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563B1 -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563B1
KR102159563B1 KR1020200050081A KR20200050081A KR102159563B1 KR 102159563 B1 KR102159563 B1 KR 102159563B1 KR 1020200050081 A KR1020200050081 A KR 1020200050081A KR 20200050081 A KR20200050081 A KR 20200050081A KR 102159563 B1 KR102159563 B1 KR 10215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lower body
tip
inner lower
bambo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범
Original Assignee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의 굴착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굴착공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그라우트와 일체화 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대나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상기 대나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 및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의 선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선단내하체;를 포함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U형상의 강연선을 이용하여 긴장하고, 시공 완료 후 강연선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대나무의 사이에 연결내하체를 구비함으로써 네일 선단에 하중이 집중됨이 없이 전체에 고루 분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Removed Prestressed Bamboo Na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s}
본 발명은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나무와 이를 연결하는 내하체를 강연선을 이용하여 긴장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시공 완료 후 강연선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착면 등의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일 네일링(soil nailing)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소일 네일링 공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공에 강재로 형성된 보강재를 삽입한 후,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지반과 일체화함으로써 지반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발생 가능한 변위를 억제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일 네일링 공법은 보강재가 대지경계선을 침범함으로써, 인접한 대지에서 구조물 신축할 때 시공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대나무를 활용한 네일링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나무를 이용한 네일링 구조는 대나무의 굵기가 길이에 따라 달라져 필요로 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나무의 경우 그 자체 강도가 부족하여 강선 등을 설치하고 시공 후 제거하는 방법이 시행되나, 강선을 설치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복잡하고, 때로는 강선이 제거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나무를 이용한 제거형 네일링이 잘 작동한다 하더라도 네일의 선단에 프리스트레스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선단에서 부착 파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9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길이로 절단된 대나무를 연결내하체를 연결함으로써 대나무를 사용하면서도 필요한 강도와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U형상으로 배치되는 강연선을 이용하여 긴장함으로써, 선단부에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고 시공 완료 후 강연선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대나무의 사이에 연결내하체를 구비하여 프리텐션 하중이 네일 구조체 전체에 고르게 분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한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는, 지반의 굴착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굴착공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그라우트와 일체화 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대나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상기 대나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 및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의 선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선단내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는 내부 격벽이 제거되어 내부를 통해서 상기 선단내하체까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의 입구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공으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내하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의 입구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공으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주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 및 선단내하체의 걸림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강연선끼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 및 선단내하체의 삽입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나무의 내부와 밀착되는 막음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라우트와 잘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착공의 입구에 설치되는 지압판과,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와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를 지나 상기 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외측에 피복되는 피복관을 더 포함하고, 시공 완료 후 상기 피복관 내부의 강연선은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선단내하체는 그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연선이 걸리는 U자 형상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 양측에 돌출된 돌출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단내하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단부연결내하체와, 상기 단부연결내하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대나무와, 상기 선단대나무의 선단에 결합되는 최선단내하체와,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최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제2강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은, 하중분산형 프리텐션 대나무 네일링 구조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일정 깊이 굴착하고 굴착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굴착단계; 상기 지반의 굴착면에 굴착공을 천공하고, 상기 굴착공에 둘 이상의 대나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대나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의 선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선단내하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굴착공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주입단계; 순으로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삽입단계는, 상기 굴착공의 입구에 지압판을 설치하고,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와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를 지나 상기 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오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외측에 피복되는 피복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시공 완료 후 상기 피복관 내부의 강연선은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길이로 절단된 대나무를 연결내하체를 연결함으로써 대나무를 사용하면서도 필요한 강도와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U형상으로 배치되는 강연선을 이용하여 긴장함으로써, 선단부에 강연선을 고정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고 시공 완료 후 강연선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의 사이에 연결내하체를 구비하여 프리텐션 하중이 네일 구조체 전체에 고르게 분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할 수 있다.
또한, 응력이 집중되는 네일 두부에 지압판을 설치하여 네일 두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간내하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단내하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압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나무 네일의 제작과정도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대나무 네일의 시공과정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의 단부연결내하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대나무 네일에 단부연결내하체를 연결하는 상태도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단부연결내하체가 연결된 다른 대나무 네일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는, 지반의 굴착공(11)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굴착공(11)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그라우트와 일체화 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대나무(110), 중간내하체(120), 선단내하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나무(110)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대나무(110)는 절단한 것들에서 직경이 비슷한 부분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직경 차이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대나무(110)는 내부 격벽이 제거될 수 있다. 격벽이 제거된 대나무(110) 내부를 통해서 선단내하체(130)까지 연통되어 그라우트가 주입될 수 있다.
중간내하체(120)는 둘 이상의 대나무(110)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대나무(1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몸체부(121), 삽입부(122), 걸림부(123), 주입홀(12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1)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122)는 몸체부(121)의 전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11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22)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123)는 상기 몸체부(121)와 삽입부(122)의 경계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플렌지 형성으로 대나무(110) 입구가 걸릴 수 있다. 걸림부(123)의 가장자리인 둘레부에는 강연선끼움홀(123a)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23)는 횡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그라우트에 잘 결합될 수 있다.
주입홀(124)은 상기 몸체부(121)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굴착공(11)으로 그라우트가 주입될 수 있다.
선단내하체(130)는 둘 이상의 대나무(110) 선단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몸체부(131), 삽입부(132), 걸림부(133), 주입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1)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132)는 몸체부(131)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11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32)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133)는 몸체부(131)와 삽입부(132)의 경계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132)로 삽입되는 대나무(110) 입구가 걸릴 수 있다. 걸림부(133)의 가장자리인 둘레부에는 강연선끼움홀(133a)이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33)는 횡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그라우트에 잘 결합될 수 있다.
주입홀(134)은 상기 몸체부(131)에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굴착공(11)으로 그라우트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1)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강연선(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강연선안내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연선안내부(135)는, 강연선(150)이 걸리는 U자 형상의 걸림홈(135a)과, 상기 걸림홈(135a) 양측에 돌출된 돌출날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걸림홈(135a)은 강연선(150)이 U턴하여 돌아갈 수 있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이탈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120) 및 선단내하체(130)의 삽입부(122)(132)에 일정간격으로 막음돌기(122a)(132a)가 돌출되어 상기 대나무(110) 내부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중간내하체(120) 및 선단내하체(130)의 몸체부(121)(131)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결합돌기(121a)(131a)가 돌출되어 그라우트와 잘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121a)(131a)와 전술한 걸림부(123)(133)가 그라우트에 견고히 결합되게 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 긴장력이 네일 전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120) 및 선단내하체(130)는 주철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착공(11)의 입구에 설치되는 지압판(140)과, 상기 지압판(140)에서 시작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110)와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120)를 지나 상기 선단내하체(130)에서 U턴하여 상기 지압판(140)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강연선(150)과, 상기 강연선(150)의 외측에 피복되는 피복관(15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복관(151) 내부의 강연선(150)은 시공 완료 후,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피복관(151)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그리스를 채울 수 있다. 그리스는 강연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강연선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150)은 강연선끼움홀(123a)(133a)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대나무 네일(100)의 긴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선단내하체(130)의 강연선안내부(135)에 결합되는 단부연결내하체(160)와, 상기 단부연결내하체(160)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대나무(170)와, 상기 선단대나무(170)의 선단에 결합되는 최선단내하체(180)와, 상기 지압판(140)에서 시작하여 상기 최선단내하체(180)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140)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제2강연선(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부연결내하체(160)의 후단부가 상기 강연선안내부(135)와 후크 결합되고, 단부연결내하체(160)의 선단부는 상기 선단대나무(170)가 결합되도록 삽입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선단내하체(180)는 선단내하체(130)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강연선(190)은 최선단내하체(180)와 선단내하체(130) 및 중간내하체(120)의 강연선끼움홀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양단부가 비슷한 직경을 유지하도록 일정길이로 절단된 둘 이상의 대나무(110) 사이에 중간내하체(1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대나무(110)에 중간내하체(120)의 삽입부(12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120)로 연결된 둘 이상의 대나무 중 선단의 대나무에 선단내하체(130)의 삽입부(132)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중간내하체(120) 및 선단내하체(130)와 대나무(110)들이 연결결합되고, 연결결합된 대나무 중 후단의 대나무는 지압판(140)에 부착된 삽입부(1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22)(132)(141)가 삽입되는 대나무(110)의 내면은 상기 삽입부(122)(132)(1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막음돌기와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대나무(110)의 삽입부(122)(132)(141)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결속밴드가 결속될 수 있다. 결속밴드는 대나무(110)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부(122)(132)(14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강연선(150)이 상기 지압판(140)에서 시작하여 둘 이상의 대나무(110)를 연결한 중간내하체(120)를 지나 선단내하체(130)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140)으로 되돌아와 고정쐐기에 긴장 결합됨으로써 대나무 네일(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150)은 그리스가 채워진 피복관이 피복된 상태에서어 중간내하체(120)와 선단내하체(130)의 강연선끼움홀(123a)(133a)에 삽입되고, U자형의 걸림홈(135a)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스는 강연선의 부식을 방지하고, 피복관과의 마찰력을 떨어뜨려 강연선의 긴장과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150)은 미리 긴장한 후 굴착공에 삽입하거나, 굴착공에 삽입한 후 긴장하거나, 그라우트를 주입한 후 긴장하거나, 그라우트가 경화한 후 긴장할 수 있다. 도한 강연선(150)은 단계적으로 긴장할 수 있다. 예컨데 일부만 긴장 한 후, 그라우트가 경화한 후 완전 긴장할 수 있다. 이는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지반을 일정 깊이 굴착하고 굴착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굴착면에 굴착공(11)을 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대나무 네일(100)을 지반에 천공된 굴착공(11)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지압판(140)의 전면은 숏크리트에 밀착되고, 강연선안내부(135)에 연결된 선단콘이 굴착공(11)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지압판(140)으로 주입호스를 밀어넣어 그라우트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호스로 주입되는 그라우트는 선단내하체(130)의 몸체부(131)에 충진되면서 몸체부(131)의 주입홀(134)을 통해 천공홀(11)로 주입되어 충진되고, 상기 몸체부(131)에 연결된 대나무(110)에도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11) 및 선단내하체(130)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충진수위가 상승하여 중간내하체(120)의 몸체부(121)에 충진되면서 몸체부(121)의 주입홀(124)을 통해 천공홀(11)로 주입되어 충진되고, 상기 몸체부(121)에 연결된 대나무(110)에도 충진되며, 이의 과정으로 대나무 네일(100) 내부 및 천공홀(11)에 그라우트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11)에 주입되는 그라우트는 몸체부(121)(13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21a)(131a)와 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천공홀(11)에 그라우트의 주입이 완료되면, 지압판(140)으로 돌출된 강연선(150)의 일측을 유압실린더로 인장(프리텐션 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연선(150)의 타측은 고정쐐기가 지압판(14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강연선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인장되고,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중단시키면 강연선(150)에 복원력이 발생하나, 강연선(150)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쐐기가 지압판(140)에 밀착되면서 강연선의 복원을 방지함은 물론 강연선의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최종 굴착시까지 반복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필요시 상기 강연선(150)을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지압판(140)에 밀착된 고정쐐기를 이탈시킨 후, 상기 강연선(150)을 인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150)을 인출할 때, 상기 강연선(150)은 피복관 내부에 채워진 그리스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1를 참조하면, 제작된 대나무 네일(100)의 길이를 늘리기 위해 선단내하체(130)의 강연선안내부(135)에 단부연결내하체(160)를 후크결합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단부연결내하체(160)의 삽입부(161)에 선단대나무(170)의 후단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61)에는 막음돌기가 돌출되어 선단대나무(170) 내면과의 밀착력을 높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선단대나무(170)의 선단에는 선단내하체(130)와 유사한 구조인 최선단내하체(180)의 삽입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선단대나무(170)와 삽입부는 결속밴드로 결속될 수 있다.
상기 강연선(150)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2강연선(190)이 지압판(140)에서 시작하여 둘 이상의 대나무(110)를 연결한 중간내하체(120)와 선단내하체(130)를 지나 최선단내하체(180)에서 U턴하여 다시 지압판(140)에 되돌아와 고정쐐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다른 대나무 네일(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강연선(190)은 그리스가 채워진 피복관에 피복되어 중간내하체(120)와 선단내하체(130)의 강연선끼움홀(123a)(133a)과 최선단내하체(180)의 강연선끼움홀 및 U자형의 걸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리스는 강연선의 부식을 방지하고, 피복관과의 마찰력을 떨어뜨려 강연선의 긴장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다른 대나무 네일(100')의 시공과정은 대나무 네일의 시공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다른 대나무 네일(100')은 강연선(150)과 제2강연선(190)이 이중으로 긴장시키므로 긴장력을 더욱더 증대시킴은 물론 굴착변위의 억제효과가 우수하여 깊은 굴착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대나무 네일 110: 대나무
120: 중간내하체 130: 선단내하체
121,131: 몸체부 122,132: 삽입부
123,133: 걸림부 124,134: 주입홀
135: 강연선안내부 140: 지압판
150: 강연선 160: 단부연결내하체
161: 삽입부 170: 선단대나무
180: 최선단내하체 190: 제2강연선

Claims (10)

  1. 지반의 굴착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굴착공에 주입되어 경화되는 그라우트와 일체화 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대나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상기 대나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 및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의 선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선단내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굴착공의 입구에 설치되는 지압판과,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와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를 지나 상기 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외측에 피복되는 피복관을 더 포함하고,
    시공 완료 후 상기 피복관 내부의 강연선은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는 내부 격벽이 제거되어 내부를 통해서 상기 선단내하체까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내하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의 입구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공으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내하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와 삽입부의 경계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나무의 입구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굴착공으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주입홀을 포함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내하체 및 선단내하체의 걸림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강연선끼움홀을 더 포함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내하체 및 선단내하체의 삽입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나무의 내부와 밀착되는 막음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라우트와 잘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내하체는 그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연선이 걸리는 U자 형상의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 양측에 돌출된 돌출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내하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단부연결내하체와, 상기 단부연결내하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대나무와, 상기 선단대나무의 선단에 결합되는 최선단내하체와,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최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와 긴장 결합되는 제2강연선을 더 포함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9. 하중분산형 프리텐션 대나무 네일링 구조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을 일정 깊이 굴착하고 굴착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굴착단계;
    상기 지반의 굴착면에 굴착공을 천공하고, 상기 굴착공에 둘 이상의 대나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의 대나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의 선단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선단내하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굴착공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주입단계; 순으로 시행하고,
    상기 삽입단계는, 상기 굴착공의 입구에 지압판을 설치하고, 상기 지압판에서 시작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나무와 하나 이상의 중간내하체를 지나 상기 선단내하체에서 U턴하여 다시 상기 지압판으로 되돌아오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외측에 피복되는 피복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시공 완료 후 상기 피복관 내부의 강연선은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200050081A 2020-04-24 2020-04-24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KR10215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081A KR102159563B1 (ko) 2020-04-24 2020-04-24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081A KR102159563B1 (ko) 2020-04-24 2020-04-24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563B1 true KR102159563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081A KR102159563B1 (ko) 2020-04-24 2020-04-24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5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66Y1 (ko) * 2005-03-07 2005-06-16 김준홍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20060097957A (ko) 2005-03-08 2006-09-18 방윤경 지반 굴착면 및 사면 지지용 대나무 보강공법
KR20070096706A (ko) * 2006-03-27 2007-10-02 (주) 공인건설 프리스트레스 방식의 소일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지반 보강공법
KR100872145B1 (ko) * 2008-03-26 2008-12-08 주식회사 장평건설 이중주입관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제거식 어스앵커체 및이의 시공방법
KR20130095153A (ko) * 2012-02-17 2013-08-27 양영훈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841644B1 (ko) * 2017-11-01 2018-03-23 남기황 중심유지 기능을 갖는 앵커를 이용한 그라우팅공법
KR20180058367A (ko) * 2016-11-24 2018-06-01 한국전력공사 친환경 보강재, 친환경 보강재를 활용한 친환경 보강시스템 및, 지반보강방법
KR102074193B1 (ko) * 2018-09-27 2020-02-06 양영훈 대나무 소일네일링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766Y1 (ko) * 2005-03-07 2005-06-16 김준홍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20060097957A (ko) 2005-03-08 2006-09-18 방윤경 지반 굴착면 및 사면 지지용 대나무 보강공법
KR20070096706A (ko) * 2006-03-27 2007-10-02 (주) 공인건설 프리스트레스 방식의 소일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지반 보강공법
KR100872145B1 (ko) * 2008-03-26 2008-12-08 주식회사 장평건설 이중주입관이 구비된 연약지반용 제거식 어스앵커체 및이의 시공방법
KR20130095153A (ko) * 2012-02-17 2013-08-27 양영훈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20180058367A (ko) * 2016-11-24 2018-06-01 한국전력공사 친환경 보강재, 친환경 보강재를 활용한 친환경 보강시스템 및, 지반보강방법
KR101841644B1 (ko) * 2017-11-01 2018-03-23 남기황 중심유지 기능을 갖는 앵커를 이용한 그라우팅공법
KR102074193B1 (ko) * 2018-09-27 2020-02-06 양영훈 대나무 소일네일링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36B1 (ko)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구조체 및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공법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8619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및 상기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4182074A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244746B1 (ko) 패커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721786B1 (ko) 연약지반을 보강하면서 앵커ㆍ네일을 시공하는 방법
KR100797800B1 (ko) 영구앵커의 선단정착구
KR101178043B1 (ko) 케이블 볼트 및 케이블 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9563B1 (ko) 제거형 프리스트레스 대나무 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 시공방법
JP5145738B2 (ja) 構造物の耐震工法、構造物の耐震構造
KR102074193B1 (ko) 대나무 소일네일링 구조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816641B1 (ko) 영구앵커조립체 및 이의 설치구조
KR102221759B1 (ko) 지반 및 사면보강 앵커 그라우팅 장치
KR102159978B1 (ko) 연결 대나무 소일네일링 구조
KR100871467B1 (ko) 지압형 앵커 및 이 시공방법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73738B1 (ko) 연약지반 보강 앵커
KR101547320B1 (ko) 나선형 패커 확장구조를 갖는 영구앵커
KR101299432B1 (ko) 톱니형 쐐기를 구비한 스팅식 앵커 및 그 시공방법
JP6220602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並びに、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102060423B1 (ko) 탄성 가압장치, 이를 이용한 다철근 네일체 설치 구조 및 소일네일링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