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64B1 - 병렬 인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렬 인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464B1
KR102162464B1 KR1020180006834A KR20180006834A KR102162464B1 KR 102162464 B1 KR102162464 B1 KR 102162464B1 KR 1020180006834 A KR1020180006834 A KR 1020180006834A KR 20180006834 A KR20180006834 A KR 20180006834A KR 102162464 B1 KR102162464 B1 KR 10216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controller
parallel
data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593A (ko
Inventor
이봉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00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64B1/ko
Priority to PCT/KR2018/004045 priority patent/WO2019142972A1/ko
Publication of KR2019008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9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he static converters being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2007/48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병렬 인버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마스터 제어기는 제1송신단과 제1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1통신포트와 제2송신단과 제2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2통신포트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제어기 각각은 제3송신단과 제3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3통신포트와 제4송신단과 제4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4통신포트를 포함하여, 각각의 인버터 제어기가 이중화된 통신라인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병렬 인버터 시스템{PARALLEL INVERTER SYSTEM}
본 발명은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란,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입력받아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 속도를 고효율로 이용하게 제어하는 일련의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적용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고압 인버터와 저압 인버터로 구분된다.
이중 저압 인버터는 적용되는 부하의 용량범위가 수백 W에서 수 MW의 범위인 인버터이다. 저압 인버터는 모든 용량범위에서 단독운전이 가능하지만 수백 kW 이상의 경우도 단독운전하게 설계하면, 인버터 내부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한계 및 기구설계 제약 등으로 인해 설계 효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통상 일정 용량 이상의 인버터는 설계용량보다 적은 용량의 복수의 인버터가 병렬운전하도록 설계된다.
복수의 인버터를 병렬운전하는 경우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며, 이중 하나의 주제어기(마스터 제어기)와 복수의 보조 제어기(슬레이브 제어기)로 구성하여 마스터 제어기와 슬레이브 제어기간 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버터 병렬운전에서는 통신라인의 노이즈 대처를 위해 대부분 광통신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라인에 문제가 발생하여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 인버터의 오동작으로 인해 출력전류가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기신호 분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병렬 인버터 시스템은 마스터 인버터(1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200)로 구성된다.
각 인버터의 출력전류를 인버터 제어기(C)(110, 210)가 저장하고 마스터 인버터의 제어기(마스터 제어기)(110)가 이를 요구하면 제어기간 통신라인(1A)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110)로 전송된다. 마스터 제어기(110)는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인버터(100, 200)의 출력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신호를 연산한다.
마스터 제어기(110)에 의해 연산된 PWM 제어신호는 통신라인(1A)을 통해 슬레이브 인버터의 제어기(슬레이브 제어기)(210)로 각각 전송되고, 각각의 인버터 제어기(110, 210)는 마스터 제어기(110)가 생성한 PWM 동기신호(1B)에 동기되어 PWM 제어신호를 스위치모듈(120, 220)로 출력한다. 스위치모듈(120, 220)은 PWM 제어신호에 의해 교류전압을 출력하여 전동기(500)로 각각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인버터의 병렬운전에서 중요한 것은 인버터 제어기(110, 210)간 빠른 데이터의 송수신과 PWM 신호의 동기이다.
도 2는 인버터 제어기간 통신과 인버터 제어기와 싱크허브(300)간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인버터는 대전압 및 전류를 스위칭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통신선이나 PWM 동기신호에 노이즈가 인가되어 오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병렬운전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을 위한 케이블(1A, 1B, 1C)은 보통 광케이블이 사용된다.
이때 마스터 제어기(110)의 송신단(Tx)과 다음 슬레이브 제어기(210)의 수신단(Rx)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해당 슬레이브 제어기(210)의 송신단(Tx)과 그 다음 슬레이브 제어기(210)의 수신단(Rx)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마지막 슬레이브 제어기(210)의 송신단(Tx)와 마스터 제어기(110)의 수신단(Rx)을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통신의 제어는 마스터 제어기(110)가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서는, 인버터 제어기간 통신이 링 네트워크를 구성하므로, 연결된 통신선 중 하나에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지점 이후의 인버터 제어기는 통신이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통신의 단절로 인해 PWM 신호의 동기가 틀어지게 되어 인버터의 출력전류가 전동기(500)로 흐르지 않고 다른 인버터로 흐르게 되면서 인버터의 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버터의 통신을 이중화하여 인버터 통신라인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인버터 제어를 유지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스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마스터 인버터와 각각 슬레이브 제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전동기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제1송신단과 제1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1통신포트와 제2송신단과 제2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2통신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 각각은 제3송신단과 제3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3통신포트와 제4송신단과 제4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4통신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제어기와 일방향으로 병렬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의 제4수신단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송신단으로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제어기와 타방향으로 병렬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의 제3수신단으로 전송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의 상기 제3송신단과 상기 제4수신단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수신단으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3송신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4수신단과 상기 제3송신단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수신단으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4송신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수신단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2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수신단으로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송신단을 통해 동기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및 제1수신단으로 상기 동기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병렬연결된 마스터 인버터 및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간 통신라인의 단선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또는 제1수신단 중 어느 하나 이상 동기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단선되지 않은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또는 제1수신단 중 어느 하나 이상 동기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송신단을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및 제1수신단으로 상기 동기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1 또는 제2송신단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병렬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 응답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병렬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부터 응답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송신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 응답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는, 상기 제3수신단을 통해 상기 응답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3송신단을 통해 응답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라인에 단선이 없는 경우는 단방향으로,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는 양방향으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병렬 인버터 시스템의 통신안정성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전동기의 제어안정성을 제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선이 발생한 통신라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기신호 분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서 인버터 제어기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렬 인버터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서 인버터 제어기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버터 시스템은, 마스터 인버터(1)와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2)를 포함한다. 마스터 인버터(1)와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2)는 전원입력부(4)로부터 삼상의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상위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마스터 인버터(1)에 전달되는 운전지령 및 주파수지령을 이용하여 합성된 삼상의 전압을 전동기(3)에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인버터(1)는 제어기(11)(이하, '마스터 제어기'(MC)라 함)와 전압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모듈(SW)(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인버터(2)는 제어기(21)(이하, '슬레이브 제어기'(SC)라 함)와 전압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치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인버터의 구성요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욱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과 무관한 인버터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인버터 제어기(11, 21)간의 통신라인을 이중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마스터 제어기(11)와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21)는 각각 두개의 수신단(Rx1, Rx2)과 송신단(Tx1, Tx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통신포트를 구비하던 종래의 인버터 제어기와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버터 제어기(11, 21)는 두개의 통신포트를 구비하며, 하나의 통신포트에는 송신단과 수신단이 각각 포함된다. 즉, 제1통신포트는 제1송신단(Tx1)과 제1수신단(Rx1)으로 구성되고, 제2통신포트는 제2송신단(Tx2)과 제2수신단(Rx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마스터 제어기(11)와 슬레이브 제어기(21) 모두 동일하다.
마스터 제어기(11)의 제1송신단(Tx1)은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2송신단(Rx2)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2송신단(Tx2)은 마스터 제어기(11)의 제1수신단(Rx1)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송신단(Tx2)은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1수신단(Rx1)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1송신단(Tx1)은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수신단(Rx2)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송신단(Tx2)은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수신단(Rx1)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송신단(Tx1)은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수신단(Rx2)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N-1)슬레이브 제어기(21-(N-1))의 제2송신단(Tx2)은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1수신단(Rx1)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1송신단(Tx1)은 제(N-1)슬레이브 제어기(21-(N-1))의 제2수신단(Rx2)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마스터 제어기(11)는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와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는 마스터 제어기(11)와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방향으로 전달되는 광케이블의 특성을 개선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슬레이브 제어기(21)의 내부를 도면을 참조해 보면, 제1수신단(Rx1)과 제2송신단(Tx2)이 연결되어 제1수신단(Rx1)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제2송신단(Tx2)으로 제공되고, 제1송신단(Tx1)과 제2수신단(Rx2)이 연결되어 제2수신단(Rx2)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제1송신단(Tx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서, 병렬연결된 복수의 인버터(1, 2)의 인버터 제어기(11, 21)는 각각 제1 및 제2송신단과 제1 및 제2수신단을 구비하여 이중화된 외부의 통신라인(4A)에 의해 연결되며, 슬레이브 제어기(21)의 제1송신단과 제2수신단, 및 제2송신단 및 제1수신단은 내부적으로 신호선(4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슬레이브 제어기(21)의 내부에서 제1송신단과 제2수신단, 및 제2송신단 및 제1수신단이 연결되어, PWM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WM 제어기(23)로 신호가 전송되지 않고 바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빠르게 통신라인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마스터 제어기(11)는 제1 및 제2송신단(Tx1, Tx2)을 통해 동기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인버터 시스템에서 제어기간 단선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기(11)의 제1송신단(Tx1)을 통해 전송되는 동기데이터는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2수신단(Rx2),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1송신단(Tx1), ...,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2수신단(Rx2),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송신단(Tx1),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수신단(Rx2), 및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1송신단(Tx1)을 거쳐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수신단(Rx2)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링통신 경로를 5A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
또한,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전송되는 동기데이터는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1수신단(Rx1),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송신단(Tx2),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수신단(Rx1),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2송신단(Tx2), ...,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1수신단(Rx1) 및 제N슬레이브 제어기(21-N)의 제2송신단(Tx2)을 거쳐 마스터 제어기(11)의 제1수신단(Tx1)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역시 하나의 링통신 경로를 5B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
만약, 도 6과 같이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송신단(Tx2)과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수신단(Rx1) 사이의 통신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경로 5A를 통해 전송되는 동기데이터는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수신단(Rx2)을 통해 수신되지만, 경로 5B를 통해 전송되는 동기데이터는 도 6과 같이 마스터 제어기(11)의 제1수신단(Rx1)을 통해 수신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마스터 제어기(11)는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기(11)는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방향으로만(즉, 제1송신단(Tx1) 또는 제2송신단(Tx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PWM 제어신호를 전송하지만,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PWM 제어신호를 양방향으로(즉, 제1송신단(Tx1) 및 제2송신단(Tx2) 모두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통신라인에 단선이 없는 경우는 단방향으로,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는 양방향으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동기(3)의 제어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마스터 제어기(11)가 응답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슬레이브 제어기(21)는 동일한 통신포트의 송신단을 통해 응답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마스터 제어기(11)가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로 응답요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를 수신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전송되는 응답요청 데이터는,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1수신단(Rx1),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수신단(Rx1)으로 수신된다.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는 해당 응답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동일 포트인 제1송신단(Tx1)을 통해 송신하고,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수신단(Rx2), 제1송신단(Tx1)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11)의 제2수신단(Rx2)으로 입력될 수 있다.
만약, 도 6의 케이스와 같이 제1 및 제2슬레이브 제어기(21-1, 21-2) 사이의 통신라인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로 응답요청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응답데이터 역시 마스터 제어기(11)가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제1송신단(Tx1)을 통해 응답요청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경로를 통해 응답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스터 제어기(11)는 단선이 발생한 곳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제어기(11)는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모든 슬레이브 제어기(21)에 대한 응답요청 데이터를 제1송신단(Tx1) 및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송신단(Tx1)을 통해 전송된 응답요청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 슬레이브 제어기(21)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제2송신단(Tx2)을 통해 전송된 응답요청 데이터는 제1슬레이브 제어기(21)로부터만 수신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제어기(11)는 제1슬레이브 제어기(21-1)의 제2송신단(Tx2)과 제2슬레이브 제어기(21-2)의 제1수신단(Rx1) 사이에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선이 발생한 통신라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병렬 인버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마스터 인버터(1)의 마스터 제어기(11)에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제어기(11)는 제1 및 제2송신단(Tx1, Tx2)을 통해 동시에 동기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1). 마스터 제어기(11)는, 해당 동기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수신단(Rx1, Rx2)으로 동기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82).
만약, 제1 및 제2수신단(Rx1, Rx2)으로 동기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라인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송신단(Tx1) 또는 제2송신단(Tx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3).
마스터 제어기(11)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는, 각 인버터(1, 2)의 스위칭모듈(13, 23)을 제어하기 위한 PWM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인버터(1, 2)의 출력전류는 소정의 전류검출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어 각 인버터 제어기(11, 21)로 전달되며, 마스터 제어기(11)의 요구(응답요청 데이터)에 따라 통신라인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11)로 전송(응답 데이터)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기(11)는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인버터(1, 2)의 PWM 제어신호를 연산하며, 연산된 PWM 제어신호는 통신라인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제1송신단(Tx1) 또는 제2송신단(Tx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만약, S82의 확인 결과, 제1 및 제2수신단(Rx1, Rx2)으로 동기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수신단만 동기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통신라인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결정하고(S84), 제1 및 제2송신단(Tx1, Tx2)을 통해 제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5).
각각의 인버터 제어기(11, 21)는 마스터 제어기(11)로부터 수신한 제어데이터인 PWM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PWM 제어기(13, 23)에 전달하고, PWM 제어기(13, 23)는 PWM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모듈(12, 22)에 대한 PWM 제어를 수행하여 스위치모듈(12, 22)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이 전동기(3)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제어기(11)는 동기데이터의 전송을 통해 통신라인의 이상을 간단하게 판단하고, 제어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함으로써,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 통신 안정성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전동기 제어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인버터 3: 전동기
4: 전원입력부 10: 마스터 인버터
20: 슬레이브 인버터 11: 마스터 제어부
21: 슬레이브 제어부 12, 22: 스위칭모듈
13, 23: PWM 제어부

Claims (8)

  1. 마스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마스터 인버터와 각각 슬레이브 제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전동기를 제어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제1송신단과 제1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1통신포트와 제2송신단과 제2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2통신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 각각은 제3송신단과 제3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3통신포트와 제4송신단과 제4수신단으로 구성되는 제4통신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제어기와 일방향으로 병렬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의 제4수신단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2송신단으로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제어기와 타방향으로 병렬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의 제3수신단으로 전송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의 상기 제3송신단과 상기 제4수신단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수신단으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3송신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3수신단과 상기 제4송신단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수신단으로 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4송신단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수신단으로 수신되고, 상기 제2송신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수신단으로 수신되도록 구성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송신단을 통해 동기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및 제1수신단으로 상기 동기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병렬연결된 마스터 인버터 및 복수의 슬레이브 인버터간 통신라인의 단선을 확인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또는 제1수신단 중 어느 하나 이상 동기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단선되지 않은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또는 제1수신단 중 어느 하나 이상 동기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송신단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2 및 제1수신단으로 상기 동기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슬레이브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1 또는 제2송신단 통해 전송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제1송신단을 통해 병렬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 응답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병렬연결된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부터 응답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송신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기 중 하나로 응답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는,
    상기 제3수신단을 통해 상기 응답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3송신단을 통해 응답데이터를 송신하는 병렬 인버터 시스템.
KR1020180006834A 2018-01-19 2018-01-19 병렬 인버터 시스템 KR10216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34A KR102162464B1 (ko) 2018-01-19 2018-01-19 병렬 인버터 시스템
PCT/KR2018/004045 WO2019142972A1 (ko) 2018-01-19 2018-04-06 병렬 인버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34A KR102162464B1 (ko) 2018-01-19 2018-01-19 병렬 인버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93A KR20190088593A (ko) 2019-07-29
KR102162464B1 true KR102162464B1 (ko) 2020-10-06

Family

ID=6730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834A KR102162464B1 (ko) 2018-01-19 2018-01-19 병렬 인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2464B1 (ko)
WO (1) WO20191429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638A (ko) 2021-05-21 2022-11-29 (주)피씨에스컴퍼니 Pwm 인버터의 병렬 운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6654C (zh) * 2005-07-08 2007-12-19 浙江大学 一种逆变电源的自动主从并联装置
KR101792040B1 (ko) * 2011-11-25 2017-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병렬 인버터 시스템
US8836394B2 (en) * 2012-03-26 2014-09-16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urce-synchronous signaling
WO2013190609A1 (ja) * 2012-06-18 2013-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150141316A (ko) * 2014-06-10 2015-12-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병렬운전 인버터 시스템의 pwm 동기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638A (ko) 2021-05-21 2022-11-29 (주)피씨에스컴퍼니 Pwm 인버터의 병렬 운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72A1 (ko) 2019-07-25
KR20190088593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615B1 (en) Power over data lines system with redundant power connections
KR100938738B1 (ko) 전자 패치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
CN104065253A (zh) 电力变换装置、驱动装置及驱动方法
US8941342B2 (en) Integrated servo system
JP2022508004A (ja) 光学モジュール異常のリアルタイム監視機能を有するマルチモジュール光ファイバレーザ
KR20150141316A (ko) 병렬운전 인버터 시스템의 pwm 동기화 장치
US11082004B2 (en) Shutdow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162464B1 (ko) 병렬 인버터 시스템
WO2021249270A1 (zh) 光电收发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506274B1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반 입출력 확장형 이중화 알티유 시스템(rtu)
KR102066887B1 (ko) 이중화된 보호제어모듈을 구비한 모터제어반용 시스템
KR102101066B1 (ko) 고장 허용형 전력 네트워크
EP2929676B1 (en) A network device mounting rail for connecting removable modules
EP2079194B1 (en) Dual ring dedicated drive control system for medium voltage variable frequency drives
KR102485425B1 (ko) 파워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CN103744755A (zh) 主备单板端口共享保护的实现系统及方法
EP2990893B1 (en) Power supply returning apparatus
US20220329449A1 (en) Filtering-Based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ourcing Equipment,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20007657A (ko) 인버터
US20170357281A1 (en) Large scale sub-sea high voltage distributed dc power infrastructure using series adaptive clamping
EP2885866B1 (en) Improved diagnostics for multi-level medium voltage drive using mechanical bypass
US9774184B2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anaging device, method for detecting connection position of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CN111398794B (zh) 数字量输入信号检测电路及电梯控制器
US10983938B2 (en) Field bus system for driving power outputs
CN220421644U (zh) 电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