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672B1 -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672B1
KR102163672B1 KR1020197001295A KR20197001295A KR102163672B1 KR 102163672 B1 KR102163672 B1 KR 102163672B1 KR 1020197001295 A KR1020197001295 A KR 1020197001295A KR 20197001295 A KR20197001295 A KR 20197001295A KR 102163672 B1 KR102163672 B1 KR 10216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utra
value
operating
operat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273A (ko
Inventor
임수환
이상욱
장재혁
이동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E-UTRA는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NR은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중에서 제1 동작 대역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기준 감도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MSD가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TERMINAL SUPPORTING DUAL-CONNECTIVITY BETWEEN E-UTRA AND NR AND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에 관한 것이다.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연구도 속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며 세계적으로 2020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 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다음으로,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초광대역의 고속 서비스는 기존 LTE/LTE-A를 위해 설계되었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서는 수용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소위 5세대 이동통신에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재 설계가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현재 5세대 이동통신에서는, 통신의 안정성을 위해 LTE와 NR을 이중 연결하는 방안(EN-DC)을 진행 중에 있다. 다만, LTE을 이용하는 하향링크 반송파와 NR을 이용하는 하향링크 반송파를 집성한 상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하는 경우, 하모닉(harmonic) 성분 및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이 발생하여, 단말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와 NR(New Radio)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E-UTRA와 상기 NR 간의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UTRA는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NR은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중에서 제1 동작 대역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기준 감도(reference sensitivity)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가 적용되고,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5 dB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개시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와 NR(New Radio)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E-UTRA는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NR은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중에서 제1 동작 대역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기준 감도(reference sensitivity)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44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89 MH인 경우, 상기 MSD 값은 8.3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5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5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4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0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2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7이고, 상기 제1 값은 25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64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0.1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34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79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0.2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32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22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18.1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7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7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8.5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7이고, 상기 제1 값은 2507.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62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9.1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3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2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2.8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9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5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4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6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4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8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 dB일 수 있다.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3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3 d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인트라 밴드(intra-band)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인터 밴드(inter-band) 캐리어 집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2개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 시, 하모닉 성분과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이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9는 대륙 별 동작 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일 방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무선 기기의 트랜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LTE-A(LTE-Advanced)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라 함은 LTE 및/또는 LTE-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사용되는 용어인 UE(User Equipment)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기(Device),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단말(Terminal),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20)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a, 20b, 20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UE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3GPP LTE에서 FDD에 따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은 3GPP TS 36.211 V10.4.0 (2011-12)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의 5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라 한다. TT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슬롯은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몇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되는지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RB 개의 자원블록(R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 즉 NRB은 6 내지 1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RB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로 불리기도 한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OFDM 심벌에서 부반송파의 수는 128, 256, 512, 1024, 1536 및 2048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정규 CP를 가정하여 예시적으로 하나의 슬롯 내에 7 OFDM 심벌이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DL(downlink)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나누어진다. 제어영역은 서브프레임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나, 제어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에는 PDSCH가 할당된다.
3GPP LTE에서 물리채널은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및 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및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나른다. 무선기기는 먼저 PCFICH 상으로 CFI를 수신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와 달리, PCFICH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프레임의 고정된 PCFICH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PHICH는 UL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위한 ACK(positive-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무선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PUSCH 상의 UL(uplink)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은 무선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의 앞선 4개의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PBCH는 무선기기가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를 나르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MIB(master information block)라 한다. 이와 비교하여,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라 한다.
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UE 그룹 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UE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가 마스킹된다. 특정 UE을 위한 PDCCH라면 UE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UE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3GPP LTE에서는 PDCCH의 검출을 위해 블라인드 복호를 사용한다. 블라인드 복호는 수신되는 PDCCH(이를 후보(candidate) PDCCH라 함)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원하는 식별자를 디마스킹하고, CRC 오류를 체크하여 해당 PDCCH가 자신의 제어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무선기기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한 후 DCI에 CRC를 붙이고,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RNTI)를 CRC에 마스킹한다.
상향링크 채널은 PUSCH, PUC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포함한다.
도 5은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데이터(경우에 따라 제어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가 전송되기 위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된다.
하나의 UE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으로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제1 슬롯과 제2 슬롯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이 차지하는 주파수는 슬롯 경계(slot boundary)를 기준으로 변경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가 홉핑(frequency-hopped)되었다고 한다.
UE이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m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CCH에 할당된 자원블록 쌍의 논리적인 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인덱스이다.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에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PUSCH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에 맵핑된다. PUSCH 상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TTI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일 수 있다. 상기 전송 블록은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다중화된(multiplexed) 데이터일 수 있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UL-SCH를 위한 전송 블록과 제어정보가 다중화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제어정보에는 CQI,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 RI(rank indicator) 등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제어정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이제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반송파 집성에 의해서, 기존의 셀의 의미가 변경되었다. 반송파 집성에 의하면, 셀이라 함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조합, 또는 단독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집성에서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서빙 셀(serving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UE이 기지국과의 최초 연결 확립 과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을 의미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일단 RRC 연결이 확립되면 설정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집성되는 반송파들이 연속되어 있는 연속(contiguous) 반송파 집성 시스템과 집성되는 반송파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불연속(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순히 반송파 집성 시스템이라 할 때, 이는 요소 반송파가 연속인 경우와 불연속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요소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한편, 반송파 집성 기술은 다시 인터 밴드(inter-band) CA 와 인트라 밴드(intra-band) CA 기술로 나뉠수 있다. 상기 인터 밴드(inter-band) CA는 서로 다른 대역에 존재하는 각 CC를 집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며, 인트라 밴드(intra-band) CA는 동일 주파수 대역내의 각 CC 를 집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CA 기술은 더 상세하게는 다시 인트라 밴드(Intra-Band) 연속(Contiguous) CA, 인트라 밴드(Intra-Band) 비연속(Non-Contiguous) CA와 인터밴드(Inter-Band) 비연속(Non-Contiguous) CA로 나뉘어 진다.
도 6a 및 도 6b는 인트라 밴드(intra-band)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인트라 밴드 근접(continguous) CA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인트라 밴드 비근접(non-continguous) CA를 나타내고 있다.
LTE-Advance의 경우 고속 무선 전송의 실현을 위하여 상향링크(Uplink) MIMO 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포함한 다양한 기법이 추가되어 있다. LTE-Advance에서 논의되고 있는 CA는 도 6a에 나타낸 인트라 밴드(intra-band) 연속(Contiguous) CA와 도 6b에 나타낸 인트라 밴드(intra-band) 비연속(Non-Contiguous) CA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인터 밴드(inter-band) 캐리어 집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인터 밴드 CA을 위한 낮은 밴드와 높은 밴드의 결합을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인터 밴드 CA를 위한 비슷한 주파수 밴드의 결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인터 밴드 캐리어 집성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 밴드(inter-band) CA의 RF 특성이 서로 다른 낮은 밴드(low-band)와 높은 밴드(high-band)의 캐리어(carrier)들 간의 인터 밴드(inter-band) CA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F(radio frequency) 특성이 유사하여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별로 공통의 RF 단자를 사용할 수 있는 유사 주파수의 인터 밴드(inter-band) CA로 나누어 질 수 있다.
E-UTRA 동작대역(Operating Band) 상향링크 동작 대역(Uplink (UL) operating band) 하향링크 동작 대역Downlink (DL) operating band 듀플렉스모드Duplex Mode
FUL_low - FUL_high FDL_low - FDL_high
1 1920 MHz - 1980 MHz 2110 MHz - 2170 MHz FDD
2 1850 MHz - 1910 MHz 1930 MHz - 1990 MHz FDD
3 1710 MHz - 1785 MHz 1805 MHz - 1880 MHz FDD
4 1710 MHz - 1755 MHz 2110 MHz - 2155 MHz FDD
5 824 MHz - 849 MHz 869 MHz - 894MHz FDD
6 830 MHz - 840 MHz 875 MHz - 885 MHz FDD
7 2500 MHz - 2570 MHz 2620 MHz - 2690 MHz FDD
8 880 MHz - 915 MHz 925 MHz - 960 MHz FDD
9 1749.9 MHz - 1784.9 MHz 1844.9 MHz - 1879.9 MHz FDD
10 1710 MHz - 1770 MHz 2110 MHz - 2170 MHz FDD
11 1427.9 MHz - 1447.9 MHz 1475.9 MHz - 1495.9 MHz FDD
12 699 MHz - 716 MHz 729 MHz - 746 MHz FDD
13 777 MHz - 787 MHz 746 MHz - 756 MHz FDD
14 788 MHz - 798 MHz 758 MHz - 768 MHz FDD
15 Reserved Reserved FDD
16 Reserved Reserved FDD
17 704 MHz - 716 MHz 734 MHz - 746 MHz FDD
18 815 MHz - 830 MHz 860 MHz - 875 MHz FDD
19 830 MHz - 845 MHz 875 MHz - 890 MHz FDD
20 832 MHz - 862 MHz 791 MHz - 821 MHz FDD
21 1447.9 MHz - 1462.9 MHz 1495.9 MHz - 1510.9 MHz FDD
22 3410 MHz - 3490 MHz 3510 MHz - 3590 MHz FDD
23 2000 MHz - 2020 MHz 2180 MHz - 2200 MHz FDD
24 1626.5 MHz - 1660.5 MHz 1525 MHz - 1559 MHz FDD
25 1850 MHz - 1915 MHz 1930 MHz - 1995 MHz FDD
26 814 MHz - 849 MHz 859 MHz - 894 MHz FDD
27 807 MHz - 824 MHz 852 MHz - 869 MHz FDD
28 703 MHz - 748 MHz 758 MHz - 803 MHz FDD
29 해당 없음 해당 없음 717 MHz - 728 MHz FDD
30 2305 MHz - 2315 MHz 2350 MHz - 2360 MHz FDD
31 452.5 MHz - 457.5 MHz 462.5 MHz - 467.5 MHz FDD
32 해당 없음 해당 없음 1452 MHz - 1496 MHz FDD
...
33 1900 MHz - 1920 MHz 1900 MHz - 1920 MHz TDD
34 2010 MHz - 2025 MHz 2010 MHz - 2025 MHz TDD
35 1850 MHz - 1910 MHz 1850 MHz - 1910 MHz TDD
36 1930 MHz - 1990 MHz 1930 MHz - 1990 MHz TDD
37 1910 MHz - 1930 MHz 1910 MHz - 1930 MHz TDD
38 2570 MHz - 2620 MHz 2570 MHz - 2620 MHz TDD
39 1880 MHz - 1920 MHz 1880 MHz - 1920 MHz TDD
40 2300 MHz - 2400 MHz 2300 MHz - 2400 MHz TDD
41 2496 MHz 2690 MHz 2496 MHz 2690 MHz TDD
42 3400 MHz - 3600 MHz 3400 MHz - 3600 MHz TDD
43 3600 MHz - 3800 MHz 3600 MHz - 3800 MHz TDD
44 703 MHz - 803 MHz 703 MHz - 803 MHz TDD
NR 동작 대역(operating band) 상향링크 동작 대역(Uplink (UL) operating band) 하향링크 동작 대역(Downlink (DL) operating band) 듀플렉스모드(Duplex Mode)
FUL_low - FUL_high FDL_low - FDL_high
n1 1920 MHz - 1980 MHz 2110 MHz - 2170 MHz FDD
n2 1850 MHz - 1910 MHz 1930 MHz - 1990 MHz FDD
n3 1710 MHz - 1785 MHz 1805 MHz - 1880 MHz FDD
n5 824 MHz - 849 MHz 869 MHz - 894 MHz FDD
n7 2500 MHz - 2570 MHz 2620 MHz - 2690 MHz FDD
n8 880 MHz - 915 MHz 925 MHz - 960 MHz FDD
n20 832 MHz - 862 MHz 791 MHz - 821 MHz FDD
n28 703 MHz - 748 MHz 758 MHz - 803 MHz FDD
n38 2570 MHz - 2620 MHz 2570 MHz - 2620 MHz TDD
n41 2496 MHz - 2690 MHz 2496 MHz - 2690 MHz TDD
n50 1432 MHz - 1517 MHz 1432 MHz - 1517 MHz TDD
n51 1427 MHz - 1432 MHz 1427 MHz - 1432 MHz TDD
n66 1710 MHz - 1780 MHz 2110 MHz - 2200 MHz FDD
n70 1695 MHz - 1710 MHz 1995 MHz - 2020 MHz FDD
n71 663 MHz - 698 MHz 617 MHz - 652 MHz FDD
n74 1427 MHz - 1470 MHz 1475 MHz - 1518 MHz FDD
n75 N/A 1432 MHz - 1517 MHz SDL
n76 N/A 1427 MHz - 1432 MHz SDL
n77 3300 MHz - 4200 MHz 3300 MHz - 4200 MHz TDD
n78 3300 MHz - 3800 MHz 3300 MHz - 3800 MHz TDD
n79 4400 MHz - 5000 MHz 4400 MHz - 5000 MHz TDD
n80 1710 MHz - 1785 MHz N/A SUL
n81 880 MHz - 915 MHz N/A SUL
n82 832 MHz - 862 MHz N/A SUL
n83 703 MHz - 748 MHz N/A SUL
n84 1920 MHz - 1980 MHz N/A SUL
표 1 및 표 2와 같이 동작 대역이 정해져 있을 때, 각 국가의 주파수 배분 기구는 각국의 상황에 맞추어 서비스 사업자에게 특정 주파수를 배정할 수 있다.
한편, 현재 5G NR(new radio) 기술에서는, 통신의 안정성을 위해 LTE와 NR을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하는 방안(EN-DC)을 진행 중에 있다. 다만, LTE를 이용하는 하향링크 반송파와 NR을 이용하는 하향링크 반송파를 집성한 상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하는 경우, 하모닉(harmonic) 성분 및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이 발생하여, 단말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은 단말의 안테나 포트 각각에 대한 최소 평균 전력인 기준 감도 전력 레벨(reference sensitivity power level, REFSENS)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야 하는데, 상기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이 발생하는 경우,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REFSENS를 만족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즉, 상기 REFSENS는 처리량(throughput)이 기준 측정 채널의 최대 처리량의 95%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야 하는데,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이 발생하는 경우, 처리량이 최대 처리량의 95% 이하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EN-DC 단말의 하모닉 성분 및 IMD 성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해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 값을 정의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송신 신호에 의한 자기 수신 대역에서의 REFSENS에 대한 완화(relaxation)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SD는 REFSENS의 허용된 최대 저하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REFSENS는 정의된 MSD의 양만큼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2개 이상의 하향링크 반송파와 2개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집성하도록 설정된 단말에 대하여, 하모닉 성분 및 혼변조 왜곡을 제거(또는 감소)하기 위한 MSD 값을 제안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하향링크 반송파 및 2개의 상향링크 반송파의 집성 상황에서 단말이 2개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자기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으로 간섭이 누설되는지 분석한 후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 8은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가 자신의 상향링크 대역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송파 집성에 의해 3개의 하향링크 대역이 설정되고, 2개의 상향링크 대역이 설정된 상황에서, 단말이 2개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향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는 하모닉(harmonics) 성분과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이 자기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REFSENS를 보정할 수 있는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 값을 제시한다.
게다가, 이를 단말이 적절히 해결하더라도 교차 분리(cross isolation)와 PCB에 의한 커플링 손실(coupling loss)에 따라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에서의 수신 감도 레벨이 저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므로, 기존에 단말이 충족시켜야만 했던 요구 사항을 완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9는 대륙 별 동작 대역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럽에서는 표 1에 따른 E-UTRA 동작 대역들 중 대역 1, 3, 7, 8, 20 및 28과, 표 2에 따른 NR 동작 대역들 중 대역 n78 및 n258이 사용될 수 있다. 아시아에서는 표 1에 따른 E-UTRA 동작 대역들 중 대역 1, 3, 5, 7, 8, 18, 19, 21, 39, 41 및 42와, 표 2에 따른 NR 동작 대역들 중 대역 n77, n78, n79 및 n258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북미에서는 표 1에 따른 E-UTRA 동작 대역들 중 대역 2, 4, 5, 12, 13, 41, 65 및 71과, 표 2에 따른 NR 동작 대역들 중 대역 n257, n260 및 n261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주파수 대역 사용 내역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3과 같다.
유럽 아시아 북미
E-UTRA 동작 대역 1 O O
2 O
3 O O
4 O
5 O O
7 O O
8 O O
12 O
13 O
18 O
19 O
20 O
21 O
28 O
39 O
41 O O
42 O
65 O
71 O
NR 동작 대역 n77 O
n78 O O
n79 O
n257 O
n258 O O
n260 O
n261 O
도 9 및 표 3을 참조하면, 대륙(지역) 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각 대륙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E-UTRA 동작 대역 1, 3, 7 및 8 등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고, E-UTRA 동작 대역 5 및 41 등은 아시아와 북미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다.
한편, 각 대륙(지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도 9 및 표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 및 표 3에 표시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이라고 하더라도 각 대륙(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Ⅰ. 제1 개시
제1 개시에서는 6 GHz 이하에서의 2DL/2UL DC(dual connectivity) 대역 조합에 대한 MSD 레벨을 제안한다. 특히, 제1 개시에서는 아래의 대역 조합에 대해 IMD에 따른 MSD 레벨을 제안한다.
- 4th IMD : DC_5A-n78A, DC_8A-n78A, DC_26A-n78A
- 5th IMD : DC_28A-n78A
제1 개시는 자기-간섭(self-interference)이 자신의 수신 주파수 대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DC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MSD 값을 제공한다.
NR에 대하여, LTE 시스템과 같은 6 GHz 이하의 NSA(non-standalone) 단말에 대한 공유 안테나 RF 아키텍처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MSD 레벨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인 NSA DC 단말을 위한 공유 안테나 RF 아키텍처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NR DC 단말에 대한 일부 DC 대역 조합들은 NR 대역과 LTE 대역 사이의 동작 주파수 범위가 DC_42A-n77A, DC_42A-n78A 및 DC_41_n41A와 같이 중복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별도의 RF 아키텍처를 고려해야 한다.
1. LTE 대역에서의 IMD 문제
NSA DC 단말에 대한 공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아래의 2가지 케이스에 대한 MSD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 4th IMD : DC_5A-n78A, DC_8A-n78A, DC_26A-n78A
- 5th IMD : DC_28A-n78A
2. IMD에 의한 MSD 값
표 4는 6 GHz 이하에서 MSD 레벨을 도출하기 위한 UE RF front-end 구성요소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UE ref. architecture Cas-caded Diplexer Architecture
Component DC_5A-n78A, DC_8A-n78A, DC_26A-n78A, DC_28A-n78A
IP2 (dBm) IP3 (dBm) IP4 (dBm) IP5 (dBm)
Ant. Switch 112 68 55 55
Diplexer 115 87 55 55
Duplexer 100 75 55 53
PA Forward 28.0 32 30 28
PA Reversed 40 30.5 30 30
LNA 10 0 0 -10
표 5는 RF 구성요소에 따른 격리 레벨(isolation level)을 나타낸다.
Isolation Parameter Value (dB) Comment
Antenna to Antenna 10 Main antenna to diversity antenna
PA (out) to PA (in) 60 PCB isolation (PA forward mixing)
Diplexer 25 High/low band isolation
PA (out) to PA (out) 60 L-H/H-L cross-band
PA (out) to PA (out) 50 H-H cross-band
LNA (in) to PA (out) 60 L-H/H-L cross-band
LNA (in) to PA (out) 50 H-H cross-band
Duplexer 50 Tx band rejection at Rx band
여기서 격리 레벨(isolation level)이라 함은, 신호가 소자나 안테나를 통과할 때, 해당 주파수에서의 신호의 세기가 얼마나 감소되어서 통과하는지를 나타낸다. 예컨대, 표 5을 참조하면, 신호가 안테나에서 안테나로 전달될 때 그 세기가 10 dB 감소되고, 신호가 해당 주파수에서 수신되는 경우 50 dB 감소되어 전송될 수 있다.
표 4 및 표 5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는 표 6 내지 표 7과 같은 MSD 레벨을 제안한다. 표 6은 4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내고, 표 7은 5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낸다.
DC bands UL DC IMD UL Fc (MHz) UL BW (MHz) UL RB # DL Fc (MHz) DL BW (MHz) CF (dB) MSD (dB)
DC_5A-n78A 5 IMD4 |fB78 -3*fB5| 844 5 25 889 5 1.3 8.3
n78 3421 10 52 3421 10 N/A
DC_8A-n78A 8 IMD4 |fB78 -3*fB3| 910 5 25 955 5 1.3 8.4
n78 3685 10 52 3685 10 N/A
DC_26A-n78A 26 IMD4 |fB78 -3*fB26| 819 5 25 864 5 1.7 9.0
n78 3321 10 52 3321 10 N/A
DC bands UL DC IMD UL Fc (MHz) UL BW (MHz) UL RB # DL Fc (MHz) DL BW (MHz) CF (dB) MSD (dB)
DC_28A-n78A 28 IMD5 |fB78 -4*fB28| 733 5 25 788 5 0.7 3.2
n78 3720 10 52 3720 10 N/A
표 6 및 표 7에서 기재된 테스트 설정 및 제안된 MSD 레벨에 기초하여, 제1 개시에서는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 제안 1: 제안된 테스트 구성 및 MSD 레벨은 MSD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Ⅱ. 제2 개시
제2 개시에서는 6 GHz 이하에서의 3DL/2UL DC 대역 조합에 대한 MSD 레벨을 제안한다. 자기-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가 필요한 6 GHz 이하의 DC 대역 조합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1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2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3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4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5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6
또한, 아래와 같은 몇몇의 3DL/2UL DC 조합은 자기 자신의 3차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자기-간섭이 문제될 수 있다.
- 2nd IMD :
3DL_DC_5A-7A-n78A w/ 2UL_DC_5A-n78A ⇒ 2nd IMD into B7
3DL_DC_5A-7A-n78A w/ 2UL_DC_7A-n78A ⇒ 2nd IMD into B5
- 3rd IMD :
3DL_DC_1A-5A-n78A w/ 2UL_DC_5A-n78A ⇒ 3rd IMD into B1
- 4th IMD :
3DL_DC_1A-7A-n78A w/ 2UL_DC_1A-n78A ⇒ 4th IMD into B7
3DL_DC_1A-7A-n78A w/ 2UL_DC_7A-n78A ⇒ 4th IMD into B1
- 5th IMD :
3DL_DC_1A-5A-n78A w/ 2UL_DC_1A-n78A ⇒ 5th IMD into B5
3DL_DC_5A-7A-n78A w/ 2UL_DC_7A-n78A ⇒ 5th IMD into B5
4DL/2UL DC의 경우, 3DL/2UL DC 콤보와 2DL/2UL DC 콤보와 같이, 낮은 주파수의 DC 대역 조합에서는 IMD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4DL/2UL DC 조합과 5DL/2UL DC 조합은 LTE xDL/2UL CA 대역 조합과 같이 MSD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NR 대역과 LTE E-UTRA 대역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기 위해, 자기 간섭에 따른 3차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의 MSD 값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개시에서는, 3DL/2UL NSA DC 대역 조합에서의 MSD 값을 제공한다.
NR에 대하여, LTE 시스템과 같은 6 GHz 이하의 NSA(non-standalone) 단말에 대한 공유 안테나 RF 아키텍처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MSD 레벨을 유도하기 위해 일반적인 NSA DC 단말을 위한 공유 안테나 RF 아키텍처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NR DC 단말에 대한 일부 DC 대역 조합들은 NR 대역과 LTE 대역 사이의 동작 주파수 범위가 DC_42A-n77A, DC_42A-n78A 및 DC_41_n41A와 같이 중복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별도의 RF 아키텍처를 고려해야 한다.
1. 3차 LTE 대역에서의 IMD 문제
NSA DC 단말에 대한 공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아래의 4가지 케이스에 대한 MSD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MSD 레벨을 분석할 때 하모닉 트랩 필터(harmonic trap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 2nd IMD :
3DL_DC_1A-3A-n77A w/ 2UL_DC_1A-n77A
3DL_DC_1A-3A-n77A w/ 2UL_DC_3A-n77A
3DL_DC_1A-3A-n78A w/ 2UL_DC_1A-n78A
3DL_DC_1A-21A-n77A w/ 2UL_DC_21A-n77A
3DL_DC_5A-7A-n78A w/ 2UL_DC_5A-n78A
3DL_DC_5A-7A-n78A w/ 2UL_DC_7A-n78A
- 3rd IMD :
3DL_DC_1A-19A-n77A w/ 2UL_DC_19A-n77A
3DL_DC_1A-19A-n79A w/ 2UL_DC_1A-n79A
3DL_DC_3A-19A-n79A w/ 2UL_DC_3A-n79A
3DL_DC_3A-21A-n79A w/ 2UL_DC_21A-n79A
3DL_DC_19A-21A-n77A w/ 2UL_DC_21A-n77A
3DL_DC_1A-5A-n78A w/ 2UL_DC_5A-n78A
- 4th IMD:
3DL_DC_1A-3A-n77A w/ 2UL_DC_1A-n77A
3DL_DC_1A-19A-n79A w/ 2UL_DC_19A-n79A
3DL_DC_3A-19A-n79A w/ 2UL_DC_19A-n79A
3DL_DC_3A-21A-n77A w/ 2UL_DC_3A-n77A
3DL_DC_19A-21A-n77A w/ 2UL_DC_19A-n77A
3DL_DC_1A-7A-n78A w/ 2UL_DC_1A-n78A
3DL_DC_1A-7A-n78A w/ 2UL_DC_7A-n78A
- 5th IMD :
3DL_DC_1A-3A-n78A w/ 2UL_DC_3A-n78A
3DL_DC_1A-3A-n79A w/ 2UL_DC_3A-n79A
3DL_DC_1A-21A-n77A w/ 2UL_DC_1A-n77A
3DL_DC_3A-21A-n77A w/ 2UL_DC_21A-n77A
3DL_DC_19A-21A-n79A w/ 2UL_DC_19A-n79A
3DL_DC_1A-5A-n78A w/ 2UL_DC_1A-n78A
3DL_DC_5A-7A-n78A w/ 2UL_DC_7A-n78A
2. IMD에 의한 MSD 값
표 9는 6 GHz 이하에서 MSD 레벨을 도출하기 위한 RF 구성요소 격리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리스트에 있는 모든 DC 대역 조합에 대한 공유 안테나 RF 아키텍처를 고려할 수 있다.
UE ref. architecture Triplexer-Diplexer or Triplexer-QuadplexerArchitecture
Component - Triplexer-Quadplexer: DC_1A-3A-n77A, DC_1A-3A-n78A, DC_1A-3A-n79A, DC_3A-21A-n77A, DC_3A-21A-n79A- Triplexer-Diplexer: DC_1A-19A-n77A, DC_1A-21A-n77A, DC_3A-19A-n79A, DC_19A-21A-n77A, DC_19A-21A-n79A,DC_1A-5A-n78A, DC_1A-7A-n78A, DC_5A-7A-n78A
IP2 (dBm) IP3 (dBm) IP4 (dBm) IP5 (dBm)
Ant. Switch 112 68 55 55
Triplexer 115 82 55 55
Quadplexer 110 72 55 52
Diplexer 115 87 55 55
Duplexer 100 75 55 53
PA Forward 28.0 32 30 28
PA Reversed 40 30.5 30 30
LNA 10 0 0 -10
표 10은 RF 구성요소에 따른 격리 레벨을 나타낸다.
Isolation Parameter Value (dB) Comment
Antenna to Antenna 10 Main antenna to diversity antenna
PA (out) to PA (in) 60 PCB isolation (PA forward mixing)
Triplexer 20 High/low band isolation
Quadplexer 20 L-L or H-M band isolation
Diplexer 25 High/low band isolation
PA (out) to PA (out) 60 L-H/H-L cross-band
PA (out) to PA (out) 50 H-H cross-band
LNA (in) to PA (out) 60 L-H/H-L cross-band
LNA (in) to PA (out) 50 H-H cross-band
Duplexer 50 Tx band rejection at Rx band
표 9 및 표 10에 기초하여 표 11 내지 표 14와 같이 MSD 레벨을 제안한다.
표 11은 2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내고, 표 12는 3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내고, 표 13은 4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내고, 표 14는 5차 IMD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MSD를 나타낸다.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7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8
Figure 112019004541301-pct00009
Figure 112019004541301-pct00010
Figure 112019004541301-pct00011
Figure 112019004541301-pct00012
Figure 112019004541301-pct00013
Figure 112019004541301-pct00014
표 11 내지 표 14에 기재된 테스트 설정에 기초하여, MSD 값이 도출될 수 있다. 표 11 내지 표 14에서 기재된 테스트 설정 및 제안된 MSD 레벨에 기초하여, 제2 개시는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 제안 1: 4DL/2UL, 5DL/2UL 및 6DL/2UL NSA DC 대역 조합은 LTE xDL/2UL CA 대역 조합과 같은 MSD를 정의할 필요가 없다.
- 제안 2: 제공된 MSD 테스트 설정 및 MSD 값은 MSD 요구 사항을 정의하는데 고려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은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적용하기 위해, 기준 감도(reference sensitivity, REFSENS)에 대한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S1010). 단말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때, 미리 설정된 MSD 값을 적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20).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단말이 2개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상향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는 하모닉(harmonics) 성분 및/또는 혼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이 자기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은 REFSENS를 보정하는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을 적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MSD는 표 6 내지 7, 표 11 내지 14에 기재된 MSD 값일 수 있다. 즉, 표 6 내지 7, 표 11 내지 14에 기재된 조건들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제안된 MSD 값을 적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 및 표 11을 참조하면, 단말이 E-UTRA 동작 대역 1과 3, 및 NR 동작 대역 n77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할 때, E-UTRA 동작 대역 3의 상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1712.5 MHz이고, E-UTRA 동작 대역 3의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1807.5 MHz인 경우, 2차 IMD(IMD2)가 하향링크 동작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차 IMD 성분(IMD2)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준 감도를 보정하도록 MSD 값을 31.5 dB로 설정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표 6을 참조하면, 단말이 E-UTRA 동작 대역 5와 NR 동작 대역 n78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할 때, E-UTRA 동작 대역 5의 상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844 MHz이고, E-UTRA 동작 대역 5의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889 MHz인 경우, 4차 IMD(IMD4)가 하향링크 동작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4차 IMD 성분(IMD4)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준 감도를 보정하도록 MSD 값을 8.3 dB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일 방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100) 및 기지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UE, 100)은 트랜시버(transceiver, 110), 프로세서(processor, 120) 및 메모리(memory,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트랜시버(110)는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100)은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100)이 적어도 2개의 반송파들을 집성하도록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트랜시버(1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들의 상향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들의 하향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반송파들이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20)는 표 6 내지 표 7 및 표 11 내지 표 14에 따라 미리 설정된 MSD를 적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100)의 경우, 단말(100)이 2개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상향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는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이 자기 자신의 하향링크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고, 하모닉 성분 및/또는 IMD 성분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100)은 REFSENS를 보정하는 MSD를 적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MSD는 표 6 내지 7, 표 11 내지 14에 기재된 MSD 값일 수 있다. 즉, 표 6 내지 7, 표 11 내지 14에 기재된 조건들이 적용되는 경우, 단말은 제안된 MSD 값을 적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1을 참조하면, 단말이 E-UTRA 동작 대역 1과 5, 및 NR 동작 대역 n78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할 때, E-UTRA 동작 대역 1의 상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1932 MHz이고, E-UTRA 동작 대역 1의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2122 MHz인 경우, 3차 IMD(IMD3)가 하향링크 동작 대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 IMD 성분(IMD3)으로 인해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준 감도를 보정하도록 MSD 값을 18.1 dB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트랜시버(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210)는 프로세서(2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22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트랜시버(210)를 이용하여 단말(10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트랜시버(210)를 이용하여 단말(100)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200)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단말(100)은 표 6 내지 7, 표 11 내지 14에 따라 미리 설정된 MSD 값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무선 기기의 트랜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트랜시버(110)는 송신기(111)과 수신기(1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11)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111), 부반송파 맵퍼(1112), IFFT부(1113) 및 CP 삽입부(1114), 무선 송신부(1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페이징 구간(PO)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 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113)를 거쳐 시간축 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symbol)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Symbol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12)는 무선 수신부(1121), CP 제거부(1122), FFT부(1123), 그리고 등화부(1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12)의 무선 수신부(1121), CP 제거부(1122), FFT부(1123)는 상기 송신단(111)에서의 무선 송신부(1115), CP 삽입부(1114), IFF부(1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와 NR(New Radio)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E-UTRA와 상기 NR 간의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UTRA는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NR은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중에서 제1 동작 대역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기준 감도(reference sensitivity)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가 적용되고,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와 NR(New Radio)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연결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E-UTRA는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1, 3, 5 및 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NR은 상기 NR 동작 대역들 n77, n78 및 n79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E-UTRA 동작 대역들 및 상기 NR 동작 대역들 중에서 제1 동작 대역의 상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1 값이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의 하향링크 중심주파수가 제2 값인 경우, 상기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에 사용되는 기준 감도(reference sensitivity)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MSD(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가 적용되고,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44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89 MH인 경우, 상기 MSD 값은 8.3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5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4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0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1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0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2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7이고, 상기 제1 값은 252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64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0.1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34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79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0.2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32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22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18.1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7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3이고, 상기 제1 값은 177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187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8.5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7이고, 상기 제1 값은 2507.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62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9.1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35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2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2.8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3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9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1이고, 상기 제1 값은 195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2140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6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1 과 5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4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8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1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UTRA는 E-UTRA 동작 대역 5 와 7을 이용하고, 상기 NR은 NR 동작 대역 n78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동작 대역은 상기 E-UTRA 동작 대역 5이고, 상기 제1 값은 830 MHz이고, 상기 제2 값은 875 MHz인 경우, 상기 MSD 값은 3.3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7001295A 2017-11-14 2018-10-12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KR102163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5561P 2017-11-14 2017-11-14
US62/585,561 2017-11-14
PCT/KR2018/012047 WO2019098533A1 (ko) 2017-11-14 2018-10-12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73A KR20190057273A (ko) 2019-05-28
KR102163672B1 true KR102163672B1 (ko) 2020-10-08

Family

ID=6653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295A KR102163672B1 (ko) 2017-11-14 2018-10-12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60098B2 (ko)
EP (1) EP3512285A4 (ko)
JP (2) JP6705059B2 (ko)
KR (1) KR102163672B1 (ko)
CN (1) CN110050499B (ko)
WO (1) WO20190985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1003A1 (en) * 2019-03-22 2022-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WO2022177278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37662A (ko) * 2021-04-01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sd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8052B2 (ja) * 2017-09-11 2021-03-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E−utraとnrとの間の二重接続をサポートする端末が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方法を実行する端末
CN110809862B (zh) * 2017-09-22 2024-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示ue发射端口数量的方法、ue及网络设备
KR102163672B1 (ko) 2017-11-14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WO2019148321A1 (en) * 2018-01-30 2019-08-08 Apple Inc. Single transmitter dual connectivity cellular communication
US20220225080A1 (en) * 2019-03-29 2022-07-14 Nokia Technologies Oy Degradation signaling
US10951385B1 (en) * 2019-04-29 2021-03-16 Sprint Spectrum L.P. Selective configuration of inter-band or intra-band carrier aggregation
WO2021066430A1 (en) * 2019-10-04 2021-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WO2021162461A1 (en) * 2020-02-14 2021-08-19 Lg Electronics Inc. Maximum sensitivity degradation for dual connectivity
WO2021206475A1 (en) * 2020-04-09 2021-10-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US20230309027A1 (en) * 2020-07-10 2023-09-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CN116195199A (zh) * 2020-07-21 2023-05-3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电路
US20220361168A1 (en) * 2021-05-10 2022-11-10 Lg Electronics Inc. Sidelink communication
US11864218B1 (en) * 2021-06-10 2024-01-02 T-Mobile Usa, Inc. 5G new radio uplink intermodulation distortion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4896B2 (ja) * 2010-02-26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US9572171B2 (en)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KR102155148B1 (ko) * 2013-11-01 2020-09-21 주식회사 아이티엘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별 서빙셀 그룹 구성 방법 및 장치
US9973321B2 (en) * 2015-08-12 2018-05-15 Nokia Technologies Oy Signalling for using operating band combination
KR20170021201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3개의 하향링크 반송파 및 2개의 상향링크 반송파의 집성하여 신호를 송수신 하는 방법
US20190326885A1 (en) * 2016-03-11 2019-10-24 Akoustis, Inc. 5g 3.5-3.6ghz band acoustic wave resonator rf filter circuit
US10979026B2 (en) * 2016-03-11 2021-04-13 Akoustis, Inc. 5.5 GHz Wi-fi 5G coexistence acoustic wave resonator RF filter circuit
US10333663B2 (en) * 2016-05-0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aggregating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and two uplink carriers
US11247398B2 (en) 2016-05-12 2022-0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ild material container
US10148311B2 (en) * 2016-09-26 2018-12-04 Lg Electronics Inc. Studies about MSD level in aggregating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and two uplink carriers
US10903950B2 (en) * 2017-03-19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transport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61736B2 (en) * 2017-03-24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aggregating two uplink carriers
KR102163672B1 (ko) 2017-11-14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WO2019099257A1 (en) * 2017-11-17 2019-05-23 Skyworks Solutions, Inc. Dynamic control of single switched uplink versus multi uplink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4-1710233*
3GPP R4-1710574
3GPP R4-1710630
3GPP R4-1710724*
3GPP R4-1710964
3GPP R4-1710978
3GPP R4-1711077
3GPP R4-1712822
3GPP TR37.863-01-01 v0.2.0*
3GPP TR37.863-02-01 v0.2.0*
3GPP TR37.863-02-01 v0.4.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1003A1 (en) * 2019-03-22 2022-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WO2022177278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37662A (ko) * 2021-04-01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sd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2542612B1 (ko) 2021-04-01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sd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5288B2 (ja) 2021-12-01
EP3512285A1 (en) 2019-07-17
WO2019098533A1 (ko) 2019-05-23
US20190230663A1 (en) 2019-07-25
US10660098B2 (en) 2020-05-19
CN110050499B (zh) 2023-03-17
US11363598B2 (en) 2022-06-14
US20200245329A1 (en) 2020-07-30
JP2020501385A (ja) 2020-01-16
CN110050499A (zh) 2019-07-23
EP3512285A4 (en) 2020-03-11
KR20190057273A (ko) 2019-05-28
JP2020127240A (ja) 2020-08-20
JP6705059B2 (ja)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672B1 (ko)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KR102220169B1 (ko) E-utra와 nr 간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KR102245375B1 (ko) 위상 잡음 추정과 관련된 참조 신호를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102058718B1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US10958378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processing an in-band emission interference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ng in FDR mode tranceives signals using FDM manner
US10313094B2 (en)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cellular communication and D2D communication
US10305534B2 (en) Method for allowing user equipment (UE) to perform UE-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communication in network configured to support UE-flexible TDD mode in which base station (BS) operates in full duplex mode and UE operates in half duplex mode, and the user equipment (UE) for the same
US101590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to MTC device, PDSCH including downlink data, and base station therefor
US10181937B2 (en) Method of performing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full duplex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3116185A1 (en) Method for setting downlink power in high order modulation scheme, and terminal therefor
US1154028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terminal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between E-UTRA and NR and terminal for performing same method
US1033366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y aggregating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and two uplink carriers
US10320470B2 (en) Terminal using frequency band of mobile satellite service for LTE/LTE-A
US10064087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ption method
KR102448867B1 (ko) 풀-듀플렉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비동기 환경을 고려한 자기 간섭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