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07B1 - 터치도장 - Google Patents

터치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07B1
KR102159407B1 KR1020130143625A KR20130143625A KR102159407B1 KR 102159407 B1 KR102159407 B1 KR 102159407B1 KR 1020130143625 A KR1020130143625 A KR 1020130143625A KR 20130143625 A KR20130143625 A KR 20130143625A KR 102159407 B1 KR102159407 B1 KR 10215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capacitive
touch scree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913A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도장에 관한 것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부의 점촉 면의 중점들이 각 터치도장 별로 중복되지 않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도록 배치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 지정된 높이 순서대로 순차 터치되도록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일정 면적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닌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다른 평판부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평면 영역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대적 좌표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이 축전된다.

Description

터치도장{Touch Stamp}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부의 점촉 면의 중점들이 각 터치도장 별로 중복되지 않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도록 배치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 지정된 높이 순서대로 순차 터치되도록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일정 면적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닌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다른 평판부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평면 영역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대적 좌표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이 축전되는 터치도장에 관한 것이다.
도장 형태의 물건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하고 이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각종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 터치도장 서비스가 개시된다.
통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의 경우에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다중 터치를 지원하며, 손가락을 이용한 다중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예컨대, 핀치투줌 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른 터치도장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들이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형성되는 고유성과 모든 종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인식 가능한 인식성을 지녀야 한다.
그런데 최근 출시된 일부 스마트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의 경우, 정전용량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정전식 터치와 함께 압력에 근거한 감압식 터치를 동시에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이 있다. 통상적으로 터치도장을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경우에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은 이를 정전식으로 인식하지 않고 감압식으로 인식한다. 그런데 감압식 터치는 다중 터치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가 터치스크린에 터치되었음에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부의 점촉 면의 중점들이 각 터치도장 별로 중복되지 않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도록 배치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 지정된 높이 순서대로 순차 터치되도록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일정 면적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닌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다른 평판부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평면 영역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대적 좌표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이 축전되는 터치도장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부의 점촉 면의 중점들이 각 터치도장 별로 중복되지 않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도록 배치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 지정된 높이 순서대로 순차 터치되도록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일정 면적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닌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다른 평판부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평면 영역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대적 좌표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이 축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평판부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가 다른 높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 또는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답터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경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유지하는 원통형의 터치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중점 부분부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먼저 터치되게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내부에 내부 수축을 유도하는 빈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수축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수축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은, 장치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지정된 다른 높이로 구비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지정된 정전용량이 축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평판부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가 다른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 또는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평판부의 결합부가 관통하는 평판관통홈과, 상기 평판관통홈을 관통한 평판부의 결합부를 가이드하는 관통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평판부와 결합된 아답터부의 몸체를 가이드하는 아답터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답터 가이드부는 상기 아답터부의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가이드부와, 상기 아답터부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평판부를 가이드하는 평판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판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몸체 안쪽에서 평판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평판부를 가이드하는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몸체 안쪽에서 평판 측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매입하여 가이드하는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몸체 안쪽이 평판을 가이드하는 일자형 평판 가이드부 중 하나 이상의 평판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은, 상기 평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답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은, 상기 평판부와 결합된 아답터부와 상기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경계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원통형의 터치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경계를 다각형으로 유지하는 터치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지정된 접촉 경계 내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 면의 중심 부분부터 터치되게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내부에 내부 수축을 유도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수축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수축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해 인체의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정전용량이 축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의 정전용량은 100pF ~ 300pF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정전용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은, 지정된 정전용량을 축전하여 유지하는 정전용량 축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에 유지된 정전용량이 축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는 슈퍼콘덴서 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높이로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시킴으로써 정전식 터치와 감압식 터치를 동시에 지원하는 터치스크린에서 첫 번째 터치는 감압식으로 인식시킨 후 나머지 터치는 정전식으로 인식시켜 결과적으로 터치도장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가 터치스크린에 모두 인식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도장의 구성을 모듈화함으로써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다양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지닌 터치도장을 대량 생산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도장을 터치하는 행위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 또는 장소에서 지정된 행위를 했거나 할 예정임을 인증하여 이에 대응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 구조의 개념적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도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부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판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중판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판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아답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하우징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평판부와 아답터부 및 하우징부를 조립하는 조립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100) 구조의 개념적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시키는 터치도장(1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가능한 고무탄성(Rubber Elasticity)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고정하는 평판부(115)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와, 사람의 손으로 들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할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부(120)를 구비한다. 즉,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와 이들을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가능하게 고정하는 프레임부(110) 및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부(120)를 구비하는 물건은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의 권리범위 범주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것을 ‘도장 터치’라고 한다. 본 발명의 도장 터치는 사람의 손으로 터치도장(100)의 손잡이부(120)를 쥐고, 상기 터치도장(100)의 평판부(115)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지정된 개수만큼 터치되되,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각각의 터치부(105)들이 계산된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이루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하는 터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프레임부(110)의 평판부(115)에 고정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평판부(115)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다른,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들은 지정된 순서(예컨대, 높이 차이)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터치(예컨대, 가장 높은 터치부(105)부터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도장 터치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상기 순차적 도장 터치를 위해 상기 터치도장(100)에 소정의 압인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인력은 상기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질 수 있다. 이 때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시간 간격은 사람마다 압인력이 가하는 방식과 크기가 각기 다르므로 터치를 인증하는 조건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을 이용한 도장 터치는 통상의 다중 터치(Multi-Touch)와는 차별화되는 요소를 지닌다. 다중 터치는 특정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에 둘 이상의 터치 점이 터치된 상태에서 둘 이상의 터치 점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의 터치 점을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는 터치이다. 예를들어, 두 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이용하여 확대/축소의 입력 값으로 이용하는 핀치투줌이 가장 대표적인 다중터치이다. 반면 본 발명의 도장 터치는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 즉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 각도 등)를 미리 지정(또는 등록)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도장(100)을 식별수단 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터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 터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와, 적어도 일 측에 일정 면적의 평판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여 고정하는 평판부(115)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평판부(115)에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도록 손으로 쥘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부(120)를 구비한 물건이 필요한데, 상기 터치부(105), 프레임부(110) 및 손잡이부(120)를 구비한 물건이라면 어떠한 형태를 지니고 있더라도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에 해당한다.
상기 터치부(105)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고무탄성의 성질을 지닌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지정된 접촉 면적(또는 지정된 접촉 면적 이상의 면적)을 포함하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지정된 정전용량이 축전된다.
본 발명의 제1 정전용량 축전 방식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상기 손잡이부(120)를 쥐고 있는 인체의 정전용량이 축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12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된 접촉부(도시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또는 접촉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체의 정전용량은 100pF에서 4,000pF까지 변화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100pF에서 300pF 사이의 값을 인체의 정전용량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200pF을 인체의 정전용량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전용량 축전 방식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는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정전용량 축전부(예컨대, 슈퍼콘덴서 또는 배터리 등)에 축전된 정전용량이 축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의 재질은 연질 또는 반연질 또는 반경질의 성질을 지닌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부(105)는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고무재질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지정된 접촉 면적을 지닌 접촉 면(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상기 터치부(105)의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방향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지정된 기하학 형상(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되며,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 면(300)은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 정사각형 형태의 기하학 형상 또는 원형 형태의 기하학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상기 터치도장(100)이 터치될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와 상관 관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도장(100)은 둘 이상의 지정된 이종 장치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때 각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는 각 장치(또는 각 터치스크린) 별로 상이할 수 있다. 각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인체의 정전용량을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하는 터치 면적의 함수로 표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접촉 면적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포함 수 있다. 여기서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상기 최저 터치 감도는 각 장치 제조사가 공개한 스펙에 대한 정보로부터 획득되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장치(a)의 정전식 터치스크린(a)의 터치 감도가 25㎟이고, 지정된 장치(b)의 정전식 터치스크린(b)의 터치 감도가 49㎟이고, 지정된 장치(c)의 정전식 터치스크린(c)의 터치 감도가 81㎟라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상기 25㎟, 49㎟, 81㎟ 중에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81㎟의 접촉 면적으로 계산됨으로써, 상기 장치(a), 장치(b) 및 장치(c)의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모두 터치 인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을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으로 하는 것은,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즉, 터치부(105)의 개수가 동일하고 각 터치부(105)가 고정되는 프레임부(110)의 면적이 동일하다면, 각 터치 점의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동일 면적에 고정되는 동일 개수의 터치부(105)를 통해 도출 가능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의 경우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을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을 초과하더라도 터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통해 도출 가능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경우의 수를 최대로 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접촉 면적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포함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장치(a)의 정전식 터치스크린(a)의 터치 감도가 25㎟이고, 지정된 장치(b)의 정전식 터치스크린(b)의 터치 감도가 49㎟이고, 지정된 장치(c)의 정전식 터치스크린(c)의 터치 감도가 81㎟라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상기 25㎟, 49㎟, 81㎟ 중에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81㎟ 이상의 접촉 면적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장치(a), 장치(b) 및 장치(c)의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모두 터치 인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접촉 면적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100)에 정전용량 축전부가 구비된 경우에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과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전용량의 비례식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체의 정전용량을 200pF으로 하여 상기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이 90㎟일 때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전용량이 600pF라면 상기 접촉 면적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접촉 면적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도장(100)에 정전용량 축전부가 구비된 경우에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 중 인체의 정전용량을 기준으로 인식 가능한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과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전용량의 비례식에 대응하는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인체의 정전용량을 200pF으로 하여 상기 최저 터치 감도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이 90㎟일 때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전용량이 400pF라면 상기 접촉 면적은 45㎟이상 일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시점에 계산된 접촉 면적(또는 계산된 면적 이상의 접촉 면적)으로 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접촉 면(300)은 기본적으로 평면 구조를 지닌다. 한편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이 평면 구조를 지닐 경우 터치도장(100)이 터치되는 방식(예컨대, 비스듬히 터치하는 방식)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먼저 터치되는 면은 접촉 면(300)의 경계 부분일 수 있고, 이 경우 접촉 면(300)의 반대 방향 경계 부분이 터치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 전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고 먼저 터치된 경계 부분을 기준으로 중점을 정하여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였을 때 계산된 터치 점 위치(즉, 터치부(105)의 중점 위치)로부터의 중점 이동은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단, 허용된 오차 범위의 중점 이동은 보정 가능함).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중점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계산된 접촉 면적이 터치되도록 지정된 기하학 형상의 평면 구조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구조를 유지한 상태(즉, 기하학 형상의 경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5)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 면(300)의 기하학 형상이 원형이라면, 상기 접촉 면(300)의 돌출부(305)는 상기 원형을 밑면으로 하는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일정 곡률을 지닌 반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05)는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이 항상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먼저 터치되게 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중점 이동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처리한다. 이를 통해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시점에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또는 지구 중력)에 의해 압축, 굽힘, 비틀림 중 하나 이상의 외력(대부분의 경우에 압축)이 가해지게 되고,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터치부(105)는 변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의해서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면적은 상기 터치부(105)의 계산된 접촉 면적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상기 외력에 의한 변형에 의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중점이 이동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상기 외력에 의한 터치부(105)의 변형을 터치부(105) 안 쪽으로의 수축 변형으로 유도하기 위해 터치부(105)의 내부에 빈 공간(330)이 형성되게 제작된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예컨대, 접촉 면(300)의 돌출부(305))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부(105)로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의 압축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터치부(105)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330)에 의해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예컨대, 접촉 면(300)의 돌출부(305))은 상기 빈 공간(330)으로 수축 변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은 유지되고, 상기 터치된 면의 중점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는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굽힘 외력이나 비틀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Drag)되지 않는 이상,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은 유지되고, 상기 터치된 면의 중점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예컨대, 압축, 굽힘, 비틀림 중 하나 이상의 외력)에 의한 터치부(105)의 변형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변형으로 유도하는 수축홈(325)이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축홈(325)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터치부(105)가 평판부(115)의 외부로 노출되는 높이에 비례하여 복수개의 수축홈(325)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부(105)로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의 압축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터치부(105)의 수축홈(325)에 의해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수축 변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은 유지되고, 상기 터치된 면의 중점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고정하고 이를 손잡이부(120)와 연결하는 구성부 또는 구성부 조합의 총칭으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고정하기 위한 일정 면적과 지정된 기하학 형상을 지닌 평판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 측은 상기 손잡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 및/또는 인체의 정전용량을 상기 터치부(105)로 전달한다.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로 축전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20)(또는 접촉부)에 접촉한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을 인쇄(또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전용량 축전부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로 축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프레임부(110)는 정전용량 축전부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을 인쇄(또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는 일정 면적의 평판 영역과 상기 평판 영역을 형성하는 지정된 기하학 형상을 지닌 평판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115)를 수용하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하우징부(215)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답터부(230)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는 조립 가능한 각각의 모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사람의 손을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이 입력받고 이를 프레임부(110)로 전달한다. 상기 손잡이부(120)의 일 측은 상기 프레임부(110)와 연결된다. 또는 상기 손잡이부(120)와 프레임부(110)는 조립 가능한 각각의 모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로 축전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2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부(12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된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도장(100)은, 압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오염 또는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거나, 및/또는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하우징부(215)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도장(100)의 터치부(105)가 아래로 향하여 바닥에 닿도록 보관하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된 터치부(105)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터치 감도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터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또는 바닥 면이 거칠거나 또는 노출된 터치부(105)에 외부 에너지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노출된 터치부(105)가 물리적으로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에너지는 프레임부(110)를 손상 또는 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터치부(105)와 프레임부(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오염 또는 손상으로부터 터치부(105)와 프레임부(110)를 보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터치도장(100)의 터치부(105)가 아래로 향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상기 터치부(105)가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져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는 평판 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에 의해 평판 구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된다.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가 평판 구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평판 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터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고정한 프레임부(110)의 평판 영역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부(225) 및/또는 가이드부(220)는 생략되고, 복수의 터치부(105)가 하우징부(215)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 터치부(105)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터치도장(100)을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인증 요소 중의 하나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터치부(105)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 이외에 다른 인증 요소를 추가적으로 이용(예컨대, 터치도장(100)에 NFC칩(도시생략)과 안테나(도시생략)가 구비되고 NFC칩에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무선 전파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 요소로 이용하거나, 또는 터치도장(100)에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칩모듈(도시생략)과 사운드출력부(도시생략)가 구비되고 상기 칩모듈에 의해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DTMF신호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인증 요소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일부 동일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도 그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터치도장(100)의 대량 생산과 품질 관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터치도장(100)은 이하의 도면과 설명을 통해 실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의 실시예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1에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구성 중 일부의 구성을 지지고 있다면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의 구성에 해당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도장(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터치도장(100)을 설계 및 제작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 중에서 복수의 터치부(105)를 다양한 기하학 배열 구조로 설계 배열 가능하며 대량 생산과 품질 관리가 용이한 일 실시예를 통해 제작한 터치도장(100)의 내부 절단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터치도장(100)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도장(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가능한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고정하는 평판부(115)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평판부(115)에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도록 손으로 쥘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와 프레임부(110)를 보호하며 상기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하우징부(215)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110)와 손잡이부(120)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하우징부(215)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답터부(230)를 구비한다.
본 도면2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터치부(105)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고무탄성의 성질을 지닌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지정된 접촉 면적(또는 지정된 접촉 면적 이상의 면적)을 포함하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상기 도면1에 설명한 제1 또는 제2 정전용량 축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 따라 정전용량이 축전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상기 터치부(105)의 부분 중에서 상기 프레임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방향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지정된 기하학 형상(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면1에 설명한 제1 내지 제4 접촉 면적 실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은 상기 터치도장(100)이 터치될 각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터치 감도와 상관 관계를 이루는 면적이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계산된 접촉 면적이 터치되도록 지정된 기하학 형상의 평면 구조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구조를 유지한 상태(즉, 기하학 형상의 경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5)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상기 터치부(105)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내부 수축으로 유도하는 빈 공간(330)이 형성되게 제작되며, 상기 터치부(105)는 압축, 굽힘, 비틀림 중 하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빈 공간(330)에 의한 내부 수축으로 인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이 유지되고 중점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터치부(105)는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따라 터치도장(100)의 평판부(115)에 고정되며, 상기 평판부(115)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계산된 높이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서 상기 평판부(115)에 고정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은 상기 평판부(115)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높이가 다른,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터치부(105)의 변형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변형으로 유도하는 수축홈(325)이 형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평판부(115)에 고정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각 터치부(105)들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수축해야 하는 높이가 상이한 경우, 지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로 평판부(115)에 고정되는 터치부(105)에 상기 수축홈(325)을 구비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수축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05)는 압축, 굽힘, 비틀림 중 하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축홈(325)에 의한 수직 방향 수축으로 인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이 유지되고 중점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고정하고 이를 손잡이부(120)와 연결하는 구성부 또는 구성부 조합의 총칭으로서, 손잡이부(120)로 입력된 인체의 정전용량 또는 정전용량 축전부에 축전된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프레임부(110)의 구성부 중에서 터치부(105)와 함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부분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비전도성 재질이 도포됨으로써 상기 터치부(105)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방해하지 않게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는 일정 면적의 평판 영역을 포함하는 평판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115)는,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해당하는 상판부(200)와, 상기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를 설계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배열하도록 매입하여 유지하는 매입 프레임에 해당하는 중판부(205)와, 상기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판부(205)에 매입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따라 지정된 높이만큼 외부로 노출시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게 하는 하판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부(200)는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되는 결합부(405)를 포함하고, 손잡이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에 대하여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지지하는 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판부(205)는 상기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판부(210)를 통해 노출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을 매입하는 매입홈(505)을 구비한 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부(210)는 상기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판부(205)에 매입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하는 돌출홈(605)을 구비한 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200)와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금(또는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전용량 축전부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을 인쇄(또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판부(210)(적어도 하판부(210)에서 터치부(105)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평판 영역)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도성 재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115)는 상기 상판부(200)와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가 격층 결합되면서, 상판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중판부(205)에 의해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매입되며, 하판부(210)에 의해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돌출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를 수용한다. 상기 상판부(200)와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는 접착제에 의해 격층 결합되거나, 및/또는 나사 조립에 의해 격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평판부(115)와 결합되고 하우징부(215)와 인터페이스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200)의 결합부(405)를 가이드하여 상기 평판부(115)가 지정된 위치에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결합유도홈(7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부(230)는 상기 결합유도홈(710)을 통해 상기 상판부(200)의 결합부(405)를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상기 평판부(115)와 결합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합유도홈(710)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는 접착제(예컨대,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거나, 및/또는 나사 조립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판부(115)는 상기 결합유도홈(710)을 통해 상기 아답터부(230)의 지정된 위치에 유도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되거나, 및/또는 나사 조립을 통해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가 나사 조립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아답터부(230)는 나사 조립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홈(70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200)의 결합부(405)는 상기 나사 조립을 위한 나사홈(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가 나사 조립으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부(230)의 볼트관통홈(705)과 상판부(200)의 나사홈(410)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아답터부(230)는 평판부(115)가 결합되면서 하우징부(215)와 인터페이스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평판부(115)를 수용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115)의 결합부(405)를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하기 위해 관통시키는 평판관통홈(800)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아답터부(230)와 결합된 평판부(115)가 바닥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평판부(115)(또는 평판부(115)에 구비된 터치부(105))를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225)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부(225)는 본 도면2의 예시와 같이 와이어로 이루어진 스프링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반발탄성력을 지닌 물질(예컨대, 스펀지 등)은 모두 스프링부(225)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손잡이부(120)에 의해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평판부(115)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평판부(115)에 고정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한 평판부(115)의 결합부(405)를 가이드하는 관통 가이드부(220)와, 상기 아답터부(230)의 몸체를 가이드하는 아답터 가이드부(220)와, 상기 평판부(115)를 가이드하는 평판 가이드부(220) 중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2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답터 가이드부(220)는 아답터부(230)의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가이드부(220)와 아답터부(230)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평판 가이드부(220)는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에서 평판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평판부(115)를 가이드하는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와,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에서 평판 측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매입하여 가이드하는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220)(도시생략)와,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이 평판을 가이드하는 일자형 평판 가이드부(220) 중 하나 이상의 평판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120)는 터치도장(100)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사람의 손을 통해 가해지는 압인력이 입력받고 이를 아답터부(230)를 통해 프레임부(110)로 전달시킨다. 상기 손잡이부(120)의 일 측은 상기 아답터부(230)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120)와 아답터부(230)는 접착제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나사 조립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인체의 정전용량을 터치부(105)로 축전하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120)를 쥔 인체의 정전용량이 터치부(105)까지 전달되도록 상기 접착제는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이 복수의 터치부(105)에 대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 이외에 추가 인증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가 인증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부(예컨대, 터치도장(100)에 NFC칩(도시생략)과 안테나(도시생략), 또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칩모듈(도시생략)과 사운드출력부(도시생략) 등)는 상기 손잡이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가 인증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부는 상기 프레임부(110) 및/또는 하우징부(215)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부(105)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판부(200)를 통해 지지되고, 중판부(205)에 매입되고, 하판부(2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부(105)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터치부(105)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편의상 본 도면3은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이 원형인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나,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더라도 타원 형태 등으로 변형 가능하며, 원형 이외에 각종 다각형(예컨대, 사각형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는, 상기 중판부(205)에 매입되는 일정 면적의 매입판(310) 위에, 상기 하판부(210)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형상(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접촉 면(3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몸체에 해당하는 터치몸체부(320)를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매입판(310)과 터치몸체부(320)의 내부에는 빈 공간(33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은 터치될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05)를 구비한다.
상기 매입판(310)은 상기 터치부(105)의 구성 중 평판부(115)의 중판에 구비된 매입홈(505)에 매입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판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터치몸체부(320)를 일 면에 고정하고, 적어도 상기 접촉 면(300)의 접촉 면적보다 큰 면적의 지정된 기하학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a와 도면3b 및 도면3c를 참조하면, 상기 매입판(310)은 상기 터치구현부의 측면 외곽 부분에 각진 형태의 매입부(315) 및/또는 곡선 형태의 매입부(315)를 포함하는 판으로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예컨대, 접착제를 통해 매입판(310)을 고정하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입부(315)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매입판(310)의 매입부(315)는 상판부(200)를 통해 지지되고, 중판부(205)에 매입되고, 하판부(2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터치부(105)가 하판부(210)에 걸려 하판부(210) 외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붙들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접착제(예컨대,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터치부(105)는 평판부(115)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매입판(310)의 두께는 상기 중판부(205)의 판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중판부(205)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큰 두께(예컨대, 매입판(310)의 재질이 지닌 연질 또는 반연질 또는 반경질의 성질에 의해 매입판(310)이 상판부(200)와 하판부(210) 사이의 중판부(205)에 압축되어 결합시킬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입판(310)의 면적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접촉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접촉 면적의 외부로 돌출되는 매입부(315)가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매입판(310)과 상판부(200)가 접촉하는 부분을 접착제(예컨대, 전도성 접착제)로 접착하지 않고도 터치부(105)가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부(105)가 평판부(11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접착제를 통해 상기 매입판(310)을 상판부(200)에 접착한다면 상기 매입판(310)의 면적은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접촉 면적과 같거나 또는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터치몸체부(320)는 상기 터치부(105)의 구성 중 하판부(2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접촉 면(300)을 형성하는 몸체에 구성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기하학 형상(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접촉 면(3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둥 형태로 제작된다. 예를들어, 상기 접촉 면(300)이 원형이라면 상기 터치몸체부(32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접촉 면(300)이 사각형이라면 상기 터치몸체부(320)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높이는 상기 하판부(210)의 두께보다 큰 높이로 제작되며, 이에 의해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일 측에 구비된 지정된 접촉 면적의 접촉 면(300)이 상기 하판부(210)의 돌출홈(605)을 통해 하판부(2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일 측에 구비된 접촉 면(300)의 접촉 면적은 상기 도면1에 설명한 제1 내지 제4 접촉 면적 실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지니게 제작되며, 상기 터치몸체부(320)는 사상 접촉 면적과 높이를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터치몸체부(320)의 접촉 면(300)은 상기 터치부(105)의 부분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기본적으로 지정된 기하학 형상(예컨대,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평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구조를 유지한 상태(즉, 기하학 형상의 경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5)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상기 접촉 면(300)의 돌출부(305)는 상기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이 항상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먼저 터치되게 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중점 이동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처리한다. 상기 돌출부(305)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상기 접촉 면(300)의 접촉 면적을 변형시키지 않을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돌출부(305)는 상기 접촉 면(300)과 터치몸체부(320)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0.1㎜~1㎜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의 내부에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내부 수축으로 유도하는 빈 공간(330)을 형성하여 제작된다.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예컨대, 접촉 면(300)의 돌출부(305))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빈 공간(330)은 외력에 의한 변형을 상기 빈 공간(330)에 해당하는 내부 수축으로 유도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면의 접촉 면적은 유지되고, 상기 터치된 면의 중점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b와 도면3c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의 사이에는 상기 접촉 면(3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한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수축으로 유도하는 수축홈(325)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축홈(325)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터치부(105)가 평판부(115)의 외부로 노출되는 높이에 비례하여 복수개의 수축홈(325)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의 사이에 수축홈(325)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330)은 상기 수축홈(325)에 의해 얇아진 터치몸체부(320)의 기둥 두께를 보상하기 위해 빈 공간(330) 안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105)는 상기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을 일체로 구성되며, 고무탄성의 전도성 재질을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처리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면3c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작되는 터치부(105)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와 측면 절단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3c의 예시를 참조하면, 터치부(105)의 높이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제작되더라도 돌출부(305)의 높이와 매입판(310)의 높이는 일정하며, 터치몸체부(320)의 높이가 다르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부(105)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와 매입판(3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수축홈(32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상판부(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4는 프레임부(110)의 평판부(115) 중 상판부(200)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4a는 상판부(2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4b는 상판부(2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4c는 상판부(200)의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판부(200)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4a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부(200)는,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지하는 지지평판(400)과, 하우징부(215)의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아답터부(230)와 결합하는 결합부(405)를 구비하며, 상판부(200)와 아답터부(230)가 나사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나사 조립을 위한 나사홈(410)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부(200)의 지지평판(400)은 상판부(200)의 부분 중에서 복수의 터치부(105)를 지지하며, 중판부(205)와 결합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상판부(200)의 일 측 면에는 하우징부(215)의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아답터부(230)와 결합하는 결합부(405)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405)는 하우징부(215)의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아답터부(230)의 결합유도홈(710)에 유도된 후, 상기 아답터와 상판부(200)(=평판부(115))를 결합시킨다.
상판부(200)와 아답터부(230)가 나사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405)에는 나사 조립을 위한 나사홈(410)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410)은 아답터부(230)의 볼트관통홈(705)을 통해 아답터부(230)와 상판부(200)(=평판부(115))를 나사 조립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4a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부(200)는, 하우징부(215)에 구비된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가 상판부(200)(=평판부(115)) 측으로 매입된 형태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415)을 구비한다.
본 도면4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415)은 상판부(200)의 지지평판(400) 중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415)은 상판부(200)의 지지평판(400) 중 각 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하우징부(215)의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는 상기 상판부(200)의 지지평판(400) 중 각 변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415)에 매입되는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 모서리 영역 또는 각 변 영역에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판부(200)의 모서리 영역 또는 각 변 영역에는 상기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220)에 매입된 형태로 가이드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유도부(도시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4b 및 도면4c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부(200)는, 중판부(205)와 하판부(210)의 요홈부(510)가 삽입되어 상판부(200),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가 정렬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유도하는 돌기부(420)를 구비한다.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는 중판부(205)의 요홈부(510)가 삽입되고, 하판부(210)의 요홈부(510)가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상판부(200),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의 각 변 및 모서리 부분을 정확하게 정렬시킨 상태로 결합되도록 유도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중판부(205)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5는 프레임부(110)의 평판부(115) 중 중판부(205)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5a는 매입홈(505)이 형성된 중판부(205)의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5b는 중판부(205)의 매입홈(505)에 터치부(105)가 매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5c는 상판부(200)와 중판부(205)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중판부(205)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편의상 본 도면5c는 상기 도면3a 및 도면3c의 예시와 같이 수축홈(325)을 구비한 터치부(105)를 매입하는 중판부(205)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중판부(205)에 매입되는 터치부(105)가 상기 도면3a 및 도면3c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도면3b의 터치부(105)가 매입될 수 있다.
상기 중판부(205)는 복수의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이 매입되는 복수의 매입홈(50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중판부(205)에 구비될 각 매입홈(505) 위치와 방향은 지정된 컴퓨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계산 또는 설계되고, 이에 따라 지정된 제작장치를 통해 제작된다. 이 때 상기 중판부(205)에 구비되는 매입홈(505)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상기 중판부(205)에 매입된 후 하판부(21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에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같은 터치도장(100)을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각각의 고유한 터치 점으로 구별 인식되어야 한다는 구별 인식성과,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을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각각의 터치도장(100) 별로 서로 다른 터치 위치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식별성을 지녀야 한다.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에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구별 인식성을 만족하게 하기 위해, 터치도장(100)의 설계에 적용할 설계 상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를 입력받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각 장치 별(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별) 최소 구별 인식 거리를 입력받아 그 최대 값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터치 점을 지정된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다중 터치할 경우에 해당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다중 터치된 둘 이상의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지정된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 간 거리가 6㎜ 이내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하고 7㎜ 이상인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각기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1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지정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가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지정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을 구별하는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과 상관 관계를 이루는 값이다. 즉,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지정된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이라고 할지라도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이 25㎟인 면적(예컨대, 5㎜*5㎜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 면(300))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이 38㎟보다 큰 면적(예컨대, 직경 7㎜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 면(300))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실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의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 사이의 거리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구현하는 도형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터치부(105)를 평판부(115)에 고정하기 위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계산 또는 설계함에 있어, 하판부(210)의 돌출홈(605)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의 접촉 면(300)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이상 서로 떨어지도록 계산 및 설계하며, 상기 계산 및 설계된 접촉 면(300)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중판부(205)의 매입평판(500)에 상기 도면3에 도시된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할 수 있는 최적의 매입홈(505) 위치와 방향을 계산 및 설계한다.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에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각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식별성을 만족하게 하기 위해, 터치도장(100)의 설계에 적용할 설계 상의 최소 식별 거리를 입력받거나, 또는 실험적으로 각 장치 별(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 별) 최소 식별 거리를 입력받아 그 최대 값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최소 식별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설계된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비한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때, 각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가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서로 대응되는 터치부(105)에 대하여 서로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지정된 접촉 면적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었을 때 상기 터치된 면의 중점 이동을 감지하는 거리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실험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지정된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영역을 두 번 이상 터치하면서 조금씩 이동했을 때, 상기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둘 이상의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식별 인식하는 최소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지정된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 값(51, y1)에 첫 번째 터치 점을 터치하고, 좌표 값(52, y2)에 두 번째 터치 점을 터치하고, 좌표 값(53, y3)에 세 번째 터치 점을 터치했을 때, 상기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좌표 값(51, y1)과 좌표 값(52, y2)의 터치 점은 같은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좌표 값(51, y1)과 좌표 값(53, y3)의 터치 점은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인식했다면, 상기 좌표 값(51, y1)과 좌표 값(52, y2) 사이의 거리는 최소 식별 거리보다 작은 이격 거리에 해당하고, 상기 좌표 값(51, y1)과 좌표 값(53, y3) 사이의 거리는 최소 식별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이격 거리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지정된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일 수도 다. 예를들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설계 및 제작된 터치부(105)를 0.1㎜씩 이동하면서 반복 터치하여 획득되는 터치 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도장(1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지정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가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둘 이상의 지정 장치(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어느 한 영역에 두 번 이상 터치된 두 개 이상의 터치 점을 식별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의 다른 평판부(115)의 매입평판(500)에 구비되는 터치부(10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105)는 상기 최소 식별 거리 이상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각 터치도장(100)의 평판부(115)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 간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계산된 경우의 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기하학적 위치 관계로 식별되는 식별성을 지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평판부(115)에 복수의 터치부(105)를 고정하기 위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계산 또는 설계함에 있어, 각 터치도장(100)의 하판부(210)의 돌출홈(605)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의 접촉 면(300)이 대응되는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 별로 상기 최소 식별 거리 이상 서로 떨어지도록 계산 및 설계하며, 상기 계산 및 설계된 접촉 면(300)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중판부(205)의 매입평판(500)에 상기 도면3에 도시된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할 수 있는 최적의 매입홈(505) 위치와 방향을 계산 및 설계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상기 설계 상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최소 식별 거리 및 각 터치부(105)들의 접촉 면적을 기반으로 하판부(210)에 의해 노출되는 터치부(105)들의 위치를 계산하여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의 기하학 형상을 기반으로 상기 중판부(205)에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기 위한 매입홈(505)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미리 설정된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 형태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 또는 각도 등)를 확인하기 위한 좌표 값을 포함하는 좌표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의 어느 한 기준 점과 각 터치 점 사이의 거리 관계와, 지정 좌표계 상의 어느 한 기준 점을 기준으로 각 터치 점이 형성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점은 상기 복수의 터치 점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결정된 지정 터치 점이거나,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원점(또는 좌표계 상에 지정된 기준 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 좌표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해석하는 기준이 되는 좌표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현실 세계의 도량형 단위(예컨대, ㎛, ㎜, ㎝) 또는 지정된 논리 단위로 이루어진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터치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설정된 터치스크린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중판부(205)에 구비되는 매입홈(505)의 위치와 방향은 크게 3이지로 분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판부(205)에 구비되는 매입홈(505)은, 매입평판(500)의 내부에 상기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폐도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형 매입홈(505)과, 매입평판(500)의 밑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상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모서리 부분에 접하여 상기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형 매입홈(505)과, 매입평판(500)의 밑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상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일 변에 접하거나 또는 상기 매입평판(500)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설계 상의 분할 선에 접하여 상기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3형 매입홈(50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5a를 참조하면, 상기 중판부(205)는, 매입평판(500) 상에 폐도형의 형태로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제1형 매입홈(505)과,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모서리 부분에 접하도록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제2형 매입홈(505)과,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상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일 변에 접하거나 또는 상기 매입평판(500)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설계 상의 분할 선에 접하여 상기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제3형 매입홈(505) 중 하나 이상의 돌출홈(60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형 매입홈(505)은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입평판(500)의 특정 변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예컨대, 45도 방향 등)로 비스듬히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형 매입홈(505)은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모서리 부분에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접하도록 하기 위해 매입판(310)의 각진 매입부(315)가 상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모서리 부분에 접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5a의 예시에 의하면, 제2형 매입홈(505)은 가이드홈(415)에 의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형 매입홈(505)에 매입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해석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3형 매입홈(505)은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상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일 변에 접하는 부분에 구현될 수 있으며, 매입평판(500)의 외곽 측 일 변에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접하도록 하기 위해 매입판(310)의 각진 매입부(315)가 상기 매입평판(500)의 일 변에 접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평판부(115)의 복수의 터치부(105)를 구비함에 있어,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들을 구비할 영역을 설계 상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분할 영역에 각각 1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형 매입홈(505)은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또는 접촉면을 상기 매입평판(500)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설계 상의 분할 선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매입판(310)의 각진 매입부(315)가 상기 매입평판(500)의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분할 선에 접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도장(100)의 평판부(115)에는 총 5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115)는 설계 상 4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4개의 분할 영역에는 각기 1개씩 4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에는 1개의 터치부(105)(이하, 편의상 ‘지정 터치부(105)’라고 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계 상의 4개 분할 영역에 각기 1개씩 구비되는 4개의 터치부(105)의 위치는 상기 최소 식별 거리에 대응하는 식별성을 유지하도록 각 터치도장(100)(또는 평판부(115)) 별로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다르게 계산 또는 설계되며, 상기 설계 상의 4개 분할 영역 중 지정된 위치에 1개의 터치부(105)를 더 구비하는 영역(이하, 편의상 ‘지정 영역’이라고 함.)에는 지정된 위치에 1개의 터치부(105)를 더 구비하여 총 2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일반화하면, 터치도장(100)의 평판부(115)에는 총 N(N≥3)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115)는 설계 상 n(2≤n<N)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n개의 분할 영역에는 각기 1개씩 n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영역에는 1개의 지정 터치부(105)를 구비하여 총 2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n개의 분할 영역 중 (n-1)개의 분할 영역 상의 계산된 위치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n개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영역 상의 계산된 위치와 지정된 위치에 1개의 터치부(105)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 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지정 터치부(105)는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의 기준 점으로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형 매입홈(50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분할 영역 중 지정 영역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지정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을 매입하는 매입홈(505)이다. 그리고 상기 n개의 분할 영역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씩 n개의 터치부(105)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n개의 분할 영역에는 상기 제1형 매입홈(505)과 제3형 매입홈(50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5a 내지 도면5c를 참조하면, 상기 중판부(205)는, 상판부(200)의 돌기부(420)가 삽입되어 상기 상판부(200)와 중판부(205)를 일렬로 정렬하여 결합시키는 요홈부(510)를 구비한다. 상기 요홈부(510)는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가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판부(205)의 요홈부(510)는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에 삽입되는 형태로 정렬되어 상기 중판부(205)를 상기 중판부(205)와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5b를 참조하면, 상기 중판부(205)의 각 매입홈(505)에는 각 매입홈(505)의 방향에 맞게 터치부(105)의 매입판(310)이 매입되며, 각 매입홈(505)에 매입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들(또는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들의 중점)은 설계 상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5a 내지 도면5b를 참조하면, 상기 중판부(205)는, 하우징부(215)에 구비된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가 중판부(205)(=평판부(115)) 측으로 매입된 형태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415)을 구비한다. 본 도면5a 내지 도면5b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415)은 중판부(205)의 매입평판(500) 중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홈(415)은 중판부(205)의 매입평판(500) 중 각 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하우징부(215)의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는 상기 중판부(205)의 매입평판(500) 중 각 변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홈(415)에 매입되는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 모서리 영역 또는 각 변 영역에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판부(205)의 모서리 영역 또는 각 변 영역에는 상기 매입형 평판 가이드부(220)에 매입된 형태로 가이드되도록 돌출되는 슬라이딩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하판부(21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6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중판부(205)에 매입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하판부(2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6a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중판부(205)에 매입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출홈(605)이 형성된 하판부(210)의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6b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중판부(205)에 매입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이 하판부(210)의 돌출홈(605)을 통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6c는 상판부(200)와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판부(210)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하판부(210)는 복수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중 일부와 접촉 면(300)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홈(605)을 구비하는 터치평판(6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하판부(210)에 구비될 각 돌출홈(605) 위치는 지정된 컴퓨터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계산 또는 설계되고, 이에 따라 지정된 제작장치를 통해 제작된다. 이 때 상기 하판부(210)에 구비되는 돌출홈(605)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상기 하판부(210)를 통해 돌출되는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했을 경우에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같은 터치도장(100)을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각각의 고유한 터치 점으로 구별 인식되어야 한다는 구별 인식성과, 서로 다른 터치도장(100)을 통해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각각의 터치도장(100) 별로 서로 다른 터치 위치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식별성을 지녀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판부(205)와 하판부(210)는 터치도장(1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하나의 셋트로 제작된다. 상기 하판부(210)에 구비되는 돌출홈(605)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터치부(105)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위치 관계와, 이를 위한 구별 인식성과 식별성을 만족하기 위한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최소 식별 거리에 대한 설명은 도면5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6a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부(210)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제1형 매입홈(505)에 매입된 매입판(310)에 대응하는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중 일부와 접촉 면(300)을 돌출시키는 제1형 돌출홈(605)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제2형 매입홈(505)에 매입된 매입판(310)에 대응하는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중 일부와 접촉 면(300)을 돌출시키는 제2형 돌출홈(605)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제3형 매입홈(505)에 매입된 매입판(310)에 대응하는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중 일부와 접촉 면(300)을 돌출시키는 제2형 돌출홈(605) 중 하나 이상의 돌출홈(605)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6a 및 도면6b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부(210)의 각 돌출홈(60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각각의 매입홈(505)에 매입된 매입판(310)에 대응하는 터치부(105)의 터치몸체부(320) 중 일부와 접촉 면(300)이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터치부(105)의 접촉 면(300)은 지정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6a 내지 도면6c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부(210)는, 상판부(200)의 돌기부(420)가 삽입되어 상기 상판부(200)와 중판부(205) 및 하판부(210)를 일렬로 정렬하여 결합시키는 요홈부(510)를 구비한다. 상기 요홈부(510)는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가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510)는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가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부(210)의 요홈부(510)는 상기 상판부(200)의 돌기부(420)에 삽입되는 형태로 정렬되어 상기 하판부(210)를 중판부(205) 및 상판부(200)와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6a 내지 도면6c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부(210)는, 하우징부(215)에 구비된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가 하판부(210)(=평판부(115)) 측으로 매입된 형태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415)을 구비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아답터부(23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7은 프레임부(110)의 아답터부(2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7a는 아답터부(230)의 측면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7b는 아답터부(230)의 측면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7c는 아답터부(23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7c는 아답터부(230)의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아답터부(230)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7a와 도면7c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의 외형은, 종 형태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120)와 연결되는 손잡이연결부(700)를 구비한다. 본 도면7의 실시예는 상기 손잡이연결부(700)가 손잡이부(120)가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구성을 도시하지만, 상기 손잡이연결부(700)의 형태로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 도장 손잡이 형태로 이루어는 것은 물론, 터치도장(100)을 이용하는 각 기업 또는 단체의 로고가 형상화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연결부(700) 역시 각 형태의 손잡이부(120)와 연결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7a와 도면7b 및 도면7d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또는 상판부(200))가 나사 조립되는 경우에 나사 조립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홈(705)을 구비한다. 상기 볼트관통홈(705)은 나사 조립을 위한 볼트의 머리부분은 통과하지 않고 몸통 부분은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7b 및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평판부(115)(또는 상판부(200))의 결합부(405)를 가이드하여 상기 평판부(115)가 지정된 위치에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결합유도홈(710)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유도홈(710)은 평판부(115)(또는 상판부(200))의 결합부(405)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7b 및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하우징부(215)의 가이드부(22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부(2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715)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715)는 내측 슬라이딩부(715)와 외측 슬라이딩부(715)가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하우징부(215)의 가이드부(220)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아답터부(23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실시 방법에서 상기 아답터부(230)는 평판부(115)와 물리적으로 고정되는 결합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하우징부(215)와는 상기 슬라이딩부(715)를 통해 미끄러지는 형태로 가이드될 수 있을 뿐, 물리적으로 고정되는 결합 관계를 지니고 있지 않다. 특히 본 도면7c 및 도면7d와 같이 본 실시 방법에서 아답터부(230)와 하우징부(215)가 접하는 부분이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답터부(230)는 하우징부(215)의 가이드부(220)를 따라 압인력이 가해지는 수직 방향으로만 가이드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가 나사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부(230)의 수평 방향 회전에 의해 나사 조립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7d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하우징부(215)의 걸쇠홈(810)에 걸려 아답터부(23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걸쇠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답터부(230)의 평면 또는 밑면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라 각진 다각형의 형태라면, 상기 아답터부(23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걸쇠부(720)는 생략 가능하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하우징부(215)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8은 아답터부(230) 및 프레임부(110)와 인터페이스하는 하우징부(215)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8a는 하우징부(215)의 측면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8b와 도면8c는 하우징부(215)의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8d는 하우징부(215)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8e는 하우징부(215)의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하우징부(215)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의 외형은, 엎어진 사발 형태로 이루어지며, 프레임부(110)의 평판부(115)를 수용함과 동시에, 아답터부(230)와 인터페이스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b 내지 도면8e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평판부(115)(또는 프레임부(110))를 수용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115)의 결합부(405)를 상기 아답터부(230)와 결합하기 위해 관통시키는 평판관통홈(8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b 내지 도면8e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손잡이부(120)에 의해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부(230)와 평판부(115)를 지정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평판부(115)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1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터치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한 평판부(115)의 결합부(405)를 가이드하는 관통 가이드부(220)와, 상기 아답터부(230)의 몸체를 가이드하는 아답터 가이드부(220)와, 터치부(105)를 구비한 평판부(115)를 가이드하는 평판 가이드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아답터 가이드부(220)는 아답터부(230)의 내측을 가이드하는 내측 가이드부(220)와 아답터부(230)의 외측을 가이드하는 외측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 가이드부(220)는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에서 평판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평판부(115)를 가이드하는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와, 상기 하우징부(215)의 몸체 안쪽이 평판을 가이드하는 일자형 평판 가이드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d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도면9d의 걸쇠부(720)가 걸려 아답터부(23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걸쇠홈(810)이 구비된다. 만약 상기 아답터부(230)의 평면 또는 밑면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라 각진 다각형의 형태라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걸쇠홈(810)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b, 도면8c 및 도면8e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상기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평판부(115)가 바닥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평판부(115)(또는 평판부(115)에 구비된 터치부(105))를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225)의 탄성력에 대하여 상기 평판부(115)를 지지하는 평판지지부(805)를 구비한다. 상기 평판지지부(805)는 연질 또는 반연질 또는 반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 또는 반연질 또는 반경질의 재질이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부(225)의 탄성력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8e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15)는, 터치도장(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압인하기 위해 하우징부(215)의 밑면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215)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815)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방지부(815)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재질(예컨대, 유리 재질,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등)에 대하여 마찰계수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으로 커서 미끄럼을 방지하는 비전도성 재질(예컨대, 비전도성 고무 재질, 비전도성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815)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215)의 밑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815)는 하우징부(215)의 밑면 영역 중 변 영역에 부착되는 일자형 미끄럼방지부(815)와, 하우징부(215)의 밑면 영역 중 돌출형 평판 가이드부(220)의 영역에 부착되는 원형 미끄럼방지부(815) 중,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방지부(8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도장(1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압인하기 위해 하우징부(215)의 밑면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미끄럼방지부(815)에 의해 상기 터치도장(1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장 터치에 의한 복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위치 관계에 대한 터치 점 인식 및 해석에 오차 또는 오류가 방생하지 않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터치도장(100)이 인증수단 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는데 신뢰성을 부여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 및 하우징부(215)를 조립하는 조립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9a는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가 나사 조립되면서 그 사이에 하우징부(215)와 스프링부(225)가 포함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9b는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 및 하우징부(215) 등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9c는 조립 상태에서 압인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9c는 조립 상태에서 터치도장(100)의 밑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조립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되거나, 또는 통합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9a를 참조하면, 평판부(115)의 결합부(405)는 하우징부(215)의 평판관통홈(800)을 관통하여 하우징부(215)의 결합유도홈(710)에 유도되면서, 하우징부(215)의 평판 가이드부(220)와 아답터 가이드부(220) 중 내측 가이드부(220) 사이에 스프링부(225)가 위치한 상태로, 아답터부(230)와 나사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9b를 참조하면,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 및 하우징부(215) 등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터치도장(100)이 바닥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225)에 의해 평판부(115)(또는 평판부(115)에 구비된 터치부(105))가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떨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9c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9b의 상태에서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215)에 구비된 관통 가이드부(220), 아답터 가이드부(220) 및 평판 가이드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220)에 의해 상기 평판부(11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평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하우징부(215) 내부에서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부(1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터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9d를 참조하면, 상기 평판부(115)와 아답터부(230) 및 하우징부(215) 등이 조립된 상태의 터치도장(100) 밑면은 도면9b의 상태와 도면9c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00 : 터치도장 105 : 터치부
110 : 프레임부 115 : 평판부
200 : 상판부 205 : 중판부
210 : 하판부 215 : 하우징부
220 : 가이드부 225 : 스프링부
230 : 아답터부 300 : 접촉 면
305 : 돌출부 310 : 매입판
315 : 매입부 320 : 터치몸체부
325 : 수축홈 330 : 빈 공간
400 : 지지평판 405 : 결합부
410 : 나사홈 415 : 가이드홈
420 : 돌기부 500 : 매입평판
505 : 매입홈 510 : 요홈부
600 : 터치평판 605 : 돌출홈
700 : 손잡이연결부 705 : 볼트관통홈
710 : 결합유도홈 715 : 슬라이딩부
720 : 걸쇠부 800 : 평판관통홈
805 : 평판지지부 810 : 걸쇠홈
815 : 미끄럼방지부

Claims (22)

  1.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될 터치도장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
    사람의 손으로 쥐어지게 형성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일 측에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구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터치부의 점촉 면의 중점들이 각 터치도장 별로 중복되지 않는 기 설계된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위치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인식되도록 배치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한 터치부의 높이를 다른 터치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 지정된 높이 순서대로 순차 터치되도록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일정 면적의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전도성 재질과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지닌 프레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하학적 위치 관계는, 상기 다른 평판부에 배치 고정된 상기 복수의 터치부를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평면 영역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대적 좌표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되기 전에 상기 손잡이부에 접촉한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이 축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는,
    상기 평판부의 평판 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가 다른 높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 또는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와 결합되고 상기 평판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와 인터페이스하는 아답터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경계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유지하는 원통형의 터치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 면의 중점 부분부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먼저 터치되게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내부에 내부 수축을 유도하는 빈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수직 방향 수축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수축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도장.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30143625A 2013-11-25 2013-11-25 터치도장 KR10215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625A KR102159407B1 (ko) 2013-11-25 2013-11-25 터치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625A KR102159407B1 (ko) 2013-11-25 2013-11-25 터치도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913A KR20150059913A (ko) 2015-06-03
KR102159407B1 true KR102159407B1 (ko) 2020-09-23

Family

ID=5350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625A KR102159407B1 (ko) 2013-11-25 2013-11-25 터치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559A (ko) * 2021-08-05 2023-02-14 강유 Nfc 기반으로 스탬핑 카운트 기능을 제공하는 스탬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9780A (zh) * 2018-02-08 2018-05-29 陈清华 一种多触点二次触碰式触屏印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976A (ja) * 1999-03-22 2002-11-26 トロダー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ハンドスタ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798A (ko) * 2011-10-28 2013-05-08 정광수 정전식 터치펜 몸체의 도장장치
KR101305412B1 (ko) * 2012-01-09 2013-09-06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9976A (ja) * 1999-03-22 2002-11-26 トロダー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ハンドスタ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559A (ko) * 2021-08-05 2023-02-14 강유 Nfc 기반으로 스탬핑 카운트 기능을 제공하는 스탬프장치
KR102548917B1 (ko) 2021-08-05 2023-06-29 강유 Nfc 기반으로 스탬핑 카운트 기능을 제공하는 스탬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913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407B1 (ko) 터치도장
KR102149558B1 (ko)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102149554B1 (ko) 정확한 도장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235886B1 (ko) 정확한 동시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217368B1 (ko) 이종의 접촉 면적을 지닌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유닛
KR102149553B1 (ko) 인증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149557B1 (ko) 터치 도장
KR102217376B1 (ko) 터치 유닛
KR102159406B1 (ko) 롤링형 터치도장
KR102217349B1 (ko) 이종의 접촉 면적을 지닌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102149556B1 (ko) 매입형 터치부를 통해 도장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149555B1 (ko) 매입형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도장
KR102217350B1 (ko)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149552B1 (ko) 이종의 장치 간 도장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217351B1 (ko) 자유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217363B1 (ko) 이종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유닛
KR102137683B1 (ko) 이종의 장치 간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도장
KR102217367B1 (ko) 인증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217369B1 (ko) 자유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159405B1 (ko) 터치도장
KR102217366B1 (ko)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217371B1 (ko) 매입형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유닛
KR102217370B1 (ko) 정확한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217365B1 (ko) 이종의 장치 간 터치 인증을 제공하는 터치 유닛
KR102217372B1 (ko) 매입형 터치부를 통해 터치를 제공하는 터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