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25B1 -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25B1
KR102162825B1 KR1020180069194A KR20180069194A KR102162825B1 KR 102162825 B1 KR102162825 B1 KR 102162825B1 KR 1020180069194 A KR1020180069194 A KR 1020180069194A KR 20180069194 A KR20180069194 A KR 20180069194A KR 102162825 B1 KR102162825 B1 KR 10216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faulty
topology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101A (ko
Inventor
권성용
채윤주
김보섭
이동준
이종필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6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logical or physical relationship, e.g. grouping and hierarch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04L41/0622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based 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장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정보와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저장하는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Network Topology}
본 발명은 장애 발생과 연관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통신망의 장애 경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통신망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장치들이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된 모양이나 형태들에 따라 스타(star)형, 링(ring)형, 트리(tree)형, 메쉬(mesh)형 등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들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요소(ex, 링크, 노드)들의 배치 형태, 망 구성 방식을 의미하며, 물리적 토폴로지와 논리적 노폴로지가 있다. 물리적 토폴로지는 노드, 링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며, 논리적 토폴로지는 노드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장애 경보가 생성되는데, 네트워크 통신망은 여러 네트워크 장치들이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특정 네트워크 장치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동시 다발적으로 여러 네트워크 장치나 구간에서 장애 경보가 생성될 수 있다.
종래 운영자는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토폴로지를 확인하기 위해 장애 경보가 발생한 모든 네트워크 장치 및 구간에 반복적으로 접속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실제 장애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47965호, "토폴로지 행렬 기반 네트워크 내 공격 노드 식별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와 전송회선 정보뿐만 아니라, 논리적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로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장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정보와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저장하는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장애 전송회선은, 복수의 전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로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및 장애 발생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회선, 상기 복수의 전송회선마다 대응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수용된 인접 네트워크 장치 정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을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물리적 포트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장치 마스터 테이블의 네트워크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네트워크 장치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의 전송회선 시퀀스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전송회선 시퀀스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의 전송로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을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상기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뷰어부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고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전송회선 및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뷰어부는, 상기 장애 전송회선의 시점노드부터 종점노드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의 설치위치를 탐색하고 상기 시작노드와 상기 인접한 분기노드 사이에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면 논리적 연결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물리적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장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정보와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수용된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는,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물리적 포트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장치 마스터 테이블의 네트워크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네트워크 장치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의 전송회선 시퀀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전송회선 시퀀스와 일치하는 상기 시설정보의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의 전송로 시퀀스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로 시퀀스를 탐색하는 단계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로 및 논리적 포트의 정보를 찾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및 장애 발생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회선, 상기 복수의 전송회선마다 대응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 이후, 상기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상기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토폴로지 정보 및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전송회선 및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전송회선의 시점노드부터 종점노드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의 설치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 사이에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로의 정보의 존부 판단 결과에 따라 논리적 연결정보 또는 물리적 연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뷰어가 통합된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 및 전송회선뿐만 아니라 전송로 정보까지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토폴로지 뷰어를 확인하고 즉시 장애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망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생성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뷰어 생성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애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따라 생성된 토폴로지 뷰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망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장애가 발생한 구간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통신망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 및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NA)는 통신에 참여하는 각종 장치 및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 라우터, 허브 등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한다. 전송회선(TL)은 네트워크 장치(NA)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통신망은 전송회선(TL)에 의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모양이나 형태들에 따라 스타(star)형, 링(ring)형, 트리(tree)형, 메쉬(mesh)형 등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통신 기능은 일련의 계층(layer) 집단으로 분할되고 각 계층은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내용의 보안 등을 위해 복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은 상호 복잡한 연결관계를 맺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부 구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1, 2)뿐만 아니라 인접한 네트워크 장치(2, 3, ‥, 8)들에서도 동시 다발적으로 경보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LOS 경보는 장애로 직접 영향을 받는 네트워크 장치(1, 2)에서 생성되는 경보이고, AIS 경보는 장애 발생으로 장애 네트워크 장치(1, 2)로부터 신호를 받지 못하는 인접한 네트워크 장치(3)에서 생성되는 경보이다.
한편, 장애로 인해 직접 영향을 받지 않지만 네트워크 통신망의 복잡한 연결로 인접한 네트워크 장치(6, 7, 8)에서 LOS 경보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때, 종래 네트워크 관리자는 장애가 발생한 장치의 토폴로지를 확인하기 위해, 장애가 발생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1, 2, …,8)에 반복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요구되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2(a)를 참고하면, 전송회선(TL)은 시점노드(A)와 종점노드(Z)를 포함하고 시점노드(A)는 물리적 포트(A)와 연결되고 종점노드(Z)는 물리적 포트(Z)와 연결되어 제1 네트워크 장치(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를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a)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는 1:1로 연결되며, 제1 네트워크 장치(1)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다이렉트로 제2 네트워크 장치(2)로 전달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전송회선(TL)은 복수의 전송로(TR: TR1, TR2, TR3, TR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송로(TR: TR1, TR2, TR3, TR4)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 사이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송로(TR: TR1, TR2, TR3, TR4)의 논리적 연결 관계를 논리적 포트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전송로(TR)는 오후 1시부터 오후 1시10분에는 제1 전송로(TR1)가 제1 네트워크 장치(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고, 오후 1시10분부터 오후 1시30분까지는 제2 전송로(TR2)가 제1 네트워크 장치(1) 및 제2 네트워크 장치(2)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는 것과 같은 논리적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로(TR)의 논리적 포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시분할, 광 색상 분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전송회선(TL)은 시점노드(A)와 종점노드(Z)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분기노드(B, C, D)를 포함할 수 있고, 분기노드(C)에는 다른 전송회선(TL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장애가 발생한 전송회선(TL1)을 장애 전송회선, 그리고 장애 전송회선(TL1)에 연결된 인접 전송회선(TL2)에 의해 수용된 제6 네트워크 장치(6)를 인접 네트워크 장치로 정의한다.
또한, 전송회선(TL)은 인접한 분기노드 사이에 복수의 전송로(T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장치(1)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도 2(c)와 같이 시점노드(A)부터 하나 이상의 분기노드(B, C, D)를 거쳐 종점노드(Z)까지 복수의 전송로(TR)를 통해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법으로 논리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기노드(B) 그리고 제2 분기노드(C) 사이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 사이의 복수의 전송로(TR)의 구성 정보와, 상기 복수의 전송로(TR)의 논리적 포트 정보, 그리고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칭하면, 복수의 전송로(TR) 중 어느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용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100),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 Network Facility System)(200), 그리고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용관리 시스템(NMS)(100)은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장애관리, 분산처리, 배타 제어 등을 수행하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에서 발생되는 경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정보는 장애로 인해 경보를 생성하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정보, 장애 네트워크 장치(NA)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정보 및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의 명칭, 종류, 벤더사, 노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포트 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가 장애 전송회선(TL)에 연결된 물리적 포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애 네트워크 장치(NA)는, 장애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LOS 경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장치(NA)뿐만 아니라 AIS 경보를 생성하는 인접 네트워크 장치(NA)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200)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의 정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들의 정보, 그리고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 마다 대응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200)은, 시설정보를 장치 마스터 테이블,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 연결 마스터 테이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을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장치 마스터 테이블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의 식별정보, 별칭, 관리 국사, 물리적 포트에 관한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하기 도표 1은, 장치 마스터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Figure 112018058913100-pat00001
[도표 1]
연결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 식별정보,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의 식별정보, 각 전송회선(TL) 경유정보, 전송회선(TL)의 시점노드(A)와 종점노드(Z)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장치 마스터 테이블과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의 연결정보를 제공한다. 하기 도표 2는, 연결 마스터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Figure 112018058913100-pat00002
[도표 2]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의 식별정보, 각 전송회선(TL)이 수용하는 네트워크 장치(NA)의 식별정보, 회선 타입(계위, layer), 전송회선(TL)의 시점노드(A)와 종점노드(Z)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하기 도표 3은,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Figure 112018058913100-pat00003
[도표 3]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로(TR: TR1, TR2,…, N)의 식별정보, 전송로(TR)가 수용되는 전송회선(TL)의 식별정보, 전송회선(TL)의 시점노드(A)와 종점노드(Z)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하기 도표 4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의 일 예시이다.
Figure 112018058913100-pat00004
[도표 4]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시스템(NMS)(100)으로부터 경보정보, 그리고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200)로부터 시설정보를 전달받아 장애가 발생한 구간에 관한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이하,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고, 장애 네트워트 토폴로지 뷰어(이하, 토폴로지 뷰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데이터 수집부(310),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 토폴로지 DB(350), 그리고 토폴로지 뷰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310)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시스템(NMS)(100)으로부터 경보정보, 그리고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200)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집하여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경보정보와 시설정보의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토폴로지 정보는, 장애로 직접적 영향을 받는 네트워크 장치(NA)에 관한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뿐만 아니라 간접적 영향을 받는 네트워크 장치(NA)에 관한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C)를 참고하면, 경보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포함할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상기 도표 1에 도시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과 매칭시켜, 장애 네트워크 장치(ex, NA)를 탐색한다. 다음,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장치 마스터 테이블(도표 1)의 장애 네트워크 장치(ex, NA)와 일치하는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의 연결정보(ex, NA)를 탐색하고, 해당 연결정보와 동일 테이블에 위치하는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한다. 다음,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일치하는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한다. 다음,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탐색한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일치하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도표 4)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하고, 해당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동일 테이블에 위치하는 전송로 시퀀스(ex, TR_SEQ) 정보를 순차적으로 탐색한다.
따라서,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시설정보에 포함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도표 1),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도표 4)과 순차적으로 매칭시켜, 도 2(C)와 같은 장애 네트워크(1, 2), 장애 전송회선(TL1), 장애 전송회선(TL1)의 분기노드 정보(B, C, D) 그리고, 물리적 포트 정보(A, Z), 논리적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로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경보정보 및 추출된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시설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도 1 및 도 2(C)와 같은 인접 네트워크 장치(6), 인접 네트워크 장치(6)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TL2), 인접 전송회선(TL2)에 포함되어 인접 네트워크 장치(6)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TR)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을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는 생성한 토폴로지 정보와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특히, 특정시간(T)에 대한 전송로(TR)의 논리적 포트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고 장애 발생 시간이 상기 특정시간(T)과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 사이의 복수의 전송로 중에서 특정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토폴로지 DB(350)는,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토폴로지 정보와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토폴로지 정보는, 장애 발생과 연관된 각종 정보를 다양한 데이터 저장방법(ex, 테이블 형식)으로 토폴로지 DB(350)에 저장될 수 있으나, 관리자는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장애 발생 구간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토폴로지 DB(350)는 토폴로지 뷰어부(370)의 요청시 토폴로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토폴로지 뷰어부(370)에서 생성된 토폴로지 뷰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토폴로지 뷰어는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며, 관리자가 장애 발생 구간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형상 정보일 수 있다.
토폴로지 뷰어부(370)는 토폴로지 DB(350)에 저장된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 및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포함하는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폴로지 뷰어부(370)는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장애 전송회선(TL) 및 장애 전송회선(TL)에 포함된 전송로(TR)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토폴로지 뷰어부(370)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인접 네트워크 장치(NA), 인접 전송회선(TL) 및 인접 전송회선(TL)에 포함된 전송로(TR)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이하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생성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4의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뷰어 생성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장애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에 따라 생성된 토폴로지 뷰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은, 정보 수집 단계(S10), 토폴로지 정보 생성단계(S10) 그리고 토폴로지 뷰어 생성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네트워크 운용관리 시스템(NMS)(100)으로부터 경보정보, 그리고 네트워크 시설관리 시스템(NFS)(200)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정보는 장애로 인해 경보를 생성하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정보, 장애 네트워크 장치(NA)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정보 및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의 명칭, 종류, 벤더사, 노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포트 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NA)가 장애 전송회선(TL)에 연결된 물리적 포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애 네트워크 장치(NA)는, 장애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LOS 경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장치(NA)뿐만 아니라 AIS 경보를 생성하는 인접 네트워크 장치(NA)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의 정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NA: 1, 2, …, N)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들의 정보, 그리고 복수의 전송회선(TL: TL1, TL2, …, TLN) 마다 대응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설정보는, 장치 마스터 테이블,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 연결 마스터 테이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토폴로지 정보 생성단계(S30)는,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 그리고 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및 장애 네트워크 장치(NA)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정보를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장애 전송회선(TL) 및 장애 전송회선(TL)에 포함된 전송로(TR)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S51, S53).
예를 들어, 도 1, 도 2(C) 및 도 6을 참고하면, 경보정보는,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 장치(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상기 도표 1에 도시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과 매칭시켜, 장치 마스터 테이블의 장애 네트워크 장치(ex, NA)를 탐색한다(S61).
이후,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탐색된 네트워크 장치(ex, NA)와 일치하는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의 전송회선 시퀀스를 탐색한다(S63). 이때,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치 마스터 테이블(도표 1)의 장애 네트워크 장치(ex, NA)와 일치하는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의 연결정보(ex, NA)를 탐색하고, 해당 연결정보와 동일 테이블에 위치하는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한 이후,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일치하는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탐색된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와 일치하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도표 4)의 전송로 시퀀스를 탐색할 수 있다(S65).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탐색한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일치하는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도표 4)의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를 탐색하고, 해당 전송회선 시퀀스(ex, TL_SEQ) 정보와 동일 테이블에 위치하는 전송로 시퀀스(ex, TR_SEQ)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전송로 시퀀스 정보를 탐색할 때,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장애 네트워크 장치(ex, NA)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로 정보 및 논리적 포트 정보를 함께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전송회선에 수용된 인접 네트워크 장치(NA), 인접 네트워크 장치(NA)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TL), 인접 전송회선(TL)에 포함되어 인접 네트워크 장치(NA)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TR)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S55, S53).
예를 들어, 도 1, 도 2(C) 및 도 6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추출된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시설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인접 네트워크 장치(6), 인접 네트워크 장치(6)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TL2), 인접 전송회선(TL2)에 포함되어 인접 네트워크 장치(6)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TR)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순차적으로 찾는다(S67, S65).
이후,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특히, 특정시간(T)에 대한 전송로(TR)의 논리적 포트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고 장애 발생 시간이 상기 특정시간(T)과 일치한다고 가정하면,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 사이의 복수의 전송로 중에서 특정 전송로에 장애가 발생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저장단계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생성된 토폴로지 정보와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7, S69). 여기서, 토폴로지 정보는,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10)의 식별정보(1, 2)와 장애 네트워크(10)의 물리적 포트 정보(A, Z)를 시설정보에 포함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도표 1), 연결 마스터 테이블(도표 2),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도표 3),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도표 4)과 순차적으로 매칭되어, 도 2(C)와 같은 장애 네트워크(1, 2), 장애 전송회선(TL1), 장애 전송회선(TL1)의 분기노드 정보(B, C, D) 그리고, 물리적 포트 정보(A, Z), 논리적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폴로지 정보는, 인접 네트워크 장치(6), 인접 네트워크 장치(6)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TL2), 인접 전송회선(TL2)에 포함되어 인접 네트워크 장치(6)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TR)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토폴로지 뷰어 생성단계(S50)는, 장애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 인접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 그리고 토폴로지 뷰어 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장애 네트워크 장치(NA), 장애 전송회선(TL) 및 장애 전송회선(TL)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TR)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S71, S73).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전송회선(TL1)의 시점노드(A)부터 종점노드(Z)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의 설치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S731). 설치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분기노드를 관리하는 국사의 위치정보(ex, 서울, 분당 등)를 기초로 설치위치 정보를 대체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최초 시작노드는 시점노드(A)이고, 인접한 분기노드는 제1 분기노드(B)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시점노드(A)와 제1 분기노드(B) 사이의 전송로 정보가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732). 존재하는 경우(S732, Yes),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도 9(b)의 스텝 1(step 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로 정보와 해당 전송로에 대한 논리적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S733).
이후,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인접한 다른 분기노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735). 도 9(a)를 참고하면, 인접한 다른 분기노드(C)가 존재하므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제1 분기노드(B)를 시작노드로, 제2 분기노드(C)를 인접한 분기노드 보고,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의 설치위치 탐색하고(S731),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 사이에 전송로 정보가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732). 존재하지 않는 경우(S732, No),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도 9(b)의 스텝 2(step 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기노드(B)와 제2 분기노드(C)를 직접 연결하는 물리적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논리적 포트 정보를 대체할 수 있다(S734). 여기서, 물리적 포트는, 제1 분기노드(B)의 설치위치(ex, 서울)와 제2 분기노드(C)의 설치위치(ex, 분당)를 직접 연결하는 연결 정보이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스텝 3(step Ⅲ), 스텝 4(step Ⅳ)를 상기 스텝 1(step Ⅰ) 및 스텝 2(step Ⅱ)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 네트워크 장치(1, 2), 장애 네트워크 장치(1, 2)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TL1), 그리고 전송회선(TL1)의 시점노드(A)부터 복수의 분기노드(B, C, D)를 거쳐 종점노드(Z) 까지 전송로 정보 및 논리적 포트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접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인접 네트워크 장치(NA), 인접 전송회선(TL) 및 인접 전송회선(TL)에 포함된 전송로(TR)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S75, S73).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네트워크 뷰어 생성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할 수 있다(S735). 이후,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생성한 장애 네트워크 뷰어와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토폴로지 DB(350)에 저장할 수 있다(S736).
다음으로, 토폴로지 뷰어 제공단계에서, 도 10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300)는 장애 네트워크 뷰어와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통합하여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토폴로지 뷰어를 제공할 수 있다(S77).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00: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310: 데이터 수집부
330: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 350: 토폴로지 DB
370: 토폴로지 뷰어부

Claims (19)

  1.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장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정보와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저장하는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는, 상호 연관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과,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과,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치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물리적 포트와 일치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탐색된 네트워크 장치와 일치하는 전송회선 시퀀스를 탐색하며,
    상기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탐색된 전송회선 시퀀스와 일치하는 전송로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전송회선은, 복수의 전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로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및 장애 발생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회선의 전송회선 시퀀스와, 각 전송회선이 수용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로의 전송로 시퀀스와, 각 전송로가 수용되는 전송회선의 전송회선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상기 시설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수용된 인접 네트워크 장치 정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정보 생성부는,
    상기 토폴로지 정보와 상기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뷰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뷰어부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고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전송회선 및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뷰어부는,
    상기 장애 전송회선의 시점노드부터 종점노드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의 설치위치를 탐색하고
    상기 시작노드와 상기 인접한 분기노드 사이에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면 논리적 연결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물리적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10.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장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정보와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정보를 상기 시설정보와 매핑하여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애 전송회선,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의 시설정보는, 상호 연관된, 장치 마스터 테이블과,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과,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경보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및 물리적 포트와 일치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탐색된 네트워크 장치와 일치하는 전송회선 시퀀스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에서 상기 탐색된 전송회선 시퀀스와 일치하는 전송로 시퀀스를 탐색하여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와 상기 시설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수용된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인접 전송회선,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되어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로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시퀀스를 탐색하는 단계는,
    시분할 또는 광 색상 분할 방식으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로 및 논리적 포트의 정보를 찾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정보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및 장애 발생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연결된 물리적 포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회선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회선의 전송회선 시퀀스와, 각 전송회선이 수용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로 마스터 테이블은, 복수의 전송로의 전송로 시퀀스와, 각 전송로가 수용되는 전송회선의 전송회선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찾는 단계 이후,
    상기 장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상기 장애 발생 시간 정보를 매핑하여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토폴로지 정보 및 장애 발생 구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추출하여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애 네트워크 장치, 상기 장애 전송회선 및 상기 장애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연결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접 네트워크 장치, 상기 인접 전송회선 및 상기 인접 전송회선에 포함된 상기 전송로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접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전송회선의 시점노드부터 종점노드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의 설치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시작노드와 인접한 분기노드 사이에 전송로의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로의 정보의 존부 판단 결과에 따라 논리적 연결정보 또는 물리적 연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애 네트워크 뷰어 및 상기 인접 네트워크 뷰어가 통합된 상기 토폴로지 뷰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방법.
KR1020180069194A 2018-06-15 2018-06-15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6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94A KR102162825B1 (ko) 2018-06-15 2018-06-15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94A KR102162825B1 (ko) 2018-06-15 2018-06-15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01A KR20190142101A (ko) 2019-12-26
KR102162825B1 true KR102162825B1 (ko) 2020-10-07

Family

ID=6910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94A KR102162825B1 (ko) 2018-06-15 2018-06-15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4784B (zh) * 2022-04-11 2023-08-0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可重构扫描网络的拓扑建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615A (ja) * 2006-01-16 2007-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装置、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259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망의 토폴로지 뷰어에서의 장애 전달 방법
KR20120068529A (ko) * 2010-12-17 2012-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애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1847965B1 (ko) 2017-10-12 2018-04-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토폴로지 행렬 기반 네트워크 내 공격 노드 식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615A (ja) * 2006-01-16 2007-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装置、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01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671A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restoration routes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4570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storing communications within a network
US57271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uter network topology
US6604208B1 (en) Incremental alarm corre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405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curate topology features of a network
CA2262046C (en) Optical layer quasi-centralized restoration
US20060031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network device
CN100409618C (zh) 确定网元的连接性解决方案的技术
US5299207A (en) Centralized supervisory system for transmission network elements and method of supervising transmission network elements
US66041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remote spar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when a network outage occurs
US5941992A (en) Distributed method and system for excluding components from a restoral rout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H0527616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故障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209201A (ja) ネットワ―ク管理方法及びネットワ―ク管理システム
CA2502308A1 (en) Large-scale layer 2 metropolitan area network
CN105644592B (zh) 铁路信号系统单设备接配线图生成方法、查询方法及装置
CN102215124A (zh) 一种故障处理方法、汇聚节点及光网络保护系统
US9699035B1 (en) Topology determination for an optical network
US8483091B1 (en) Automatic displaying of alarm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2162825B1 (ko)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US85650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lternate paths
US75094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erring topology of a network
US6347074B1 (en) Centralized method and system for excluding components from a restoral rout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200001070A (ko) 분석적 규칙 기반의 인공지능형 망 장애 관제 장치 및 방법
CN102783087A (zh) 基于管理分层的关联告警的方法和装置
CN113821412A (zh) 一种设备运维管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