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14B1 -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 Google Patents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514B1
KR102162514B1 KR1020170108328A KR20170108328A KR102162514B1 KR 102162514 B1 KR102162514 B1 KR 102162514B1 KR 1020170108328 A KR1020170108328 A KR 1020170108328A KR 20170108328 A KR20170108328 A KR 20170108328A KR 102162514 B1 KR102162514 B1 KR 10216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alarm signal
switch
iron pie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3032A (en
Inventor
김문영
Original Assignee
김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영 filed Critical 김문영
Priority to KR102017010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1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0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에 있어서, 특히 비닐하우스 앞뒤에 지주대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되, 이때 지주대에 와이어를 단단히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미세길이 조절을 위해 턴버클을 부가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에 관한 것으로,
재배 비닐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지주대(10)와, 상기 지주대 사이를 공중에서 연결하는 지지용 와이어(2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를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의 미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green house planting facility using wire, in particular, a support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using a wire after installing a support structur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green house, and at this time, the wire is firmly caught and fixed to the support. It relates to a green house cultivation facility using a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turnbuckle for adjusting the deformed temporary fixing material and fine length,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s (10)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cultivation vinyl house, a support wire 20 connecting the support in the air, and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 30), and a turnbuckle 40 for adjusting the fine length of the supporting wire.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재배시설{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Green house cultivation facility using wire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하우스 앞뒤에 지주대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되, 이때 지주대에 와이어를 단단히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미세길이 조절을 위해 턴버클을 부가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 house planting facility using a wire, and in particular, a support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using a wire after installing a support structure in front of and behind the green house, at this time, in order to securely hold the wire to the support It relates to a green house planting facility using a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a turnbuckle for fine length control.

주지하다시피, 비닐하우스는 아치형 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들 사이의 군데군데에 직선형 파이프를 고정하여 골조를 형성한 후 그 위에 투명재질의 비닐을 덮어 씌워 햇빛의 통과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내부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줌으로써 내부 바닥에 파종되거나 식재된 각종 채소류, 원예, 과일 등과 같은 농작물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 가능토록 한 구조물로서,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계절에 관계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또 재배된 농작물을 고가에 판매할 수 있어 농지에 대한 활용도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전국적으로 비닐하우스에 의한 농작물 재배가 보편화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in greenhouses, arched pip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straight pipes are fixed in places between them to form a frame, and then a transparent plastic is covered thereon to allow sunlight to pass naturally.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cultivation of crops such as various vegetables, gardening, fruits, etc. sown or planted on the internal floor by keeping the internal temperature constant by blocking ai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It is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crops can be grown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the cultivated crops can be sold at high pric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efficiency of farmland. The cultivation of crops is common.

그런데, 종래의 비닐하우스는 그 골조를 다수의 파이프를 엮어서 만드는 것이므로 지지력에 한계가 있어 동절기에 눈이 많이 쌓이는 경우 눈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쉽게 내려앉아 파손되고 또 태풍과 같이 심한 바람을 동반한 비가 내릴 경우에도 쉽게 휘어지는 문제가 있었던바, 이로 인해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이 냉해를 입게 되어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lastic house is made by tying up a number of pipes, there is a limit to its support, so if a lot of snow accumulates in winter, it cannot support the weight of the snow, so it can easily fall down and be damaged. There was a problem of bending easily even when it rained, and this caused cold damage to crops grown inside the plastic house, causing enormous damage to the farmhouse.

이를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제 415457 호에서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콘크리트를 내장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비닐하우스 지붕에 쌓인 눈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콘크리트가 내장된 고강도 하우스 파이프가 제안된바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415457, a high-strength house pipe with built-in concrete was proposed to prevent damage to the greenhouse due to snow accumulated on the roof of the greenhouse by reinforcing the rigidity by embedding concrete in the pipe for the greenhouse. There is a bar.

그러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은 비닐하우스의 지붕에 눈이 많이 쌓이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디어 내려앉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인데, 등록실용신안 제 415457 호에 따르게 되면 단순이 파이프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있을 뿐이어서 휨응력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어느 정도 까지는 눈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을지 몰라도 폭설이 내려 쌓일 경우에는 쉽게 무너져 내릴 수밖에 없는 것이었으며, 파이프의 내부에 무게가 무거운 콘크리트를 채워놓게 되면 파이프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비닐하우스 축조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되며, 특히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농촌 현실을 감안할 때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무게를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However, reinforcing the stiffness of pipes for green houses is to withstand the load sufficiently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down even if there is a lot of snow on the roof of the greenhouse. According to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15457, the simplicity of the pipe is It is a structure that is inevitable to be vulnerable to bending stress because it is filled with concrete inside. Therefore, it may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caused by snow to some extent, but if it accumulates under heavy snow, it must collapse easily, and the weight inside the pipe If the pipes are filled with heavy concrete, the weight of the pipe itself becomes heavy and handling becomes very difficult.Therefore,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building a green house.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reality of an aging rural area, increasing the weight of pipes for green houses is not practically appropriate.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또한, 비닐하우스의 축조시 현장 여건에 따라 또는 대응되는 파이프의 위치에 따라 파이프들을 약간씩 휘어서 설치하기도 하는데, 등록실용신안 제 415457 호와 같이 파이프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상태로 보급하게 되면 파이프를 쉽게 휠 수 없어 비닐하우스 축조에 더욱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green house, the pipes are slightly bent and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or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If the pipe is supplied with concrete filled inside the pipe as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Since it cannot be easily bent, there is inevitably more difficulty in building a green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앞뒤에 지주대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되, 이때 지주대에 와이어를 단단히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미세길이 조절을 위해 턴버클을 부가설치하여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단단한 비닐하우스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upport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wire after installing the posts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green house, at this time,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a turnbuckle for fine length adjustment in order to firmly hold and fix the wire to the post. It has its purpose to manufacture a fast, simple and solid vinyl house by additional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재배 비닐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지주대(10)와, 상기 지주대 사이를 공중에서 연결하는 지지용 와이어(2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를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의 미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4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edge-type temporary in order to catch and fix the support wire (20) and the support wire (20) for connecting in the air between the holding stand (10)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cultivation plastic hou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30 and a turnbuckle 40 for adjusting the fine length of the supporting wire.

또한, 상기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는, 원통형 외부 하우징(31)과, 테이퍼진 2분할형 와이어 지지구(32)와, 상기 원통형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하되 와이어 지지구를 정렬시키는 결합용 캡(33)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30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the tapered two-segment type wire support 32, and the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but aligns the wir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ragon cap (33).

또한, 상기 와이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무게감지 센서(100)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게감지 센서의 결과를 입력받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서 일정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a weight sensor 1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200; A control unit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ight detection sensor to receive a result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It is made by being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a certain weight is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ource; A first relay switch (RY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a circuit while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s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power is suppli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sw2)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By switching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s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sustain the flow of power;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and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connect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alarm device to be operated. Dragon iron piece 1132 and;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iron plate 1131, and the lower end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with an S pole,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due to the S po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 A first self-holding means (1133) for inducing always to maintain the off state;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bu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is pushed to each other. The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pushed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 off state,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pulled to for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the S-pole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body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and at the same time,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positioned in close proximity. When the holding means 1133 is magnetically coupled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the attaching state of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continues to turn the first relay switch. The second self-maintenance operates to output the alarm signal to the outside by maintaining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automatically operates when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ing iron plate (113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interval, and the lower end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nd the upper end is pushed against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ut-off state of the circuit,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maintain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t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when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guid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gap. And a spacer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be natu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dismantling; It is combined with the iron piec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operates by turning off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that induces no more alarm signals to be output by stopping the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앞뒤에 지주대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되, 이때 지주대에 와이어를 단단히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미세길이 조절을 위해 턴버클을 부가설치하여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단단한 비닐하우스를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using a wire after installing a support structur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inyl house, at this time,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a fine length in order to securely hold and fix the wire to the support. It has the effect of manufacturing a fast, simple and hard vinyl house by installing additional turnbuckles for adjus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턴버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턴버클 결합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와이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een house planting facility using the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turnbuckl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the turnbuckle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wir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the automatic output of the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7.
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for a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describ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is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below and omitte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lready used in the past will be easily understood, and the configurations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elem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will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us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key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cor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een house planting facility using the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턴버클 구성도.Figure 2 is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turnbuckl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턴버클 결합부재의 결합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the turnbuckle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쇄기형 임시고정부재와 와이어 결합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and wir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the automatic output of the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재배 비닐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지주대(1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형 와이어(2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를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의 미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rgely a strut 10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ultivation vinyl house, a connection type wire 20 connecting the support wire, and a chain to catch and fix the support wire It comprises a deform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and a turnbuckle 40 for adjusting the fine length of the supporting wire.

미설명부호 200은 풍력발전기로서 전원공급이 필요한 수단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200 is a wind power generator so that electricity can be supplied to a means that requires power supply.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지주대(10)는 농지의 전후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The holding stand 10 is made by installing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rmland.

상기 지주대(10)는 후술하는 와이어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땅속에 깊숙히 박아서 고정시킨다.Since the holding stand 10 needs to fix a wire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ixed by driving it deep into the ground.

상기 지지용 와이어(20)는 지주대 사이를 연결하며 비닐 하우스를 안정적으로 펼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즉, 종래에는 상부 및 측면 지지를 위해서 별도의 지주대를 다수개 구비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지지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빠르고 쉽게 비닐하우스 뼈대를 완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큰 강도로 지주대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쉽게 무너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The support wire 20 connects between the support bars and serves as a support for stably spreading the plastic house. That is, in the related art, a plurality of separate support bars were provided for upper and side support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using a support wire, so that not only can the plastic house frame be completed quickly and easily, but also very larg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truts for strength and does not easily collapse due to external impact.

상기 쐐기형 임시고정부재(30)는 원통형 외부 하우징과, 테이퍼진 2분할형 와이어 지지구와, 상기 원통형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하되 와이어 지지구를 정렬시키는 결합용 캡으로 이루어진다. The wedge-shap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outer housing, a tapered two-segment wire support, and a coupling cap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but aligns the wire support.

이하에서 쐐기형 임시고정부재(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wedge-shap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쐐기형 임시고정부재(30)는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 외부 하우징(31)을 구비한 상태에서 2분할된 와이어 지지구(32)를 삽입하며, 이때 와이어 지지구(32)는 중앙에 와이어 통과용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결합하되 와이어 지지구의 외관이 테이퍼진 형태이고 아울러 원통형 외부 하우징의 내측이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맞물리며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20)를 와이어 지지구(32)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지지구(32)를 원통형 외부 하우징(31)에 삽입하고 이어 결합용 캡(33)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와이어 지지구(32)가 삽입되면서 와이어(20)를 조여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유도한다. 즉, 와이어(20)를 잡아당기면 와이어(20)가 움직이나 와이어(20)가 후퇴 방향으로 움직이려하면 와이어 지지구(32)가 붙잡아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아울러, 와이어 지지구(32)의 와이어 통과용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와이어의 지지를 보다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지지구(32)는 원통형 외부 하우징(31)의 외측으로 튀어 나오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시설물을 해체하기 위해서 와이어를 움직이려할때 상기 튀어나온 와이어 지지구(32)를 타격하여 원통형 외부 하우징(31)의 내측을 따라 강제로 움직이도록함으로서 와이어(20)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만약에 와이어 지지구(32)가 원통형 외부 하우징(31)의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으면 와이어(20)를 해체시에 와이어(20)를 움직이기 어려우며 이는 와이어(20)가 와이어 지지구(32)에 강력하게 결합되기 때문이다.The wedge-shap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inserts a wire support unit 32 divided into two in a state provided with a hollow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wherein the wire support unit 32 is a hole for wire passage in the center. This is formed so that the wires are combined, but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support is tapered, and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and is engaged. Accordingly, when the wire 20 is passed through the wire support 32 and the wire support 3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and then coupled with the coupling cap 33, the wire support 32 ) Is inserted, tightening the wire 20 to induce it not to move. That is, when the wire 20 is pulled, the wire 20 moves, but when the wire 20 attempts to move in the retreat direction, the wire support device 32 grabs and blocks the movement.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in the hole for passing the wire of the wire support unit 32 so that the support of the wire can be performed more completely. In addition, the wire support unit 32 is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and thus, when moving the wire to dismantle the facility, it strikes the protruding wire support unit 32 By forcibly mov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31, the wire 20 may move. If the wire support 32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it is difficult to move the wire 20 when disassembling the wire 20, which means that the wire 20 is attached to the wire support 32. Because it is strongly combined.

또한, 상기 쐐기형 임시고정부재(30)의 외측에는 와이어의 미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40)을 설치하는바, 상세하게는 턴버클 결합부재(41)를 먼저 쐐기형 임시고정부재(30)에 결합후 상기 턴버클 결합부재(41)를 이용하여서 턴버클(40)을 결합시킨다. 그러면, 와이어(20)의 길이를 살짝 조절할때 굳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를 조작하지 않아도 턴버클(40)의 외측을 움직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와이어(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turnbuckle 40 for adjusting the fine length of the wir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edge-shap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and in detail, the turnbuckle coupling member 41 is first wedge-shaped temporary fixing member 30. After being coupled to, the turnbuckle 40 is coupled using the turnbuckle coupling member 41. Then, when the length of the wire 20 is slightly adjusted, the length of the wire 20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of moving the outside of the turnbuckle 40 without dare to manipulate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30.

상기 턴버클(40)은 볼트와 너트 구조의 결합이므로 너트에 해당하는 턴버클의 외측을 움직이게 되면 볼트 양측에 움직이게 되며 볼트 일측이 결합되는 와이어가 움직이면서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와이어가 쳐져 있을 경우 턴버클을 움직여서 쉽게 와이어를 짧게 변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turnbuckle 40 is a combination of a bolt and a nut structure, when the outside of the turnbuckle corresponding to the nut is moved, it moves on both sides of the bolt, and the wire to which one side of the bolt is connected moves, the overall length becomes short, so when the wire is striking, the turnbuckle is moved. You can easily change the wire shortly.

또한, 와이어(20)의 상부에 까마귀와 같은 조류가 침투하여 농작물을 훼손시킬수 있는바, 본 발명은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무게감지 센서(100)를 설치하여 기준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해결토록 한다.In addition, algae such as crows can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wire 20 to damage the crop. In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detection sensor 100 is installed on the wire at regular intervals to output an alarm signal when a weight exceeding the standard is detected. To solve this.

즉, 본 발명은 무게감지 센서(100)와, 제어부(300)와,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비하며, 무게감지 센서(100)에 의해서 일정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detection sensor 100, a control unit 300, and an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and when a certain weight or more is sensed by the weight detection sensor 100, the control unit 300 The alarm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according to the control.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relay switch RY1, a second relay switch RY2, a third relay switch RY3, an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 sw1),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n alarm control unit 1120.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unit 1110 applies power by its own power.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to switch the power supply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to induce the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Plays a role.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n. By switching off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alarm state. It serves to sustain.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an alarm signal operation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a first self-holding means (1133), a second self-holding means (1134), and auxiliary self-holding Th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means 1133a, a gap agent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s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sustain the flow of power.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and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connect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nduce the alarm device to be activated.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ed iron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o that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 po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 sw1) and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are induced to always be in the off 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bu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first magnetic holding unit has an S pole at the lower end. By pushing the means (1133) mutually pushing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on of the circuit to maintain the electrical off state,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on of the circuit is pulled to constitute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pole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the S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pole is positioned close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self-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the iron piece (1131) for circuit operation is attached. The state continues to maintain the stat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output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iron plate (113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is made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nd the upper end is 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while being pushed against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ut-off state of the circuit, and the circuit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lost, so that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is turned off.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it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spacer (1134a)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when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 constant gap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induced to be coupled while holding them, and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disassembled, the action of the spacer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each other more naturally. If the spacer does not exist, since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each other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is additionally installed so that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And, the reason why the spacer is install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at this time, the 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Since the pole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face each other, the separation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er is wrapped up to the S pole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strength of pushing the S poles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 Maintaining the separation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is install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so that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Due to the arrangement, the magnetic coupling state was easily maintained with each other. In fact,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hereby being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when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lowering state of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continues,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upled to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while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is off,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The power connection iron piece is turned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so that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output.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looking at the control relationship for outputting the alarm signal,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Accordingly, a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power switch sw2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power is appli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an alarm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operates, the control unit block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alarm signal output while the alarm signal is being output, the control unit detects this, and then operat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While moving, the closed circuit is maintained and the power output to the alarm signal control unit 1140 is restor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larm factor is not solved, the warning sound is continuously output, so that the alarm factor is necessarily solved.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power is restored and the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alarm signal is blocked because it does not recognize that the alarm condition is completely removed, Since it is reactivate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resolve the cause of the alarm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the control unit acknowledges that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necessary, the power signal is no longer appli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ipul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manually block the alarm signal. You can make it.

10: 지주대
20: 지지형 화이어
30: 쇄기형 임시고정부재
31: 원통형 외부 하우징
32: 와이어 지지구
33: 결합용 캡
40: 턴버클
100: 무게감지 센서
200: 풍력 발전기
3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10: prop
20: supported fire
30: Wedge-type temporary fixing goods
31: cylindrical outer housing
32: wire support
33: coupling cap
40: turnbuckle
100: weight detection sensor
200: wind generator
300: control unit
1000: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Claims (4)

재배 비닐 하우스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지주대(10)와, 상기 지주대 사이를 공중에서 연결하는 지지용 와이어(2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를 잡아메어 고정시키기 위해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와, 상기 지지용 와이어의 미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4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쇄기형 임시고정부재(30)는,
원통형 외부 하우징(31)과, 테이퍼진 2분할형 와이어 지지구(32)와, 상기 원통형 외부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하되 와이어 지지구를 정렬시키는 결합용 캡(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무게감지 센서(100)와; 상기 무게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게감지 센서의 결과를 입력받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서 일정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재배시설.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s (10)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cultivation vinyl house, a support wire 20 connecting the support in the air, and a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 30) and a turnbuckle 40 for adjusting the fine length of the supporting wire;

The wedge-type temporary fixing member 30,
Consisting of a cylindrical outer housing 31, a tapered two-segment type wire support 32, and a coupling cap 33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housing and aligns the wire support;

A weight sensor 100 installed on the wire 20; A control unit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eight detection sensor to receive a result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It is made by being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a certain weight is detected by the weight detection sensor;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ource;
A first relay switch (RY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a circuit while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s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power is suppli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sw2)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By switching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s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sustain the flow of power;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and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connected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alarm device to be operated. Dragon iron piece 1132 and;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iron plate 1131, and the lower end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with an S pole,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due to the S po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 A first self-holding means (1133) for inducing always to maintain the off state;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bu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is pushed to each other. The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pushed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 off state,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pulled to for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the S-pole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body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and at the same time,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positioned in close proximity. When the holding means 1133 is magnetically coupled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the attaching state of the iron piece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continues to turn the first relay switch. The second self-maintenance operates to output the alarm signal to the outside by maintaining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automatically operates when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ing iron plate (113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interval, and the lower end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and the upper end is pushed against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ut-off state of the circuit, and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operating iron piece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maintain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t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when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guid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gap. And a spacer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be natu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dismantling;
It is combined with the iron piec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operates by turning off the iron piece for circuit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for power connection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Green house cultivation facility using a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inducing the alarm signal to be output no more by stopping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8328A 2017-08-27 2017-08-27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KR102162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28A KR102162514B1 (en) 2017-08-27 2017-08-27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28A KR102162514B1 (en) 2017-08-27 2017-08-27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32A KR20190023032A (en) 2019-03-07
KR102162514B1 true KR102162514B1 (en) 2020-10-06

Family

ID=6576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328A KR102162514B1 (en) 2017-08-27 2017-08-27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5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67B1 (en) * 2022-11-09 2024-01-29 이장환 A constru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basics steel frame of air do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48B1 (en) * 2022-03-24 2022-09-21 주식회사 현대웍스 vinyl greenho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165A (en) 2011-01-07 2012-08-02 Daitsu:Kk Bellows tun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76B1 (en) * 2009-07-10 2012-02-23 유지현 Frame system for vinyl house
KR101164868B1 (en) * 2009-11-19 2012-08-16 오상기 A Wire-Connecting Assembly
KR20120057484A (en) * 2010-11-26 2012-06-05 송진혁 A Turn-buckle
KR101753841B1 (en) * 2015-03-10 2017-07-04 방준환 Green house having rope
KR20170004433A (en) * 2015-07-02 2017-01-11 한창하 Awning screens frame for cultivation ginse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165A (en) 2011-01-07 2012-08-02 Daitsu:Kk Bellows tu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67B1 (en) * 2022-11-09 2024-01-29 이장환 A constru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basics steel frame of air do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032A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514B1 (en)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ITUA20163692A1 (en) DEVICE FOR PROTECTING PLANTS AND AGRICULTURAL FIELDS FROM NATURAL EVENTS TYPE OF RAIN AND RAIN
JP5495451B2 (en) Falling animal capture device
KR102162513B1 (en) Vinyl House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CN207363390U (en) A kind of gardens guardrail
KR102156961B1 (en) Vine Plant Crop Production Facility Using Wire
KR101753841B1 (en) Green house having rope
KR101431470B1 (en) Vinyl house pipe installation structure
CN207314993U (en) A kind of reinforced afforestation isolated column
CN205400255U (en) Combination rail
CN210713954U (en) Intelligent view corridor frame
JP2014087315A (en) Supporting trellis for climbing plant
KR200457951Y1 (en) Floating Tent
KR20090111624A (en) The supporter for wire netting fence
CN204590766U (en) A kind of electric bracket
CN202857659U (en) Overhead large-space insect prevention device
CN219352557U (en) Simple net wall device for isolating diaphorina citri and supporting upright post thereof
CN201459617U (en) Vertical cantilever type protective system
RU2256758C1 (en) Free-standing single-stand power transmission pole
KR20140100816A (en) Structure for Fixing Wire-Mesh Type Fence
CN204409337U (en) The solar insect-killing light that a kind of low Rizhao Area is improved
KR101199333B1 (en)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ent Pole Assembly
CN203424543U (en) Novel portable assembly hammock
CN220211221U (en) Growth auxiliary facility for flower shrubs under unfavorable climatic conditions
CN108952040A (en) A kind of balcony guardrail that environment-friendly type safety is hig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