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47B1 -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447B1
KR102162447B1 KR1020200103566A KR20200103566A KR102162447B1 KR 102162447 B1 KR102162447 B1 KR 102162447B1 KR 1020200103566 A KR1020200103566 A KR 1020200103566A KR 20200103566 A KR20200103566 A KR 20200103566A KR 102162447 B1 KR102162447 B1 KR 10216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display unit
supply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호 filed Critical 박경호
Priority to KR102020010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패널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본체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면과의 거리와 거리에 따른 높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산출하는 높이 산출부; 및 상기 높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용화면의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야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에 이용화면이 표시되도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원하는 물품에 대하여 그에 상응하는 대가의 동전, 지폐 또는 이를 대신하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면 자동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기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커피, 캔이나 팩에 저장된 음료, 과자, 도서류 등의 각종 상품을 무인 판매 방식으로 판매한다. 자동판매기는 별도의 인력 없이도 물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과 전기가 공급되는 소정의 공간에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자동판매기는 판매 시간과 설치장소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점차 사용이 증대되고 있고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술 개발로 영화 예매표, 다양한 승차권, 음료, 담배를 넘어서 과자, 장난감, 책,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자판기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최근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는 추세로써, 극장, 음식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판매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어, 자동판매기 시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판매기는 일 측면에서만 물품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예매표나 승차권과 같이 특정 시간이 손님이 몰리는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등 빠른 이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품 선택을 하기 위한 버튼이 상부에 있어, 어린이, 노약자, 키가 작은 사람, 장애인의 경우에는 키가 맞지 않아 메뉴를 이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4948호(2020.05.13)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 복수의 사용자패널부가 형성되어 동시에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자동 판매기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여러대의 자동판매기 또는 티켓판매기를 설치하여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자동 판매기에서 음료 판매 및 티켓 발권이 동시에 가능하여, 각 기능에 따른 여러 기기를 설치하지 않고, 통합된 하나의 자동 판매기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최소화, 설치 공간 축소 등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패널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용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서 이용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센서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맞춰 사용자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패널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본체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면과의 거리와 거리에 따른 높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산출하는 높이 산출부; 및 상기 높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용화면의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야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에 이용화면이 표시되도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상기 사용자 패널부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하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하는 제3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양 측에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제4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연동되어 이용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이 수용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는 물품이 수용되며, 내부가 개방되도록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공급 바스켓;을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 일 측에서 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열지; 및 상기 감열지의 하부에서 프린팅하는 프린트;를 포함하여, 물품 공급 또는 티켓 발급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수납공간, 상기 감열지 및 상기 프린트가 개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하면, 상기 공급 바스켓이 개방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상기 사용자패널부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를 통해 물품을 선택하여,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급 바스켓으로 물품이 공급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에 형성된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마주보도록 상기 공급 바스켓이 축 회전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색약 모드 설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색상을 상기 색약 모드에 맞춰 변경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패널부의 전방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패널부의 전방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용화면을 표시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판매기에 복수의 사용자패널부가 형성되어 동시에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자동 판매기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여러대의 자동판매기 또는 티켓판매기를 설치하여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자동 판매기에서 음료 판매 및 티켓 발권이 동시에 가능하여, 각 기능에 따른 여러 기기를 설치하지 않고, 통합된 하나의 자동 판매기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최소화, 설치 공간 축소 등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패널부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용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서 이용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센서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맞춰 사용자패널부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3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및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공급 바스켓, 배출 박스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3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판매기(1)는 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하우징(110), 디스플레이부(120), 공급부(140), 공급 바스켓(150) 및 회전축(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자동 판매기(1)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외관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복수의 사용자패널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측 둘레면과 타 측 둘레면 각각에 사용자패널부(111)가 형성되어, 2개의 사용자패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는 사용자가 공급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티켓을 선택할 수 있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을 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패널부(111)는 사용자에게 이용화면(A)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는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복수의 사용자패널부(111) 각각마다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자동 판매기를 일측 방향에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발명은 전후 방향 각각에서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패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패널부(111)는 제1 사용자패널부(111a) 및 제2 사용자패널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사용자패널부(111a, 111b)가 두 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a, 111b)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두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설치되어, 사용자패널부(111)에 전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유연한 폴리이미드로 된 플라스틱 소재와 박막봉지 기술의 결합으로 구현된 플렉시블 O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경우, 투과율이 40%이상이기 때문에, 하우징(110) 내부의 구성물을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판매기(1)의 청결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에 디스플레이부(120)가 설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이용화면(A)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음료수 자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음료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방식으로 특정 음료와 같이 주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를 이용하여 이용화면(A)을 표시할 때,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이용화면(A)의 표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각 사용자패널부(11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21), 제2 디스플레이부(122), 제3 디스플레이부(123) 및 제4 디스플레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21)는 각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21)는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하우징(110)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122)는 제1 디스플레이부(121) 하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부(123)는 제2 디스플레이부(122) 하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하우징(110)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부(124)는 제3 디스플레이부(123)의 양 측에서 제3 디스플레이부(12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21)가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우징(110) 내부를 개방하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공급부(140)의 구성이 개방될 수 있다. 관리자는 공급부(140)의 물품 또는 감열지(143)의 추가 보충이 필요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21)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하우징(110)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21)가 형성되는 위치 및 높이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공급부(140)의 수납공간(141), 감열지(143)및 프린트(144)의 위치 및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부(143)가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개방하면,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공급 바스켓(150)이 개방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부(13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물건을 배출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부(130)가 개방되면 공급 바스켓(150)이 노출되어, 공급 바스켓(150)에 공급된 물품 또는 티켓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제3 디스플레이부(130)는 물품 또는 티켓을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는 토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21), 제2 디스플레이부(122), 제3 디스플레이부(123) 및 제4 디스플레이부(124)는 서로 연동되어 이용화면(A)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 및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급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을 수용되고, 티켓을 발급할 수 있다.
공급부(140)는 복수의 수납공간(141), 개방부(142), 감열지(143), 프린트(144) 및 기둥(1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공간(141)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복수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141) 내부의 복수의 공간 각각에는 서로 다른 물품이 보관될 수 있다. 수납공간(141)에는 음료, 과자 등 다양한 물품을 수용될 수 있다.
개방부(142)는 수납공간(141)의 하부에서 수납공간(141)의 복수의 공간 각각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142)는 수납공간(141)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개방부(14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수납공간(141)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개방부(142)가 힌지결합 되어 일 단이 하강됨으로써 수납공간(141)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납공간(141)에는 물품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가장 하부 물품의 상측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감열지(143)와 프린트(144)를 통해 영화 티켓, 기차 티켓, 영수증 등 발급이 가능하다. 감열지(143)와 프린트(144)는 수납공간(141)의 일 측에서 설치될 수 있다.
감열지(143)는 수납공간(141)의 일 측면에서 권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린트(144)는 감열지(143)의 하부에 설치되어, 권출되는 감열지(143)에 바코드, 안내 글자 등을 프린팅하여 영화 티켓, 기차 티켓, 영수증 등을 발급할 수 있다.
기둥(145)은 수납공간(141)의 하면에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납공간(141), 감열지(143), 프린트(144)을 지지할 수 있다. 기둥(145)의 하단은 하우징(110) 내측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원발명의 자동 판매기(1)에는 수납공간(141)과 감열지(143)와 프린트(144)를 포함하는 공급부(140)가 설치되어, 음료와 같은 물품 공급과 티켓 발매를 하나의 자판기에서 이용 가능하다.
공급 바스켓(150)은 공급부(140)에서 낙하한 물품을 수용하여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은 기둥(145) 내측에서, 수납공간(141)과 감열지(143)와 프린트(144)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에는 슬라이딩 도어(150a)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50a)는 공급 바스켓(150)의 일 둘레에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부(123)가 하우징(110)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슬라이딩 도어(150a)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공급 바스켓(150) 내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공급 바스켓(150) 내부에 수용된 물품 또는 티켓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은 공급부(140)의 하부에서 회전축(160)에 의해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패널부(111)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111)를 통해 물품을 선택하여 공급부(140)에서 공급 바스켓(150)으로 물품이 공급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한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111)에 형성된 제3 디스플레이부(123)와 슬라이딩 도어(150a)가 마주보도록 공급 바스켓(150)이 축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10) 내부에는 회전축(16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
추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축(160)이 공급부(140)의 하부까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과 회전축(16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공급 바스켓(150)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과 동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급 바스켓(150)은 회전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가 공급부(140)에서 물품을 공급받을 경우, 공급 바스켓(150)은 회전축(160)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급부(140)의 하부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또는 티켓이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 바스켓(15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 바스켓(150)은 경사면(15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51)은 공급 바스켓(150)의 내부 바닥면으로써, 경사면(151)은 슬라이딩 도어(150a)의 반대 면에서부터 슬라이딩 도어(150a)가 형성된 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40)에서 물품이 공급 바스켓(150)의 경사면(151)으로 물품이 낙하하면, 경사면(151)의 경사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150a) 측으로 물품이 미끄러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18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는 가림막(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180)은 비 오는 날 또는 한 여름에 인출되어, 각 사용자패널부(11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20)를 비 또는 높은 온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가림막(180)은 각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가림막(180)은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50)의 블록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자동 판매기(1)는 카메라부(20), 높이 산출부(30), 제어부(40), 센서부(50), 스피커(60), 음성인식부(70), 통신부(80) 및 분석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에 설치되어, 사용자패널부(111)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20)는 사용자패널부(111)에서 디스플레이부(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산출부(30)는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사용자패널부(111) 전면과의 거리, 거리에 따른 높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카메라부(20), 높이 산출부(30), 센서부(50), 스피커(60), 음성 인식부(70), 통신부(80) 및 분석부(90)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40)는 높이 산출부(30)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이용화면(A)의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야 높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20)의 높이에 이용화면(A)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성인이나 키가 큰 사람에게는 이용화면(A)이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인 등 키가 작은 사람에게는 이용화면(A)이 제1 디스플레이부(121)의 하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122)에 걸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40)는 제1 디스플레이부(121), 제2 디스플레이부(122), 제3 디스플레이부(123) 및 제4 디스플레이부(124)가 서로 연동되어 하나의 이용화면(A)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광고하고자하는 콜라 제품이 제1 디스플레이부(121), 제2 디스플레이부(122), 제3 디스플레이부(123) 및 제4 디스플레이부(124) 전체에 걸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색약 모드 설정을 입력받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화면 색상을 색약 모드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본체부(1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조도 센서(51), 감지 센서(52), 습도 센서(53), 온도 센서(54) 및 충격 센서(55)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51)는 조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도 센서(51)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용률이 적은 새벽시간에는 조도값을 최대한으로 낮추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감지 센서(52)는 각 사용자패널부(111)에 설치되어, 각 사용자패널부(111) 전방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감지 센서(52)에서 사용자패널부(111)의 전방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업 또는 제품의 광고, 제품 이미지를 표시하여 광고 효과 및 시각적으로 사용자들의 시선을 끄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52)에서 사용자패널부(111)의 전방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이용화면(A)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패널부(111)의 전방을 지나가는 것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이용화면(A)이 제공되지 않도록, 사용자패널부(111)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부(120)에 이용화면(A)을 표시할 수 있다.
습도 센서(53)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습도 센서(53)에서 측정된 습도에 따라 가림막(180)을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도 센서(53)에서 측정된 습도값이 높은 경우,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보호하기 위해 제어부(40)는 가림막(180)을 인출시킬 수 있다.
온도 센서(54)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온도 센서(54)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높을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의 조도 값을 낮추어 디스플레이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값이 높은 경우 가림막(180)을 인출할 수도 있다.
충격 센서(55)는 본체부(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 및 충격값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충격 센서(55)에서 감지된 충격값에 따라 인위적인 충격, 기기 파손이 의심되는 경우 스피커(6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거나, 통신부(80)를 통해 외부의 관리자 단말기로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60)는 알람, 광고음 등을 송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토출부(130)가 개방되는 경우 토출부(130) 개방 알림음을 송출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7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 판매기(1)의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음성 인식부(70)를 통해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70)에서 특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지속되는 경우, 제어부(40)는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알람을 전송하여 자동 판매기(1) 주변에서 범죄가 일어나는 것인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제어부(40)는 자동 판매기(1)의 스피커(60)를 통해 주변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80)는 관리자 단말기 등의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80)는 NFC 방식 또는 블루투스, WIFI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90)는 날씨, 요일, 시간대 별로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한 사람들의 빈도수 판매 메뉴 순위 등을 분석하여, 날씨에 따른 오늘의 추천 메뉴, 요일에 따른 추천 메뉴, 시간대별 추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90)는 구입 이력의 패턴을 분석하여 자동 판매기(1) 내부의 물품의 제고 소진 시기를 예측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제고 소진 시기를 사전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QR코드 등을 제공하여, 카드사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숫자 코드 또는 QR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 판매기(1)와 연동된 어플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로 일정 금액을 결제하고, 선 결제금액 차감 또는 포인트 결제 등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40), 공급 바스켓(150), 배출 박스(160)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판매기(1)는 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하우징(110), 디스플레이부(120), 토출부(130), 공급부(140), 공급 바스켓(150), 회전축(160) 및 배출 박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자동 판매기(1)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외관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복수의 측면과 윗면 바닥면을 포함하며, 각 측면은 사용자패널부(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4개의 측면과 윗면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측면을 이루는 사용자패널부(111)는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일 예로, 사용자패널부(111)는 사용자에게 이용화면(A)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가 각 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자동 판매기(1)의 4개 면 각각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동시에 4명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패널부(111)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자동 판매기(1)를 일측 방향에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발명은 전후 좌우 방향 각각에서 자동 판매기(1)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측면에 사용자패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패널부(111)는 제1 사용자패널부(111a), 제2 사용자패널부(111b), 제3 사용자패널부(111c) 및 제4 사용자패널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패널부(111)의 상부에서부터 토출부(130) 상단까지 설치되어, 사용자패널부(111)에 전반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패널부(111)에 디스플레이부(120)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사용자패널부(111)가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패널부(111)가 유연한 폴리이미드로 된 플라스틱 소재와 박막봉지 기술의 결합으로 구현된 플렉시블 O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패널부(111)는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경우, 투과율이 40%이상이기 때문에, 하우징(110) 내부의 구성물을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판매기(1)의 청결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패널부(111)에 디스플레이부(120)가 설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이용화면(A)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음료수 자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음료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방식으로 특정 음료와 같이 주문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를 이용하여 이용화면(A)을 표시할 때,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이용화면(A)의 표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과 일치한다.
토출부(13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물건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부(130)는 각각의 사용자패널부(1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30)는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사용자패널부(11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부(130)의 상부가 외측으로 이동되어 하단이 회동됨에 따라, 토출부(130)의 상부가 오픈되어 배출 박스(170)의 물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공급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공급부(140)는 복수의 수납공간(141) 및 개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140)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수납공간(141)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납공간(141) 각각에는 서로 다른 물품이 보관될 수 있다.
개방부(142)는 수납공간(141)의 하부에서 수납공간(141)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142)는 수납공간(141)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개방부(14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수납공간(141)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는, 개방부(142)가 축회전 되어 일 단이 하강됨으로써 수납공간(141)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공급부(140)에는 물품이 하나씩 공급될 수 있도록 가장 하부 물품의 상측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공급부(140)의 중심부 내부에서 수납공간(141) 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은 공급부(140)의 하부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급부(140)에서 낙하하는 물품을 수용한 후, 공급부(140)에서 낙하한 물품을 복수의 배출 박스(170) 중 해당 배출 박스(170)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은 경사면(151), 수용부(152), 슬라이딩부(153) 및 관통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51)은 공급 바스켓(150)의 내부 바닥면으로써, 일 측 모서리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151)은 공급 바스켓(150)의 네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모서리에서의 경사면(151)과 공급 바스켓(150)의 상단과의 높이는 H1이고, 일 모서리의 양 측에 위치하는 다른 두개의 모서리에서의 경사면(151)과 공급 바스켓(150)의 상단과의 높이는 H2이고, 높이가 H1인 모서리와 마주보는 다른 모서리에서의 경사면(151)과 공급 바스켓(150)의 상단과의 높이는 H3일 때, H1, H2, H3의 길이 차이는 H1>H2>H3으로 형성되어, H3의 높이를 갖는 모서리에서의 경사면(151)의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40)에서 물품이 공급 바스켓(150)의 경사면(151)으로 물품이 낙하하면, 경사면(151)의 경사에 따라 경사면(151)과 상단과의 높이가 H3인 모서리 측으로 물품이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경사면(151)과 상단과의 높이가 H3인 모서리 측에는 수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52)는 경사면(151)과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진 물품이 수용부(152)에 수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53)는 수용부(152)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급 바스켓(150)의 하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53)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수용부(152)가 개폐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53)가 이동하여 수용부(152)가 개방되는 경우, 수용부(152)에 수용된 물품이 낙하할 수 있다.
관통구(154)는 공급 바스켓(15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회전축(160)이 관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 바스켓(150)은 공급부(140)에서 낙하하는 물품을 수용한 후, 복수의 배출 박스(170) 중 해당하는 배출 박스(170) 상측에 수용부(152)가 위치되도록 축회전 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이 축회전하여, 해당 배출 박스(17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용부(152)를 개방하여 배출 박스(170)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패널부(111a)에서 사용자가 물품을 선택한 경우, 제1 배출 박스(170a)로 물품이 공급되도록 공급 바스켓(150)이 회전할 수 있다. 즉, 공급 바스켓(152)의 수용부(152)가 제1 배출 박스(170a) 상측에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은 회전축(160)에 의해 공급부(14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60)은 공급부(140)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공급부(140)의 중심부의 수납공간(14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회전축(16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바스켓(150)은 회전축(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급 바스켓(150)과 회전축(16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공급 바스켓(150)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과 동력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가 공급부(140)에서 물품을 공급받을 경우, 공급 바스켓(150)은 회전축(160)의 상부에 위치되어 공급부(140)의 하부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공급 바스켓(150)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축(160)이 회전하여 해당 배출 박스(170)의 상측에 수용부(152)가 위치되면, 수용부(152)가 개방되기 전에 공급 바스켓(150)이 회전축(160)의 하부로 하강하여, 공급 바스켓(150)이 배출 박스(17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배출 박스(170)는 공급 바스켓(150)의 하부에 설치되되, 각 사용자패널부(111)에 형성된 토출부(130)의 내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 박스(170)는 제1 사용자패널부(111a), 제2 사용자패널부(111b), 제3 사용자패널부(111c) 및 제4 사용자패널부(111d)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배출 박스(170a), 제2 배출 박스(170b), 제3 배출 박스(170c) 및 제4 배출 박스(17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0)은 제1 날개(1510), 제2 날개(1520), 제1 출구(1530), 제2 출구(1540), 제1 슬라이딩판(1550) 및 제2 슬라이딩판(15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는 회전축(160)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판(1550) 및 제2 슬라이딩판(1560) 각각은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 하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부(140)에서 공급 바스켓(1500)으로 물품이 낙하한 경우,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가 서로 인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 사이에 물품이 위치되고,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에 의해 물품이 고정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 중 어느 하나의 출구에 물품이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 중 어느 하나의 출구에 물품이 위치되고, 제1 날개(1510)와 제2 날개(1520)가 물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공급 바스켓(1500)이 축회전할 수 있다.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 중 물품이 위치된 출구가 배출하고자하는 배출 박스(17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공급 바스켓(1500)이 축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판(1550)과 제2 슬라이딩판(1560)에는 무게 센서 등 센서가 내장되어, 제1 출구(1530)와 제2 출구(1540) 중 어느 출구에 물품이 위치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판(1550) 또는 제2 슬라이딩판(1560)이 슬라이딩하여 제1 출구(1530) 또는 제2 출구(154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 상측에 놓여진 물품이 배출 박스(17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은 기둥부(151'), 낙하면(152'), 적재부(153') 및 슬라이딩판(154')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51')는 회전축(160)과 연결되며 공급 바스켓(150') 내부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할 수 있다. 기둥부(151')로 인해 분리된 각각의 공간의 중심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적재부(153')가 형성되고, 각 변에서 적재부(153')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는 낙하면(15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판(154')이 슬라이딩 함에 따라 적재부(153')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바스켓(15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부(140)에서 공급 바스켓(150')으로 물품이 낙하한 경우, 기둥부(151')에 의해 분리된 양 측 중 어느 한 공간으로 물품이 낙하할 수 있다. 이때, 물품은 낙하면(152')을 따라 미끄러져서 적재부(153')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판(154')에는 무게 센서 등 센서가 내장되어, 두 개의 적재부(153') 중 어느 적재부(153')로 물품이 위치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적재부(153')에 물품이 적재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공급 바스켓(150')이 축회전할 수 있다. 물품이 위치된 출구가 배출하고자하는 배출 박스(17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공급 바스켓(150')이 축회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판(154')이 슬라이딩하여 적재부(153')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 상측에 놓여진 물품이 배출 박스(17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자동 판매기 10: 본체부
110: 하우징 111: 사용자패널부
A: 이용화면 120: 디스플레이부
121: 제1 디스플레이부 122: 제2 디스플레이부
123: 제3 디스플레이부 124: 제4 디스플레이부
130: 토출부 140: 공급부
141: 수납공간 142: 개방부
143: 감열지 144: 프린트
145: 기둥 150: 공급 바스켓
150a: 슬라이딩 도어 151: 경사면
152: 수용부 153: 슬라이딩부
154: 관통구 160: 회전축
170: 배출 박스 180: 가림막
20: 카메라부 30: 높이 산출부
40: 제어부 50: 센서부
51: 조도 센서 52: 감지 센서
53: 습도 센서 54: 온도 센서
55: 충격 센서 60: 스피커
70: 음성인식부 80: 통신부
90: 분석부 1500: 공급 바스켓
1510: 제1 날개 1520: 제2 날개
1530: 제1 출구 1540: 제2 출구
1550: 제1 슬라이딩판 1560: 제2 슬라이딩판
150': 공급 바스켓 151': 기둥부
152': 낙하면 153': 적재부
154': 슬라이딩판

Claims (9)

  1. 복수의 사용자패널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본체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각 상기 사용자패널부 전면과의 거리와 거리에 따른 높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를 산출하는 높이 산출부; 및
    상기 높이 산출부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용화면의 높이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야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높이에 이용화면이 표시되도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상기 사용자 패널부의 상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하부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 및 차폐하는 제3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양 측에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제4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4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연동되어 이용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이 수용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는 물품이 수용되며, 내부가 개방되도록 상하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공급 바스켓;을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
    상기 수납공간 일 측에서 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열지; 및
    상기 감열지의 하부에서 프린팅하는 프린트;를 포함하여,
    물품 공급 또는 티켓 발급이 가능한 자동 판매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수납공간, 상기 감열지 및 상기 프린트가 개방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를 개방하면, 상기 공급 바스켓이 개방되는 자동 판매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수의 상기 사용자패널부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를 통해 물품을 선택하여,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급 바스켓으로 물품이 공급된 경우,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패널부에 형성된 상기 제3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마주보도록 상기 공급 바스켓이 축 회전하는 자동 판매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로부터 색약 모드 설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색상을 상기 색약 모드에 맞춰 변경하는 자동 판매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패널부의 전방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패널부의 전방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한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용화면을 표시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200103566A 2020-08-18 2020-08-18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KR10216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66A KR102162447B1 (ko) 2020-08-18 2020-08-18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66A KR102162447B1 (ko) 2020-08-18 2020-08-18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447B1 true KR102162447B1 (ko) 2020-10-06

Family

ID=7282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66A KR102162447B1 (ko) 2020-08-18 2020-08-18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4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7951B2 (ja) * 2006-10-30 2012-08-1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KR101471807B1 (ko) * 2014-04-02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 맞춤 화면을 제공하는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186A (ko) * 2014-09-04 2016-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4948B1 (ko) 2018-08-31 2020-05-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아이스 음료 냉온장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119482A (ja) * 2019-01-22 2020-08-06 ▲れい▼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Leadot Innovation, Inc. マルチサイド販売機を通じた物品販売方法および関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7951B2 (ja) * 2006-10-30 2012-08-1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KR101471807B1 (ko) * 2014-04-02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 맞춤 화면을 제공하는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186A (ko) * 2014-09-04 2016-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4948B1 (ko) 2018-08-31 2020-05-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아이스 음료 냉온장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119482A (ja) * 2019-01-22 2020-08-06 ▲れい▼達科技股▲ふん▼有限公司Leadot Innovation, Inc. マルチサイド販売機を通じた物品販売方法および関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60B1 (ko) 유,무인 판매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점포운영 시스템
US11804095B2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US20150243120A1 (en) Ada compliance in vending machines
CN101291606B (zh) 分配设备中的改进和与分配设备相关的改进
JP2017521780A (ja) コンピュータ制御式の無人自動チェックアウト式店舗アウトレット及び関連方法
US20220092907A1 (en) Printing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AU2007339736A1 (en) Amusement machine
US20140143077A1 (en) Automated Print and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s Vending Kiosk
KR102162447B1 (ko)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스마트 자동 판매기
AU2019274397B2 (en) Compact vending machine
US20100253185A1 (en) Addressable Information Display
CN107251104A (zh) 信息终端
AU2018269927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US20210043025A1 (en) Automated packaging system for a self-service custom-fabrication kiosk
EP3465640A1 (en) Vending machine system for facilitating consumer interactions
AU2018101046A4 (en) Self-service Digital Mall Vending Machine
WO2018174828A1 (en) Vending machine apparatus
CN212724174U (zh) 一种流利式自动售卖补货柜
JP4900526B2 (ja) 飲料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23566B2 (ja) 飲料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006731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