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860B1 -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60B1
KR102163860B1 KR1020140014341A KR20140014341A KR102163860B1 KR 102163860 B1 KR102163860 B1 KR 102163860B1 KR 1020140014341 A KR1020140014341 A KR 1020140014341A KR 20140014341 A KR20140014341 A KR 20140014341A KR 102163860 B1 KR102163860 B1 KR 10216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user
unit
sig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490A (ko
Inventor
이형남
유종석
이고은
이건식
주연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회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아바타를 포함하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아바타 추천 리스트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업데이트(update)되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아바타 및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회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아바타를 포함하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아바타 추천 리스트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업데이트(update)되는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아바타 및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의 개인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의 로그인,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 또는 개인 정보에 의해 가입된 소정 웹 서버로의 로그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된 개인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개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개인 설정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 로그인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 서버(app server) 화면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서버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서버 접속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개인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개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각종 모듈 또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개인 정보,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전자기기 등이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전자기기가 로그인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해당 기기 정보,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M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는, 상술한 바에 따라,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또는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가 가능한 공간 리모콘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2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OSD 생성부(340)는,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이 된 경우, 설정된 개인 화면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3의 (b)), 앞뒤(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차원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각종 입력키 또는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80)에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하,좌,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 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키(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방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7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7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7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7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는, 미리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기기 정보,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2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215)는 무선통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2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operating system)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operating system)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장치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장치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상술한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장치(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530), 프레임워크(540), 및 애플리케이션층(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플랫폼은, 도 6과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6에 대응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라이브러리(435)가, 도 7에 도시된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
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장치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플랫폼은 영상표시장치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플랫폼은, 도 1에 도시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 또는 탑재(loading)될 수도 있으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를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8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7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 저장부(758), 신호 처리부(76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758)는, 신호 처리부(7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75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758)는, 상술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760)는,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디코더 또는 음성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7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76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7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 동작 입력, 설정 입력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부(76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70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 외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셋탑 박스(750)는, 별도의 미디어(media) 재생을 위한 미디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력부의 예로는, 블루레이 입력부(미도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75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미디어는 신호 처리부(760)에서의 역다중화 또는 복호화 등의 신호 처리 이후, 그 표시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65)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7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튜너(77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73), 복조부(775), 저장부(778), 제어부(7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83), 디스플레이부(790), 및 오디오 출력부(79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770), 복조부(775), 저장부(778), 제어부(78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83), 디스플레이부(790), 및 오디오 출력부(795)는, 상술한 도 1에서 기술한 튜너(110), 복조부(120), 저장부(140), 제어부(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에 대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77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셋탑 박스(750)와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셋탑 박스(7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170)를 거쳐, 디스플레이부(790) 또는 오디오 출력부(79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도 9에 대하여 설명하면,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도 8에 도시된 셋탑 박스(750)와 디스플레이장치(700)와 동일하나, 다만, 튜너(770) 및 복조부(775)의 위치가 디스플레이장치(700) 내가 아닌 셋탑 박스(750) 내에 위치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면, 신호 처리부(760)는 튜너(770) 및 복조부(77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763)는, 채널 선택, 채널 저장 등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회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아바타를 포함하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10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의 소정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는 소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거나, 제조사, 컨텐츠 사업자 등의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소정 서비스에 연계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연동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와 TV 서비스 계정이나, SNS 계정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로그인 계정에 연동하도록 설정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경우에, 영상표시장치(100)는 자동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록된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해당 SNS 계정의 업데이트 소식 등 SNS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 및 취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1은 SNS와 연계된 영상표시장치의 서비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개인화된 홈 메뉴 서비스의 설정 화면을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인화된 홈 메뉴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바타(1105)와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 화면(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 설정 메뉴(1110)를 선택하고, 복수의 SNS 항목들(1111, 1112)중에서 상기 아바타와 연동할 SNS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1105)는 뉴스 피드(News Feed), 업데이트 소식, SNS 친구들의 활동 소식, LBS(Location Based Service) 정보, 나의 관심 컨텐츠의 업데이트 소식 등 선택된 SNS들의 정보들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아바타(1105)와 연동되는 정보들은 단순 텍스트 정보가 아닌 성별, 나이 등 각 아바타의 특성에 따라 변환되어 메타포를 갖는 이미지 정보 표현될 수 있다.
도 12의 (a)는, 아바타(1105)가 사용자의 스케줄과 관련된 정보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이미지(1021)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의 (b)는, 아바타(1105)가 친구들의 활동 정보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이미지(1022)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의 (c)는, 아바타(1105)가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1023)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의 (d)는 아바타(1105)가 SNS 친구의 새 글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이미지(1024)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사용자가 TV 사용자 계정에 SNS 계정을 등록하는 화면(1300)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화면(1300)에 예시되는 SNS 메뉴(1310)를 선택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직접 SNS를 입력하여 연계 등록할 수도 있다.
도 14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 표시 단계(S1010)에서 표시되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 화면(1400)을 예시한다.
아바타 추천 리스트 화면(1400)은 사용자의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회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한 복수의 추천 아바타(1410, 1420, 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른 아바타 자동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를 통해 불러온 사용자의 사진과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아바타를 추천하거나 아바타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4와 같이, 복수의 추천 아바타(1410, 1420, 1430)는 표시될 아바타를 직접 보여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텍스트(text)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1410, 1420, 1430)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S1020),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S1030)
선택 단계(S1020)의 아바타의 선택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선택되거나 최우선 추천 아바타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으면, 당연히 그에 따른 아바타가 선택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추가적인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1410, 1420, 1430) 중 최우선 추천 아바타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 및 상기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는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1410, 1420, 1430) 중 하나(1410)를 선택한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아바타(1510)와 컨텐츠(1520)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예시한다.
한편, 도 15b, 도 15c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가족 구성원 별로, 가족 구성원들에 대응하는 아바타(1530, 1550)와 컨테츠(1540, 1560)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편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 및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얼굴, 크기, 성별, 나이, 패션, 소지품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명령일 수 있다.
도 16은 아바타 설정 화면(16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추천 샘플 아바타(1610), 다양한 편집 메뉴(1620) 및 세부 메뉴 항목(1630)을 이용하여, 아바타의 얼굴, 크기, 성별, 나이, 패션, 소지품 등 다양한 설정을 편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아바타 편집 정보, 스타일에 따라 취향을 파악 추천 천텐츠로 이루어진 맞춤형 계정별 화면 보드 템플릿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업데이트(update)되는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1040)
아바타 표시 상태 변경 단계(S1040)는, 상기 사용자의 업로드(upload)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아이템(item)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표시 상태 변경 단계(S1040)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연계된 다른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아이템(item)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업로드(upload) 컨텐츠 및/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연계된 다른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이 반영되어 아바타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SNS 활동 로그 데이터(Log Data) 등을 분석하여 아바타의 아이템으로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SNS를 통하여 음식과 관련된 프로그램(Promotion)에 참여하거나 맛집 정보에 관한 컨텐츠를 많이 올리면 사용자의 아바타가 살이 찌게 되고, 반대로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운동을 하거나 관련 활동을 하게 되면 아바타가 살이 빠지게 된다.
도 17a와 도 17b은, 아바타의 체형이 변화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SNS를 통하여 도너츠 프로모션에 반복적으로 참여하거나 관련 글에 좋은 평가를 한 경우에, 이전의 아바타(1711)보다 더 뚱뚱하도록 아바타(1712)가 변한다. 또한, 원래의 아이템(1721) 대신 요즘의 SNS 활동에 연관있는 도너츠 아이템(1722)으로 아바타의 소지 아이템이 변할 수 있다.
한편, SNS 상에서 다른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이 있으면, 사용자의 아바타에 맞게 재미있는 보상(Reward) 효과들이 실시간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친구들의 긍정적이 피드백 개수가 특정 숫자까지 도달하면 아바타(1810)가 왕관(1811)을 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그에 따라 추천 컨텐츠(1820)도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자 아바타의 경우, 친구들의 긍정적이 피드백 개수가 특정 숫자까지 도달하면 입술 마크가 아바타에 표시되는 효과나 꽃 송이가 하나씩 쌓이는 등의 “인기”라는 개념을 상징화할 수 있는 보상 아이템이 아바타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는 공지 사항, 소식 등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와 같이, 공지 사항이 있는 경우, 아바타(1910)가 확성기(1911)를 들고 공지 사항(1912)을 말해줄 수 있다.
또는, 도 19b와 같이, 소정 SNS의 소식이 있는 경우, 새(1913)가 날아와서 뉴스피드(Newsfeed)를 알려줄 수 있다.
또는, 도 19c와 같이, 스마트(Smart TV)의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다른 친구들보다 운동을 많이 했을 경우 상패(1914)나 메달이 아바타에 자동 반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아바타 및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SNS 활동이 반영되어 아바타가 변경된다. 또한, 아바타는 사용자의 분신으로서 사용자가 활동하는 SNS의 연동 데이터 중에서 유의미한 정보들을 아바타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아이템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튜너부 120: 복조부
13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
200 : 원격제어장치

Claims (9)

  1. 사용자의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회원 정보 및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아바타를 포함하는 아바타 추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계정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update)되는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바타 표시 상태 변경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업로드(upload) 컨텐츠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연계된 다른 사용자의 피드백(feedback)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 상기 아바타와 연관된 아이템(item)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로그인 계정에 연동하도록 설정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추천 리스트 중 하나의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편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 및 편집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편집 명령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얼굴, 크기, 성별, 나이, 패션, 소지품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별 화면은, 상기 선택된 아바타, 상기 선택된 아바타에 기초하여 결정된 컨텐츠, 및, 상기 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4341A 2014-02-07 2014-02-07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6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41A KR102163860B1 (ko) 2014-02-07 2014-02-07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41A KR102163860B1 (ko) 2014-02-07 2014-02-07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90A KR20150093490A (ko) 2015-08-18
KR102163860B1 true KR102163860B1 (ko) 2020-10-12

Family

ID=5405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341A KR102163860B1 (ko) 2014-02-07 2014-02-07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83B1 (ko) * 2021-07-28 2022-02-14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754B1 (ko) * 2004-12-07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캐릭터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US8892999B2 (en) * 2007-11-30 2014-11-18 Nike, Inc. Interactive avatar for social network ser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45A1 (ko) * 2021-06-22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90A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09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1003163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984567B (zh) 图像显示设备、遥控器及其操作方法
US936357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KR20110120132A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12399264B (zh) 一种放映厅业务管理方法及应用
CN112399263A (zh) 一种互动方法、显示设备及移动终端
WO2020248714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20170041685A1 (en) Server,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same
WO2020248699A1 (zh) 一种声音处理法及显示设备
KR1021114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3860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044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2399225B (zh) 放映厅业务管理方法及显示设备
KR102190007B1 (ko)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466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555028B2 (en) Image providing device
KR10222463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410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81839B1 (ko) 영상제공장치
KR20130071148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3948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2073772B (zh) 基于双系统的按键无缝传递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