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28B1 -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128B1
KR102163128B1 KR1020190029409A KR20190029409A KR102163128B1 KR 102163128 B1 KR102163128 B1 KR 102163128B1 KR 1020190029409 A KR1020190029409 A KR 1020190029409A KR 20190029409 A KR20190029409 A KR 20190029409A KR 102163128 B1 KR102163128 B1 KR 10216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core
club
shim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778A (ko
Inventor
김찬석
Original Assignee
김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7086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631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석 filed Critical 김찬석
Priority to KR102019002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럽 헤드가 결합된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골프 클럽 그립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측을 둘러싸고, 상측에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를 '
Figure 112019026416508-pat00004
'자 형태로 씌우는 심캡과, 하측에 심하단부를 갖는 내부심과; 상기 내부심의 외측에 결합되는 그립외피;를 포함하고, 그립외피에 음각의 패턴부와 패턴부에 근접하여 양각의 돌출부를 갖는 엠보싱 형태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그립을 내부 및 외부가 이중 구조인 튜플렉스 타입으로 구성하여 비틀림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그립 커버에 양각, 음각을 동시에 구현한 엠보싱 형태의 기능적 패턴을 부가하여 미끄러짐 예방을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Duplex type Golf Club Grip}
본 발명은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골퍼클럽을 파지하는 클럽 그립의 비틀림 및 미끄러짐 방지, 그립성을 향상 가능하게 구조를 개선한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은 일반적으로 클럽 헤드, 클럽 샤프트 및 클럽 그립으로 구성된다. 클럽 그립의 재질은,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로 클럽 그립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인 골퍼(Golfer)가 클럽 그립을 잡았을 때 더 나은 그립감(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은 클럽 그립의 마모 저항성과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볼(이하에서 볼, 골프공, 공 등은 동일한 의미임)을 타격할 때 클럽 페이스(Club Face)와 볼 사이의 임팩트 각도는 볼 진행 방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볼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클럽 페이스가 볼과 올바른 각도에서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 골프 클럽은 볼과 임펙트 되는 순간에 힘을 볼에 전달하기도 하고 볼과 임펙트 되는 힘에 의한 힘이 클럽 페이스, 클럽 샤프트, 클럽 그립을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임팩트에 의하여 형성된 힘은 골프 클럽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공에 클럽 페이스의 임팩트에 의하여 발생한 힘은 샤프트에 비틀림 변형(Torsional Deformation)을 야기한다. 이는 클럽 페이스가 수직으로부터 경사진 각도에서 볼을 만나도록 하며, 그 결과 볼이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과 약간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클럽 샤프트의 비틀림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과거부터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클럽 샤프트나 클럽 그립의 중심축선과 볼과 클럽 페이스가 임펙트 되는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음으로 인해 더 더욱 이러한 현상이 발생된다.
최근에 골프가 일반화되는 가운데 골프 클럽 그립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골프 클럽 그립 잡는법 부터 골프 그립의 기능까지 많은 언론매체와 온라인 교육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클럽 그립의 뒤틀림(Torsional)과 미끄러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골프 클럽 중 샤프트의 끝은 클럽 그립을 끼우는 부분으로 손잡이(butt)라고 하며, 골프 클럽 그립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강한 임팩트에서 오는 충격에너지를 그립의 벗(Butt)부분에서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느냐이다.
따라서, 골프 클럽 그립이 결합되는 벗(Butt) 부분의 탄성을 억제시키면서 고유의 그립감을 유지시키는데 세계 유수의 골프그립 제조사들이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통상의 클럽 그립들은 벗(Butt)부분에 뒤틀림 방지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 하나는 클럽 그립의 앞부분을 낮은 경도로, 뒷부분은 높은 경도의 고무로 접합하는 이경도접합 구조인 멀티 컴파운드(Multi Compound)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클럽 그립의 상층부는 부드럽고 낮은 경도로 하고 하층부는 강하고 높은 경도로 상하 이중구조인 듀플렉스(Duplex) 구조이다.
여기서, 이경도접합인 Muti Compound 구조는 뒷부분에 높은 경도의 그립감을 느낄수 있고, Duplex 구조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져서 높은 제조비가 드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클럽 그립 전체의 뒤틀림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부드러운 그립감을 느낄수 있다.
반면에, 클럽 그립의 기능 중 뒤틀림과 함께 중요한 기능이 스윙시 미끄러짐과 관련된 것이다. 클럽 그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재질을 효과적으로 선택하는 방법과 클럽 그립 표면에 기능적인 패턴을 부가하는 방법이 있다.
재질을 효과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은 고무 내지 합성수지에 미끄러짐 방지용 보강제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많은 양의 보강제를 투입하면 고무 물성을 변화시키므로 소량의 보강제를 투입하기 때문에 그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클럽 그립의 표면에 음각의 기능성 패턴을 부가하여 보다 효과적인 그립감, 미끄러짐 방지 및 비틀림 예방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그립감, 미끄러짐 방지 및 비틀림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클럽 그립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한, 안개, 우천 등과 같이 습기 내지 물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 경우 습기 등으로 인해 미끄러짐이나 비틀림 없이 안정적으로 클럽 그립을 잡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48736호 (2013.03.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립을 내부 및 외부가 이중 구조인 튜플렉스 타입으로 구성하여 비틀림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그립 커버에 양각, 음각을 동시에 구현한 엠보싱 형태의 기능적 패턴을 부가하여 미끄러짐 예방을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습기 내지 물이 많이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그립 사이의 그립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내부심과 외부의 그립외피가 이중 사출되어 성형되므로 내부심과 그립외피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호 이탈되거나 그립외피가 내부심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중에서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증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럽 헤드가 결합된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골프 클럽 그립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측을 둘러싸고, 상측에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를 '
Figure 112019026416508-pat00001
'자 형태로 씌우는 심캡과, 하측에 심하단부를 갖는 내부심과; 상기 내부심의 외측에 결합되는 그립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심은, 심본체와; 상기 심본체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캡과; 상시 심본체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외피는 상기 내부심이 성형된 후 상기 내부심을 기초로 상기 심캡과 상기 심하단부 사이에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본체는 상기 심캡에서 상기 심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심캡에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심길이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길이돌출부 사이에 상기 심길이돌출부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심본체의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심길이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길이함몰부는 상기 심캡으로부터 상기 심길이돌출부가 시작되는 점보다 더 하측에서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심길이돌출부 또는 상기 심길이함몰부를 연결하는 심원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길이돌출부는 상기 클럽 그립 사용자의 왼손이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까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본체에는 상기 그립외피가 성형된 후 상기 그립외피의 판면에 노출 가능한 로고부가 상기 심캡과 상기 심하단부 사이에 돌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외피는, 외피본체와; 상기 외피본체의 판면에서 설정된 패턴으로 함몰 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패턴부와; 상기 외피본체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각의 패턴부와 양각의 돌출부가 동시에 그립 외피에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 형태의 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을 내부 및 외부가 이중 구조인 튜플렉스 타입으로 구성하여 비틀림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그립 커버에 양각, 음각을 동시에 구현한 엠보싱 형태의 기능적 패턴을 부가하여 미끄러짐 예방을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습기 내지 물이 많이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그립 사이의 그립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내부심과 외부의 그립외피가 이중 사출되어 성형되므로 내부심과 그립외피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호 이탈되거나 그립외피가 내부심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중에서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증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럽 그립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의 개략도,
도 2는 클럽 그립의 단면도,
도 3a는 클럽 그립의 부분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3B-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는 클럽 그립의 그립외피를 도시한 도면 및 부분확대도,
도 4b는 도 4a의 4B-4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클럽 그립과 사용자의 손 또는 장갑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는 도 4a의 그립 외피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진,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 외피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100, 이하에서 '클럽 그립'이라 함)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럽 그립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의 개략도이고, 도 2는 클럽 그립의 단면도이며, 도 3a는 클럽 그립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클럽 그립의 그립외피를 도시한 도면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4B-4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클럽 그립과 사용자의 손 또는 장갑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a는 도 4a의 그립 외피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진이며,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 외피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샤프트(15)의 길이 방향을 길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이라고 하고, 클럽 샤프트(15)의 원주방향을 원주방향 또는 좌우방향이라고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그립(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종류의 골프 클럽 그립 중에서 듀플렉스 타입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듀플렉스 타입의 골프 클럽 그립은 다운스윙 시 빠른 스윙 스피드에 의해 클럽 그립(100)과 클럽 샤프트(15)가 분리되는 현상의 느낌을 발생시키고 임팩트 시 골프공의 강한 충격으로 클럽 샤프트(15)에 전달된 힘이 클럽 그립의 고무 자체 탄성으로 인하여 뒤틀림(Torsion)을 발생시키는데 이 뒤틀림 방지를 위하여 상하(내부 및 외부) 2중 구조로 설계된 형태의 클럽 그립이다.
이러한 뒤틀림으로 인해 골프공은 높은 탄도나 슬라이스성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뒤틀림 현상에 대한 최상의 해결 방법으로 고무 그립의 부드러운 그립감을 유지하면서 탄도의 안정성과 구질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스 타입의 클럽 그립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 클럽(10)은, 골프공 또는 볼 또는 골프볼을 타격하는 클럽 헤드(13)와, 클럽 헤드(13)와 결합되는 긴 막대 형상의 그래파이트 또는 스틸로 된 클럽 샤프트(15)와, 클럽 샤프트(15) 상측에 사용자인 골퍼가 손을 잡을 수 있는 클럽 그립(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상기 클럽 샤프트(15)의 상측을 둘러싸고, 상측에 상기 클럽 샤프트(15)의 상단부를 '
Figure 112019026416508-pat00002
'자 형태로 씌우는 심캡(132)과, 하측에 심하단부(136)를 갖는 내부심(130)과; 상기 내부심(130)의 외측에 결합되는 그립외피(15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심(130)은, 심본체(131)와; 상기 심본체(131)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캡(132)과; 상시 심본체(13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하단부(136)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외피(150)는 상기 내부심(130)이 성형된 후 상기 내부심(130)을 기초로 상기 심캡(132)과 상기 심하단부(136) 사이에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외피(150)는, 외피본체(153)와; 상기 외피본체(153)의 판면에서 설정된 패턴으로 함몰 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패턴부(155)와; 상기 외피본체(153)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패턴부(155)의 가장자리를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5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본체(131)는, 클럽 그립(100)의 내측에 클럽 샤프트(15)와 접촉되어 클럽 샤프트(15)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측에는 클럽 샤프트(15)의 상단부를 9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심캡(132)이 덮어씌운다. 상측에 돌출된 심캡(132)으로부터 그립외피(150)가 결합될 깊이로 함몰된 심본체판면(131a)은 심캡(132)으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1단차부(131b)를 가지고, 제1단차부(131b)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보다 두께가 제1단차부(131b)보다 작아지는 제2단차부(131c)를 갖는다. 제2단차부(131c)로부터 최하단의 심하단부(136)까지의 두께는 일정하거나 매우 작은 량으로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캡(132)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하는 홀인 벤트홀(132a)이 구비되어 있어 클럽 샤트프(15)를 클럽 그립(100)에 삽입하기 위하여 클럽 그립(100)과 클럽 사프트(15) 상단부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 등이 배출될 수 있다.
심길이돌출부(133)는 심본체(131)의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심캡(132)에서 상기 클럽 샤프트(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심길이함몰부(134)는 상기 심길이돌출부(133) 사이에 상기 심길이돌출부(133)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심본체(131)의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심길이함몰부(134)는 상기 심캡(132)으로부터 상기 심길이돌출부(133)가 시작되는 점보다 더 하측에서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원주지지부(135)는 클럽 샤프트(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심길이돌출부(133) 또는 상기 심길이함몰부(134)를 연결하도록 상기 심본체(131)의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길이돌출부(133), 심길이함몰부(134) 및 심원주지지부(135)는 단순하게 하나의 클럽 그립(100)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일종의 보강용 기능을 하는 심이 더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더 부가되어 사용자가 클럽 그립(100)을 잡고 공을 타격한 경우 임펙트 순간의 힘이나 스윙 시의 힘에 의하여 그립감이 향상되고, 이러한 힘들에 의하여 클럽 그립(100)이 비틀리거나 미끌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골프 클럽(10) 본래의 목적인 방향성과 비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심본체(131)의 최하측에는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돌출된 심하단부(136)가 마련된다. 이렇게 상측에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심캡(132)이 돌출되어 있고, 하측에 심본체판면(131a)으로부터 심하단부(136)가 각각 돌출되어 있어 심캡(132)과 심하단부(136) 사이에 그립외피(150)가 보다 효과적으로 성형될 수 있어 바람직한 구조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럽 그립(100)의 전체 길이 중에서 심캡(132)부터 가장 길게 심길이돌출부(133)가 형성(도 3a의 'L1' 참조)되어 있고, 제1단차부(131b)가 'K1', 제2단차부(131b)가 'K2-K1'의 길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심길이함몰부(134)가 'L2'의 길이로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길이돌출부(133)는 원주방향에 방사상으로 4개, 심길이함몰부(134)는 각 심길이돌출부(133) 사이에 각 2개씩 마련되어 있고, 심원주지지부(135)는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이격된 두 개의 띠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내부심(130)과 그립외피(15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비틀림 등에 의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1단차부(131b), 제2단차부(131c), 심길이돌출부(133), 심길이함몰부(134) 및 심원주지지부(135) 이외에서 심본체(131)를 관통된 다수의 관통홀(138)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립외피(150)의 판면과 같은 높이로 노출될 수 있는 로고가 형성된 로고부(137)가 내부심(130) 하측에 구비되어 잇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커버(150) 성형에 따라 외부커버(150)가 빈 공간인 관통홀(138)로 유입되고 돌출된 로고부(137)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로고부(137)가 내부심(130)에 형성되어 있어 추후 별도로 그립외피(150) 등에 로고를 인쇄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로고부(137)가 그립외피(150)의 외피판면(153a)까지 노출되어 있어 내부심(130)에 대하여 그립외피(150)가 변형되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패턴부(15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상하방향이 좌우방향보다 다소 길고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이 만나는 중간 부분의 폭이 다소 넓은 '+'자 형상으로 외피판면(153a)으로부터 함몰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턴부(155)는 실시예와 달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7)는 패턴부(155)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157)는 패턴부(155)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돌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57)는 패턴부(155)의 가장자리 중에서 '+'자 형상의 좌우방향에 위치한 그립외피(150)의 판면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은 형태로 불연속적으로 패턴부(155)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그립외피(150)의 판면이 외피판면(153a)으로부터 함몰된 부분인 패턴부(155)와 패턴부(155) 가장자리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외피판면(153a)을 유지하면서 돌출되어 패턴부(155)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돌출된 돌출부(157)를 구비함으로 인해 사용자는 클럽 그립(100)을 잡는 순간 더욱 더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돌출된 형상과 함몰된 형상 사이로 습기, 물기 등이 사용자의 손이나 손에 낀 장갑에 접촉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미끄러짐 들을 예방할 수 있고 이러한 미끄러짐을 예방함으로 스윙시나 타격시 클럽 그립(100)의 비틀림, 충격력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클럽 그립(100)을 잡는 경우 비교적 큰 함몰 영역(도 5의 'GAP 1' 참조)인 패턴부(155)에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이 위치할 수 있고, 돌출 영역보다 훨씬 적은 영역(도 5의 'GAP 2' 참조)인 돌출부(157)와 돌출부(157) 사이의 영역으로 물기, 습기 등이 배출 내지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부위에 물기 등이 접촉되지 않아 미끄러짐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에서 하층부에 해당하는 내부심(130)은 클럽 샤프트(15)와 면접촉하면서 결합되는 영역으로 뒤틀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매트릭스 구조(예를 들면, 제1단차부, 제2단차부, 4개의 심길이돌출부, 8개의 심길이함몰부, 2개의 원주방향 심원지지부 등)로 된 특수 소재를 배합한 고강도의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상층부에 해당하는 그립외피(150)는 부드럽고 밀착성이 강한 엘라스토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층부인 내부심(130)의 구조는 클럽 샤프트(15)와 최대한 밀착시키면서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수 있도록 매트릭스 구조를 기반으로 한 기어 톱니바퀴 형상의 구조(예를 들면, 4개의 심길이돌출부, 8개의 심길이함몰부 등)와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관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138)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여 원형을 지킬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에, 임팩트 시 고무 고유의 탄성으로 생기는 뒤틀림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왼손의 중지,약지,소지의 악력으로 클럽 그립(100)의 상단부(도 3a의 'L1' 부분 참조)를 잡아 스윙을 콘트롤하기 때문에 클럽 그립(100)의 클럽 샤프트(15)의 버트쪽에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매트릭스형 구조를 채택하였고, 내부심(130)은 고경도 압착 공법을 채용하여 제조하고, 최적의 소재를 선택하여 강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클럽 그립(100)의 상단부뿐만 아니라 상단부에서 심하단부(136)까지 내부심(130)과 그립외피(150)의 2중 구조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이 파지하는 부분도 뒤틀림없이 안정적인 스윙을 할수 있는 구조이다.
다른 한편, 상층부인 그립외피(150)의 구조는 내부심(130)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대한 유지시키도록 역방향 구조(내부심이 볼록한 부분은 오목하게, 내부심이 오목한 부분은 볼록하게 대응된 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기술의 클럽 그립 두께보다 얇게 하여 고무 탄성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임팩트시 발생하는 뒤틀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품질의 엘라스토머 소재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쫀득한 그립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의 뒤틀림의 차이를 종래기술과 비교하기 위하여 클럽 그립(100)의 앞부분과 끝부분을 동시에 잡아서 서로 꼬이게 비틀어 보면 종래의 클럽 그립과의 비틀림 강성이 확연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어 골프공의 탄도 안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럽 그립(100)에서 비틀림 내지 뒤틀림을 예방하는 기능 이외에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클럽 그립(100)의 미끄러짐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질을 효과적으로 선택하는 방법 또는 클럽 그립(100) 표면에 기능적인 패턴을 부가하는 방법 중에서 본 발명에 따
른 클럽 그립(100)은 그립 표면에 해당하는 크립커버(150)에 음각과 양각의 패턴을 동시에 구현하는 엠보싱(Embossing)방법을 채용하였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클럽 그립은 표면의 패턴을 부식, 레이저, CNC 밀링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로만 음각으로 새겨 놓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표면과 홈의 바닥 사이를 5축 초정밀 CNC로 음각(예를 들면, 패턴부), 양각(예를 들면, 돌출부)을 동시에 구현한 엠보싱(올록볼록 무늬) 패턴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엠보싱 패턴 구조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장갑과 클럽 그립의 접촉을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으며, 장갑에 높은 마찰계수를 발생하도록 하여 임팩트시에 발생할 수 있는 클럽 그립(100)의 이탈 현상을 방지시켜 클럽 그립(100)의 접지력을 극대화를 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음각 구조만의 클럽 그립 표면은 장갑이 일정 부분만 홈에 끼워지는 형식이므로 장갑의 밀착력은 홈과 홈 사이의 표면에 의한 밀착력보다는 표면의 재질에 따른 고무 접지력에 의존하는 구조이므로 임팩트시에 오는 강한 반향력으로 인하여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음각, 양각인 엠보싱 패턴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한 장갑이 돌기 홈 전체면을 밀착되면서, 라운드 형태의 엣지는 이웃한 두번째 홈과도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어 강한 임팩트시에도 손과 클럽 그립(100)의 이탈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스윙시 정확한 구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땀이나, 비가 오는 경우에 종래의 일반 음각 구조로만 되어 있는 클럽 그립은 표면 마찰력으로만 물기 등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므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엠보싱 패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장갑은 볼록볼록한 영역의 사이에 마련된 오목한 영역에 단단하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땀이 흐르고 비가 오는 경우에도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시니어나 여자 골퍼들과 같이 손으로 파지하는 힘인 악력이 약한 골퍼들이 미끄러지지 않을려고 손바닥으로 클럽 그립(100)을 강하게 쥐고 스윙을 함에 따른 비거리 저하, 방향성 감소 등과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럽 그립(100)은 부드럽고, 착 달라붙는 느낌의 자체 개발한 엘라스토머 소재를 적용하였다.
일반 고무는 가황 공정으로 이루어져 고무 본연의 특성인 탄성력이 빠른 경화로 인해 빨리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소재로 딱딱해지는 경화가 아주 느리게 진행되어 항상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수 있어며, 엘라스토머 자체에 착색이 가능해 다양한 색깔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라는 재질에 강도, 충격 흡수, 내구성, 탈수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MP라는 특수 내마모성 보강제를 부가하였다. SMP라는 특수 내마모성 보강제는 인장 강도와 마모성이 우수하여 엘라스토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엘라스토머 분자와 강력한 결합력을 가져 내마모성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과 잘 혼합되지 않는 물성의 소재인 실리카를 보강제로 첨가하여 클럽 그립(100) 표면에 수막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를 유도하여 특히 땀이나 빗물에서 수막 현상을 억제시켜 장갑과 클럽 그립(100)의 접지력을 향상시켰다.
도 6a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은 그립 외피에 형성된 패턴을 확대한 사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그립(200)은, 도 6b의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4a의 돌출부(157)에 대응하는 돌출부(257)의 중앙 영역에 추가적으로 추가돌출부(258)가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번호 '253a'는 전술한 실시예의 '외피판면'에 해당하고, 도면번호 '255'는 전술한 실시예의 '패턴부'에 해당이다.
돌출부(257)에 더 부가되어 돌출된 영역인 추가돌출부(258)가 더해져 보다 효과적으로 미끄러움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을 내부 및 외부의 이중으로 구조로 한 튜플렉스 타입으로 하여 그립감을 증대시킬 수 있고, 미끄러짐 및/또는 비틀림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습기 내지 물이 많이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골프 클럽으로 공을 타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그립 사이의 그립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내부심과 외부의 그립외피가 이중 사출되어 성형되므로 내부심과 그립외피가 일체로 성형되어 상호 이탈되거나 그립외피가 내부심으로부터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중에서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을 포함하여 내마모성을 증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클럽 그립 130 : 내부심
131 : 심본체 131a : 심본체판면
131b : 제1단차부 131c : 제2단차부
132 : 심캡 133 : 심길이돌출부
134 : 심길이함몰부 135 : 심원주지지부
136 : 심하단부 137 : 로고부
138 : 관통홀
150 : 그립외피 153 : 외피본체
153a : 외피판면 155 : 패턴부
157 : 돌출부
10 : 골프 클럽 13 : 클럽 헤드
15 : 클럽 샤프트

Claims (9)

  1. 클럽 헤드가 결합된 샤프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골프 클럽 그립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측을 둘러싸고, 상측에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를 '
    Figure 112020045359327-pat00003
    '자 형태로 씌우는 심캡과, 하측에 심하단부를 갖는 내부심과;
    상기 내부심의 외측에 결합되는 그립외피;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심은, 심본체와; 상기 심본체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캡과; 상시 심본체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기 심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외피는 상기 내부심이 성형된 후 상기 내부심을 기초로 상기 심캡과 상기 심하단부 사이에 성형되며, 상기 심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심캡에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 심길이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길이돌출부 사이에 상기 심길이돌출부를 따라 이격되어 상기 심본체의 판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심길이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길이함몰부는 상기 심캡으로부터 상기 심길이돌출부가 시작되는 점보다 더 하측에서 시작되고,
    상기 그립외피는, 외피본체와; 상기 외피본체의 판면에서 설정된 패턴으로 함몰 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된 패턴부와; 상기 외피본체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패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외피의 재질은 SMP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혼합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본체는 상기 심캡에서 상기 심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심길이돌출부 또는 상기 심길이함몰부를 연결하는 심원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길이돌출부는 상기 그립 사용자의 왼손이 접촉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본체에는 상기 그립외피가 성형된 후 상기 그립외피의 판면에 노출 가능한 로고부가 상기 심캡과 상기 심하단부 사이에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그립.
  9. 삭제
KR1020190029409A 2019-03-14 2019-03-14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KR10216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09A KR102163128B1 (ko) 2019-03-14 2019-03-14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09A KR102163128B1 (ko) 2019-03-14 2019-03-14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78A KR20200109778A (ko) 2020-09-23
KR102163128B1 true KR102163128B1 (ko) 2020-10-08

Family

ID=7270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09A KR102163128B1 (ko) 2019-03-14 2019-03-14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1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019A (ja) * 2009-02-19 2010-09-02 Iomic In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17108782A (ja)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Iomi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08B1 (ko) * 2008-01-18 2010-01-20 구정오 투명 골프채 그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019A (ja) * 2009-02-19 2010-09-02 Iomic In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17108782A (ja)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Iomi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78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732B1 (en) Multi-segment single panel grip
TWI405600B (zh) 手把及製做此手把的方法
JP5053596B2 (ja) 切り出し部と挿入部を有するパネルグリップ
US6012992A (en) Golf ball having a cover with variable characteristics
US7527564B2 (en) Single panel golf club grip
US6238302B1 (en) Golf club head with an insert having integral tabs
US7186189B2 (en) Panel grip with modified seam
EP3295999B1 (en) Golf grip with reminder rib
JP2001526949A (ja) 第1インサートを第2インサートの中に有する打球面を備えてい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20129624A1 (en) Golf club grip
US8182360B2 (en) Golf club with a rigid shaft band
JPWO2005120651A1 (ja) マルチピース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69103A1 (en) Golf club grip with pressure aid
JP6623554B2 (ja) ゴルフクラブ
KR102163128B1 (ko) 듀플렉스 타입 골프 클럽 그립
JP6617803B2 (ja) ゴルフクラブ
KR102499567B1 (ko) 이중 사출 골프 클럽 그립
EP1364682A1 (en) Sports racquet having a rubber wrap grip
JPS6327735Y2 (ko)
JP2012125285A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5198592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の選定方法
JPH061170Y2 (ja) 野球用捕球具の外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