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77B1 -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77B1
KR102159377B1 KR1020190062153A KR20190062153A KR102159377B1 KR 102159377 B1 KR102159377 B1 KR 102159377B1 KR 1020190062153 A KR1020190062153 A KR 1020190062153A KR 20190062153 A KR20190062153 A KR 20190062153A KR 102159377 B1 KR102159377 B1 KR 102159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type
audio sig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운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6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04M1/7253
    • H04M1/725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어폰은 제1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에 해당하는 스피커로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SYSTEM FOR OUTPUTTING AUDIO SIGNAL}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와 골전도 스피커(bone conductor)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하이브리드 이어폰(hybrid earphone)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과 같은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과 같은 음향이나 휴대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전화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처럼, 휴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음향장치 중에서는 골전도(bone conduction) 현상을 이용한 골전도 스피커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스피커를 장착한 음향장치는 골전도 현상을 이용한 이어폰으로서, 귀 주변 뼈와 피부를 통해 내이에 진동을 줌으로써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귓속에 꽂는 일반 이어폰보다 청신경의 손상이 덜하며 사용에 좀 더 편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골전도 현상을 이용한 이어폰의 경우, 일반 이어폰보다 음질이 감소하여, 음악 등과 같은 고품질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것을 원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는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868호(공고일자: 2015년 03월 18일, 발명의 명칭: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스피커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청취 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시간 이어폰을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이어폰은 제1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에 해당하는 스피커로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방식은 공기전도 방식이고, 상기 제2 방식은 골전도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TTS(text to speech) 신호, 음성 안내 신호, 통화 신호 및 음악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의 종류는 오디오 신호의 포맷 종류,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제공처 또는 저장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이어폰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리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신호로서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외부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피커 중 하나로 상기 외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이어폰은 상기 외부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이어폰은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수신 받아 상기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의 종류를 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오디오 재생기기의 선택 메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선택 메뉴가 동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로 설정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오디오 신호의 포맷 종류,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제공처 또는 저장 위치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이어폰과 통신하여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는 상기 이어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이어폰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는 골전도 방식의 오디오 재생기기나 공기전도 방식의 오디오 재생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상태나 주변 환경에 따라 원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오디오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연속해서 청취하기 원하는 오디오 신호를 끊김없이 들으면서, 문자 메시지 내용, 전화 통화 또는 외부 소리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오디오 신호 출력 시스템(1)은 이어폰(10) 및 이 이어폰(10)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을 구비한다.
이어폰(10)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종류의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게 이미 정해져 있는 해당 종류의 재생 기기를 통해 해당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이어폰(10)은 통신부(11), 마이크(microphone)(13), 통신부(11) 및 마이크(13)에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신호 수신부(15), 오디오신호 수신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신호 저장부(17), 오디오신호 수신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스피커(19), 그리고 오디오신호 수신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스피커(110)를 구비한다.
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20)과 같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1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오디오 신호(이하, 이 오디오 신호를 '외부 신호'라 함)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13)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는 오디오신호 수신부(15)에 의해 외부신호 저장부(17)에 저장된다.
오디오 신호 수신부(15)는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13)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신호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일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 중에서,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스피커(19, 110)의 종류는 이미 사용자에 의해 정해져 있다.
외부신호 저장부(17)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이크(13)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따라서, 오디오신호 수신부(15)는 마이크(13)를 통해 외부 소리에 대한 외부 신호가 출력되어 수신되면, 수신된 외부 신호를 외부 신호 저장부(17)에 저장한 후 정해진 종류의 스피커(19, 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 외부신호 저장부(17)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마이크(13)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는 저장부에 별도의 저장 동작없이 오디오신호 수신부(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종류의 스피커(19, 110)로 바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스피커(19) 및 제2 스피커(110)는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해당 오디오로 각각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기기로서, 서로 다른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해당 오디오로 재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피커(19)는 음성 전류의 크기에 따라 진동판을 구동시켜 음파를 재현시키는 다이나믹 스피커(dynamic speaker)와 같은 공기전도(air conduction)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출력하는 공기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반면, 제2 스피커(110)는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에 전달되는 골전도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출력하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피커(110)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해당 크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전도 방식의 제1 스피커(19)는 외이도로 입력되는 음파에 의한 고막 진동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므로,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소리, 음질이 향상된다.
반면, 골전도 방식의 제2 스피커(110)는 소리가 고막을 통해 전달되는 대신 두개골에 전도되어 소리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장시간 이용할 경우에도 공기 전도 방식에 비해 고막의 손상이나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주변 사람을 신경쓰지 않고 편안하게 출력되는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신호 수신부(15)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1 스피커(19)나 제2 스피커(110)를 통해 해당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20)은 이어폰(10)과 연결되어 이어폰(10)으로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본 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이어폰(1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은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사용자 단말(20)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과 같은 이동 단말기나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부(21), 사용자 입력부(23), 통신부(21)와 사용자 입력부(23)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25), 동작 제어부(25)에 연결된 저장부(27), 동작 제어부(25)에 연결된 출력부(29) 및 인터페이스부(211)를 구비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의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필요에 따라 이러한 구성요소(21-211)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20)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예, 이어폰(1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는 이동통신 모듈,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때,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때, 인터넷 기술은 WiFi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또는 지그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이나 데이터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25)로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3)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touch pad),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29)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한다.
또한,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를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선정 동작을 제어하며,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로의 재생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의 동작, 문자 수신 여부, 전화 수신 여부 등에 따라 해당하는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10)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본 예에서, 오디오 신호의 종류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이크(13)를 통해 출력되는 외부 신호, 문자 음성 자동 변환 기술(TTS, text to speech)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와 같은 문자를 정해진 파일 형태의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TTS 신호, 음성 안내 메시지와 같이 이미 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안내 신호, 전화 통화 시 상대방의 전화기를 통해 전달되는 통화 신호 및 mp3 파일과 같은 음악 파일이나 녹음 파일에 해당하는 음악 신호 등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종류는 해당 오디오 신호의 포맷 종류, 예를 들어, mp3(MPEC audio layer-3), mp2, m4a, OGG, WMA(windows media audio), APE,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에 따라 정해질 수 있거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제공처(예, 마이크, 라디오 방송국) 또는 저장 위치(즉, 저장 폴더)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악 신호도 음악 신호의 포맷 종류, 제공처 또는 저장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재생기기[즉, 제1 또는 제2 스피커(19, 110)]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동작 제어부(25)는 문자 음성 자동 변환 기술(TTS)을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저장부(27)는 사용자 단말(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신호, 그리고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와 신호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이다.
이러한 저장부(27)는 오디오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271, 272)과 텍스트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27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 부분(271)에는 음악 신호와 같은 고음질을 원하는 오디오 신호가 저장될 수 있고, 제2 저장 부분(272)에 음성 안내 신호, TTS신호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 자체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나 고음질이 필요치 않는 오디오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오디오 신호가 하나의 저장 부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저장 부분(272)은 오디오 신호 이외의 다른 포맷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사용자 단말(2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 그리고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와 명령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출력부(29)는 시각과 청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작 제어부(25)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작 제어부(2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해당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부(211)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20) 내부의 해당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2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이어폰 포트(earphone 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26)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 이어폰(10)과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부(11, 21)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3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오디오 신호 출력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여,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가 동작을 시작하면(S10),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예, 제1 또는 제2 스피커(19, 110)]를 선택하는 오디오 재생기기 선택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11).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오디오 재생기기 선택 메뉴가 선택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출력부(29)로 출력한다(S12).
본 예에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는 공기 전도 방식을 이용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예, 19)와 골전도 방식을 이용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예, 110)이다.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한다(S13).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가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5)는 저장부(27)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출력부(29)로 출력한다(S14).
이때, 출력부(29)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는 현재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정해지며, 출력부(29)로 출력되는 메뉴 버튼 등의 동작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포맷 종류별, 제공처별 또는 현재 오디오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위치별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버튼을 동작시켜 자신이 원하는 출력 형태로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구분 지울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판정하고(S16), 판정된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대한 오디오 재생기기로서 단계(S13)에서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를 선정하여 저장부(273)에 저장한다(S16).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현재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선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출력한다(S17).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이어폰(10)의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이어폰(10)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과 연결되어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20)의 오디오 신호나 이어폰(10)에서 생성된 오디오 신호(즉, 외부 신호)는 연결된 이어폰(10)를 통해 출력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1)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한 음악 재생 버튼 등의 동작에 의해 음악 신호의 재생 동작이 선택되면(S21),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는 음악 재생을 위해 선택된 음악 신호의 종류를 판정한다(S22).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종류의 음악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한다(S23).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신호와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통신부(21)를 통해 이어폰(10)으로 전송한다(S24).
이에 따라, 이어폰(10)의 오디오신호 수신부(15)는 제1 및 제2 스피커(19, 110)에서, 전송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스피커[예, 제1 스피커(19)]로 전송된 종류의 음악 신호를 출력한다(S25).
이어폰(10)이 사용자 단말(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S26),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TTS 신호로 전송한 후 저장부(27)에 저장한다(S27).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저장부(27)의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TTS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한다(S28).
따라서, 동작 제어부(25)는 변환된 TTS 신호를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와 함께 이어폰(10)으로 전송하고(S29), 이어폰(10)는 전송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해당 스피커[예, 제2 스피커(110)]로 전송된 TTS 신호를 출력한다(S210).
또한, 이어폰(10)이 사용자 단말(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에 전화가 수신되면(S211), 동작 제어부(25)는 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수신 알림 신호를 판독한 후(S212), 판독된 전화수신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단한다(S213).
따라서, 동작 제어부(25)는 판독된 전화수신 알림 신호와 함께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이어폰(10)으로 전송하여(S214), 이어폰(10)의 오디오신호 수신부(15)의 동작을 통해 해당 스피커를 통해 판독된 전화수신 알림 신호가 해당 음성(예, 전화가 수신되었습니다)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215).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5)는 사용자 입력부(23)의 동작을 통해 전화의 착신 동작(즉, 통화버튼 구동)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216).
사용자에 의해 통화버튼이 구동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25)는 통화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단한 후(S217), 수신되는 통화신호와 함께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이어폰(10)으로 전송한다(S218).
따라서, 이어폰(10)는 전송되는 통화 신호를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S219).
또한, 사용자 입력부(23)를 통해 외부 신호의 출력 동작이 선택되면(S220), 동작 제어부(25)는 저장부(27)를 이용하여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한 후(S221), 외부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와 함께 외부 신호의 출력 명령을 통신부(21)를 통해 이어폰(10)으로 전송한다(S222).
이처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외부 신호의 출력 명령이 전송되면, 이어폰(10)의 오디오신호 수신부(15)는 외부신호 저장부(17)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있는 외부 신호를 전송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스피커부로 출력한다(S223).
이로 인해, 이어폰(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마이크(13)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소음이 해당 스피커(예, 110)를 통해 출력되므로, 자전거 타기나 달리기와 같이 야외 활동 시 이어폰 착용으로 외부 소리의 차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도 3b에서, 통화 버튼의 구동(S216)과 외부 신호의 출력 동작에 대한 선택 동작(S220)은 모두 사용자 입력부(23)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20)에서 행해지지만, 다른 예에 의하면 이들 두 동작(S216, S2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어폰(10)에 구비된 조작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이어폰(10)의 오디오신호 수신부(15)는 해당 조작 버튼의 동작을 통해 전화 통화 동작이나 외부 신호의 출력 동작이 선택된 상태로 판단되면, 전화 통화 동작이나 외부 신호의 출력 동작의 선택 결과를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선택 결과에 따라 저장부(27)의 저장 내용을 참고로 하여 통화 신호나 외부 신호에 대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는 통화신호와 함께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함께 전송하거나 외부 신호에 대응되게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인 제1 또는 제2 스피커(19, 110)를 통해 통화 신호나 외부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조작하는 대신, 이어폰(10)의 조작만으로도 전화 통화나 외부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방식(즉, 골전도 방식 또는 공기전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상태(운동 상태, 전화를 통화 회의 상태 또는 장시간 음악 청취 상태 등)나 주변 환경(실내, 야외, 시장 또는 차 안 등)에 따라 원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10)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TTS신호, 전화수신 알림 신호, 통화 신호 및 외부 신호는 음악 신호의 출력함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TS신호, 전화수신 알림 신호, 통화 신호 및 외부 신호는 음악 신호와 다른 종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악의 청취에 방해받지 않고 다른 종류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 내용, 전화 수신 여부 및 전화통화 또는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TTS신호, 전화수신 알림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예 110)가 현재 음악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재생기기와 동일한 경우, 사용자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는 이어폰(10)으로 전송되는 두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서로 병합한 후 이어폰(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서로 다른 두 오디오 신호의 병합 동작은 이어폰(10)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이어폰 및 사용자 단말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이어폰 11, 21: 통신부
13: 마이크 15: 오디오신호 수신부
17: 외부신호 저장부 19: 제1 스피커
110: 제2 스피커 20: 사용자 단말
23: 사용자 입력부 25: 동작 제어부
27: 저장부

Claims (14)

  1. 오디오 재생기기의 선택 메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선택 메뉴가 동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와 오디오 신호의 종류를 판정하여, 판정된 종류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로 설정하는 동작 제어부, 그리고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제1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중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오디오 재생기기에 해당하는 스피커로 수신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수신부, 그리고 오디오신호 수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음악 신호, TTS(text to speech) 신호 및 전화 수신 알림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음악 신호의 재생 동작, 문자 수신 동작 또는 전화의 수신 동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행해진 각 동작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선택된 동작에 따른 음악 신호, 수신된 문자에 해당하는 TTS 신호 또는 전화 수신 알림 신호 및 각 동작에 대응하여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악 신호, 상기 TTS 신호 또는 상기 전화 수신 알림 신호 및 판정된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가 전송되면,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로 전송된 상기 음악 신호, 상기 TTS 신호 또는 상기 전화 수신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식은 공기전도 방식이고, 상기 제2 방식은 골전도 방식인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전화의 착신 동작이 이루어지면, 통화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수신되는 통화 신호와 판정된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어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어폰은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전송되는 상기 통화 신호를 선택된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로 츨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리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신호로서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외부 신호의 출력 동작이 행해지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판정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신호의 출력 명령과 판정된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를 상기 이어폰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신호의 출력 명령과 판정된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가 전송되면, 상기 오디오 재생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로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오디오신호 수신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실시하는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62153A 2019-05-27 2019-05-27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KR10215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53A KR102159377B1 (ko) 2019-05-27 2019-05-27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53A KR102159377B1 (ko) 2019-05-27 2019-05-27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377B1 true KR102159377B1 (ko) 2020-10-14

Family

ID=7284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53A KR102159377B1 (ko) 2019-05-27 2019-05-27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653A (zh) * 2021-11-30 2022-03-04 深圳市科奈信科技有限公司 耳机收音模式的切换方法及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76A (ko) *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503868B1 (ko) 2013-01-25 2015-03-18 이남규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KR20150140050A (ko) * 2014-06-05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5793B1 (ko) * 2014-09-30 2016-01-15 정금필 스마트 보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76A (ko) * 2009-05-08 2010-11-17 (주)그란츠에이앤티 무선 골전도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1503868B1 (ko) 2013-01-25 2015-03-18 이남규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KR20150140050A (ko) * 2014-06-05 201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5793B1 (ko) * 2014-09-30 2016-01-15 정금필 스마트 보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653A (zh) * 2021-11-30 2022-03-04 深圳市科奈信科技有限公司 耳机收音模式的切换方法及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93B1 (ko) 스마트 보청기
US9866962B2 (en) Wireless earphones with short range transmission
US20230386488A1 (en) Personal audio assistant device and method
KR101149135B1 (ko) 음성 대화형 메시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1402398B1 (en) On-line music data providing system via bluetooth headset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US20030223604A1 (en) Audio output apparatus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source switching in the apparatus
US2008003771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cillary information to the user of a portable audio device
US20220343929A1 (en) Personal audio assistant device and method
JP499259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KR102159377B1 (ko) 오디오신호 출력 시스템
JP2008167373A (ja) 情報呈示装置
EP1267523B1 (en) Extended user interface in a wireless headset
CN100559805C (zh) 便携式通信终端与用于该终端的消息输出方法
JP2004023535A (ja) 通信端末、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端末制御方法
KR101672942B1 (ko)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KR101522291B1 (ko)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KR19990014640A (ko) 무선전화 착신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2004177766A (ja) 通信機能を有する音声再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音声データ転送方式ならびに転送システム
JP2005266092A (ja) 発声学習方法および学習システム
KR20160049965A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70076330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음악 모드 전환장치 및 전환방법
KR20020074337A (ko) 음성 인식기능에 의한 휴대전화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JP2008164649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03818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