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488B1 -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488B1
KR102161488B1 KR1020200053422A KR20200053422A KR102161488B1 KR 102161488 B1 KR102161488 B1 KR 102161488B1 KR 1020200053422 A KR1020200053422 A KR 1020200053422A KR 20200053422 A KR20200053422 A KR 20200053422A KR 102161488 B1 KR102161488 B1 KR 10216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product
siz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전
Original Assignee
김명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전 filed Critical 김명전
Priority to KR102020005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06K9/00201
    • G06K9/003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실제 크기에 비례하여 제품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DUCT IN 3 DIMENSIONS}
본 발명은 제품을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로서 특히, 사용자의 실제 크기에 비례하여 제품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의 확장으로 인하여 구매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쇼핑의 경우 제품의 촬영 방법에 따라 크기나 색상 등이 왜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 상의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 상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제품 구매 후 예상치 못한 손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 크기와 밀접하게 관련된 의류 및 가방류와 같은 패션 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 자신의 신체 크기와 제품의 크기를 비교하고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온라인 상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온라인 쇼핑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얻을 수 없는 바, 사용자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품을 표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 등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건의 크기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3-0003992호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3-0003992호
사용자의 실제 크기에 비례하여 제품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출력부를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울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동작 메시지 및 동작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메시지는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며, 동작 이미지는 사용자가 취해야 할 동작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전신 및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출하여 촬영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측정하며, 미리 설정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측정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정 픽셀과의 가로 거리 및 세로 거리에 따라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다르게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추출하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를 계산하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와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추정하며, 추정된 사용자 신체 크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제 크기에 비례하여 제품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크기와 실제 제품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쇼핑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및 제품을 3차원으로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카메라의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또는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또는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되는 사용자 3차원 영상 및/또는 제품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단말(예;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120)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또는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크기와 제품의 크기 간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사용자 3차원 영상(예; 도 2의 도면부호 210)' 및 '제품 3차원 영상(예; 도 2의 도면부호 22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3차원 영상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품 3차원 영상은 상기 제품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키가 160cm이며, 제품의 높이가 20cm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크기(높이)와 제품의 크기(높이) 간의 비율이 8:1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3차원 영상 및/또는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컴퓨터 주변 기기, 터치 스크린, 마이크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특정 제품을 선택하는 입력, 특정 제품의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또는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 및/또는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및 제품을 3차원으로 표시한 예시도이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한 정보(즉, 신체 크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몸무게, 다리 길이, 허리 둘레 등의 신체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3차원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신체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3차원 영상에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사용자의 신체 크기가 반영된 사용자 3차원 영상(21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제어부(110)는 복수의 신체 크기 각각에 매칭되는 복수의 사용자 3차원 영상(즉,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3차원 영상)을 미리 생성 및/또는 설정하여 저장 및/또는 기록해둘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13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신체 크기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사용자 3차원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 제품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정 제품을 가로 길이, 세로 길이, 폭(width)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소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또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제품 정보(및/또는 제품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도 2의 도면부호 220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입력 받은 또는 읽어온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품의 3차원 영상에 제품 크기 정보를 추가하여 제품 크기 정보가 반영된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제어부(110)는 복수의 제품 크기 각각에 매칭되는 복수의 제품 3차원 영상(즉, 상기 미리 설정된 제품의 3차원 영상)을 미리 생성 및/또는 설정하여 저장 및/또는 기록해둘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130)를 통하여 상기 제품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품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제품 3차원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3차원 제품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3차원 제품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3차원 제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출력부(12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울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동작 메시지 및 동작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출력부(120)에 사용자에게 특정 사진을 요청하는 메시지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거울에 정면을 촬영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및/또는 안내창)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거울일 이용하여 자신의 정면 사진을 찍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출력부(120) 상에 필요한 사용자 이미지의 예시를 보여주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10)는 해당 이미지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모습을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출력부(120) 상에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고 있는 현재 사용자의 모습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메시지는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며, 동작 이미지는 사용자가 취해야 할 동작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폭(width)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반면, 정면 사진만 촬영하거나 측면 사진만을 촬영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3개 중 2개(즉, 정면, 측면)의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정확한 3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2가지 이상의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미도시) 및/또는 카메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전신 및/또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40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거울(450)에 반사된 사용자의 제1 형상(400-1) 및/또는 거울(450)에 반사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를 촬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로부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를 추출하여 촬영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촬영된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가 촬영된 것으로 검출된 픽셀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가 포함되어 있는 픽셀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가 촬영된 픽셀의 개수가 세로 3, 가로 2 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와 측정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의 크기를 비교하여 단위 픽셀 당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는 세로 27cm, 가로 8cm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픽셀 하나의 세로가 9cm, 가로가 4cm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경계선 검출 통한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배경과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및/또는 이미지) 내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획득된 영상(및/또는 이미지) 내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추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는 머리, 몸통, 팔, 다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 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가 포함된 픽셀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특정 픽셀 간 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픽셀이 지시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또는 세로 개수와 단위 픽셀 당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팔 하나의 이미지가 포함되는 픽셀을 기초로, 세로 픽셀의 개수가 8개, 가로 픽셀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제어부(110)는 팔의 길이를 72cm, 폭을 8cm로 추정할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에 의해 픽셀 하나의 세로가 9cm, 가로가 4cm인 것으로 추정된 경우).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하여 계산된 결과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추정된 사용자 신체 크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21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추정된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3차원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21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반사된(및/또는 촬영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와 소정 픽셀(또는 특정 픽셀)과의 가로 거리 및/또는 세로 거리에 따라 단위 픽셀 당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를 다르게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는 렌즈를 통과한 빛을 센서로 받아서 영상을 생성하므로, 렌즈의 특성에 따라 이미지가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일한 크기의 원(a) 및 원(b)가 카메라 중심부와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중심부의 원 크기보다 주변부의 원 크기가 더 크게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망원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중심부의 원 크기가 주변부의 원 크기보다 크게 측정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보정 방식에 따라 다르게 왜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픽셀 당 크기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실제 크기보다 크게 또는 작게 추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의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왜곡에 따른 픽셀 길이 조절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에서 실제 크기보다 더 크게 촬영되는 왜곡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10)는 주변부의 영상의 픽셀당 길이를 중심부 픽셀의 길이보다 작게 인식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렌즈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테이블 값을 가지고 있거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보정값을 계산하기 위한 소정의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들고 있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제2 형상을 추출하여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추정 크기를 획득하며, 상기 장치에 미리 입력된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제 크기와 상기 획득되는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추정 크기를 비교하여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계산하고, 상기 제2 형상과 특정 픽셀과의 가로 거리 및 세로 거리에 따라 왜곡 현상을 상쇄하기 위한 가중치(weight)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계산하고, 상기 특정 픽셀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신체 부위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를 각각 계산하며, 상기 신체 부위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가로 개수 및 세로 개수와 상기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가로 추정 길이 및 세로 추정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가로 추정 길이 및 세로 추정 길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3차원 영상(210) 및/또는 제품 3차원 영상(220)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단말(예;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120)는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크기(높이)와 제품의 크기(높이) 간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사용자 3차원 영상(210) 및 제품 3차원 영상(2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가 160cm이며, 제품의 높이가 20cm인 경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크기(높이)와 제품의 크기(높이) 간의 비율이 8:1로 유지될 수 있도록 사용자 3차원 영상(210) 및 제품 3차원 영상(22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사용자 3차원 영상(210) 및 제품 3차원 영상(22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제어부(110)는 영상 촬영 및/또는 획득에 관한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특정 영역(510)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상기 특정 영역(510)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메시지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상기 특정 영역(5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제품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가중치를 적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형상 및 상기 제2 형상을 포함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단위 픽셀 당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계산하고, 사용자에게 제품(예; 판매용 가방, 전시용 제품 등)을 상기 특정 영역(510)에 위치시키라는 안내 메시지가 상기 출력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및/또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들고 있는 제품(예; 판매용 가방, 전시용 제품 등)의 위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 장치 및/또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상기 제품(예; 판매용 가방, 전시용 제품 등)에 상응하는 제3 형상이 추출되고, 상기 제3 형상 위치가 추적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0)는 상기 제3 형상이 상기 특정 영역(5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음량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형상이 상기 특정 영역(510) 내에 모두 들어오게 되면 소정의 음향 효과(예; BGM, 음악)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영상의 왜곡 현상을 억제하기에, 제어부(110)는 제품(예; 판매용 가방, 전시용 제품 등)의 크기를 정확히 반영하는 제품 3차원 영상(220)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거울에 반사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및/또는 카메라 장치, 카메라부)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소정의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초점 설정 모드로 동작하거나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초점 설정 모드로 설정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초점 타이밍부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에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형상(100-1)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및/또는 카메라 장치, 카메라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초점 타이밍은 제2 초점 타이밍보다 앞선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에는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에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이 소정의 기준 이상 이동하는 경우, 이는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또는 고객)가 상기 장치 내 카메라의 초점을 다시 맞추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장치 내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다시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 정보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보 및/또는 매장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비콘(Beacon) 장치(예; 근거리 통신 장치)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높이를 나타내는 높이 정보는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기압계에 의해 측정되는 기압에 기반하여 획득(및/또는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장치(100) 내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다시 시작될 수 있다(또는 초점을 맞추는 프로세스가 재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i)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ii)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낮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또는 고객)가 초점을 다시 맞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이 아닌, 실수로 이동하여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높이가 달라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장치(100) 및/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 및/또는 출력부(120)로 하여금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또는 고객)는 자신이 움직여서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데 방해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방법은 위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관리 서버(710)와 사용자 단말(7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710)는 제어 모듈(810), 통신 모듈(820), 입력 모듈(830), 출력 모듈(840), 및 저장 모듈(8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720)은 제어 모듈(860), 통신 모듈(870), 입력 모듈(880), 출력 모듈(8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사용자 단말(720)은 도 1의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도 있다.
제어 모듈(810, 8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10, 86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10, 86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820, 870)은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20, 87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20, 87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830, 880)은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810, 86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관리 서버(7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830, 880)은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840, 890)은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의 제어 모듈(810, 86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820, 87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840, 89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은 저장 모듈(storage module)(2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710) 및/또는 사용자 단말(7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8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850)은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빅데이터(big data)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 모듈(850)은 사용자 단말(72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또는 관리 서버(710)의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 서버(7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10, 860)은 상기 저장 모듈(8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삭제

Claims (5)

  1. 사용자 3차원 영상과 제품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 및 제품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거울에 반사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및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를 포함하는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거울에 반사되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상응하는 제1 형상(400-1)과 상기 장치에 상응하는 제2 형상(100-1)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상기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상기 제품 3차원 영상을 출력(output)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형상에 상응하는 가로 픽셀의 개수 및 세로 픽셀의 개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되는 가로 픽셀의 개수 및 세로 픽셀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상기 장치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가로 픽셀 별 제1 가로 길이와 상기 세로 픽셀 별 제1 세로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가로 픽셀 별 제1 가로 길이에 렌즈 왜곡의 보정을 위한 제1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가로 픽셀 별 제2 가로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세로 픽셀 별 제1 세로 길이에 렌즈 왜곡의 보정을 위한 제2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가로 픽셀 별 제2 세로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가로 픽셀 별 제2 가로 길이, 상기 세로 픽셀 별 제2 세로 길이, 상기 신체 크기 정보 및 상기 제품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상응하는 제1 크기와 제품에 상응하는 제2 크기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사용자 3차원 영상 및 상기 제품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울에 반사되는 이미지에서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특정 영역(510)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거울에 반사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 동작 이미지 및 제2 요청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을 촬영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동작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동작을 나타내는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거울에 반사되는 이미지에서 상기 제품에 상응하는 제3 형상이 상기 특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 모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카메라가 제1 타이밍부터 제2 타이밍까지의 시간 동안 상기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타이밍부터 상기 제2 타이밍까지의 시간 동안 상기 장치의 위치가 소정의 기준 이상으로 이동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모드를 다시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3422A 2020-05-04 2020-05-04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16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22A KR102161488B1 (ko) 2020-05-04 2020-05-04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422A KR102161488B1 (ko) 2020-05-04 2020-05-04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488B1 true KR102161488B1 (ko) 2020-10-05

Family

ID=7280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422A KR102161488B1 (ko) 2020-05-04 2020-05-04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28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0A (ko) * 2010-04-06 2011-10-12 박진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003992A (ko) 2011-07-01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30638A (ko) * 2014-09-15 2014-11-11 (주)인더스웰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2426A (ko) * 2014-06-27 2016-01-08 주식회사 브이플랩 가상 피팅 장치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20342A (ko) * 2018-08-17 2020-02-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상에서 체형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입력된 체형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의류 착용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0A (ko) * 2010-04-06 2011-10-12 박진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30003992A (ko) 2011-07-01 2013-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영상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02426A (ko) * 2014-06-27 2016-01-08 주식회사 브이플랩 가상 피팅 장치
KR20140130638A (ko) * 2014-09-15 2014-11-11 (주)인더스웰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19389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가상 피팅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00020342A (ko) * 2018-08-17 2020-02-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상에서 체형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입력된 체형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의류 착용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28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360B2 (en) Facial attribute recogni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AU2019419376B2 (en) Virtual try-on systems and methods for spectacles
CN108875524B (zh) 视线估计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09583285B (zh) 对象识别方法
CN109740491B (zh) 一种人眼视线识别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0559062B2 (en) Method for automatic facial impression trans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024067B2 (ja) 顔認証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215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xtually processing imagery
EP3243162A1 (en) Gaze detection offset for gaze tracking models
EP2339507A1 (en) Head detection and localisation method
US11069115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avata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582409B2 (en) Visual-inertial tracking using rolling shutter cameras
US20170004355A1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ognizing face
CN111801700B (zh) 支付过程中防止偷窥的方法及电子设备
CN114267041B (zh) 场景中对象的识别方法及装置
JPWO2019097595A1 (ja) 車外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車外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車外コミュニ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12106046A (zh) 用于执行生物特征认证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230024566A1 (en) Construc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KR102161488B1 (ko) 3차원 제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1222125B1 (en) Biometric recognition attack test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KR20160046399A (ko) 텍스쳐 맵 생성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
US102999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 environment navigation assistance
KR20150086840A (ko)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휴대 장치 및 제어방법
CN113192072B (zh) 图像分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047983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