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291B1 -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291B1
KR101522291B1 KR1020140022146A KR20140022146A KR101522291B1 KR 101522291 B1 KR101522291 B1 KR 101522291B1 KR 1020140022146 A KR1020140022146 A KR 1020140022146A KR 20140022146 A KR20140022146 A KR 20140022146A KR 101522291 B1 KR101522291 B1 KR 10152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aring aid
multimedia device
output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4002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1Aspects of the use of accumulators in hearing aids, e.g. rechargeable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 상황을 탐지하여 자동으로 상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력 보조기기(20)는 멀티미디어 기기(10)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16);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또는 마이크(24b)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21);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212);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21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22a, 1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Auxiliary Aid Apparatus of Hearing for Coping to with External Environmental Situ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Associated with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은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환경 상황을 탐지하여 자동으로 상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발달하면서 보행 또는 차량 운행 중 음악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은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사용을 수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변 환경으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주의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사용은 주위 환경에 대한 주의력을 산만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보청기의 사용 과정에서도 발생된다. 보청기는 청력 보조를 위한 것이지만 보청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결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셋 또는 이어폰에 보청기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보청기의 작동이 스마트 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력 기기의 사용과 그에 따른 주위 상황에 대한 주의력 감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0753481호 ‘보행 중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 위험 상황임을 감지하고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확보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보행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부분;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노출된 것을 식별하는 출력 제어 구동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부분; 상기 진동 센서 부분에 의하여 감지된 진동 데이터와 상기 설정 부분에 의하여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력 제어 구동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비교 부분; 상기 데이터 비교 부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보행자가 외부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음원 재생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부분; 및 상기 출력 제어 부분에 의하여 제어된 출력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보행 중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3-0039267호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변 소음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해당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주변 상황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저장하는 단계; 통화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이 되면 주변 소리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집된 소리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해당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주파수 특성과 기 저장된 복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소리가 발생되는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주변 상황에 따라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또는 주변으로부터 수집된 소리에 기초하여 음원 발생 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미 발생된 진동 또는 소리를 기초로 음원 발생 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대응이 어렵게 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음원 발생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 방법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문헌1: 특허등록번호 제0753481호((주)이노비츠아이엔씨, 2007년08월31일 공개) 보행 중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선행문헌2: 특허공개번호 제2013-0039267호(엘지전자 주식회사, 2013년04월19일 공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그에 기초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외부 환경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환경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자극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주의력 산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보조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출력 제어 모듈은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 또는 매칭 매시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정 상황에 따른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출력 유닛은 주기적인 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은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그리고 상기 출력의 제어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 방향이 설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 영상 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동 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또는 매칭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 상황에 대응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청력 보조 기기의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기능 확대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보조 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계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청력 정도에 따라 주변 환경 및 주변 상황의 인지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외부 환경 또는 상황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이 제어되는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 시스템(10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20)에서 출력이 제어되는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20)는 멀티미디어 기기(10)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16);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또는 마이크(24b)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21);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212);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21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22a, 19)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20)는 보청기, 이어폰, 헤드 폰, 이어 셋 또는 헤드셋과 같이 귀에 착용이 되어 소리의 유입 또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한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자체적으로 볼륨이 조절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력 보조 기기(2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는 셀 폰, 스마트 폰, 태블릿 기기 또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 가능한 임의의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10)는 티브이, 라디오 또는 엠피쓰리 또는 컴퓨터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재생 또는 멀티미디어 관련 신호를 발생시키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유입되거나 또는 발생되는 소리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소리 신호의 크기 또는 볼륨을 보완하거나 또는 소리 신호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크기 또는 볼륨의 조절은 소리 신호의 증폭을 의미하고 변환은 소리 신호의 압축, 주파수 대역 별 증폭 또는 주파수 이동을 의미한다. 소리 신호의 변환은 개인의 청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보청기의 피팅(fitting)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20)는 이와 같은 개인의 청력에 따른 특성을 기초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의 청력에 따른 특성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청력 보조 기기(20)는 작동 과정에서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의 작동에 대한 제어는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20)는 온/오프, 볼륨 조절 또는 작동 조건의 설정을 위한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청력 보조 기기(20) 기능의 작동 또는 프로그램 작동이 멀티미디어 기기(2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20)의 경고음 발생 조건 및 그에 따른 경고 신호의 발생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는 개인의 청력 특성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황 신호는 외부 환경 또는 외부 상황과 관련된 신호를 의미한다. 상황 신호는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소리, 경고 방송, 벨소리, 갑작스런 환경 소음 또는 상대적으로 큰 음성을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 자체의 통화 벨 소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황 신호는 음향 또는 음성 신호를 비롯하여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 자체에서 발생 조건이 결정된 신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다른 카메라를 통하여 얻어지는 영상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생 조건이 결정된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가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 또는 일정한 시각에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신호는 외부의 음성, 음향 및 영상 신호를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발생되는 신호 및 발생 조건이 설정된 신호를 포함한다.
상황 신호는 영상 장치(S1)를 통하여 전달되거나 또는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황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장치(S1)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카메라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 장치(S2)는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설치된 마이크가 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 자체에 부착된 마이크 장치(S2)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 내부에 설치된 출력 장치를 경유하여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유입된 신호는 통신 수단(16)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전달되어 분석 유닛(11)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유입된 상황 신호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를 통하여 유입된 상황 신호는 분석 유닛(11)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분석 유닛(11)은 필터 유닛(111a)과 분류 유닛(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1a)은 특정 크기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리고 분류 유닛(111b)은 음성 신호, 음향 신호,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분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1a)에 의하여 추출되고 그리고 분류 유닛(111b)에 의하여 분류된 신호는 비교 유닛(12)로 전달되어 매칭 신호가 검색될 수 있다. 비교 유닛(12)은 외부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분류에 따른 상황 관련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상황 신호를 상황 관련 데이터와 비교하여 매칭 수준이 가장 높은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비교 유닛(12)은 상황 관련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로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 형태는 예를 들어 짧은 경보음, 메시지 형태 또는 특정 멜로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후 검색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기기(10)에 내장된 제어 유닛(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상황 신호와 멀티미디어 발생 신호는 에너지 크기, 발생원의 탐지, 주파수 분석 또는 파형 분석을 통하여 구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외부 상황 신호는 노이즈의 포함 형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상황 신호와 멀티미디어 발생 신호가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상황 신호는 적절한 방향으로 주파수 변환, 메시지와 같은 대응 신호로 변환 또는 에너지의 변환과 같은 방법으로 적절하게 변환이 되어 필요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모든 상황 신호가 반드시 비교 유닛(12)에서 검색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분석 유닛(11)은 미리 결정된 신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신호 데이터의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20) 자체에서 발생된 벨소리 또는 특정한 방향에서 유입되는 비교적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자동차 경적 소리와 같은 것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피팅 데이터(14)가 저장될 수 있다. 피팅 데이터(14)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경우 가청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를 인지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보청기 사용자가 아닌 경우라고 할지라도 인지 수준이 높은 주파수 대역 또는 음색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은 분석 유닛(12)으로부터 전달된 상황 신호를 피팅 테이터(14)에 기초하여 직접 변환하여 통신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팅 데이터(14)는 보청기 분야에서 적용되는 피팅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리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제어 유닛(13)은 상황 신호를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상황 출력 수단(15)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의 디스플레이 창에 상황을 표시하거나 또는 진동과 같은 수단을 통하여 상황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달된 신호는 제어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황 신호는 청력 보조 기기(20)로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또는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청력 보조 기기(20) 자체에 설치된 소리 형태의 상황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전송되거나 또는 청력 보조 기기(10)의 출력 제어 모듈(2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유닛((16)은 멀티미디어 기기(20)와 청력 보조 기기(1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 또는 유선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10)로 전달된 신호는 정상 신호(211a), 미리 결정된 신호(211b) 및 예외 상황 신호(E)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정상 신호(211a)는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멀티미디어의 재생 또는 통화에 따른 음성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신호(211b)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저장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탐색된 위치 정보, 일정 시각에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통화 수신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신호의 형태는 미리 결정되거나 또는 탐지 유닛(18)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유닛(18)는 신호 형태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신호를 구분된 형태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탐지는 신호가 유입되는 장치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20)에 별도로 설치된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소리 신호가 유입되었다면 예외 상황 신호(211c)에 해당된다.
정상 신호(211a) 및 미리 결정된 신호(211b)는 직접 출력 제어 모듈(21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예외 상황 신호(211c)는 예외 분석 유닛(212d)을 경유하여 출력 제어 모듈(2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외 분석 유닛(212d)은 예외 상황 신호(211c)의 종류 또는 크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출력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긴급한 예외 신호에 해당되는 것인지 또는 일반적인 예외 상황 신호에 해당되는 것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외 상황 신호(211c)의 특성에 따라 출력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외 상황 신호(211c)가 긴급한 것이라면 정상 신호(211a)를 널 출력(Null output)(211b)을 시키고 그리고 예외 상황 신호(211c)를 스피커(22a)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제어 모듈(212)에 의하여 출력 방법이 결정되고 이와 동시에 신호 변환 유닛(212a)에 의하여 상황 신호가 특정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매칭 메시지 유닛(212b)에 의하여 상황 신호가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출력 제어 모듈(212)은 상황 신호의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출력 제어 모듈(212)의 출력 형태는 예를 들어 정상 신호(211a)를 크기를 줄이거나, 상황 신호를 적절하게 지연(221a)을 시키거나 또는 널 출력(221b)을 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정상 신호(211a)를 소거 또는 널 출력(221b)을 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출력 제어 모듈(212)은 자극 신호 유닛(19)을 통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주기 마다 자극 신호를 가하는 것에 의하여 음악을 듣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주의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자극 신호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또는 진동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극 신호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 또는 교통수단의 장시간 이용 과정에서 가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정해진 상황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도중에 건널목에 도달하는 경우, 정해진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대중교통의 이용 과정에서 특정 음향이 유입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 제어 모듈(212)은 정상 신호(211a), 미리 결정된 신호(211b) 및 예와 상황 신호(211c)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가 연결되는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의하여 보청기와 같은 청력 보조 기기(20)가 제어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는 청력 보조 기기(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17)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어플리케이션(17)은 기능 제어 유닛(171) 및 피팅 제어 유닛(17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력 보조 기기(20)는 예를 들어 이어 셋 또는 헤드셋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어폰에 설치된 보청기가 설치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마이크(24a)와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 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위한 제2 마이크(24b)를 가질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는 근거리 통신 수단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청력 보조 기기(20)로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소리 신호, 발생되는 통화 신호 또는 유입되는 상황 신호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각각의 신호가 청력 보조 기기(20)에서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도 2b는 청력 보조 기기(20)가 무선 보청기가 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2c는 청력 보조 기기(20)가 양이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이 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8)가 설치될 수 있고 통신 유닛(16)으로 무선 동글(dongle)과 같은 것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동글(dongle)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신호가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TR)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자체적으로 필요한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7)를 가질 수 있고 통신 유닛(16)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청력 보조 기기(20)는 독립 전원을 가지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전송(TR)이 된 신호 또는 제2 마이크(24b)를 통하여 전송된 정상 신호, 미리 결정된 신호 또는 상황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는 위에서 설명이 된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이크(24b)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는 A/D 컨버터(211)에 의하여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력 보조 기기(20)에 메모리(215)가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215)에 상황 신호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15)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마이크(24b)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이 될 수 있다. 메모리(215)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출은 위에서 설명된 비교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출과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메모리(215)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는 제어된 형태로 D/A 컨버터(213)를 경유하여 스피커(22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신호는 적응 변환 유닛(214)에 의하여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되어 스피커(22a)로 출력될 수 있다. 적응 변환 유닛(214)은 전달된 신호를 선형 증폭(linear Amplification) 또는 비선형 증폭(non-linear amplification)을 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적응 변환 유닛(214)은 주파수 이동 기능 또는 양이 제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양이 제어 기능을 예를 들어 음원의 위치에 따라 양쪽 귀로 전달되는 소리에 지연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은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S31);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S32);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S33);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34);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S35);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S36)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그리고 상기 출력의 제어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 방향이 설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멀티미디어 기기와 청력 보조 기기의 인터페이스의 설정(S31)은 통신 수단,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청력 보조 기기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기기와 인터페이스 설정과 함께 청력 보조 기기 자체의 작동 조건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의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의 마이크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예외 상황 신호 중 긴급한 신호의 처리 방법 또는 자극 신호의 발생 주기와 같은 것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신호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설정은 미리 결정되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의하여 또는 청력 보조 기기 자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설정되고(S31) 청력 보조 기기가 작동되면 정상 신호 또는 상황 신호가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의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S32). 유입된 상황 신호가 추출, 분석 및 비교가 될 수 있고(S33) 그리고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과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4). 만약 경고 상황에 해당되지 않는다면(NO) 환경 상황 유입 과정(S32)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32). 이에 비하여 경고 발생 상황에 해당된다면(YES) 인지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S35). 인지 방법의 결정이란 유입된 상황 음원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 주파수 변환을 하여 전달하는 방법, 메시지로 변환하는 전달하는 방법, 미리 결정된 경고음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법 또는 자극 신호로 전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정상 신호를 완전히 소거하여 전달하는 방법, 정상 신호의 볼륨을 줄이는 방법, 시간 지연을 시켜 전달하는 방법 또는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이와 같은 방법의 결정은 출력 제어 모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지 방법이 결정되면(S35). 변환 또는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S36). 변환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이 되거나, 경고음으로 변환이 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변환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입된 상황 신호에 대하여 저장 매체에서 저장된 동일 또는 유사한 음성 메시지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변환 또는 매칭이 된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S371) 또는 청력 보조 기기 제어(S3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38). 경보 발생(S38)은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문자 메시지 팝업,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청력 보조 기기에서 음성 신호 전달, 청력 보조 기기로 음성 메시지 전송 또는 자극 신호 발생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 상황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청력 보조 기기의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기능 확대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보조 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계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청력 정도에 따라 주변 환경 및 주변 상황의 인지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외부 환경 또는 상황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청력 보조기기 시스템
10: 멀티미디어 기기 11: 분석 유닛
12: 비교 유닛 13: 제어 유닛
14: 피팅 데이터 15: 출력 수단
16: 통신 유닛 17: 제어 어플리케이션
18: 탐지 유닛 20: 보청기
21: 신호 처리 프로세서 19, 22a: 출력 유닛
24a, 24b: 마이크 27: 인터페이스
212: 출력 제어 모듈 214: 메모리
215: 출력 제어 모듈

Claims (7)

  1. 멀티미디어 기기(10)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16);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또는 마이크(24b)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21);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212);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21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22a, 19)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유닛(22a, 19)는 주기적인 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출력 제어 모듈(212)은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 또는 매칭 매시지 유닛을 포함하는 청력 보조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 상황에 따른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2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마이크(24b)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청력 보조 기기.
  4. 삭제
  5.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는 주기적인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그리고 상기 출력의 제어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 방향이 설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 영상 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동 시간을 포함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또는 매칭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KR1020140022146A 2014-02-25 2014-02-25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52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46A KR101522291B1 (ko) 2014-02-25 2014-02-25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46A KR101522291B1 (ko) 2014-02-25 2014-02-25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291B1 true KR101522291B1 (ko) 2015-05-21

Family

ID=5339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146A KR101522291B1 (ko) 2014-02-25 2014-02-25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362A (ko) * 2015-11-27 2017-06-07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118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보청기 제어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보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118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보청기 제어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보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362A (ko) * 2015-11-27 2017-06-07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190283B1 (ko) * 2015-11-27 2020-12-14 한국전기연구원 사용자 환경 기반의 청력 보조 장치 피팅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93B1 (ko) 스마트 보청기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WO2022002166A1 (zh) 一种耳机噪声处理方法、装置及耳机
US8081765B2 (en) Volum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EP3249944A1 (en)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device with hearing aid features
KR102051545B1 (ko)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고려한 청각 장치 및 방법
CN108540900B (zh) 音量调节方法及相关产品
WO2022002110A1 (zh) 一种模式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9429132A (zh) 耳机系统
US11893997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utomatic transcription using ear-wearable device
US10681449B2 (en) Earpiece with added ambient environment
CN111800696B (zh) 听力辅助方法、耳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917878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00429B1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CN113228710B (zh) 听力装置中的声源分离及相关方法
KR101494306B1 (ko)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JP3233390U (ja) 通知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装置
KR101522291B1 (ko)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 및 그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KR10184621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청각 장애인의 음성 대화를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용 언어통역 보조장치, 음성합성서버, 음성인식서버, 알람 장치, 강연장 로컬 서버, 및 음성 통화 지원 어플리케이션
KR102573242B1 (ko) 비명소리 인식을 위한 사운드장치
KR101637326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KR20160049965A (ko)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495028B1 (ko) 휘파람소리 인식 기능이 구비된 사운드장치
JP6773876B2 (ja) 入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