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065B1 -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 Google Patents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065B1
KR102160065B1 KR1020190097073A KR20190097073A KR102160065B1 KR 102160065 B1 KR102160065 B1 KR 102160065B1 KR 1020190097073 A KR1020190097073 A KR 1020190097073A KR 20190097073 A KR20190097073 A KR 20190097073A KR 102160065 B1 KR102160065 B1 KR 10216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detachable
safety injection
injection tank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희
김민정
추봉식
송준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전원 상실 등으로 야기되는 중대사고 발생시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가 저수위 시점에 도달하였을 때에도 냉각수의 수위 변화만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안전주입탱크로부터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전주입탱크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가 임계수위에 도달 시 부유체의 하강에 따라 착탈부가 분리되어 이동체가 가이드관의 하단부에서 냉각수유로를 차단함으로써, 가압가스가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안전주입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SAFETY INJECTION TANK INCLUDING SEPARABLE STRUCTURE TO PREVENT INJECTION OF PRESSURE GAS INTO REACTOR}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냉각수 상실 사고시 노심냉각을 위하여 냉각수계통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안전주입탱크에 관한 것으로, 안전주입탱크 내의 냉각수 배출 후 가압가스의 냉각계통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냉각수 상실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비상시의 노심생각을 위한 안전주입탱크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주입탱크는 가압가스계통을 통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원자로 냉각계통의 압력이 안전주입탱크 압력 이하로 감소하면 압력 차이에 의해 안전주입탱크 내 냉각수가 자동으로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주입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주입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안전주입탱크(20)에는 냉각수가 채워져 있으며, 상부에는 가압가스가 충진되어 있고, 안전주입탱크(20) 상부에는 가압가스탱크(10)가 가압가스배관(4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가압가스배관(41) 상에는 가압가스공급밸브(42)가 위치한다.
교류전원 상실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질소가스의 가압에 의해 안전주입탱크(20)의 냉각수가 유출배관(43)을 통해 원자로 냉각계통(30)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교류전원 상실사고로 인해 안전주입계통(20)의 냉각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냉각수가 임계수위보다 낮아지게 되면 냉각수 가압에 사용된 질소가스가 냉각계통(30)으로 주입되어 원자로의 냉각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기존의 안전주입탱크 격리는 전동기 구동 격리밸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전소의 모든 교류전원이 상실되었을 경우 안전주입탱크의 격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안전주입탱크 내에는 상부에 가압가스, 하부에 냉각수가 분포하고 있으며 안전주입탱크 내 냉각수의 배출의 임계수위인 저수위 시점에서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하지 않으면 냉각수 계통으로 질소가 유입되어 노심냉각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모든 교류전원이 상실된 비상상황에서도 안전주입탱크 냉각수의 저수위 시점에 별도의 운전원의 조치 없이 신속하게 안전주입탱크로부터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한국특허등록 제1783556호(2017.09.25. 공개) 한국특허공개 제2011-0047407호(2011.05.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전원 상실 등으로 야기되는 중대사고 발생시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가 저수위 시점에 도달하였을 때에도 냉각수의 수위 변화만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안전주입탱크로부터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를 수용하며, 비상시 가압가스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를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공급하는 안전주입탱크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원자로 냉각계통을 연결하는 유출배관, 상기 유출배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출배관과 연결되어 냉각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출배관과 연결되는 하단부가 상기 유출배관보다 넓게 형성된 가이드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관 내의 상기 냉각수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 및 상기 냉각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연동하여 축운동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착탈결정부, 상기 이동체와 상기 착탈결정부를 연결하는 착탈부, 상기 부유체가 일정 수준보다 낮아지면 상기 착탈결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착탈부가 분리되고, 상기 이동체가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체 상부와 상기 이동체 하부의 냉각수유로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냉각수 및 상기 가압가스가 상기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주입되지 않는 안전주입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와 상기 착탈부를 연결하는 탄성체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 본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중합체부와, 상기 탄성중합체부의 하방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착탈 가능한 제1착탈파트와 제2착탈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착탈파트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착탈파트는 상기 착탈결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착탈파트는 후크 및 환형 고리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탱크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착탈결정부는 상기 회전축에서 상하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결정부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의 축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슬롯 형상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수홀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탄성체연결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교류전원이 상실된 비상상황에서 별도의 전원 없이 부력체를 이용한 착탈장치를 이용하여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 수위가 임계수위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주입탱크 내의 질소가 냉각수계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주입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 상황에서의 안전주입탱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부와 착탈결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부와 착탈결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비상 상황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의 수위가 임계수위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상황 이전의 일반 상황에서의 원자로가 정상가동 상태일 때의 안전주입탱크(200)를 수직단면도 형식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주입탱크(200)는 상측에서 가압가스탱크와 가압가스주입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안전주입탱크(200)의 내부는 냉각수와 가압가스로 채워져 있다. 안전주입탱크(200)에 채워진 냉각수는 일반적으로 붕산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가압가스는 질소가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주입탱크(200)는 탱크본체(250)를 포함하며, 탱크본체(250)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원자로 냉각계통은 유출배관(410)을 통해 연결된다.
가이드관(210)은 유출배관(410) 상부에 위치하며 유출배관(410)과 연결되어 냉각수유로를 형성하며 유출배관(410)과 연결되는 하단부가 유출배관(410)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동체(500)는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관(210) 내의 냉각수유로 상에 위치하며, 가이드관(2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착탈결정부(600)는 탱크본체(250)에 고정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착탈부(700)에 의해 이동체(5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유출배관(410)은 탱크본체(250)의 하단부에서 탱크본체(250) 내부로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탱크본체(250) 바닥면으로부터 탱크본체(250) 전체 높이의 5 내지 30% 지점까지 연장된다. 유출배관(410)의 상단부 위치는 냉각수의 공급이 중단되어야 할 최저 수위점인 임계수위의 높이 또는 그 보다 약간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임계수위는 안전주입탱크(200)가 설치되는 발전소의 상황 및 비상상황 시의 대응 시나리오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안전주입탱크 하단으로부터 수용공간 전체 높이의 10 내지 30% 지점에 임계수위가 설정된다.
유출배관(410)의 단면적이 가이드관(210) 하단부의 단면적보다 충분히 작지 않을 때에는 유출배관(410)의 상부에는 가이드관(210)보다 좁게 형성된 협관부(411)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출배관(410)의 단면적이 충분히 작을 경우 협관부는 생략될 수 있다.
가이드관(210)은 유출배관(4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출배관(410)과 연결되어 냉각수유로를 형성하며, 유출배관(410)과 연결되는 하단부가 유출배관(410)보다 넓게 형성된다.
가이드관(210) 측면에는 다수의 투수홀을 포함한다. 투수홀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슬롯 형상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210)이 연결되는 유출배관(410) 또는 협관부(411)에 비해 단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가이드관(210) 하단에는 단면적 차이만큼의 하단의 평평한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관(21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투수홀(21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롯 형상인 경우를 나타냈다. 가이드관(210)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체(500)가 가이드관(210)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 시에 좀 더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깔때기 형상은 냉각수 수위가 낮아질수록 냉각수가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이드관(210)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바닥부가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관(210)에는, 투수홀 중에서 탄성체연결부(530)가 이동체(500)의 하강에 따라 같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투수홀이 슬롯 형상일 경우 슬롯의 일부가 가이드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체(500)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체(500)는 이동체 본체와 탄성체연결부(530)를 포함하며, 이동체 본체는 몸체부(510), 탄성중합체부(520), 및 돌출부(52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있다. 도 4에서는 탄성체연결부(530)를 하나만 나타내었으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일 수 있다.
이동체(500)는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관(210) 내의 냉각수유로 상에 위치하며, 가이드관(2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이동체(500)의 단면형상은 가이드관(210)의 내부 공간 단면형상과 크기만 약간 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것이 좋다. 특히, 가이드관(210)의 하단부의 내부 공간 단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어야 더욱 냉각수 및 가압가스의 차단효과가 커진다.
몸체부(510)는 디스크 형상이거나 높이가 수평단면의 최장 길이에 비해 짧은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관(210)이나 유출배관(41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며, 몸체부(510)의 단면 형상도 가이드관(210) 내부 공간의 단면 형상과 일치해야 하므로 원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관(210)의 내부 공간 단면 형상이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일수 있다. 몸체부의 재질은 냉각수에 장기간 접촉에도 부식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이면서, 적절한 무게를 가지는 것이 좋다. 금속 소재 중 냉각수에 장기간 안정성을 나타내는 금속이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중합체부(520)는 몸체부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다. 가이드관(210)의 하단부에서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몸체부(510) 바닥면의 테두리에는 탄성중합체부(52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탄성중합체부(520)는 가이드관(210)의 하단 부근에 위치하여 상부로부터의 가압가스의 압력에 의해 몸체부(510) 하방에 위치해있던 탄성중합체부의 일부가 측면으로 밀려 가이드관(210) 하단에서의 냉각수유로의 차단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탄성중합체부(520)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탄소, 플로오르화실리콘, 및 실리콘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질들은 냉각수와의 장시간 접촉에도 부식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동체(500)가 가이드관(210)의 하단부에 안착되었을 때 충분한 밀폐력을 나타낸다.
또한, 밀폐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탄성중합체부(520)의 하방으로는 유출배관(4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출부(521)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면도로 나타내어 2개로 나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유출배관(410)의 상단부 단면형상과 일치하도록 원기둥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일 수 있으며, 유출배관(410) 또는 협관부(4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체연결부(530)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를 포함하거나,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체연결부(530)는 비상 상황이 오랜 기간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시간 냉각수에 노출되어야 하며, 탄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냉각수에 부식이나 변형이 일어나는 재질은 부적합하며, 장기간의 인장력 상태의 유지에 의해 탄성력이 감소하는 재질도 부적합하다. 따라서, 냉각수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계열의 스프링 등이 적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부(700)와 착탈결정부(6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착탈결정부(600)는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유체(610)와 부유체(610)에 연동하여 축운동하는 축부(620)를 포함한다. 착탈결정부(600)는 탱크본체(250)의 내벽에 고정되어 형성된 회전축(미도시)에서 상하 회전하는 회전부(640)에 축부(620)가 연결된다. 회전부(640)에는 부유체(610)가 냉각수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져도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도록 축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쇠(641)가 마련되어 있다.
부유체(610)는 안전주입탱크(200) 내의 냉각수에 부력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냉각수에 장기간 접촉에 의해서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축부(620)는 스테인리스강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축부(620) 중 부유체(610)와 연결되는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연결부(530)에 상용한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700)는 착탈 가능한 제1착탈파트(710)와 제2착탈파트(720)를 포함하며, 제1착탈파트(710)는 이동체(500)와 연결되고, 제2착탈파트(720)는 착탈결정부(600)에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착탈파트(710)는 탄성체연결부(530)를 통해 이동체 본체에 연결되며, 제2착탈파트(720)는 착탈결정부(600)의 축부(620)에 연결된다.
제1착탈파트(710) 및 제2착탈파트(720)는 축부(620)가 부유체(610)의 하강에 의해 하방으로 축회동을 하여 분리가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기간의 결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1착탈파트(710) 및 제2착탈파트(720) 중 적어도 하나는 고리 형태의 후크 형상인 것이 좋다. 제1착탈파트(710) 및 제2착탈파트(720) 모두 맞물려 체결되는 후크 형상일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둘 중의 하나만 후크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후크에 걸리는 환형의 고리 형상일 수 있다. 환형은 더 세부적으로 줄과 같은 형태로 모양이 가변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D형 고리나 O형 고리일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체(500), 착탈결정부(600) 및 착탈부(7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교류 전원 상실사고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원자로 냉각계통의 압력이 정상 상태보다 낮아지게 되면, 안전주입탱크(200)의 냉각수가 유출배관(410)을 통해 배출된다.
안전주입탱크(200)의 냉각수 수위가 착탈부(700)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부유체(610)의 위치까지 낮아지게 되면, 냉각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유체(610)도 같이 냉각수의 부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500)는 착탈부(700)가 탄성체연결부(530)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착탈부(700)가 분리되기 전까지 부유체(610)의 하강에 따라 가이드관(210)을 따라 일정 위치만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착탈부(700)가 분리되기 전까지 부유체(610)는 가이드관(210)의 하단부와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냉각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가이드관(210)에 포함된 투수홀은 이동체(500))가 가이드관(210) 하단부에 안착하기 전까지 안전주입탱크(200) 내의 냉각수가 유출배관(410)으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안전주입탱크(200) 내의 냉각수 수위가 냉각수 배출이 중지되어야 하는 한계수위인 임계수위에 도달하면 부유체(610)는 축회전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착탈부(700)의 제1착탈파트(710)와 제2착탈파트(720)가 분리되어 이동체(500)는 가이드관(210)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유낙하하여 가이드관(210) 하단부에 안착하게 된다. 안착된 이동체(500)는 가이드관 하단의 내측벽, 바닥면 및 유출배관(410)의 상단부에서 밀착되어 냉각수 및 가압가스가 유출배관(41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주입탱크(200)는 비상 상황 발생 후 냉각수가 임계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이동체가 착탈결정부로부터 분리되어 냉각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별다른 운전원의 조작이나, 외부 전원 없이도 적절한 시점에 안전주입탱크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되며, 냉각수 배출을 위한 가압가스가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공급되어 원자로의 냉각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냉각수를 수용하며, 비상시 가압가스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를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공급하는 안전주입탱크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원자로 냉각계통을 연결하는 유출배관;
    상기 유출배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출배관과 연결되어 냉각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출배관과 연결되는 하단부가 상기 유출배관보다 넓게 형성된 가이드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관 내의 상기 냉각수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
    상기 냉각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에 연동하여 축운동하는 축부를 포함하는 착탈결정부; 및
    상기 이동체와 상기 착탈결정부를 연결하는 착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가 일정 수준보다 낮아지면 상기 착탈결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착탈부가 분리되고, 상기 이동체가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체 상부와 상기 이동체 하부의 냉각수유로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냉각수 및 상기 가압가스가 상기 원자로 냉각계통으로 주입되지 않으며,
    상기 착탈부는 착탈 가능한 제1착탈파트와 제2착탈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탈파트는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착탈파트는 상기 착탈결정부에 연결되는 안전주입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와 상기 착탈부를 연결하는 탄성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 본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중합체부와, 상기 탄성중합체부의 하방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안전주입탱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파트는 후크 및 환형 고리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인 안전주입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결정부는 상기 회전축에서 상하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안전주입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정부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유체의 축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쇠를 더 포함하는 안전주입탱크.
KR1020190097073A 2019-08-09 2019-08-09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KR10216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73A KR102160065B1 (ko) 2019-08-09 2019-08-09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73A KR102160065B1 (ko) 2019-08-09 2019-08-09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065B1 true KR102160065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073A KR102160065B1 (ko) 2019-08-09 2019-08-09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0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07A (ko) 2009-10-30 2011-05-09 한국전력공사 안전주입탱크
JP2012146434A (ja) * 2011-01-11 2012-08-02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及び車両
KR20140122961A (ko) * 2013-04-11 2014-10-21 한국원자력연구원 보충수 주입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노심냉각계통
KR20160002296A (ko) * 2014-06-30 2016-01-07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중력주입 유량조절시스템
KR101783556B1 (ko) 2016-09-28 2017-10-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안전주입탱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방법
CN108766597A (zh) * 2018-05-04 2018-11-06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可自动隔离的安注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407A (ko) 2009-10-30 2011-05-09 한국전력공사 안전주입탱크
JP2012146434A (ja) * 2011-01-11 2012-08-02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及び車両
KR20140122961A (ko) * 2013-04-11 2014-10-21 한국원자력연구원 보충수 주입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노심냉각계통
KR20160002296A (ko) * 2014-06-30 2016-01-07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중력주입 유량조절시스템
KR101783556B1 (ko) 2016-09-28 2017-10-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안전주입탱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방법
CN108766597A (zh) * 2018-05-04 2018-11-06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可自动隔离的安注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0005B2 (en) Alert-enabled skimmer basket
KR101797440B1 (ko) 변압기용 압력 조절장치
NZ196690A (en) De-aerating valve:float lost motion
EP4421364A1 (en) Automatic liquid drain device
KR102160065B1 (ko)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착탈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JP2009271041A (ja) 重力駆動流量制御器を具備した安全注入タンク
US10451307B2 (en) Float drain
KR101928855B1 (ko) 연료 밸브
CN116659624B (zh) 一种水电厂水淹厂房报警装置
JP6013900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システム
EP3067895A1 (en) Primary containment vessel
KR102172837B1 (ko) 원자로 가압가스 주입 방지를 위한 탄성중합체 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US10883337B2 (en) Drain-back valve and method
RU2659705C2 (ru) Клапан текучей среды
ES2523508T3 (es) Válvula de gas
KR102196608B1 (ko) 원자로 질소주입 방지 구조가 포함된 안전주입탱크
KR102151212B1 (ko) 원자로 냉각계통 가압가스 차단장치
KR100869611B1 (ko) 공기로 작동되는 디캔터
CN207796122U (zh) 用于柱塞泵的进排液阀和柱塞泵、锅炉
EP3385586B1 (en) Air-retention valve for pressurised water reservoir
CN113175040A (zh) 便器溢流装置、便器水箱及便器
EP2918493A1 (en) Intercepting device
KR102112624B1 (ko)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JP7110683B2 (ja) ドレン水排出装置における弁開閉方法、及び、ドレン水排出装置
CN211933680U (zh) 一种具有防溢水功能的聪明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