 세부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감쇄링을 교환하는 시나리오에는 진동감쇄링 제거, 진동감쇄링 설치로 구성되는 세부항목이 포함되게 된다.
1.6.2.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는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에서 선택된 절차의 가상객체에 대한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에서는 세부항목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객체가 선정되는 데,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는 선정된 가상객체에 대한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1.6.3. 절차 제작단계(S163)
절차 제작단계(S163)는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에 대한 절차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1.6.4. 키값 생성단계(S164)
키값 생성단계(S164)는 상기 절차 제작단계(S163)에서 제작된 절차에 대한 키값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1.6.5.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는 상기 키값 생성단계(S164)에서 생성된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가상객체는 이동, 회전 등의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는 가상객체에 대한 움직임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1.6.6. 절차 등록단계(S166)
절차 등록단계(S166)는 상기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에서 생성된 절차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를 제작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세부항목별 절차를 설정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에는 시나리오 표시 UI(110), 시나리오 편집 UI(120), 세부항목 표시 UI(130) 및 세부항목별 절차 UI(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나리오 표시 UI(110)에는 시나리오에 대한 목록이 표시되고, 시나리오 편집 UI(120)에는 상기 시나리오 표시 UI(110)에서 선택된 시나리오의 명칭 및 사용되는 부품 등을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세부항목 표시 UI(130)에는 상기 시나리오 표시 UI(110)에서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항목이 표시된다.
세부항목별 절차 UI(140)에는 상기 세부항목 표시 UI(130)에서 선택된 세부항목별에 대한 절차의 순서가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세부항목별 절차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인터페이스에는 부품의 이동 및 회전을 선택 설정하는 움직임설정 UI(141), 절차 수행에 대한 자동, 손 및 공구를 선택하는 절차수행모드 UI(142), 수동 모드의 선택에 따라 수동절차수행모드 정보가 표시되는 수동절차수행모드 정보 UI(143), 수행시간을 설정하는 수행시간 UI(144), 수행시 출력되는 사운드(음성) 선택 UI(145)가 포함된다.
이에, 세부항목별 절차를 입력하여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세부항목별 절차는 에이전트에서 할당받은 메모리에 저장 관리된다. 필요에 따라 설정된 세부항목별 절차는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등록될 수 있다.
하나의 정비과정에는 여러 가지 세부항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장비의 수리부속을 분리하기 위해 나사를 제거하는 과정, 케이블을 분리하는 과정 등 선택된 하나의 정비에는 수많은 세부항목이 설정된다. 또한 세부항목은 수 ~ 수십개의 세부항목별 절차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밀무기체계에서 정비항목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정비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절차들이 존재한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많은 절차들을 세부절차항목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게 되면, 정비과정에서 중복되는 세부항목별 절차는 다른 정비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분화된 세부절차항목 중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부절차항목은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중복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를 통해 제작된 세부항목별 절차는 모의(시뮬레이션)를 통해 이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고, 이를 검증하는 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1.7. 세부항목별 절차 모의단계(S170)
세부항목별 절차 모의단계(S170)는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에서 제작된 세부항목별 절차를 모의하는 단계로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서 세부항목별 절차에 대한 모의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세부항목별 절차 모의단계(S170)는 등록된 절차를 선택하는 등록절차 선택단계(S171), 상기 등록절차 선택단계(S171)에서 선택된 절차에 대한 가상객체의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에서 확인된 가상객체에 대한 절차 키값을 확인하는 절차 키값 확인단계(S173),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상기 절차 키값 확인단계(S173)에서 확인된 절차 키값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는 아이디/키값 확인단계(S174), 상기 아이디/키값 확인단계(S174)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절차 키값에 근거하여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는 상태정보 로드단계(S175) 및 상기 상태정보 로드단계(S174)에서 읽어온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절차를 수행하는 절차 수행단계(S1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컨텐츠 저장단계(S200)(도 2 참조)
컨텐츠 저장단계(S200)는 컨텐츠 제작단계(S10)에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는 저작도구 단말기(100), 훈련장비 플랫폼(300) 및 훈련장비(500)와 상관없이 별도의 독립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가상객체와 가상공구 또한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3D 데이터로 저장된다.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 관리되는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온라인 접속을 통해 시간 및 위치에 상관없이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정비훈련을 수행하거나 교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을 통해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콘텐츠는 시나리오들이 그룹화된 형태이다.
상기 시나리오는 하나의 정비명령에 대한 정비절차를 의미한다. 하나의 정비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수리부속을 동시에 정비해야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 데, 상기 시나리오를 그룹화하면 전체적인 정비절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체계적인 훈련교육효과를 지향할 수 있다.
또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저장 관리되며, 요청 이벤트에 따라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는 특정된 시뮬레이션 장비에서만 로드하여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에서 그에 적합한 컨텐츠를 로드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 또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컨텐츠 제공단계(S300)(도 1 참조)
컨텐츠 제공단계(S300)는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300) 또는 훈련장비(500)를 통해 컨텐츠 관리서버(4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300) 또는 훈련장비(500)의 요청 이벤트에 따라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훈련장비 플랫폼(또는 훈련장비)에 가상정비훈련용 콘텐츠가 저장된 형태의 시스템은 사용 중 요구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경우, 각각의 훈련장비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가 요구된다. 이에, 요구 또는 변경사항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기 힘든 구조이며, 추후 변경이나 장비교체시에도 적절한 대응이 어렵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저작도구와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면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와 훈련장비 플랫폼을 독립시킨 형태는 서로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의존도를 최소화하게 되어, 다양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병렬적인 개발이 가능하며, 장비의 교체나 콘텐츠의 교체 및 버전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저작도구 단말기
200: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
300: 훈련장치 플랫폼
400: 컨텐츠 관리서버
500: 훈련장비

Claims (5)

  1. 저작도구 단말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 훈련장비 플랫폼; 및 컨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정비훈련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 단말기에 설치된 저작도구 에이전트를 통해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객체와 가상공구를 이용하여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저작하는 컨텐츠 제작단계(S100);
    상기 컨텐츠 제작단계(S100)에서 저작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단계(S200); 및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요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상정비훈련용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단계(S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텐츠 제작단계(S100)는,
    가상객체를 등록하는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
    가상공구를 등록하는 가상공구 등록단계(S120);
    상기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에서 등록된 가상객체의 구조를 분석하는 GBL(General Breakdown List) 구조 분석단계(S130);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
    상기 GBL 구조 분석단계(S130)에서 분석된 GBL 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시나리오 생성단계(S140)에서 생성된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항목을 생성하는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
    상기 세부항목 생성단계(S150)에서 생성된 각 세부항목에 대한 세부항목별 절차를 제작하는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 및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에서 제작된 세부항목별 절차를 모의하는 모의 단계(S17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객체 등록단계(S110)는,
    가상객체를 임포트(import)하는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
    상기 가상객체 임포트단계(S111)단계에서 임포트된 가상객체를 분석하는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
    상기 가상객체 분석단계(S112)에서 분석된 가상객체에 오브젝트 아이디를 부여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부여단계(S113); 및
    상기 아이디 부여단계(S113)에서 아이디가 부여된 가상객체에 대한 트리구조를 생성하는 트리구조 생성단계(S1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제작단계(S160)는,
    세부항목별 절차를 선택하는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
    상기 세부항목별 절차 선택단계(S161)에서 선택된 절차의 가상객체에 대한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62)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에 대한 절차를 생성하는 절차 제작단계(S163);
    상기 절차 제작단계(S163)에서 제작된 절차에 대한 키값을 생성하는 키값 생성단계(S164);
    상기 키값 생성단계(S164)에서 생성된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의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 및
    상기 절차정보 생성단계(S165)에서 생성된 절차를 등록하는 절차 등록단계(S1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의 단계(S170)는,
    등록된 절차를 선택하는 등록절차 선택단계(S171);
    상기 등록절차 선택단계(S171)에서 선택된 절차에 대한 가상객체의 오브젝트 아이디를 확인하는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에서 확인된 가상객체에 대한 절차 키값을 확인하는 절차 키값 확인단계(S173);
    상기 오브젝트 아이디 확인단계(S172)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상기 절차 키값 확인단계(S173)에서 확인된 절차 키값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는 아이디/키값 확인단계(S174);
    상기 아이디/키값 확인단계(S174)에서 확인된 오브젝트 아이디와 절차 키값에 근거하여 절차에 대한 움직임, 상태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는 상태정보 로드단계(S175); 및
    상기 상태정보 로드단계(S175)에서 읽어온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절차를 수행하는 절차 수행단계(S17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KR1020190156534A 2019-11-29 2019-11-29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KR10216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34A KR102164366B1 (ko) 2019-11-29 2019-11-29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34A KR102164366B1 (ko) 2019-11-29 2019-11-29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366B1 true KR102164366B1 (ko) 2020-10-12

Family

ID=7288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34A KR102164366B1 (ko) 2019-11-29 2019-11-29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990B1 (ko) * 2020-11-30 2021-09-30 주식회사 아이브이알시스템즈 가상훈련 콘텐츠에서 분해/조립 콘텐츠 저작편의를 위한 간접복사/링크 방법
KR20220157209A (ko) 2021-05-20 2022-11-29 김형래 증강 현실 기반의 항공기 정비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30079932A (ko) 2021-11-29 2023-06-07 제이나인 주식회사 객체인식을 이용한 휴대용 군정비 교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KR20160000346A (ko) * 2014-06-24 2016-01-0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다중 훈련 모드를 갖는 자동차 정비 훈련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1952131B1 (ko) 2017-09-05 2019-02-26 ㈜브이리얼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99110A (ko) * 2018-02-02 2019-08-26 김대정 클라우드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KR20160000346A (ko) * 2014-06-24 2016-01-0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다중 훈련 모드를 갖는 자동차 정비 훈련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1952131B1 (ko) 2017-09-05 2019-02-26 ㈜브이리얼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99110A (ko) * 2018-02-02 2019-08-26 김대정 클라우드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990B1 (ko) * 2020-11-30 2021-09-30 주식회사 아이브이알시스템즈 가상훈련 콘텐츠에서 분해/조립 콘텐츠 저작편의를 위한 간접복사/링크 방법
KR20220157209A (ko) 2021-05-20 2022-11-29 김형래 증강 현실 기반의 항공기 정비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30079932A (ko) 2021-11-29 2023-06-07 제이나인 주식회사 객체인식을 이용한 휴대용 군정비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366B1 (ko) 가상정비훈련에서 컨텐츠 제공용 플랫폼의 구현 방법
KR102306991B1 (ko) 가상훈련 콘텐츠에서 고장상황 연출/해결을 위한 저작과 고장해결 훈련방법
Neamţu et al. Training in coordinate measurement using 3D virtual instruments
Bellalouna Industrial use case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alczak et al. Semantic modeling of virtual reality training scenarios
Bellalouna Digitization of industrial engineering processe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dustrial case studies
US8375352B2 (en) Terms management system (TMS)
US9619611B2 (en) Modeling to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maintenance simulation of a vehicle
Li et al. CNC partner: a novel training system for NC machining
EP4073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ngineering diagrams in an engineering system
EP37343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ntrol programs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Barbero et al. Strategic learning of simu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in the design and assembly of mechanisms with CAD on a professional Master's degree course
Knauer-Arnold Augmented reality in training processes with Viscopic
KR102306990B1 (ko) 가상훈련 콘텐츠에서 분해/조립 콘텐츠 저작편의를 위한 간접복사/링크 방법
Strasser et al. A Catalog-based Platform for Integrated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s
US201702873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simulation plan for training personnel on system maintenance
US20230237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automation engineering project in a technical installation u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Altamirano-Haro et al. Automation of an electro-hydraulic test bench using a Weitek CMT3092 HMI-PLC
Stark et al. Future virtual product creation solutions with new engineering capabilities
Jackson Effective Use of Synthetic Environments to Support the Acquisition Life Cycle
Rumsey et al. Escaping the Holodeck: Designing virtual environments for real organizations
KR20180126856A (ko) 뮤턴트 기반의 문항 생성 장치 및 방법
EP4328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user recommendations to aid generation of an engineering project
Heo et al. A Study on the Automatic Assembly/Disassembly Procedure for Generating Maintenance Guideline
CN117670608A (zh) 设备维护实训任务的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