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272B1 -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272B1
KR102164272B1 KR1020177015076A KR20177015076A KR102164272B1 KR 102164272 B1 KR102164272 B1 KR 102164272B1 KR 1020177015076 A KR1020177015076 A KR 1020177015076A KR 20177015076 A KR20177015076 A KR 20177015076A KR 102164272 B1 KR102164272 B1 KR 10216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dc
applications
network
asac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904A (ko
Inventor
아나 루시아 피네이루
마르타 마르티네즈 타라델
에릭 시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0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7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traffic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할 수 있다. ACDC/ASAC 정보는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상태 레벨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임계값이 초과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대해 ACDC/ASAC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기초하여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은 노드(예를 들어, 전송국)와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과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일부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DL) 전송에서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와 업링크(UL) 전송에서 단일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신호 전송을 위해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는 표준과 프로토콜들로는,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산업계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라고 통상 알려진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예를 들어, 802.16e, 802.16m), 및 산업계에는 WiFi라고 통상 알려진, IEEE 802.11 표준이 포함된다.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LTE 시스템에서, 노드는, (통상 evolved Node B, enhanced Node B, eNodeB, eNB라고 표기되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B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라고 알려진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의 조합일 수 있다. 다운링크(DL) 전송은 노드(예를 들어, eNodeB)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로의 통신일 수 있고, 업링크(UL) 전송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노드로의 통신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징 및 이점들은, 본 개시의 특징들을 예를 통해 함께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는 한 예에 따른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화 방식의 구현을 나타낸다;
도 3은 한 예에 따른 위치 영역 코드(LAC), 라우팅 영역 코드(RAC) 및 타입 할당 코드(TAC)의 조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복수의 지리적 영역 경계를 나타낸다;
도 4는 한 예에 따른 UE로부터 비액세스 계층(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주 표시자 메시지(state indicator message)를 사용자 장비(UE)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도 5는 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되는 기본 파일(EF; elementary file)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나타낸다;
도 6은 한 예에 따른 UE로부터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도 7은 한 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가 활성화되고 UE가 예를 들어 홈 지리적 영역(home geographical region) 외부로 로밍할 때,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도 사용자 장비(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도 8은, 한 예에 따른, UE가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할 때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가 활성화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도 사용자 장비(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도 9는, 한 예에 따른, UE가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할 때 및 ACDC/ASAC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이 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사용자 장비(UE)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도 10은 한 예에 따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은 한 예에 따른 상태 레벨에 관한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는 한 예에 따른 우선순위 레벨에 관한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한 예에 따른 지리적 위치들에 관한 복수의 우선순위 레벨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는 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기능을 도시한다;
도 15는 한 예에 따른 미리 구성된 목록의 우선순위화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을 작동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UE)의 기능을 도시한다;
도 16은 한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UE)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및
도 17은 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도면을 나타낸다.
이제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이들을 설명하기 위해 여기서는 특정한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되고 설명되기 이전에, 본 발명은, 여기서 개시된 특정한 구조, 프로세스 단계, 시그널링 프로토콜 및 교환, 또는 재료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그 균등물로 확장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특정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점도 역시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플로차트 및 프로세스들에서 제공되는 번호는 단계 및 동작들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명료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반드시 특정한 순서나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기술 실시예들의 초기 개요가 이하에 제공되고 나서, 구체적인 기술 실시예들이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초기 요약은, 읽는 사람들이 기술을 더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돕기 위한 것이지, 기술의 핵심 특징이나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기 위함도 아니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도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의 사용자 장비(UE) 상에 다운로드, 설치 및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로는,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뉴스 애플리케이션, 교육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GPP를 비롯한 수 개의 표준 개발 기관(SDO; standard developing organization)은, UE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네트워크 비효율성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은 (의도적으로 또는 비의도적으로)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로 인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및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에 걸쳐 정체를 유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체 동안에, 특히, 비상 상황 동안에, 귀중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보호 및/또는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들,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제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채널 상태가 용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제약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비상 상황이 발생할 때 무선 네트워크가 정체되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비상 응답 애플리케이션)가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은, 제약이 지역적/국가적 또는 전국적 망 중립 규정(net neutrality regulation)을 준수하는 한 제약될 수 있다. 예로서, 소정 지리적 영역에서 심각한 지진이 발생한 후, 자연재해 또는 특히 뉴스 가치가 있는 사건이 발생할 때 시민의 안전을 확인하는 패킷-기반 통신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재난 메시지 보드 서비스, 재해 음성 메시징 서비스)이 비상 상황 동안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우선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다른 문제를 일으키는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사용자 동의 없이 개인 정보를 공개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지역 규정에 의해 금지된 불법 활동을 조장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제한이 지역적/국가적 또는 전국적 망 중립 규정을 준수하는 한, 이들 문제의 애플리케이션이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제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3GPP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의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라 불리는 연구의 부분집합을 산출했다. ACDC/ASAC는 또한, 3GPP 기술 보고서(TR; Technical Report) 22.806 V1.0.0에 더 기술되어 있다. ACDC와 ASAC는,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화이트 목록(white list)/목록들"이 미리 구성되거나 UE에 다운로드되는 것을 승인했다.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화이트 목록"은, 일반적으로,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활성화될 때 사용자 장비(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의 목록을 지칭한다.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이라는 용어는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함께 그룹화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을 제1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로 그룹화하고 18-35세의 사용자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2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로 그룹화할 수 있다. "화이트 목록"은 필요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정체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ACDC 또는 ASAC가 활성화될 때 "화이트 목록"에 나열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UE에 의해 개시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ACDC/ASAC는 지역적/국가적 또는 전국적 규정에 따라 네트워크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은 네트워크 정체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 상의 경쟁 승인된 애플리케이션(competing approved application)들에 의해 야기되는 네트워크 정체를 반드시 완화하지는 못할 수 있다. 즉,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 상의 다양한 승인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여전히 네트워크 정체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 상의 경쟁 승인된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야기되는 네트워크 정체가 경감될 수 있다.
ACDC/ASAC 기능은 2개의 종단 지점 ― UE와 네트워크 요소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 요소는 ACDC/ASAC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ACDC/ASAC 서버는, UE 상의 ACDC/ASAC 화이트 목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의 관점에서 전체 ASAC 기능을 활성화, 비활성화 및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이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서버는 독립형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으며, 이 구성에서 ACDC/ASAC 서버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트랜스포트를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ACDC/ASAC 서버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DC/ASAC 서버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와 함께 배치될 수 있고 NAS(non-access-stratum) 트랜스포트를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CDC/ASAC 서버는 액세스 네트워크 발견 및 선택 기능(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ANDSF)과 함께 배치될 수 있고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트랜스포트를 이용하여 UE와 통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은,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승인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따라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비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정체 또는 비상 상황 동안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채널 상태가 용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네트워크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가 네트워크 중립성(즉,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는 인터넷의 모든 데이터를 동등하게 취급해야 하고 특정한 타입의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에 의해 구속받지 않고, 보통의 비-비상 상황에서 UE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에 대해 상이한 취급을 적용하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는 비-ACDC 상황 동안에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은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우선순위화 방식은,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소정 종류의 값을 할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값은 숫자, 알파벳,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a는 ACDC 애플리케이션들의 예시적인 우선순위화 방식을 나타낸다. 옵션 1에서, 애플리케이션 A와 B는 제1 우선순위 레벨(예를 들어, N)을 부여받고, 애플리케이션 C와 D는 제2 우선순위 레벨(즉, N+1)을 부여받고, 애플리케이션 E와 F는 제3 우선순위 레벨(즉, N+2)을 부여받고, 애플리케이션 G와 H는 제4 우선순위 레벨(즉, N+3)을 부여받는다. 대안으로서, 우선순위화 방식은 ACDC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와 B는 제1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는 애플리케이션들 Q 및 R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B는 애플리케이션들 S 및 T를 포함한다. 옵션 2에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은 더 미세한 세분성(finer granularity)(예를 들어, N, N+1, N+3 등)으로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ACDC/ASAC 상태가 활성화되면, UE는 승인된 목록상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개시를 허용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UE 상에서 개시되는 경우, UE는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할당된 우선순위 값에 따라 개시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화이트 목록 상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UE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UE는, 멀티태스킹 시나리오에서 이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실행하기 위해 UE 상에서 경쟁적 수요들이 있다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에 따라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네트워크 운영자는 네트워크 정체 상태에 기초하여 상이한 레벨들의 ACDC/ASAC를 활성화함으로써, 그 상태 레벨에 대해 허용된 우선순위화된 애플리케이션들만을 허용하고 화이트 목록 상의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은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자는 그 상태 레벨에 대해 허용된 우선순위화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만을 허용하고 화이트 목록 상의 나머지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레벨들의 ACDC/ASAC는, 운영자가 화이트 목록 상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그 목록 상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비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우선적 액세스를 부여받도록 보장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지진이 발생시에, 운영자는, 상이한 ACDC/ASAC 상태 레벨이 활성화되는 24시간 이후에 YouTube로의 비디오 업로드(예를 들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가 허용되는 한편 재난 메시지 보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보장하기를 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운영자는, 대규모 지진의 시작시 24시간 동안 모든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을 제한하면서, 비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만이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b는, 애플리케이션들이 UE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 허용될 때 운영자가 자신의 ACDC 또는 ASAC 화이트 목록 및 대응하는 ACDC/ASAC 상태 레벨들 상의 다양한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우선순위화 방식이다. 대안으로서, 도 1b의 우선순위화 방식은, ACDC/ASAC 상태 레벨에 기초하여 허용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적용될 수 있다. 값은, 숫자, 알파벳,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비상 응답 애플리케이션 또는 비상 응답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및 "B"는 상태 레벨 N에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될 수 있지만, "C" 내지 "H"는 미래의 시간까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 및 "F"는 무선 네트워크가 상태 N+2 및 N+3을 허용할 때만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내지 "H"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때, "A" 및 "B"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즉, "A" 및 "B"는, 상태 레벨들 N, N+1, N+2 및 N+3 동안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A" 및 "B"는 제1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고, "C" 및 "D"는 제2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E" 및 "F"는 제3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고, "G" 및 "H"는 제4 우선순위 레벨을 부여받을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의 상태 레벨 동안, "A" 내지 "D"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지만, "E" 내지 "H"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등등이다.
도 2는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대한 우선순위화 방식의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는, 진보된 노드 B(eNB)를 통해 ACDC/ASAC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고, UE는 ACDC/ASAC 상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개시 또는 동작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는, MME, ANDSF, 또는 전용 ACDC/ASAC 서버 등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ACDC/ASAC 상태의 동작은, NAS 프로토콜을 통해 MME로부터, OMA-DM 프로토콜을 통해 ANDSF로부터, 또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용 ACDC/ASAC 서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ACDC/ASAC 상태 레벨 N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UE는 애플리케이션 A 및 B(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 및 B)만을 개시 또는 동작시킬 수 있다. 화이트 목록 상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은 상태 레벨 N 동안 활성화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운영자가, 네트워크 정체 레벨이 추가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완화되었다고 판단하면, 네트워크는 ACDC/ASAC 상태 레벨 N+1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 결과, UE는 애플리케이션 A, B, C 및 D(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 B, C 및 D)만을 개시 또는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ACDC/ASAC 상태 레벨 N+3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UE는 애플리케이션 A, B, C, D, E, F, G 및 H(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 B, C, D, E, F, G 및 H)를 개시 또는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화이트 목록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모두가 UE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운영자는 그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이한 규제 요건들을 적용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A의 주 X는, 주 Y와는 상이한 규제 요건 및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운영자는, 지리적 영역들 사이의 차이점을 감안하도록 가입자의 UE를 구성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UE는 상이한 영역들의 상이한 화이트 목록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상이한 영역들을 통해 로밍할 때, 무선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적절한 화이트 목록을 활성화하고 이전 화이트 목록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지리적 영역 A, B 및 C에 대한 화이트 목록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영역 A에 있을 때,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만이 활성화될 수 있지만, UE가 영역 B로 로밍하면, 영역 B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이 활성화될 수 있고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UE는 가입자가 서비스를 위해 가입할 때 홈 영역의 적절한 화이트 목록만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상이한 영역으로 로밍하면, 무선 네트워크는 기존의 화이트 목록을 새로이 지배하는 화이트 목록으로 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영역 A에 있을 때, UE는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UE가 영역 B로 로밍하면, UE는 영역 B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을 수신할 수 있고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은 더 이상 UE에 적용될 수 없다.
UE가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하면, UE가 로밍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의 네트워크 운영자는 현재 UE에서 구현되고 있는 화이트 목록을 존중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을 구현하고 있는 중일 수 있고, UE는 영역 B로 로밍할 수 있다. 영역 B의 무선 네트워크 운영자는, UE가 영역 A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을 계속 이용할 수 있는지, 또는 UE의 화이트 목록이 영역 B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으로 대체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역 A에 대한 UE의 화이트 목록은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존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위치 영역 코드(LAC), 라우팅 영역 코드(RAC) 및 타입 할당 코드(TACs)의 조합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복수의 지리적 영역 경계들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뿐만 아니라 많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리적 주 경계 또는 국경은 모바일 장비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3은 별개의 지리적 경계들을 도시하지만, 이들 경계들은, 다양한 셀들, 예를 들어, 상이한 국가들 또는 영역들의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셀 ID, 위치 영역 코드(LAC), 라우팅 영역 코드(RAC) 또는 타입 할당 코드, 모바일 국가 코드(MCC) 및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등의 위치 관련 피쳐들은 일반적으로 경계의 정확한 지리적 맵핑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그러나, LAC 또는 RAC 또는 TAC의 조합은 국가 또는 나라의 주(state)를 마킹하거나 구별할 수 있다. 즉, 유사한 특성 또는 식별자를 갖는 LAC 또는 RAC 또는 TAC를 그룹화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지리적 영역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적 구분(national delineation)은, 국가의 규제 기관에 의해 규제되고 통제될 수 있으며, 그 나라/국가 내에서 운영중인 운영자에 수락되고 준수될 수 있다.
도 4는, 주 표시자 메시지(state indicator message)(또는 지역 표시자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UE) 또는 이동국(MS)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주 표시자 메시지는 UE의 현재의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유타)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비-액세스 계층(NAS) 등록 또는 등록 업데이트에 응답하여 주 표시자 메시지를 통신할 수 있다. UE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부착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타입의 NAS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부착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주 표시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NAS 네트워크-대-UE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대안적 구성에서, 주 표시자 또는 영역 표시자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주-표시자"는, 8개 비트가 주의 2진 디코드인 옥텟(octet)을 이용하여 국가 내부의 주를 고유하게 구별할 수 있다. 하나의 옥텟 또는 8개 비트는 미국 내의 주의 개수(즉, 50개 주)에 대해 충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옥텟은, 83개 구획(subdivisions), 공화국(republics) 및/또는 영토를 갖는 러시아 등의 국가에 대해 충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주(또는 하부영역)를 알 수 있게 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능력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지역 요구조건이 활성인지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GPS 정보는 전술된 주 표시자 메시지에 추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예시적인 기본 파일(EF)에 포함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 "ACDC/ASAC 정보" 및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목록"은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EF 파일은, OMA-DM 또는 가입자 신원 모듈 툴킷(또는 SIMToolkit)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거나 사전제공될 수 있다. 제공 또는 사전제공을 위한 OMA-DM 또는 SIMToolkit의 이용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운영자/무선 네트워크가 지역적 요건 및/또는 로밍 요건을 활성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표시, 수단 또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적 요건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옴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외부 영역(foreign region)"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홈 영역과는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외부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로밍해 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EF 파일 내의 ACDC/ASAC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에 대한 것일 수 있고 SIM 툴킷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ACDC/ASAC 정보는, OMA-MO(Open Mobile Alliance management object)로서 명시될 수 있고,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될 수 있다. 또한, EF 파일과 OMA-MO 양쪽 모두는, ACDC/ASAC 정보의 모바일 디바이스 상으로 전달, 제공 및 사전제공 동안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ACDC/ASAC 정보(또는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목록)는 ACDC/ASAC의 제어 및 관리 정보와, 화이트 목록에 나열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목록은, 홈 국가의 영역(주 또는 도(province) 등)이 화이트 목록에 나열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오버라이드(override)를 제공할 수 있는지 등의, 다수의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목록은, 홈 영역의 네트워크 운영자가 UE에서 현재 구현중에 있는 화이트 목록을 새로운 화이트 목록으로 오버라이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목록은, 그 MCC 외부로 로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ACDC/ASAC 활성화 및 ACDC/ASAC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 등의, 외부 영역의 ACDC/ASAC 적용가능한 정보를 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목록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영역의 ACDC/ASAC 방식을 채택할 것인지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영역에 대응하는 ACDC/ASAC 방식을 계속 이용할 건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ACDC/ASAC 정보에 따라 MMC 오버라이드가 허용되면 특정한 MCC(예를 들어, MCC1, MCC2, MCCa 및 MCCb)를 갖는 MCC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운영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전 ACDC/ASAC를 존중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전의 ACDC/ASAC 방식을 계속 이용할 수 있다.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목록은, 화이트 목록에 나열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 정보의 표시, 즉,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된 목록이 우선순위화된 순서로 되어 있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비상 응답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타입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예를 들어, 비디오 공유 애플리케이션들)과 비교해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받을 수 있다.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는, 네트워크 운영자(예를 들어, N, N+1, N+2 및 N+3)에 의해 할당된 우선순위화 레벨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 목록은, 미리 구성된 화이트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즉, ACDC/ASAC가 네트워크를 위해 활성화될 때 모바일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화이트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표시자들이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목록의 일부로서 도시되지만, 이들 표시자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독형 표시자들로서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로밍중이고 로밍 오버라이드가 허용될 때의 ACDC/ASAC의 적용가능성의 경우, 외부 영역의 ACDC/ASAC 특유의 및 적용가능한 정보를 고려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로밍 중인 MCC들로 제2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2 목록은, 외부 영역의 ACDC/ASAC 특유의 및 적용가능한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로밍중인 MCC들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하나보다 많은 목록이 UE 상에 제공되거나 사전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자는 X개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목록은 특정한 영역에 대응한다. 목록이 적용될 수 있는 주를 구별하거나 어느 주가 UE의 홈 주인지를 구별하는 것 등의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는 UE의 홈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목록 및 외부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UE로부터 비-액세스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NAS 시그널링은 무선 네트워크가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지역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소 실시간으로 UE에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NAS 시그널링은 ACDC/ASAC 적용가능한 동적 정보를 UE에 전달하기 위해 3GPP 표준화된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ADCD/ASAC 적용가능한 정보는 국지적 ACDC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OMA-DM 또는 SIM Toolkit에 의해 전달된 ACDC 정보와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ACDC/ASAC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고, UE는 ACDC/ASAC 상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개시 또는 동작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는, MME, ANDSF, 또는 전용 ACDC/ASAC 서버 등의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ACDC/ASAC 상태의 동작은, NAS 프로토콜을 통해 MME로부터, OMA-DM 프로토콜을 통해 ANDSF로부터, 또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용 ACDC/ASAC 서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UE 또는 이동국(MS)은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부착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타입의 NAS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부착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주 표시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NAS 네트워크-대-UE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B)의 제공 및 할당에 의해 UE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도 5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ACDC/ASAC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DC/ASAC 정보는 목록 또는 정보 요소(IE)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에 국지적인 필요한 ACDC/ASAC 적용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적 ACDC/ASAC 제공/처리를 지원한다는 것을 네트워크가 알 때 또는 구별 없이(without discrimination), 네트워크는 ACDC/ASAC 정보(즉,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목록)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ACDC/ASAC 정보를 수신하고 동적 ACDC/ASAC 제공/처리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ACDC/ASAC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ACDC/ASAC 정보를 수신하고 동적 ACDC/ASAC 제공/처리를 지원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비실시간 ACDC/ASAC 정보를 체크할 수 있고, 국지적 ACDC/ASAC를 감안하도록 허용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국지적 ACDC/ASAC 적용가능성 정보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채워지는 비실시간 ACDC/ASAC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네트워크와 연관된 화이트 목록을 채택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홈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의 정보)에 관해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방문된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로밍중인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실시간 ACDC/ASAC 정보의 완전한 보완없이 국지적 ACDC/ASAC 적용가능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DC/ASAC 정보는, ACDC/ASAC가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우선순위화되고 그에 따라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또는 우선순위화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화는, 우선순위 1 또는 높은 우선순위인 애플리케이션들/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우선순위 2 또는 중간 우선순위인 애플리케이션들/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그 다음, 우선순위 3 또는 낮은 우선순위의 애플리케이션들/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X", "Y" 및 "Z"는 중간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K"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ACDC/ASAC 정보는, ACD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우선순위화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허용된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ACDC/ASAC 정보는,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예를 들어, 1, 2 또는 3의 우선순위 레벨, 또는 고, 중, 또는 저의 우선순위 레벨)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식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뉴스 애플리케이션, 교육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은, 13-17세 여성에게 가장 인기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와 같은 다른 유사점들을 공유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복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애플리케이션들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100개 이상의 특정한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은 화이트 목록에 나타날 수 있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개수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ACDC/ASAC 피쳐의 특성으로 인해 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정체 레벨에 따라 선택된 개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거나 아무런 애플리케이션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예로서, ACDC/ASAC가 활성이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 Y 및 App K를 시작하기를 원하면, App Y만이 시작된다. 마찬가지로, 상위 계층들이 App X를 트리거하지만 App A와 App B도 역시 시작된다면, App X가 시작되지 않을 것이다.
ACDC/ASAC가 활성일 때 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과 그것들의 대응하는 우선순위 레벨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는 주어진 ACDC/ASAC 정보의 유효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표시된 유효 시간은 절대 시간으로서 이 절대 시간 이후에 ACDC/ASAC 정보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유효 시간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즉, 시간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유효 시간은, ACDC/ASAC 정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된 이후에 유효성을 유지하는 초, 분, 시, 데시-아워(deci-hours)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어떠한 유효 시간도 주어지지 않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음 등록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에 대한 다음 요청시의 업데이트까지 ACDC/ASAC이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유효 시간이 다음 등록 업데이트에서 계속 실행 중이면, 다음 등록 업데이트 정보는 이전에 제공된 모든 ACDC/ASAC 정보를 지울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가 다음 등록 업데이트에서 ACDC/ASAC 정보(즉, ACDC/ASAC 적용가능성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목록)를 업데이트하지 않기로 선택하지 않는 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현재의 또는 현재 이용가능한 ACDC/ASAC 정보가 계속해서 유효할 수 있다.
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및 ACDC/ASAC가 활성일 때의 그들의 대응하는 우선순위 레벨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는 우선순위화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이 적용되는 유효한 지리적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유효한 지리적 위치는, LAC, RAC, TAC, 또는 심지어 3GPP 정의된 지리-좌표 또는 일반 기술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등의, 임의의 3GPP 허용된 위치 식별 정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효한 지리적 위치 바깥에 있을 때 우선순위화된 목록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떠한 유효한 지리적 위치도 주어지지 않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음 등록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에 대한 다음 요청시의 업데이트때까지 ACDC/ASAC 정보를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지리적 위치가 주어지고 그 위치가 다음 등록 업데이트에서 여전히 유효하더라도, 다음 등록 업데이트 정보는 이전에 제공된 모든 ACDC/ASAC 정보를 지울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균등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예를 들어, 강화된 PLMN) 또는 균등한 홈 PLMN(예를 들어, 강화된 홈 HPLMN)으로 변경될 때 예외가 있을 수 있지만, ACDC/ASAC 정보는 PLMN의 변경 동안에 플러시(flush)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정보의 완전한 보완은 개별 네트워크 운영자를 이용하여 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밍 덮어쓰기" 표시는 채택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에, 개별 네트워크 운영자는 인바운드 로밍 가입자에게 ACDC/ASAC의 적용가능성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조항을 동료 네트워크 운영자와의 로밍 협정에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계약 협정은, 방문된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가 ACDC/ASAC 정보의 적용가능성의 허용여부에 관해 인바운드 로머(inbound roamer)(즉, 외부 네트워크로 로밍한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솔루션을 요구할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가 활성화되고 UE가 예를 들어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할 때,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도 사용자 장비(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즉, 이 네트워크 요소는, 외부 영역(즉, UE와 연관된 홈 영역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UE가 외부 영역 내에서 로밍중일 때 UE가 ACDC/ASAC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ACDC/ASAC 상태의 활성화는, NAS 프로토콜을 통해 MME로부터, OMA-DM 프로토콜을 통해 ANDSF로부터, 또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용 ACDC/ASAC 서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그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무선 네트워크는 거부 원인을 나타낼 수 있다. 거부 원인은,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부 원인을 수신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CDC/ASAC가 활성이라는 것을 검출시에,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중 어떤 것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제약은 UE가 ACDC 화이트 목록을 갖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약은 다음 등록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 업데이트까지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부착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타입의 NAS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위치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부착 거부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또는 서비스 거부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네트워크는 거부 원인을 동반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고, 여기서, 거부 원인은,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ACD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등록 업데이트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부착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추적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서비스 수락 메시지와 함께 수락될 수 있고 자원이 제공될 수 있지만, ACDC/ASAC가 활성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거부 원인도 역시 이들 메시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UE가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할 때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가 활성화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도 사용자 장비(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즉, 네트워크 요소는 외부 영역 내에 있을 수 있으며, UE가 외부 영역 내에서 로밍 중일 때 UE가 ACDC/ASAC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ACDC/ASAC 상태의 활성화는, NAS 프로토콜을 통해 MME로부터, OMA-DM 프로토콜을 통해 ANDSF로부터, 또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용 ACDC/ASAC 서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네트워크는 로밍 중인 UE 상에서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즉, 인바운드 로머)에게 표시하는 거부 원인과 함께 응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부 원인을 수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중 어떤 것도 시작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제약은, UE가 ACDC 화이트 목록을 가지고 있을 때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 등록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 업데이트 때까지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부착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타입의 NAS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위치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부착 거부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거부 메시지, 또는 서비스 거부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네트워크는 거부 원인을 동반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고, 여기서, 거부 원인은, UE가 로밍 중일 때 ACD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는 등록 업데이트를 수락하고 ACDC/ASAC가 활성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등록 업데이트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부착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추적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서비스 수락 메시지와 함께 수락될 수 있고 자원이 제공될 수 있지만, UE가 로밍 중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거부 원인도 역시 이들 메시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UE가 홈 지리적 영역 외부로 로밍할 때 및 ACDC/ASAC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상의 어떠한 애플리케이션들이 UE에서 동작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사용자 장비(UE)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요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ACDC/ASAC 상태의 활성화는, NAS 프로토콜을 통해 MME로부터, OMA-DM 프로토콜을 통해 ANDSF로부터, 또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용 ACDC/ASAC 서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즉, 인바운드 로머)가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를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서의 ACDC/ASAC의 활성화를 조건부로 UE가 로밍 중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된다는 것을 표시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UE가 로밍 중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된다는 표시를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방문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VPLMN)에서 ACDC/ASAC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제공된 화이트 목록에 표시된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부착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기타 임의의 타입 또는 레벨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어떠한 ACDC 제약도 결정할 수 없다. 네트워크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부착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서비스 수락 메시지(또는 기타 임의의 타입 또는 레벨의 시그널링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고, 여기서, 이들 메시지는 UE가 로밍 중일 때 ACDC/ASAC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성에서, UE 내의 ACDC/ASAC 화이트 목록은 페이징 메시지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UE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및 SIB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진보된 노드 B(eNB)는 페이징 메시지 내의 ACDC/ASAC 화이트 목록 통보를 UE에 통신할 수 있다. ACDC/ASAC 화이트 목록 통보는, ACDC/ASAC SIB가 eNB에 의해 브로드캐스팅 중이라는 것을 UE에 통보할 수 있다.
ACDC/ASAC 화이트 목록 통보는 ACDC/ASAC 그룹 ID(즉, ACDC/ASAC 화이트 목록이 적용되는 UE들의 그룹)를 포함할 수 있다. ACDC/ASAC 그룹 ID가 포함되면, 대응하는 ACDC/ASAC 그룹에 속한 모바일 디바이스만이 ACDC/ASAC SIB를 취득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ACDC/ASAC 그룹 ID가 포함되지 않는다면, ACDC/ASAC에 대해 구성된 모든 디바이스는 ACDC/ASAC SIB를 취득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ACDC/ASAC SIB의 스케쥴링 정보는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에서 제공될 수 있다. ACDC/ASAC를 위해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먼저 SIB1 정보를 취득한 다음, 후속해서, SIB1에 포함된 ACDC/ASAC SIB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ACDC/ASAC SIB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SIB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인지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보가 SIB를 통해 선택된 그룹 또는 모음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전송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특정한 범위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또는 모바일 장비나 모바일 가입이나 모바일 사용자들의 다른 3GPP 고유 식별자 형태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특정한 카테고리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카테고리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세스 클래스 등의, 새로운 신원 또는 이전에 정의된 신원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서브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두, 특정한 카테고리들에 대해 동일한 이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는 카테고리화로서 전력 클래스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카테고리화로서 액세스 클래스를 이용한다. 즉, 무선 인터페이스의 양 측은 동일한 카테고리화를 이용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새로운 또는 기존의) 카테고리들이 채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단 하나의 카테고리만 이용된다. 따라서, ACDC/ASAC의 활성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카테고리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과 별개로, 무선 네트워크는 어떤 카테고리가 선택 기준으로서 이용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한 예에서, SIB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된다면, ACDC/ASAC가 예외없이 인바운드 로머에 적용가능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인바운드 로머는, 외부 영역에서 로밍 중에 있고 UE의 홈 영역 외부에 있는 UE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SIB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된다면, ACDC/ASAC가 예외를 두고 인바운드 로머에 적용가능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예외는,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식별자(PLMN ID), PLMN ID들의 범위, MCC(Mobile Country Code), 또는 이들 예외를 갖는 MCC들의 범위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즉, 식별되지 않은 PLMN ID 및 MCC는 면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서, 이들 예외는, PLMN ID, PLMN ID들의 범위, MCC, 또는 예외가 없는 MCC들의 범위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즉, 식별되지 않은 PLMN ID 및 MCC는 면제된다. 또한, 특정한 카테고리들의 식별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ACDC의 적용가능성을 따르거나 따르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선택할 때 더 미세한 세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정보는 SIB 또는 다른 선택된 3GPP 브로드캐스트 기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정보의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중인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다. 카테고리가 3GPP에 의해 이전에 정의되었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신원이 SIB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었던 카테고리와 정합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UE는 새로운 카테고리화가 명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SIM/USIM은 그 카테고리의 신원/정보를 사전제공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SMS 제공 또는 OMA DM을 통해 그 카테고리의 신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E가 자신의 카테고리를 알고 있고 그 카테고리가 ACDC/ASAC에 관해 SIB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카테고리와 정합한다면, SIB를 통해 표시된 ACDC/ASAC에 적용가능한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이러한 ACDC/ASAC 적용가능한 정보는 홈 운영자 정책들에 기초할 수 있고, UE가 로밍한 (즉, 방문된) PLMN의 ACDC/ASAC 허용/활성화를 조건부로 홈 운영자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모바일 구성 정보(즉, SIM/USIM에 관한 것)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고, SIB 또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정보를 통해 방문된 네트워크 ADCD/ASAC 활성화 정보를 이용할 것을 로밍 중인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안내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USIM-OTA 또는 OMA-DM 등의 OTA 제공 기술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ACDC의 구성에 기초하여 ACDC를 적용받을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액세스 제어는 정체 상황 동안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DC/ASAC 기능은 UE 및 ACDC/ASAC 서버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ACDC/ASAC 서버는 UE 상의 ACDC/ASAC 화이트 목록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이다. 또한, ACDC/ASAC 서버는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 관점에서 전체 ACDC/ASAC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고 관리하는 것을 책임질 수 있다.
승인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들 상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은, ACDC/ASAC이 활성화될 때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우선순위화 방식은, 애플리케이션들 목록 상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값을 할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값은, 숫자, 텍스트, 알파벳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값들은 선택사항으로서 FQDN(Fully Qualified Domain Name)일 수 있다. 운영자는 자신의 ACDC/ASAC 화이트 목록 상의 다양한 허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허용된 애플리케이션은 UE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는 것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상태 레벨을 포함한다. ACDC 상태 레벨이 활성화되면, UE는 승인된 목록 상의 애플리케이션들만의 개시를 허용할 수 있다. 즉, UE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만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허용되지는 않지만,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은 UE 상에서 국지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하나 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UE 상에서 개시될 때, UE는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우선순위화 값에 따라 개시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ACDC 상태가 활성화되면 승인 목록에 있는 않은 애플리케이션들은 개시될 수 없다(즉, 이 애플리케이션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금지된다).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분류는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명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간 경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즉, 카테고리 A 내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변경될 수는 있지만, 이러한 변경은 카테고리 A 내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 레벨을 수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운영자들은 그들의 특정한 비즈니스 모델 또는 기타의 특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운영자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이한 규제 요건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A의 주 X는 국가 A의 주 Y와는 상이한 규제 요건 및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운영자는 가입자의 UE를 구성하고 주 X와 주 Y 사이의 차이점을 감안하도록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주 우선순위화는 수 개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UE는 상이한 영역들의 상이한 화이트 목록들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상이한 영역들을 통해 로밍할 때,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적절한 화이트 목록을 활성화하고 이전 화이트 목록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UE는, 가입자가 서비스를 위해 가입할 때 홈 영역의 적절한 화이트 목록만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상이한 영역으로 로밍할 때, 네트워크는 화이트 목록을 새로이 지배하는 화이트 목록(즉, 상이한 영역에 대응하는 화이트 목록)로 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한 예에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화이트 목록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오히려, 애플리케이션들은, 영역에 따라 상이한 그룹들 또는 카테고리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금지 파라미터의 이용 또는 비트맵의 이용 등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해 다른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갖는 것이 아니라, 운영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를 정의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해 한 세트의 애플리케이션이 정의된다. 한 예로서, 운영자는, 5개의 카테고리: 카테고리 A, 카테고리 B, 카테고리 C, 카테고리 D 및 카테고리 D를 정의할 수 있다. 카테고리 A는, 재난 메시지 보드 등의, 높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B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음성 통화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C는,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또는 오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등의,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D는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E는, 비디오 게임 등의,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세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자는 더 많은 수의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주어진 영역 당 애플리케이션 분류의 차등(differentiation of application classification per a given area)이 비교적 큰 경우, 비교적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메모리 가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고정된 세트의 카테고리들로 분류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정의를 포함하는 ACDC/ASAC 정보를 UE에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정체가 있고 ACDC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UE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는 전용 메시지를 통해 UE에 ACDC/ASAC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대안으로서, 네트워크는 ACDC/ASAC 정보를 UE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관련된 정보는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네트워크는 이 정보와 함께 관리 객체 파일을 UE에 전송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기술하는 ACDC/ASAC 정보는 UE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A, B, C, D 및 E 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정의된 상태 레벨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A는, 상태 레벨들, N, N+1, N+2, N+3 및 N+4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카테고리 B는, 상태 레벨들 N+1, N+2, N+3, 및 N+4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카테고리 C는, 상태 레벨들, N+2, N+3, 및 N+4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카테고리 D는, 상태 레벨들, N+3, 및 N+4 동안 허용될 수 있다. 카테고리 E는, 상태 레벨 N+4 동안 허용될 수 있다. ACDC 상태 레벨이 활성화되면, UE는 승인된 카테고리 상의 애플리케이션들만의 개시를 허용할 수 있다.
이전의 예에서, 상태 레벨 N+1이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되면, UE는 카테고리 A 및 카테고리 B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카테고리 C, D 및 E의 애플리케이션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상태 레벨들 N 및 N+3이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된다면, UE는, 카테고리들 A, B, C 및 D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E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서 정체가 있을 때 정의된 기간 동안 특정한 상태 레벨(예를 들어, N, N+1, N+4)을 활성화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정체될 때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만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고, 네트워크가 정체될 때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네트워크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정체가 완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정의된 기간 후에(예를 들어, 네트워크 트래픽이 허용가능한 레벨에 도달했을 때), ACDC 상태 레벨은 비활성화될 수 있고, UE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함에 있어서 제약되지 않는다.
도 10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이다. 하나의 구성에서, 네트워크로부터 UE로 통신되는 ACDC/ASAC 정보는, 3GPP 기술 명세(TS) 36.331에 기술된 액세스 등급 금지(ACB; access class barring) 금지 파라미터와 유사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금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금지 파라미터는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확률은, ACDC/ASAC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UE로부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내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정의된 확률(예를 들어, 퍼센트로서 표현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한 시간은, ACDC/ASAC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들이 UE로부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금지되는 기간(예를 들어, 초 단위)을 정의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DC/ASAC 정보는, A, B, C, D 및 E 등의,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기술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해, 대응하는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이 있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액세스 확률 및 제한 시간을 구성할 수 있다. ACDC/ASAC 상태가 활성화되면, UE는 각각의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금지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ACDC/ASAC 상태가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특정한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이 금지되지 않으면, 금지 파라미터들은 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 예에서, UE는 네트워크로부터 금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ACDC/ASA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정체되면(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임계값이 초과되면), ACDC/ASAC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ACDC/ASAC가 활성화되면, UE는 ACDC/ASAC 정보에 포함된 금지 파라미터를 따를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카테고리 A와 관련하여, 액세스 확률(즉, UE가 카테고리 A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허용되는 확률)은 80%일 수 있고, 제한 시간은 2초일 수 있으며, 카테고리 E에 관하여, 액세스 확률은 10%일 수 있고 금지 시간은 30초 일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네트워크로부터 UE로 통신되는 ACDC/ASAC 정보는, ACDC/ASAC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될 때 어떤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들이 허용되고 어떤 카테고리가 허용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ACDC/ASAC 정보는, 카테고리 A, C 및 E는 금지되지 않고(즉, UE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됨), 카테고리 B 및 D는 금지된다(즉, UE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되지 않음)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맵 [0 1 0 1 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비트맵 내의 "0"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금지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비트맵 내의 "1"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을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비트수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정의되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개수에 의존할 수 있다. ACDC 상태가 활성화되고 비트맵이 이용되면, 금지 레벨은, 어떠한 시간 파라미터도 정의되지 않은 "금지됨" 또는 "금지되지 않음"일 수 있다.
한 예에서, UE는 비트맵을 갖는 ACDC/ASAC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가 ACDC/ASAC를 활성화할 때, UE는, 비트맵에 기초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허용할 수 있고,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비트맵은 "1" 또는 "0"만 포함하므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금지할 확률은 각각 100% 또는 0%일 수 있다. 비트맵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은 무기한 금지되거나 금지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금지 시간은, 그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금지해제하는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무기한이다). 네트워크가 수정된 비트맵을 UE에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금지됨"에서 "금지되지 않음"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최신 비트맵만을 구현할 수 있고, UE는 후속 비트맵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그 비트맵을 계속 구현할 것이다.
한 예에서, ACDC/ASAC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세트 및 상태 레벨, 금지 파라미터, 비트맵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UE 상에 미리 로딩될 수 있다. 대안적 예에서, ACDC/ASAC 정보는, UE가 네트워크에 등록할 때 또는 UE가 정의된 지리적 영역으로 로밍할 때 네트워크로부터 UE로 통신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위치 영역 코드(LAC), 라우팅 영역 코드(RAC), 또는 타입 할당 코드(TAC)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한 카테고리들의 애플리케이션들로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도 11은 상태 레벨에 관한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이다. 각각의 지리적 영역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내의 상이한 세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정의할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은, 특정한 국가, 주, 도시 등일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은, 특정한 트랙킹 영역일 수 있다. 지리적 영역은 또한, 특정한 세트의 셀들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예를 들어, N, N+1, N+2, N+3, 및 N+4)과 연관될 수 있다. 예로서, 재난 메시지 보드는 일부 국가에서는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소정의 국가에서 재난 메시지 보드가 이용가능하더라도, 이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국가에 비해 감소된(또는 증가된)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1은 3개국(예컨대, MCC1, MCC2, MCC3) 모두에 대해 카테고리 A에 포함될 수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2는 디바이스가 MCC1에 있을 때 카테고리 A에 포함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2는 디바이스가 MCC2 또는 MCC3에 있을 때 카테고리 C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2는 디바이스가 MCC1에 있을 때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지만, 디바이스가 MCC2에 있을 때에는 더 낮은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가 MCC1 또는 MCC2에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4는 카테고리 B에 포함될 수 있지만, 디바이스가 MCC3에 있을 때는 애플리케이션 4는 카테고리 D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소정 국가(또는 영역)에서는 비교적 중요하거나 유용할 수 있지만, 다른 국가(또는 영역)에서는 비교적 덜 중요하거나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국가에 따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 또는 감소된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정체가 존재하고 ACDC가 활성화되면,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제1 국가에서는 제3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지만,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제2 국가에서 제5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받을 수 있다.
도 12는 우선순위 레벨에 관한 다양한 지리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우선순위화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이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예를 들어, 카테고리 A, B, C, D 및 E)는 한 세트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A는 애플리케이션 1, 2 및 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국가 또는 영역에서 적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우선순위 레벨(예를 들어, P1, P2, P3, P4 또는 P5)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는 P1과 연관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B는 P2와 연관될 수 있는 등등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3은 디바이스가 MCC3에 있고 우선순위 레벨 P1을 할당받을 때 카테고리 A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MCC3에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3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레벨(즉, P1)을 가진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가 MCC1에 있고 P3의 우선순위 레벨을 할당받는 경우에 카테고리 C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MCC1에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3은 세번째로 높은 우선순위 레벨(즉, P3)을 갖는다.
하나의 구성에서, 도 12에 나타낸 예시적인 표는 UE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UE가 존재하는 국가에 기초하여, UE는, P1, P2, P3, P4 또는 P5의 값 특유의 ACDC/ASA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MCC1 내에 위치해 있다면, UE는 적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대한 값들만 수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UE는, MCC1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D 및 E의 정의가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 B 및 C에 대한 값들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P1, P2 및 P3의 값을 수신할 수 있지만, UE는 P4 및 P5의 값을 수신하지 않는다. 그 결과, UE는 UE가 위치해 있는 특정한 국가에 대한 관련 ACDC/ASAC 정보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신호 오버헤드의 양이 감소된다. 또 다른 예로서, UE가 MCC3 내에 있다면, MCC3 내의 네트워크는, P2의 값이 아닌 P1, P3, P4 및 P5의 값들만을 브로드캐스트해야 한다. 각각의 국가는, UE가 그 국가 내에 있을 때 UE에 자신의 값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13은 지리적 위치들에 관한 복수의 우선순위 레벨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표이다. 즉, 우선순위 레벨 또는 상태 레벨(예를 들어, P1, P2, P3, P4 및 P5)은 국가별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표는 UE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P1의 경우, MCC1, MCC2 및 MCC3 각각은 별개 세트의 상태 레벨들과 연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P2의 경우, MCC1, MCC2 및 MCC3 각각은, 동일한 세트의 상태 레벨들(예를 들어, N+1, N+2, N+3 및 N+4)와 연관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1은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A와 연관될 수 있고, P2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B와 연관될 수 있는 등등이다.
한 예에서, UE가 소정의 영역(예를 들어, MCC1)에 있다면, 네트워크는, P1, P2, P3, P4 및 P5에 적용가능한 한 세트의 상태 레벨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MCC1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P1이 상태 레벨들 N, N+1, N+2, N+3, 및 N+4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E가 MCC3에 있다면, 네트워크는 P5가 상태 레벨 N+4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UE는 UE가 위치해 있는 특정한 국가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에 관한 한 세트의 상태 레벨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신호 오버헤드의 양이 감소된다.
UE는 한 세트의 허용된 상태 레벨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상태 레벨 P1 동안 카테고리 A가 허용되고, 상태 레벨 P2 동안 카테고리 B가 허용되며, 상태 레벨 P3 동안 카테고리 C가 허용되고, 상태 레벨 P4 동안 카테고리 D가 허용되며, 상태 레벨 P5 동안 카테고리 E가 허용된다는 것을 알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나중에, 네트워크는, UE가 위치해 있는 위치(예를 들어, 국가)에 따라 상이한 값들 P1, P2, P3, P4 및 P5를 구성할 수 있다. 한 예에서, P1, P2, P3, P4 및 P5의 값들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마다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즉, MCC1, MCC2 및 MCC3에서 허용되는 상태 값들은, P1, P2, P3, P4 및 P5에 관해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1의 경우, 허용되는 상태 레벨 세트는, MCC1의 경우 N, N+1, N+2, N+3 및 N+4일 수 있고, 허용되는 상태 레벨 세트는, MCC2의 경우 N+1, N+2, N+3 및 N+4일 수 있고, 허용되는 상태 레벨 세트는, MCC3의 경우, N+2, N+3 및 N+4 일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그룹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의 맵핑) 및 ACDC/ASAC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다양한 방식으로 UE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예에서, ACDC/ASAC 정보는,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UE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ACDC/ASAC 정보는 OTA(over-the-air) 업데이트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UE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UE에 제공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서, UE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ACDC/ASA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는, 위치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UE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ACDC/ASAC 정보를 UE에 통신할 수 있고, 여기서, 전용 시그널링은, 위치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는, 도 14의 플로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기능(1400)을 제공한다. 기능은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기능은 머신 상의 명령어로서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된다. 이 기능은 머신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블록 1410에서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ACDC/ASAC 정보는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상태 레벨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블록 1420에서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임계값이 초과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대해 ACDC/ASAC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블록 1430에서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기초하여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UE에 통신되는 ACDC/ASAC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을 나타내며, 여기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다른 예에서, UE에 통신되는 ACDC/ASAC 정보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여기서, 비트맵 내의 "0"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금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맵 내의 "1"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여기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비트맵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한 예에서, ACDC/ASAC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미리 로딩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또 다른 예에서, ACDC/ASAC 정보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내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영역을 포함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해 있는 연관된 영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카테고리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정보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허용된 상태 레벨을 포함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해 있는 연관된 영역에 기초하여 정의된 허용된 상태 레벨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ACDC/ASAC 정보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액세스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해 있는 연관된 영역에 기초하여 정의된 액세스 파라미터로 동작할 수 있게 하며, 여기서, 액세스 파라미터는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을 포함한다. 역시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ACDC/ASAC 서버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ACDC/ASAC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전용 시그널링은, 위치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또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위치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라우팅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트랙킹 영역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CDC/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ACDC/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CDC/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역시 또 다른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OTA(over-the-air) 업데이트를 통해 ACDC/ASAC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위치 영역 코드(LAC), 라우팅 영역 코드(RAC), 또는 타입 할당 코드(TAC)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한 카테고리의 애플리케이션들로 카테고리화된다.
또 다른 예는, 도 15의 플로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구성된 목록의 우선순위화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키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UE)의 기능(1500)을 제공한다. 기능은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기능은 머신 상의 명령어로서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된다. 이 기능은 머신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UE는, 블록 1510에서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ACDC/ASAC 정보는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상태 레벨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포함한다. UE는, 블록 1520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대해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미리 구성된 목록에 포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내의 애플리케이션 세트만이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ACDC/ASAC는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채널 상태가 용량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한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ACDC/ASAC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 ―액세스 확률 및 금지 시간은,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UE에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에 대해 구현― ; 또는 ACDC/ASAC가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활성화될 때 UE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며, 여기서, 비트맵 내의 "0"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금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고, 비트맵 내의 "1"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가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성에서, ACDC/ASAC 정보는 UE의 등록시 또는 UE가 정의된 지리적 영역으로 로밍시에 수신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또한,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ACDC/ASAC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한 예에서, UE는, 안테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는, 도 16의 플로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UE)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카테고리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1600)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머신 상의 명령어들로서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된다. 이 방법은, 블록 1610에서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CDC)/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액세스 제어(ASAC) 서버로부터, ACDC/ASAC 정보를 UE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ACDC/ASAC 정보는 미리 구성된 목록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정의된 상태 레벨 동안 UE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세트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블록 1620에서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임계값이 초과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대해 ACDC/ASAC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블록 1630에서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태 레벨에 기초하여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한 예에서, 이 방법은 UE가 위치해 있는 특정한 영역에 대해 ACDC/ASAC 정보를 UE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ACDC/ASAC 정보는, ACDC/ASAC가 활성화될 때 특정한 영역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이 방법은, UE가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 또는 UE가 정의된 지리적 영역으로 로밍하는 것에 응답하여 ACDC/ASAC 정보를 UE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이 방법은 전용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ACDC/ASAC 정보를 UE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이 방법은 OMA-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CDC/ASAC 정보를 UE에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도 17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태블릿, 핸드셋,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 등의,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를 제공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노드, 매크로 노드, 저전력 노드(LPN; low power node), 또는 기지국(BS), eNB(evolved Node B), BBU(baseband unit), RRH(remote radio head), RRE(remote radio equipment), RS(relay station), RE(radio equipment),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 등의 전송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3GPP LTE,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블루투스, 및 WiF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각각의 무선 통신 표준을 위한 별개의 안테나, 또는 복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위한 공유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또는 WWAN에서 통신할 수 있다.
도 17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입력 및 출력에 이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과 하나 이상의 스피커의 예시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용량식, 저항식, 또는 다른 타입의 터치 스크린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그래픽 프로세서는 내부 메모리에 결합되어 처리 및 디스플레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데이터 입력/출력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도 이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능력을 확장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키보드가 무선 디바이스와 통합되거나 무선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추가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도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기술들, 그 소정 양태 또는 부분들은, 플로피 디스켓, CD-ROM, 하드 드라이브,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임의의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 매체로 구현된 프로그램 코드(즉, 명령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등의 머신 내에 로드되어 머신에 의해 실행되며, 머신은 다양한 기술들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된다. 회로는, 하드웨어, 펌웨어, 프로그램 코드, 실행가능한 코드, 컴퓨터 명령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컴퓨터에서의 프로그램 코드 실행의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스토리지 매체(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 요소를 포함),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는,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광 드라이브, 자기 하드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또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타의 매체일 수 있다. 노드와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트랜시버 모듈, 카운터 모듈, 처리 모듈, 및/또는 클록 모듈 또는 타이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구현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재사용가능한 컨트롤(reusable control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고 레벨 절차형 또는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들)은, 원한다면 어셈블리어 또는 기계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쨌든, 언어는 컴파일형 언어이거나 인터프리팅형 언어일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과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많은 기능 유닛들은 그들의 구현 독립성을 더욱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모듈들로서 라벨링되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듈은, 맞춤형 VLSI 회로나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로직 칩, 트랜지스터, 또는 기타의 개별 부품 등의 기성품 반도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의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유형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행가능한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프로시져, 또는 함수로서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파일들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할 필요는 없고,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고 그 모듈의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이질적인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실행가능한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일 수 있고, 심지어,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및 수 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연산 데이터는 여기서는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고 예시될 수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임베딩되거나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연산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되거나, 상이한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 상이한 장소들에 분포될 수도 있고, 단순히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상에 전자적 신호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모듈들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에이전트를 포함한, 수동형 또는 능동형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VLSI, FPGA, 및 다른 타입의 전문화된 프로세서 등의 전문화된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트랜시버에서 무선 통신을 전송, 수신, 및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예(example)"라는 말은, 그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는 문구 "예에서"는,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될 때, 복수의 항목, 구조적 요소, 성분적 요소, 및/또는 재료는 편의상 공통 목록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목록은, 그 목록의 각 멤버가 별개의 고유한 멤버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것처럼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록의 어떠한 개별 멤버도, 반대되는 표시가 없이 공통 그룹 내의 그들의 프리젠테이션에만 기초하여 동일한 목록의 임의의 다른 멤버의 사실상의 균등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예는 여기서 그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한 대안과 함께 참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예, 및 대안들은 서로의 사실상의 균등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의 별개의 및 자율적인 표현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설명된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레이아웃, 거리, 네트워크 예 등의 예들과 같은 수많은 다양한 세부사항이 개시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한 세부사항없이, 또는 다른 방법, 컴포넌트, 레이아웃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본 발명의 양태를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되거나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예들이 하나 이상의 특정 응용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및 발명적 능력을 행사하지 않고 구현의 형태, 이용 및 세부사항에서의 수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Claims (25)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ACDC)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과부하(overload)를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ACDC를 적용할 것을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사용자 장비(UE)로의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금지 정보(barring information)를 처리 - 상기 금지 정보는,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UE가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이 방지됨을 표시함 -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가장 높은 ACDC 카테고리는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적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고 가장 낮은 ACDC 카테고리는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상기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UE로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4개의 ACDC 카테고리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또는 코어 네트워크(CN)에서 과부하를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ACDC를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로밍 UE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들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포함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운영자-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operator-identified applications)을 포함하는, 장치.
  10.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ACDC)가 적용될 때 애플리케이션들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UE)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UE에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금지 정보를 처리하고 - 상기 금지 정보는,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UE에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액세스하는 것이 방지됨을 상기 UE에 표시함 -;
    상기 UE에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금지 정보에 표시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포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
    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구성을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은 가장 높은 ACDC 카테고리가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적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고 가장 낮은 ACDC 카테고리가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는 것을 표시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들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4개의 ACDC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구성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UE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로밍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은 운영자-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안테나,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18. 구현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네트워크 요소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의 과부하를 완화시키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의 정체 제어(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ACDC)를 적용할 것을 결정하는 것;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사용자 장비(UE)로의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금지 정보를 처리하는 것 - 상기 금지 정보는, 상기 ACDC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들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UE에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액세스하는 것이 방지됨을 상기 UE에 표시함 -; 및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들을 이용하여 상기 UE를 구성하는 것 - 가장 높은 ACDC 카테고리는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적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되고 가장 낮은 ACDC 카테고리는 상기 UE에서 제약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됨 -
    을 수행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하여금,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상기 UE로의 전송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처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하여금, 적어도 4개의 ACDC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UE를 구성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또는 코어 네트워크(CN)에서의 과부하를 완화시키기 위해 ACDC를 적용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 하여금,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로밍 UE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에 대한 상기 금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ACDC 카테고리와 관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운영자-식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15076A 2013-03-29 2015-11-25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KR102164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6821P 2013-03-29 2013-03-29
US201461924194P 2014-01-06 2014-01-06
US14/590,772 2015-01-06
US14/590,772 US9743341B2 (en) 2013-03-29 2015-01-06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PCT/US2015/062790 WO2016111769A1 (en) 2013-03-29 2015-11-25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429A Division KR102198119B1 (ko) 2013-03-29 2015-11-25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904A KR20170101904A (ko) 2017-09-06
KR102164272B1 true KR102164272B1 (ko) 2020-10-12

Family

ID=52995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76A KR102164272B1 (ko) 2013-03-29 2015-11-25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KR1020207028429A KR102198119B1 (ko) 2013-03-29 2015-11-25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429A KR102198119B1 (ko) 2013-03-29 2015-11-25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43341B2 (ko)
JP (1) JP2018502503A (ko)
KR (2) KR102164272B1 (ko)
BR (1) BR112017011034B1 (ko)
TW (2) TWI651975B (ko)
WO (1) WO2016111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3341B2 (en) * 2013-03-29 2017-08-2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HUE038867T2 (hu) 2013-03-29 2018-12-28 Intel Ip Corp WLAN kiválasztási irányelv vezérlés barangolási (roaming) szcenáriókban
FR3008573B1 (fr) * 2013-07-15 2016-11-18 Sagemcom Broadband Sas Equipement utilisateur proposant une duree a appliquer a une temporisation a fixer par un equipement d'un reseau cœur
WO2015031202A1 (en) * 2013-08-30 2015-03-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application specific access control
US20160165423A1 (en) * 2013-10-16 2016-06-09 Sony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management
US9736732B2 (en) * 2014-07-01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to dynamically manage application traffic by bandwidth apportioning on a communication device
CN105519040B (zh) * 2014-11-05 2019-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管理方法、设备及系统
EP3220687B1 (en) * 2014-11-10 2019-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blocking network access by acdc
KR101823815B1 (ko) 2014-11-10 201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cdc에 의한 네트워크 액세스 차단 방법 및 사용자 장치
BR112017014634A2 (pt) * 2015-01-13 2018-03-20 Sony Corporation ?dispositivos de transmissão e recepção, e, métodos para transmissão e recepção?
WO2016153310A1 (en) * 2015-03-25 2016-09-29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orming initial access based on the acdc category in a wirelee access system
US9813896B2 (en) * 2015-04-22 2017-11-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configuring wireless device capability and performance
WO2016190639A1 (ko) * 2015-05-22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무선랜 병합 시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353356A1 (en) * 2015-06-01 2016-12-01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 (acdc) in connected mode
US10631233B2 (en) * 2015-07-28 2020-04-21 Nec Corporation Radio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CN106454999B (zh) * 2015-08-13 2019-10-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接入控制方法及装置
EP3335473B1 (en) * 2015-08-14 2020-05-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application-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
WO2017054118A1 (zh) * 2015-09-29 2017-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BR112018005512A2 (pt) 2015-09-30 2018-10-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ntrole de congestionamento de categoria de serviço
US10021547B2 (en) * 2016-01-25 2018-07-10 Htc Corporation Management for data transmission of applications
KR20190108117A (ko) * 2017-01-23 2019-09-2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접속 방법 및 단말
WO2018199905A1 (en) * 2017-04-24 2018-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wireless network selections
US10638539B2 (en) 2017-12-01 2020-04-28 At&T Mobility Ii Llc Facilitating resource frequency management for emergency response
US11109339B2 (en) 2019-02-21 2021-08-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e-provisioned access management containers for wireless services
KR102661459B1 (ko) 2019-04-02 202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
US11916758B2 (en) * 2019-08-02 2024-02-27 Cisco Technology, Inc. Network-assisted application-layer request flow management in service meshes
CN112752298B (zh) * 2019-10-31 2022-11-22 中国移动通信集团安徽有限公司 一种抑制epc潮汐效应的方法及装置、控制系统
JP2023100458A (ja) * 2022-01-06 2023-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用制御プログラム
US11765052B1 (en) 2022-03-11 2023-09-19 T-Mobile Usa, Inc. User equipment hosting for customizable 5G ser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0180A1 (en) 2012-07-06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access barring
WO2014160611A1 (en) 2013-03-29 2014-10-0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6187B2 (ja) 1996-10-24 2005-08-24 富士通株式会社 トラヒック制御方式
JP2001078260A (ja) 1999-09-06 2001-03-23 Yrp Kokino Idotai Tsushin Kenkyusho:Kk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輻輳制御方法、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
US20060094423A1 (en) 2004-10-29 2006-05-04 Alok Sharm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naged roaming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US7734290B2 (en) 2005-10-03 2010-06-08 Kyocera Wireless Corp. Method for managing acquisition list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GB0525244D0 (en) * 2005-12-12 2006-01-18 Nokia Corp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sessions
US8516136B2 (en) 2007-07-09 2013-08-20 Alcatel Lucent Web-based over-the-air provisioning and activation of mobile terminals
US8442507B2 (en) 2007-09-26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source determination of provisioning information on a per-network service basis for open market wireless devices
CN101874418B (zh) 2007-09-26 2013-10-23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根据多个网络服务应用简档和数据会话冲突解决来配置无线设备的系统和方法
US8675553B2 (en) 2009-03-26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Regulating the scope of service geographically in wireless networks based on priority
US8897266B2 (en) 2009-03-27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via upper layer
US8577329B2 (en) 2009-05-04 2013-11-05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carrier-centric mobile device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CN102859895B (zh) 2010-04-19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mu-mimo无线网络中的多用户传输机会的方法和系统
WO2011130912A1 (zh) * 2010-04-22 2011-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拥塞/过载的控制方法及装置
US8560739B2 (en) * 2010-12-28 2013-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gulating operation of one or more functions of a mobile application
KR101723389B1 (ko) * 2011-01-10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응용 프로그램 구동 장치 및 방법
US8938233B2 (en) 2011-08-16 2015-01-20 Mediatek Inc. Enhanced access control in LTE advanced systems
US8972967B2 (en) * 2011-09-12 2015-03-03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packages using block maps
US9661525B2 (en) * 2012-03-2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nular network access control and methods thereof
US9294213B2 (en) * 2012-05-11 2016-03-22 Intel Corporatio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for multi priority wireless devices
JP6240387B2 (ja) * 2013-01-18 2017-11-2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US9743341B2 (en) * 2013-03-29 2017-08-2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CN104322108A (zh) * 2013-05-03 2015-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及装置
JP6181866B2 (ja) 2013-06-16 2017-08-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制御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92531B2 (en) * 2014-01-30 2016-07-12 Intel IP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20150223107A1 (en) * 2014-01-31 2015-08-06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application specific packet filter
US20170048747A1 (en) * 2015-08-10 2017-02-16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0180A1 (en) 2012-07-06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access barring
WO2014160611A1 (en) 2013-03-29 2014-10-0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P-131143*
3GPP TSG-RAN WG #61 RP-1311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51975B (zh) 2019-02-21
TW201804834A (zh) 2018-02-01
US20170311229A1 (en) 2017-10-26
KR20200118235A (ko) 2020-10-14
US9743341B2 (en) 2017-08-22
US10420017B2 (en) 2019-09-17
WO2016111769A1 (en) 2016-07-14
US20150117213A1 (en) 2015-04-30
BR112017011034A2 (pt) 2018-01-09
KR20170101904A (ko) 2017-09-06
JP2018502503A (ja) 2018-01-25
KR102198119B1 (ko) 2021-01-04
TWI605723B (zh) 2017-11-11
BR112017011034B1 (pt) 2023-10-17
TW201628431A (zh)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272B1 (ko) 네트워크 정체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들의 제공
US10212578B2 (e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US9974004B2 (en) Extended access barring
AU20132329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ccess control with ensured service continuity guarantees
ES273435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la selección de red de acceso
US20150119015A1 (en) Application access class barring
KR102183654B1 (ko) 제3자 서버가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트래픽의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