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17B1 -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 Google Patents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17B1
KR102162217B1 KR1020200054568A KR20200054568A KR102162217B1 KR 102162217 B1 KR102162217 B1 KR 102162217B1 KR 1020200054568 A KR1020200054568 A KR 1020200054568A KR 20200054568 A KR20200054568 A KR 20200054568A KR 102162217 B1 KR102162217 B1 KR 10216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moving
syringe
pl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억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비엠
Priority to KR1020200054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5Venting means for external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5Mixing heads, i.e. compact mixing units or modules, using mixing valves for feeding and mixing at least two components
    • B01F3/0861
    • B01F5/0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2Mixing compositions or mixers in the medical or veterinary field
    • B01F2215/0034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결장치 양단의 연결부에 개폐수단을 장착하여 내부 유로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저장한 시린지를 각각 결합하여도 혼합없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 간단한 동작으로 내부 유로를 개방시켜 두 시린지 물질이 왕복이동하면서 혼합하도록 하되 연결장치의 스태틱믹서부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된 물질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는 시린지를 분리해 사용이 이루어지는 시린지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Syringe coupling kit having Connector with static mixer}
본 발명은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결장치 양단의 연결부에 개폐수단을 장착하여 내부 유로를 단속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저장한 시린지를 각각 결합하여도 혼합없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 간단한 동작으로 내부 유로를 개방시켜 두 시린지 물질이 왕복이동하면서 혼합하도록 하되 연결장치의 스태틱믹서부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된 물질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는 시린지를 분리해 사용이 이루어지는 시린지 결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투입되는 약제 또는 화합물의 경우 단일물질을 사용하는 형태 이외에 서로 다른 이종의 물질을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이종물질은 일부 형태에서 미리 혼합하여 보관할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약효가 변질 또는 저하되어 안정성이 곤란해질 수 있어, 이종물질을 앰플(ampul)이나 바이얼(vial)등에 따로 보관하고 사용할 때 하나의 시린지에 모두 충진시켜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153898호(2012.05.31.등록)에는, 하나의 시린지에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하고 중간 가스켓을 구비하여 중간 가스켓의 상하부에 이종물질을 각각 저장하고 사용시 중간가스켓이 바이패스에 안치시켜 이종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프리필드 시린지를 제시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6543호(2014.06.03.등록)에서는, 약제가 수납되는 제1주사기와, 다른 약제가 수납된 제2주사기로 구성되되 제1주사기 내부로 제2주사기가 내입되도록 구성하여 제2주사기에서 제1주사기 내부로 약제를 토출하고, 제1주사기 내부에서 이종 약제가 혼합된 다음 제1주사기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이중 복합 주사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방식은 서로 다른 공간에 보관하고, 사용시 하나의 공간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식이나 혼합된 두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WO1996-008227(1996.03.21.공개)와, 미국등록특허 US 10,576,020 (2020.03.03. 등록)에서는 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서로 다른 약제를 저장하는 두 시린지를 하나로 연결하여 이종물질을 두 시린지 내부 공간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두 시린지를 분리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에 두 시린지를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 다음 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 사용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으며, 시린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두 시린지의 결합과정에 대한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6543호(2014.06.03.등록) : 프리필드 시린지 제10-1406543호(2014.06.03.등록) :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WO 1996-008227(1996.03.21.공개) : MIXING DEVICE FOR AGENTS TO BE ADMINISTERED WITH A SYRINGE US 10,576,020(2020.03.03. 등록) : SYRINGE-TO-SYRINGE COUPLER
이에 본 발명의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는,
연결장치의 양 단부인 연결부에 개폐수단을 구비시켜 시린지와 결합한 상태에서도 밀폐보관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시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내부 유로를 개방시켜 양 시린지에 보관된 물질이 두 시린지를 왕복하면서 연결장치에 내설된 스태틱믹서에 의해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린지 결합 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는,
서로 다른 물질을 저장하는 2개의 시린지와, 상기 2개의 시린지를 연결하여 내부 유로를 연통시키는 연결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장치는 양 단부의 연결부 각각에 개폐수단이 장착되어 내부 유로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양 단의 연결부 사이에는 엘리먼트가 내장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형의 스태틱믹서부가 형성되어 이동되는 이종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의 연결부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에 내측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시린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본체와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시린지 내부를 폐구시키는 수밀판과, 상기 수밀판과의 배치구도에 의해 내부의 폐구된 유로를 개방시키는 이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수밀판에는 중심에 수밀통공을 형성하여 시린지의 주입관부가 끼워지도록 하고; 이동판에는 중심에 개폐돌기를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밀통공을 개폐하고, 외측에는 개방통공을 형성하여 내부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밀판은, 연결본체와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는 가장자리부분인 플랜지부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체로 연결링 내부에 끼워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수밀본체와, 상기 수밀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시린지의 주입관부가 끼워지는 수밀통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은, 연결본체 내측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 개방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의 중심축에는 수밀판 방향으로 개폐돌기가 돌출되어 개폐돌기가 수밀통공에 착탈되어 유로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의 일측 또는 대향된 양측에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본체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해 수밀판의 수밀통공으로부터 개폐돌기를 탈거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는 축방향으로 이동판 연결대가 이동되도록 I자 또는 ㄷ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이동 전후에 모두 이동홈을 덮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 가장자리는 조작레버 사이에는 수밀패킹을 설치 또는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수밀판에는 중심에 수밀통공을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수밀통공과 연결된 다수의 유로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밀판의 일측 면에 밀착배치된 이동판에는 다수의 개방통공을 형성하되, 이동판의 축회전에 의해 유로홈과 개방통공이 겹침 또는 미겹침에 의한 유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밀판은, 연결본체와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는 가장자리부분인 플랜지부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체로 연결링 내부에 끼워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수밀본체와, 상기 수밀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시린지의 주입관부가 끼워지는 수밀통공과, 이동판과 접하는 면에 다수 형성되어 수밀통공과 연통된 유로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은, 연결본체 내측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밀판의 내측 면에 밀착 배치되고 내면에는 다수개의 개방통공이 형성된 이동본체와, 상기 이동본체의 일측 또는 대향된 양측에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본체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축회전되어 수밀판의 유로홈과 이동판의 개방통공을 겹쳐 내부유로를 연통시키는 조작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는 이동대 연결대를 축회전되도록 안내하는 ㅡ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는 이동 전후에 모두 이동홈을 덮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 가장자리는 조작레버 사이에는 수밀패킹을 설치 또는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는,
연결장치의 연결부에 개폐수단을 구비시켜 내부유로를 단속할 수 있어 각각 서로 다른 이종물질을 저장한 2개의 시린지를 결합하여도 혼합되지 않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일체형 키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시린지와 연결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시린지 결합 키트의 제공으로, 기존의 사용전에 결합해야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고, 결합과정에서 저장물질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변질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도 최소화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결합키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분리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이동식 이동판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수직단면도.
도 3c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I자 이동홈과 조작레버를 도시한 평면도 및 A-A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축회전식 이동판을 결합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밀판과 이동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판 회전으로 유로가 폐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ㅡ자 이동홈과 조작레버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결합키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분리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결합키트(1)는 서로 다른 물질을 저장하는 2개의 시린지(90)와, 내부에 양 단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 연결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시린지(90)는 어느 일측에는 분말을 충전하고, 타측에는 액상물을 충전하거나, 양측 모두 서로 다른 액상물로 충전하여 보관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시린지 전단의 주입관부(91)에는 니들허브(92)가 결합되어 사용시 니들노즐 또는 삼방밸브 등 다른 기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본 발명은 암나사가 형성된 니들허브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수나사가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각 결합위치를 변경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10)는 양단부에 연결부(20)가 형성되어 각각 시린지(9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2개의 연결부(20) 사이에는 스태틱믹서부(30)가 위치한다. 상기 스태틱믹서부(3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상에는 엘리먼트(31)가 다수 형성되어 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환시켜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관형태의 믹서이다. 상기 엘리먼트(31)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되어 이동되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이종물질이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상기 스태틱믹서부(30)의 내부유로상에서 엘리먼트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스태틱믹서부의 단부에는 연결부로부터 캡을 억지끼움하여 엘리먼트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엘리먼트의 직경을 스태틱믹서부의 유로직경와 유사 또는 크게 형성하여 끼움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엘리먼트를 스태틱믹서부의 내부 유로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10)의 연결부(20)에는 개폐수단(23a,23b)이 장착되어 내부 유로를 단속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연결장치와 시린지를 분리해서 보관시켜 시린지에 저장한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결장치(10)에 개폐수단(23a,23b)이 더 구비되기 때문에 연결장치의 양단부 또는 어느 일측 단부에 시린지(90)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각 시린지를 독립적으로 밀폐하여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부(20)는 스태틱믹서부(30)와 연결된 내측에서 개구된 외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관이 이루어진 관형태의 연결본체(21)와, 내측단부가 연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시린지 특히 시린지의 니들허브(9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인 연결링(22)과, 상기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유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수단(23a)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본체(21)는 내측방향에 확관이 이루어져 내부유로를 확장시키고, 외측방향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연결링(22)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링(22)은 도시된 바와같이 양 단부가 연결본체(21)와 시린지(9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억지끼움에 의한 결합보다는 수밀성을 높일 수 있는 나사결합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암나사와 수나사 형태 중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23a)은 축이동형으로서, 고정된 판체인 수밀판(24a)과, 이동에 의해 내부 유로를 개폐시키는 이동판(25a)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밀판(24a)은, 연결장치와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 수밀본체(242a)와, 상기 수밀본체의 축방향 단부중 어느 일측의 단부에는 측면으로 환형태로 확장된 플랜지부(241a)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플랜지부(241a)는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고, 그 중심의 수밀본체(242a)는 연결부(20) 내부유로를 밀폐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밀본체(242a)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수밀통공(243a)이 형성되어 수밀본체에 의해 폐구된 양측 공간을 연통시키게 한다. 상기 수밀통공(243a)은 시린지가 장착되는 외측방향의 직경은 시린지(90) 주입관부(91)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 시린지가 결합되면 시린지(90) 내부공간을 수밀판의 수밀통공(243a)을 통해 연결장치(10) 내측으로 연통시키고, 외부 즉 주입관부와 니들허브 사이 공간과는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수밀판(24a)의 재질은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판(25a)은, 도 2b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밀판(24a)의 수밀통공(243a)을 폐구 또는 개구시켜 내부 유로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이동판(25a)은 수밀판의 내측방향에 밀착 또는 근접되어 배치되는 이동본체(251a)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본체(251a)는 중심에서 수밀판의 수밀통공 방향으로 개폐돌기(252)가 돌출되어 이동판(25a)이 수밀판(24a)에 근거리 배치시 개폐돌기(252)가 수밀통공(243a)에 삽입되어 수밀통공을 폐구시키고, 이동판이 수밀판에서 원거리 배치되면 개폐돌기(252)가 수밀통공(243a)에서 이탈되어 수밀통공의 유로가 연결장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본체(251a)에는 내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개방통공(253a)이 형성되어 내부 유체가 개방통공을 통해 왕래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이동본체(251a)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대(254a)가 형성되고, 연결대의 단부는 연결본체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조작레버(255a)의 저면과 일체로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본체(21)는 연결대(254a)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홈(21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54a)는 이동홈을 통해 연결본체 외면에 배치된 조작레버(255a)의 저면에 부착되어 조작레버(255a), 연결대(254a), 이동본체(25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판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255a)의 축방향 이동으로 연결본체 내부의 이동본체(251a)는 수밀판(24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수밀판의 수밀통공(243a)을 막는 개폐돌기(252)가 분리되어 수밀통공을 개방시키고, 수밀통공(243a)의 유로는 이동본체의 개방통공(253a)을 통해 연결장치의 스태틱믹서부(30)와 연통된다.
도 3c와 도 3d를 참조한 바와같이 연결본체(21)에는 연결대(254a)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홈(211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211a)은 도시된 바와같이 축방향인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I자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수직방향의 양단부를 수평방향으로 더 연장시켜 걸림에 의한 잠금기능을 갖는 ㄷ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255a)는 이동전이나 후 모두에서 이동홈(211a)을 덮을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하여 조작레버(255a) 이동에 관계없이 항상 이동홈(211a)을 덮어 폐구시키도록 한다. 이때 이동홈(211a)과 조작레버(255a)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해 이동홈의 가장자리와 조작레버 사이에 수밀패킹(212)을 설치하여 이동홈을 통해 연결본체 내부 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홈의 밀폐수단은 상기 수밀패킹 이외에 이동홈 가장자리인 연결본체 외면에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조작레버 저면에 항상 밀착되어 조작레버의 작동과 관계없이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형 개폐수단을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형 개폐수단(23b)은, 고정된 판체인 수밀판(24b)과, 축회전에 의해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이동판(2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밀판(24b)은, 연결장치와 동축상으로 원기둥 형태로 수밀본체(242b)가 형성되고, 수밀본체의 축방향 단부중 어느 일측의 단부에는 측면으로 환형태로 확장된 플랜지부(241b)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어 수밀판(24)을 위치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수밀본체(242b)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수밀통공()이 형성되어 수밀본체에 의해 폐구된 양측 공간을 연통시킨다. 상기 수밀통공(243b)은 시린지가 장착되는 외측방향의 직경은 시린지 주입관부(91)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 시린지가 결합되면 시린지(90) 내부공간을 수밀판의 수밀통공(243a)을 통해 연결장치(10) 내측으로 연통시키고, 외부와는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수밀판의 재질은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밀본체(242b)는 이동판(25b)과 접하여 배치되는 내측 면에 수밀통공(243b)과 연결된 다수의 유로홈(244)을 방사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수밀통공(243b)에서 유입된 물질은 유로홈(244)을 통해 스태틱믹서부(30)로 이동하고, 반대로 스태틱믹서부에서 유로홈(244)으로 유입된 물질은 수밀통공(243b)을 통해 시린지로 이동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판(25b)은,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원판의 이동본체(251b)와, 상기 이동본체의 일측 또는 대향된 양측에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대(254b)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레버(25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본체(251b)는 부분적으로 개방통공(253b)이 형성되며, 개방통공의 형성위치는 동축상에 배치된 수밀판(24b)의 유로홈(244)과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이동본체(251b)면이 유로홈(244)을 모두 덮거나, 겹침에 의한 유로홈(244)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4d와 같이 이동판(25b)이 수밀판의 유로홈(244)을 모두 막아 유로를 폐구시키거나, 도 4a와 같이 이동판이 축회전하여 이동판(25b)의 개방통공(253b)이 수밀판(24b)의 유로홈(244)을 겹치게 배치시켜 내부 유로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본체(251b)는 수밀판의 수밀통공(243b)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돌기(256)를 더 형성하여 회전기준이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돌기(256)가 수밀통공(243b)으로 내입되는 깊이는 유로홈(244)의 깊이보다 짧게 형상하여 힌지돌기 결합에 관계없이 수밀통공과 유로홈은 연통되게 구성한다.
상기 조작레버(255b)는 연결본체(21)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이루어지며, 조작레버의 저면은 연결본체 외면의 곡률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 축회전하면서도 밀착되게 한다.
또한 도 4e를 참조한 바와같이, 연결본체(21)에는 조작레버(255b)가 축회전 가능하도록 축과 직교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ㅡ자 이동홈(211b)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홈 상부를 덮는 조작레버(255b)는 이동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이동홈(211b)을 덮도록 구성하여 이동홈을 통한 내외부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홈(211b)과 조작레버(255b) 사이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이동홈의 가장자리와 조작레버 사이에 수밀패킹(212) 설치 또는 이동홈 가장자리인 연결본체 외면에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조작레버 저면에 항상 밀착되어 조작레버의 작동과 관계없이 내부를 밀폐시키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시린지 결합 키트(1)는, 연결장치(10)를 구성하는 양측의 연결부(20)에 개폐수단(23a,23b)이 구비되어 개별적인 단속이 가능함으로 서로 다른 이종물질이 저장된 시린지(90)를 각각 결합하여 보관하여도 이종물질의 혼합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과정에서도 연결장치(10)에 시린지(90)를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혼합물질을 준비할 수 있다. 특히 연결장치(10)의 개폐수단(23a,23b)을 축방향으로 밀거나 축을 중심으로 축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시린지(90)와 연결장치(10)의 내부 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어서, 2개의 시린지(90)와 연결장치(10)의 내부 유로를 모두 개방시킨 상태에서 양측 시린지의 피스톤을 번갈아 작동시켜 저장된 약물을 일측 시린지에서 타측 시린지로 수차례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시린지(90)간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종의 혼합물은 연결장치의 스태틱믹서부(30)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혼합물의 성분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1 : 시린지 결합 키트
10 : 연결장치
20 : 연결부
21 : 연결본체 22 : 연결링
23a,23b : 개폐수단 24a,24b : 수밀판
25a,25b : 이동판
211a,211b : 이동홈 212 : 수밀패킹
241a,241b : 플랜지부 242a,242b : 수밀본체
243a,243b : 수밀통공 244 : 유로홈
251a,251b : 이동본체 252 : 개폐돌기
253a,253b : 개방통공 254a,254b : 연결대
255a,255b : 조작레버 256 : 힌지돌기
30 : 스태틱믹서부
31 : 엘리먼트
90 : 시린지
91 : 주입관부 92 : 니들허브

Claims (9)

  1. 서로 다른 물질을 저장하는 2개의 시린지(90)와, 상기 2개의 시린지를 연결하여 내부 유로를 연통시키고, 양 단부의 연결부(20) 각각에 개폐수단(23a,23b)이 장착되어 내부 유로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연결장치(1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장치(10)의 연결부(20)는,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연결본체(21)와;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에 내측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단부는 시린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22)과;
    상기 연결본체와 연결링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시린지 내부를 폐구시키는 수밀판(24a,24b)과, 상기 수밀판과의 배치구도에 의해 내부의 폐구된 유로를 개방시키는 이동판(25a,25b)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23a,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10)는, 양 단의 연결부(20) 사이에는 엘리먼트(31)가 내장된 소정길이를 갖는 관형의 스태틱믹서부(30)가 형성되어 이동되는 이종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3a)은,
    수밀판(24a)에는 중심에 수밀통공(243a)을 형성하여 시린지(90)의 주입관부(91)가 끼워지도록 하고;
    이동판(25a)에는 중심에 개폐돌기(252)를 형성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밀통공(243a)을 개폐하고, 외측에는 개방통공(253a)을 형성하여 내부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24a)은,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는 가장자리부분인 플랜지부(241a)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체로 연결링 내부에 끼워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수밀본체(242a)와, 상기 수밀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시린지의 주입관부가 끼워지는 수밀통공(243a)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25a)은,
    연결본체(21) 내측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 개방통공(253a)이 형성되고 외측면의 중심축에는 수밀판 방향으로 개폐돌기(252)가 돌출되어 개폐돌기가 수밀통공(243a)에 착탈되어 유로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이동본체(251a)와, 상기 이동본체의 일측 또는 대향된 양측에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대(254a)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본체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해 수밀판의 수밀통공(243a)으로부터 개폐돌기(252)를 탈거시키는 조작레버(255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21)는 축방향으로 이동판 연결대(254a)가 이동되도록 I자 이동홈(211a) 또는 ㄷ자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255a)는 이동 전후에 모두 이동홈을 덮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211a) 가장자리는 조작레버 사이에 수밀패킹(212)을 설치 또는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밀폐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3b)은,
    수밀판(24b)에는 중심에 수밀통공(243b)을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수밀통공과 연결된 다수의 유로홈(244)을 형성하고, 상기 수밀판의 일측 면에 밀착배치된 이동판(25b)에는 다수의 개방통공(253b)을 형성하되,
    이동판(25b)의 축회전에 의해 유로홈(244)과 개방통공(253b)이 겹침 또는 미겹침에 의한 유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판(24b)은,
    연결본체(21)와 연결링(22) 사이에 개재되는 가장자리부분인 플랜지부(241b)와,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체로 연결링 내부에 끼워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수밀본체(242b)와, 상기 수밀본체의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시린지(90)의 주입관부(91)가 끼워지는 수밀통공(243b)과, 이동판과 접하는 면에 다수 형성되어 수밀통공과 연통된 유로홈(2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25b)은,
    연결본체 내측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밀판의 내측 면에 밀착 배치되고 내면에는 다수개의 개방통공(253b)이 형성된 이동본체(251b)와, 상기 이동본체의 일측 또는 대향된 양측에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결대(254b)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본체 외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축회전되어 수밀판의 유로홈(244)과 이동판의 개방통공(253b)을 겹쳐 내부유로를 연통시키는 조작레버(25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21)는 이동판 연결대(254b)를 축회전되도록 안내하는 ㅡ자 이동홈(211b)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255b)는 이동 전후에 모두 이동홈(211b)을 덮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홈(211b) 가장자리는 조작레버(255b) 사이에는 수밀패킹(212)을 설치 또는 수밀코팅층을 형성하여 밀폐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결합 키트.
KR1020200054568A 2020-05-07 2020-05-07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KR10216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68A KR102162217B1 (ko) 2020-05-07 2020-05-07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68A KR102162217B1 (ko) 2020-05-07 2020-05-07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217B1 true KR102162217B1 (ko) 2020-10-06

Family

ID=7282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68A KR102162217B1 (ko) 2020-05-07 2020-05-07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33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혼합이 용이한 이액형 실린지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390A (ko) * 1996-09-13 1998-07-06 로드릭 리차드 제이. 튀김 방지 밸브를 구비한 의약용기용 운반 조립체
US20100042044A1 (en) * 2004-03-18 2010-02-18 Spine Wa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Fluids
KR101406543B1 (ko)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20170013728A (ko) * 2015-07-28 2017-02-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셔터 슬라이드형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390A (ko) * 1996-09-13 1998-07-06 로드릭 리차드 제이. 튀김 방지 밸브를 구비한 의약용기용 운반 조립체
US20100042044A1 (en) * 2004-03-18 2010-02-18 Spine Wa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Fluids
KR101406543B1 (ko) 2012-08-02 2014-06-11 조희민 분말 및 액체 약제 혼합형 이중 복합 주사기
KR20170013728A (ko) * 2015-07-28 2017-02-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셔터 슬라이드형 밸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10,576,020(2020.03.03. 등록) : SYRINGE-TO-SYRINGE COUPLER
WO 1996-008227(1996.03.21.공개) : MIXING DEVICE FOR AGENTS TO BE ADMINISTERED WITH A SYR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33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혼합이 용이한 이액형 실린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0950B2 (ja) 弁組立体を備えた多成分分配装置
KR101954466B1 (ko) 의료용 활전
EP1213036B1 (en) Pre-filled syringe with incorporated elastic and sliding valvular joint
US8636689B2 (en) Pe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977612B2 (ja) 改良された医療用洗浄装置
JP2012187577A (ja) 複合成分カートリッジ
ES2749722T3 (es) Mecanismo de válvulas con punta aplicadora para envases cosméticos
KR102162217B1 (ko) 스태틱믹서를 갖는 연결장치를 구비한 시린지 결합 키트
RU25129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ций
JP2008093441A (ja) 多成分カートリッジ
BR0214194B1 (pt) bomba dosadora e conjunto de válvula para uma bomba dosadora.
JP4956616B2 (ja) 弾性隔壁を備える薬剤混合容器
CA2535459A1 (en) Unit-dose syringe for a multi-component material
US20070048688A1 (en) Capsule for storage, mixing and dispensing materials
JP2019501364A5 (ko)
JP2011509751A (ja) 物質混合用バルブ
JP2020189693A (ja) スポイト型異種内容物混合容器
WO2008150208A1 (en) A substance dispensing device and a filling instrument for such a device
JP6591065B2 (ja) フィルター注射器
CA3012431C (en) Syringe
AU2013231449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10801276B (zh) 一种搅拌式骨水泥注射器及骨水泥搅拌注射方法
WO2012043194A1 (ja) シリンジ
JP4736038B2 (ja) 複室容器
JP6814649B2 (ja) 二剤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