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70B1 -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 Google Patents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70B1
KR102158670B1 KR1020157014132A KR20157014132A KR102158670B1 KR 102158670 B1 KR102158670 B1 KR 102158670B1 KR 1020157014132 A KR1020157014132 A KR 1020157014132A KR 20157014132 A KR20157014132 A KR 20157014132A KR 102158670 B1 KR102158670 B1 KR 10215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ch
type
relay node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371A (ko
Inventor
완시 첸
피터 가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상들은 반이중 동작을 이용하는 중계기들에 대한 제어 채널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특정 타입의 PDCCH가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CONTROL CHANNEL MANAGEMENT FOR RELAY BACKHAUL}
[0001] 본 특허출원은 2012년 11월 9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24,77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0002]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중계 노드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 반송파 FDMA(SC-FDMA: 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0004]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0005]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half duplex)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6]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함 ―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8]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함 ―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9]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0010]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함 ―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0011]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이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로 전송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0012]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이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함 ―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0013]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전기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4] 도 2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5] 도 3은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eNodeB 및 UE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6] 도 4a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연속적 반송파 집성 타입을 나타낸다.
[0017] 도 4b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비연속적 반송파 집성 타입을 나타낸다.
[0018] 도 5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MAC 계층 데이터 집성을 나타낸다.
[0019] 도 6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다중 반송파 구성들에서 무선 링크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20] 도 7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ePDCCH의 송신에 대한 가능한 구조들을 나타낸다.
[0021] 도 8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R-PDCCH의 송신에 대한 가능한 구조들을 나타낸다.
[0022] 도 9 -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0023]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들에는, 이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24]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Evolved)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및 LTE 어드밴스드(LTE-A: 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아래에서 LTE에 대해 설명되며,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LTE 용어가 사용된다.
[0025] 도 1은 LTE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보여준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진화형 노드 B(eNodeB: evolved Node 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odeB는 UE들(120)과 통신하는 스테이션(station)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노드 B는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의 다른 예이다.
[0026] 각각의 eNodeB(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eNodeB(110)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odeB 서브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0027] eNodeB는 매크로 셀(102a, 102b, 102c), 피코 셀(102x), 펨토 셀(102y, 102z)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102a)은 비교적 넓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들을 한 UE들(120)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102x)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을 한 UE들(120)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102y, 102z)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으며 펨토 셀(102y, 102z)과 연관을 갖는 UE들(120)(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집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적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odeB는 매크로 eNodeB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odeB는 피코 eNodeB로 지칭될 수도 있다. 펨토 셀에 대한 eNodeB는 펨토 eNodeB 또는 홈 eNode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odeB들(110a, 110b,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102c)에 대한 매크로 eNodeB들일 수 있다. eNode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odeB일 수 있다. eNodeB들(110y,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102z)에 대한 펨토 eNodeB들일 수 있다. eNodeB는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3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28]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eNodeB 또는 UE)으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UE 또는 eNodeB)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110r)은 eNodeB(110a)와 UE(120r)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eNode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 있다. 중계국은 또한 중계 eNodeB, 중계기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0029] 무선 네트워크(100)는 서로 다른 타입들의 eNodeB들, 예를 들어 매크로 eNodeB들,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중계기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타입들의 eNodeB들은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서로 다른 송신 전력 레벨들, 서로 다른 커버리지 영역들, 그리고 간섭에 대한 서로 다른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eNodeB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20와트)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및 중계기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1와트)을 가질 수 있다.
[0030]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 동작 또는 비동기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 동작의 경우, eNodeB들은 비슷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eNodeB들로부터의 전송들이 대략 시간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 동작의 경우, eNodeB들은 서로 다른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eNodeB들로부터의 전송들이 시간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동기 동작과 비동기 동작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0031] 네트워크 제어기(130)가 한 세트의 eNodeB들(110)에 연결되어 이러한 eNode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을 통해 eNode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odeB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0032]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역에 분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UE는 고정적일 수도 있고 또는 이동할 수도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는 셀룰러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odeB들, 피코 eNodeB들, 펨토 eNode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들이 있는 실선은 UE와 서빙 eNodeB 간의 원하는 송신들을 나타내는데, 서빙 eNodeB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해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odeB이다. 이중 화살표들이 있는 점선은 UE와 eNodeB 간의 간섭하는 송신들을 나타낸다.
[0033] LTE는 다운링크에 대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화(SC-FDM: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K개)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며, 이러한 부반송파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도 지칭된다.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벌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OFDM에 의해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SC-FDM에 의해 전송된다. 인접한 부반송파들 간의 간격은 고정적일 수 있으며, 부반송파들의 총 개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들의 간격은 15㎑일 수 있으며, ('자원 블록'으로 불리는) 최소 자원 할당은 12개의 부반송파들(또는 180㎑)일 수 있다. 그 결과, 공칭 FFT 크기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츠(㎒)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같을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즉, 6개의 자원 블록들)를 커버할 수 있으며, 1.25, 2.5, 5, 10 또는 20㎒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부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0034] 도 2는 LTE/-A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200)를 나타낸다. 다운링크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무선 프레임들(202)의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204)은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예를 들어, 10 밀리초(㎳))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벌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의 경우 7개의 심벌 기간들 또는 확장된 주기적 프리픽스의 경우 6개의 심벌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2L개의 심벌 기간들에는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에서 N개의 부반송파들(예를 들어, 12개의 부반송파들)을 커버할 수 있다.
[0035] LTE에서, eNodeB는 eNodeB의 각각의 셀에 대한 1차 동기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2차 동기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1차 동기 신호 및 2차 동기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의 경우에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과 서브프레임 5 각각의 심벌 기간 6과 심벌 기간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동기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eNode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의 심벌 기간 0 내지 심벌 기간 3에서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BCH는 특정 시스템 정보를 전달(carry)할 수 있다.
[0036] 도 2에서 첫 번째 심벌 기간 전체로 도시되어 있지만, eNode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 기간의 단지 일부에서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사용되는 심벌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1, 2 또는 3과 같을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다를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는 4와 같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M = 3이다. eNode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처음 M개의 심벌 기간들(도 2에서 M = 3)에서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PDCCH는 UE들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 할당에 관한 정보 및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서 첫 번째 심벌 기간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PDCCH 및 PHICH가 또한 첫 번째 심벌 기간에 포함된다고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그런 식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PHICH 및 PDCCH는 또한 제 2 심벌 기간과 제 3 심벌 기간 모두에 있다. eNode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벌 기간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전송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LTE의 다양한 신호들 및 채널들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이라는 제목의 3GPP TS 36.211에 기술되어 있다.
[0037] eNodeB는 eNodeB에 의해 사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인 1.08㎒에서 PSS, SSS 및 PB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PCFICH와 PHICH가 전송되는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이러한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정(certain)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 부분들에서 특정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eNode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도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PDCCH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도 있다.
[0038]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이 이용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벌 기간에 하나의 부반송파를 커버할 수 있고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일 수 있는 하나의 변조 심벌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기준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자원 엘리먼트들은 자원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REG는 하나의 심벌 기간에 4개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심벌 기간 0에서 주파수에 걸쳐 대략 균등한 간격을 둘 수 있는 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PHICH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의 구성 가능한 심벌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확산될 수 있는 3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에 대한 3개의 REG들이 모두 심벌 기간 0에 속할 수 있거나 심벌 기간 0, 심벌 기간 1 및 심벌 기간 2로 확산될 수도 있다. PDCCH는 처음 M개의 심벌 기간들에서 이용 가능한 REG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9개, 18개, 32개 또는 6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다. REG들의 특정 결합들만이 PDCCH에 대해 허용될 수도 있다.
[0039] UE는 PHICH와 PCFICH에 사용되는 특정 REG들을 알 수도 있다. UE는 PDCCH에 대한 REG들의 서로 다른 결합들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할 결합들의 수는 일반적으로 PDCCH에 대해 허용된 결합들의 수보다 적다. eNodeB는 UE가 탐색할 결합들 중 임의의 결합에서 UE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0040] UE는 다수의 eNode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eNodeB들 중 하나가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odeB는 수신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들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0041] 도 3은 도 1의 기지국들/eNodeB들 중 하나 그리고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eNodeB(110)와 UE(120)의 설계의 블록도(300)를 보여준다. 제한적 연관 시나리오의 경우, 기지국(110)은 도 1의 매크로 eNodeB(110c)일 수 있고, UE(120)는 UE(120y)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또한 다른 어떤 타입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110)은 안테나들(334a-334t)을 구비할 수 있고, UE(120)는 안테나들(352a-352r)을 구비할 수 있다.
[0042] 기지국(110)에서, 송신 프로세서(320)는 데이터 소스(3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3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벌 맵핑)하여 데이터 심벌들 및 제어 심벌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 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로세서(330)는, 적용 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벌들, 제어 심벌들 및/또는 기준 심벌들에 대한 공간 처리(예를 들어, 프리코딩)를 수행할 수 있고, 변조기들(MOD들; 332a-332t)에 출력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332)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벌 스트림을 처리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3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332a-3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334a-334t)을 통해 각각 전송될 수 있다.
[0043] UE(120)에서, 안테나들(352a-352r)은 기지국(11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들; 354a-3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3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354)는 (예를 들어, OFDM 등에 대한) 입력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356)는 모든 복조기들(354a-354r)로부터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하다면 수신 심벌들에 MIMO 검출을 수행하여, 검출된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358)는 검출된 심벌들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3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380)에 제공할 수 있다.
[0044] 업링크 상에서, UE(120)에서는 송신 프로세서(364)가 데이터 소스(3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3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64)로부터의 심벌들은 적용 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366)에 의해 프리코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복조기들(354a-354r)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기지국(1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는, UE(1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안테나들(3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332)에 의해 처리되며, 적용 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3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338)에 의해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3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339)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340)에 제공할 수 있다.
[0045] 제어기들/프로세서들(340, 380)은 각각 기지국(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프로세서(3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UE(120)에서 프로세서(3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또한, 도 9 - 도 10에 예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342, 382)은 각각 기지국(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3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0046] 한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UE(120)는 UE의 접속 모드 동안 간섭 기지국으로부터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간섭 기지국의 양보된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양보된 자원에 대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에러 레이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에러 레이트가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실행 가능한, 무선 링크 실패를 선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한 양상에서, 앞서 언급한 수단들은, 앞서 언급한 수단들에 의해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들), 제어기/프로세서(380), 메모리(382), 수신 프로세서(358), MIMO 검출기(356), 복조기들(354a) 및 안테나들(352a)일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앞서 언급한 수단들은, 앞서 언급한 수단들에 의해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 CARRIER AGGREGATION )
[0047] LTE 어드밴스드 UE들은 각각의 방향으로의 송신에 대해 총 100㎒(5개의 요소 반송파들)까지의 반송파 집성에 할당된 20㎒까지의 대역폭들에서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다운링크보다 업링크 상에서 더 적은 트래픽이 전송되므로, 업링크 스펙트럼 할당이 다운링크 할당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에 20㎒가 할당된다면, 다운링크에는 100㎒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FDD 할당들은 스펙트럼을 절약할 것이며 광대역 가입자들에 의한 일반적으로 비대칭적인 대역폭 이용에 대해 적임이다.
[0048] LTE 어드밴스드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20㎒보다 더 넓은 송신 대역폭들의 지원이 요구될 수도 있다. 한 가지 해결책은 반송파 집성이다. 반송파 집성은 다수의 반송파들에 걸친 무선 자원들의 동시 이용을 통해 UE(120)에 전달되는 유효 대역폭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이 집성되어 더 넓은 전체 송신 대역폭을 형성한다.
반송파 집성 타입들
[0049] LTE 어드밴스드 모바일 시스템들에 대해, 연속적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및 비연속적 CA인 두 가지 타입들의 CA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도 4a와 도 4b에 예시된다.
[0050] 도 4a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연속적 CA(400A)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용 가능한 요소 반송파들(402A, 404A, 406A)이 서로 인접하는 경우에 연속적 CA가 발생한다.
[0051] 도 4b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비연속적 연속적 CA(400B)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용 가능한 요소 반송파들(402B, 404B, 406B)이 주파수 대역을 따라 분리되는 경우에 비연속적 CA가 발생한다. 비연속적 CA와 연속적 CA 모두 다수의 LTE 요소 반송파들을 집성하여 LTE 어드밴스드 UE의 단일 유닛을 서빙한다.
[0052] 반송파들이 주파수 대역을 따라 분리되기 때문에 LTE 어드밴스드 UE에서 비연속적 CA를 이용하여 다수의 RF 수신 유닛들 및 다수의 FFT들이 전개될 수 있다. 비연속적 CA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친 다수의 분리된 반송파들을 통한 데이터 송신들을 지원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파 경로 손실, 도플러 시프트 및 다른 무선 채널 특성들이 서로 많이 다를 수 있다.
[0053] 따라서 비연속적 CA 접근 방식 하에서 광대역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들에 대해 코딩, 변조 및 송신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가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해 고정된 송신 전력을 갖는 LTE 어드밴스드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유효 커버리지 또는 지원 가능한 변조 및 코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데이터 집성 방식들
[0054] 도 5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국제 모바일 전기 통신(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어드밴스드(IMT-Advanced) 시스템에 대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들로부터의 송신 블록(TB: transmission block)들(500)을 집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MAC 계층 데이터 집성에 있어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는 MAC 계층에서의 각자의 독립적인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엔티티 및 물리 계층에서의 각자의 송신 구성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송신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들, 그리고 다중 안테나 구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물리 계층에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해 하나씩 HARQ 엔티티가 제공된다.
제어 시그널링
[0055] 일반적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전개하기 위한 세 가지 서로 다른 접근 방식들이 있다.
[0056] 첫 번째는 LTE 시스템들에서의 제어 구조의 약간의 변경을 수반하는데, 여기서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각자의 코딩된 제어 채널이 주어진다.
[0057] 두 번째 방법은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들의 제어 채널들을 공동으로 코딩하고 제어 채널들을 전용 요소 반송파로 전개하는 것을 수반한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제어 정보는 이 전용 제어 채널에서 시그널링 콘텐츠로서 통합될 것이다. 그 결과, LTE 시스템들의 제어 채널 구조와의 하위 호환성이 유지되는 한편, CA에서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감소된다.
[0058] 세 번째 방법은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다수의 제어 채널들을 공동으로 코딩한 다음, 전체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전송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 접근 방식은 UE 측에서의 높은 전력 소비를 희생하면서 제어 채널들에서의 낮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높은 디코딩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LTE 시스템들과 호환이 되지 않는다.
핸드오버 제어
[0059] UE(120)가 제 1 eNodeB(110)에 의해 커버되는 하나의 셀(102)이 제 2 eNodeB에 의해 커버되는 다른 셀(102)로 이동할 때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CA가 IMT 어드밴스드 UE에 사용될 때 다수의 셀들에 걸친 핸드오버 프로시저 동안 송신 연속성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 CA 구성들 및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요건들을 갖는 착신(incoming) UE에 대해 충분한 시스템 자원들(즉, 양호한 송신 품질을 갖는 요소 반송파들)을 확보하는 것이 다음 eNodeB에게는 난제일 수도 있다. 그 이유는 2개의(또는 그보다 많은) 인접한 셀들(eNodeB들)의 채널 상태들이 특정 UE에 대해 서로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접근 방식에서는, UE가 각각의 인접한 셀에서 단 하나의 요소 반송파의 성능을 측정한다. 이는 LTE 시스템들에서와 유사한 측정 지연, 복잡도 및 에너지 소비를 제공한다. 대응하는 셀에서 다른 요소 반송파들의 성능 추정은 그 하나의 요소 반송파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이 추정을 기초로, 핸드오버 결정 및 송신 구성이 결정될 수 있다.
[006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송파 집성으로도 또한 지칭되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UE는 "1차 반송파"로 지칭될 수 있는 동일한 반송파 상에 제어 및 피드백 기능들과 같은 다수의 반송파들의 특정 기능들을 집적하도록 구성된다. 지원을 위해 1차 반송파에 의존하는 나머지 반송파들은 연관된 2차 반송파들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UE는 선택적인 전용 채널(DCH: dedicated channel), 스케줄링되지 않은 그랜트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제공되는 것들과 같은 제어 기능들을 집성할 수 있다. 시그널링 및 페이로드가 다운링크 상에서 eNodeB에 의해 UE로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UE에 의해 eNodeB로 모두 전송될 수 있다.
[006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다수의 1차 반송파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LTE RRC 프로토콜에 대한 3GPP 기술 규격 36.331에서 계층 2 프로시저들인 물리 채널 설정 및 무선 링크 실패(RLF: radio link failure) 프로시저들을 포함하는 UE의 기본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2차 반송파들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0062] 도 6은 일례에 따라 물리 채널들을 그룹화함으로써 다중 반송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600)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블록(602)에서, 적어도 2개의 반송파들로부터의 제어 기능들을 하나의 반송파로 집성하여 1차 반송파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연관된 2차 반송파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블록(604)에서, 1차 반송파 및 각각의 2차 반송파에 대해 통신 링크들이 설정된다. 다음에, 블록(606)에서 1차 반송파를 기초로 통신이 제어된다.
탐색 공간
[0063] 롱 텀 에볼루션(LTE) 릴리스-8에서, 각각의 사용자 장비(UE)는 제어 영역 내의 공통 탐색 공간과 UE 특정 탐색 공간 모두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탐색 공간은 UE가 자신의 PDCCH들을 찾을 수 있는 한 세트의 채널 제어 엘리먼트(CCE: channel control element)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PDCCH를 전송하는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CCE들이 사용된다. 모든 UE들이 공통 탐색 공간을 인지하는 동시에, 개개의 UE에 대해 전용 탐색 공간이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에서 UE가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는 PDCCH 후보들의 최대 개수가 표 1에 기재된다. PDCCH 후보들은 다수의 CCE들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자원 엘리먼트 그룹(REG)들로 알려진, 4개의 물리적 자원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들로 이루어진 9개의 세트들이 각각의 CCE를 구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CCE는 36개의 RE들과 같다. 각각의 탐색 공간은 제어 채널 송신의 서로 다른 보호에 대한 PDCCH 집성 레벨들로 더 분류된다. PDCCH에 사용되는 CCE들의 수는 1, 2, 4 또는 8개일 수 있다. 각각의 탐색 공간은 PDCCH 후보로 불리는 PDCCH에 할당될 수 있는 연속한 CCE들의 그룹을 포함한다. 각각의 집성 레벨에 대해, 각각의 UE는 1보다 더 많은 수의 가능한 후보를 디코딩하려는 시도를 해야 한다. CCE 집성 레벨은 탐색 공간에서의 PDCCH 후보들의 수를 결정하며 PDCCH 포맷으로 주어진다. 표 1은 각각의 집성 레벨에 대해 후보들의 수와 탐색 공간의 크기를 제공한다.
타입 집성 레벨 CCE 들의 크기 PDCCH 후보들의 수
UE 특정 1 6 6
UE 특정 2 12 6
UE 특정 4 8 2
UE 특정 8 16 2
공통 4 16 4
공통 8 16 2
[0064] 표 1에서는, 공통 탐색 공간에 최대 6개의 PDCCH 후보들(즉, 제어 채널 엘리먼트(CCE) 집성 레벨 4에 대해 4개, 그리고 집성 레벨 8에 대해 2개), 그리고 UE 특정 탐색 공간에 최대 16개의 후보들(즉, 집성 레벨 1에 대해 6개, 집성 레벨 2에 대해 6개, 집성 레벨 4에 대해 2개, 그리고 집성 레벨 8에 대해 2개)이 존재할 수 있다고 관찰될 수 있다. 복수의 PDCCH 후보들 중 각각의 PDCCH 후보 내에서 탐색될 CCE들의 수는 집성 레벨에 좌우될 수 있다고 표 1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집성 레벨 4와 공통 집성 레벨 8 둘 다 크기가 16개의 CCE들이라 하더라도, 공통 집성 레벨 4에 대해 4개의 PDCCH 후보들 그리고 공통 집성 레벨 8에 대해 2개의 PDCCH 후보들이 존재한다. 자신의 PDCCH를 찾기 위해, UE는 서브프레임마다 한 세트의 PDCCH 후보들을 모니터링한다. Rel-8에서, 각각의 후보는 최대 2개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크기들을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UE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들의 총 횟수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최대 (4+2)*2 + (6+6+2+2)*2=44이다. Rel-10에서는, UL MIMO의 도입으로 인해, UE 특정 탐색 공간들에서 각각의 후보가 최대 3개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크기들을 전달할 수 있어, UE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들의 총 횟수가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최대 (4+2)*2 + (6+6+2+2)*3=60이 되게 할 수 있다. 공통 및 UE 특정 사이의 그리고 서로 다른 집성 레벨들에 대한 탐색 공간들이 중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중첩은, 그러한 것이 발생한다면, 다른 UE들과의 잠재적 충돌로 인해 UE를 스케줄링할 가능성을 제한한다. LTE-A는 UE가 동시에 다수의 반송파들을 모니터링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 경우, 블라인드 디코딩들의 총 횟수를,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 동작과 비교하여 여전히 44(또는 더 높지만 제한된)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65] 강화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해 많은 동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ePDCCH는 반송파 집성(CA) 확장들을 제공하며, 하위 호환성이 없을 수도 있는 새로운 반송파들의 지원을 보조하고, 협력적 멀티포인트(CoMP: coordinated multipoint) 송신들의 제어 채널 용량 제한들을 감소시키고, DL MIMO를 강화할 수 있다.
[0066]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르면, ePDCCH는 증가된 제어 채널 용량 및 주파수 도메인 셀 간 간섭 조정(ICIC: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을 지원할 수 있다. ePDCCH는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선된 공간 재사용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ePDCCH는 빔 형성 및/또는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고, 새로운 반송파 타입들에 대해 그리고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 Multicast-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레거시 UE들과 동일한 반송파 상에 공존할 수도 있다. ePDCCH는 주파수 선택적인 방식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으며, 셀 간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0067] 도 7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ePDCCH(700)에 대한 가능한 구조들을 나타낸다. 뒤에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양상들은 중계 PDCCH(R-PDCCH: relay PDCCH)와 유사한 배치, 순수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 R-PDCCH와 유사한 배치(예를 들어, 제 1 슬롯에 ePDCCH DL을 그리고 제 1 슬롯 또는 제 2 슬롯에 ePDCCH UL을 갖는 R-PDCCH형 방식), 그리고 하이브리드 TDM 및 FDM 방식을 포함하여, ePDCCH 배치에 대한 다양한 방식들을 제공한다.
[0068] 제 1 대안(702)에 따르면, ePDCCH는 R-PDCCH의 송신과 유사하게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DL 그랜트들이 제 1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고, UL 그랜트들이 제 2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양상들에 따르면, 제 2 슬롯이 업링크 그랜트들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제 2 슬롯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0069] 제 2 대안(704)에 따르면, ePDCCH는 순수 FDM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DL 그랜트들과 UL 그랜트들이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에 걸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의 한 세트의 자원들이 제 1 타임 슬롯과 제 2 타임 슬롯을 포함하는 시간 도메인에 걸친 ePDCCH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PDSCH와 다중화된 RB들의 서브세트가 제 1 타임 슬롯과 제 2 타임 슬롯에 걸쳐 업링크 및 다운링크 그랜트들 모두를 포함하는 ePDCCH를 전송하는데 할당된다.
[0070] 제 3 대안(706)에 따르면, ePDCCH가 제 1 슬롯에서 TDM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DL 및 UL 그랜트들이 제 1 슬롯에서 전송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RB들은 PDSCH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0071] 제 4 대안(708)에 따르면, ePDCCH는 R-PDCCH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DL 및 UL 그랜트들이 제 1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고, UL 그랜트들이 제 2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주어진 PRB 쌍의 첫 번째 PRB에서 DL 그랜트가 전송된다면, PRB 쌍의 두 번째 PRB에서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PRB 쌍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PRB에서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도 있다.
[0072] 제 5 대안(710)에 따르면, 제 1 슬롯 내의 DL 그랜트들에 대해 TDM을 그리고 제 1 및 제 2 슬롯에 걸친 UL 그랜트들에 대해 FDM을 사용하여 ePDCCH가 전송될 수 있다.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0073] 본 개시의 양상들은 반이중 동작을 이용하는 중계기들에 대한 제어 채널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기술들은 또한 전이중(full-duplex) 동작을 이용하는 중계기들, 반이중 UE 및/또는 전이중 UE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특정 타입의 PDCCH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어진 중계 노드의 처리 능력에 대해 결정된 적합성, 전력 제한들, 채널 상태들, 반송파 타입, 공통(또는 셀 특정) 기준 신호 유무, 또는 (예를 들어,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로 표시되는) 중계 노드와 공여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TDM 기반 PDCCH 송신이 선택될 수도 있고 또는 FDM 기반 PDCCH 송신이 선택될 수도 있다.
[0074] 특정 시스템들, 예를 들어 LTE Rel-10에서는, 커버리지 및/또는 용량 개선들을 확대하기 위해 중계 노드들이 도입되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 노드는 백홀 링크를 통해 공여 기지국(eNodeB 또는 eNB)과 통신하며, 공여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UE로 액세스 링크를 통해 통신들을 중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 항목에 추가되는 기능으로부터 예상되는 어떠한 영향도 존재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0 이전의 릴리스에 따라 동작하는) 모든 레거시 UE들이 중계 셀에 의해 서빙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0075] 전이중 중계기와 반이중 중계기 모두가 지원될 수도 있다. 전이중 동작은 대역 외 그리고 대역 내의 대역을 거쳐 공간 간섭 관리를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어떠한 표준 영향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반이중 동작은 표준화된 해결책들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0076] 반이중 중계기들의 경우, 한 세트의 DL(또는 UL) 서브프레임들이 (공여 eNB와 중계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와 (중계 노드와 중계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UE) 액세스 링크 사이로 나뉜다.
[0077] 레거시 반송파 타입의 반이중 중계기는 단독으로 레거시 제어 채널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이중 중계기는 공여 eNB에 의해 전송되는 레거시 제어 채널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Rel-10에 중계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R-PDCCH)이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계 PCFICH(R-PCFICH: Relay PCFICH) 및 R-PHICH 제어 채널들이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공통 기준 신호(CRS: common reference signal) 및 복조 기준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기반 R-PDCCH 모두가 지원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R-PDCCH에 대한 한 세트의 PRB들로 반-정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주파수 분산 및 주파수 집중(localized) R-PDCCH 배치 모두가 지원될 수도 있다.
[0078] (서로 다른 중계 노드들에 대한) R-PDCCH 인터리빙이 지원될 수도 있다. CRS 기반 R-PDCCH의 경우, Rel-8 타입 REG 레벨 인터리빙(PRB 내 인터리빙)과 PRB 간 단독(inter-PRB only) 인터리빙이 모두 지원될 수도 있다. DM-RS 기반 R-PDCCH의 경우, 예를 들어 언제든 하나의 PRB만이 하나의 중계 노드를 서빙하는, PRB 간 단독 인터리빙이 지원될 수도 있다.
[0079] R-PDCCH는 시분할 다중화(TDM)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RN: relay node)가 레거시 PDCCH와 비슷하게, 조기(early) 디코딩으로부터 여전히 이익을 얻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제 1 슬롯에서 DL 그랜트들이 항상 전송될 수 있다(PDSCH 디코딩으로 진행하기 전 서브프레임의 종료 이전에 제어 채널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주어진 PRB 쌍의 첫 번째 PRB에서 DL 그랜트가 전송된다면, PRB 쌍의 두 번째 PRB에서 UL 그랜트가 전송될 수 있다.
[0080] DM-RS 기반 송신에서는, PRB 쌍의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가 동일한 RN에 대한 것일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러한 PRB 쌍의 어떠한 RE들도 다른 RN에 사용될 수 없다는 요건이 있을 수 있다. CRS 기반 송신에서는, PRB 쌍의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가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RN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는, UL 그랜트와 DL 그랜트 간의 경계가 슬롯 경계에 있을 수도 있다.
[0081] R-PDCCH 및 중계기에 대한 대응하는 PDSCH(또는 편의상 R-PDSCH)에 대한 시작 심벌들에 대해 어떤 제약들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PDCCH는 OFDM 심벌 s1(심벌 인덱스는 0에서부터 시작함)에서 시작할 수 있는 한편, (R-)PDSCH는 R-PDCCH를 포함하지 않는 PRB(들)의 OFDM 심벌 s2에서 시작한다. s1은 예를 들어, 심벌 #3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s2는 m ≤ s2 ≤ 3의 범위에서 구성 가능할 수도 있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RN에 s2가 통보될 수 있다.
[0082] DL 백홀 타이밍에 관해, 두 가지 경우들이 지원될 수 있다. 한 양상에 따르면, 전체 백홀 서브프레임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 RN DL 액세스 전송 시점은 RN에서의 DL 백홀 수신 시점에 대해 약간 오프셋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RN은 (전파 지연 및 전환 시간에 따라) OFDM 심벌 m ≥ k에서부터 시작하여 OFDM 심벌 n < 13까지 DL 백홀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RN DL 송신들은 eNB DL 송신들과 동기화될 수도 있다. 상기 DL 백홀 타이밍 경우들과 비슷하게, 다수의 UL 백홀 타이밍 경우들이 지원된다.
[0083]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TE Rel-8/9/10에서 "레거시" PD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처음 여러 개의 심벌들에 로케이팅되는데, PDCCH들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완전히 분산되고 PDSCH와 시분할 다중화(TDM)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은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분할된다.
[0084] 더 최근 시스템들(예를 들어, Rel-11 시스템들)에서는, 강화된 PDCCH(ePDCCH)와 같은 새로운 제어 채널들이 도입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처음 여러 개의 제어 심벌들을 점유하는 레거시 PDCCH와는 달리, ePDCCH는 PDSCH와 유사하게 데이터 영역을 점유할 수 있다. EPDCCH의 가능한 이점들은 증가된 제어 채널 용량, 주파수 도메인 셀 간 간섭 제거(ICIC: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에 대한 지원, 제어 채널 자원들의 개선된 공간 재사용, 빔 형성 및/또는 다이버시티에 대한 지원, 새로운 반송파 타입들에 대한 그리고 MBSFN 서브프레임들에서의 동작들, 및 레거시 UE들과 동일한 반송파 상에서의 공존을 포함할 수 있다.
[0085] ePDCCH의 집중 및 분산 송신 모두가 지원될 수도 있다. DM-RS 기반 ePDCCH 송신은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들(107, 108, 109, 110)을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는 한편, PDSCH는 안테나 포트들(7-14)을 이용한다. ePDCCH는 또한 FDM 기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제 1 타임 슬롯과 제 2 타임 슬롯 모두에 걸칠 수 있다(FDM 기반 ePDCCH). 어떤 경우들에는, 예를 들어 UE에 대한 처리 요건들의 완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송신 시간 인터벌(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전송 채널(TrCH: transport channel) 비트들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제약이 존재할 수도 있다.
[0086] PRB 쌍 내 PDSCH와 ePDCCH의 다중화는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것은 TDM 기반 R-PDCCH와는 다르다. LTE-11에서는, ePDCCH에 대한 공통 탐색 공간은 없을 수도 있지만, 이는 차후의 릴리스들에서 도입될 수 있다. R-PDCCH에 대한 공통 탐색 공간이 없다는 점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0087] ePDCCH 및 R-PDCCH 타입 제어 채널들을 비교할 때 다양한 관찰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DM 기반 R-PDCCH는 조기 디코딩 이익들을 제공하며, CRS와 DM-RS 둘 다에서 작동할 수 있지만, DL 동작들에 대해 아주 효율적이지는 않을 수도 있다(그리고 Rel-10에서와 같이 공통 탐색 공간이 없다). 디코딩이 제 1 슬롯에서 DM-RS에만 의존한다면, R-PDCCH의 성능이 지장을 받을 수 있지만, R-PDCCH 디코딩에 제 2 슬롯 DM-RS이 사용된다면, 조기 디코딩 이익들이 지장을 받을 것이다. PRB 쌍만이 (제 2 슬롯에만 로케이팅된) UL 그랜트들을 전달한다면, PRB 쌍의 제 1 슬롯이 낭비되어, DL 효율에 어떤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는 점이 가능하다.
[0088] 다른 한편으로, FDM 기반 ePDCCH는 더 효율적일(그리고 가능하게는 공통 탐색 공간을 가질) 수도 있지만, 조기 디코딩 이익들을 갖지 않으며 Rel-11에서 DM-RS에서만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예를 들어, PDSCH 송신과 HARQ 피드백 사이의 3㎳ 처리 지연을 충족시키기 위해), UE는 큰 UL 타이밍 어드밴스에서 특히, 피크 레이트 PDSCH 송신들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큰 UL 타이밍 어드밴스를 갖는 UE들에 대해 특히, eNB에서 어떤 전송 블록 크기 제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UE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는 eNB에 의해 알려질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eNB는 UE의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레거시 반송파 타입의 셀에서는, 공통 또는 셀 특정 기준 신호들(CRS)이 전송되어야 한다. ePDCCH는 항상 DM-RS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CRS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 엘리먼트(RE)들은 ePDCCH에 대해 이용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CRS 기반 R-PDCCH와 비교하여, ePDCCH는 CRS로 인해 어떠한 차원 손실을 겪을 것이다. 새로운 반송파 타입의 셀에서, CRS는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그리고/또는 전체 대역폭을 이용하여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CRS가 없는 서브프레임에서는, ePDCCH에 대해 어떠한 차원 손실도 없을 것이다.
[0089] 따라서 어떤 타입의 PDCCH가 특정 시나리오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할 때 다양한 문제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중계 노드들은 서로 다른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는 전력 소스에 플러그 연결될 수 있고, 고차원 복잡도 처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계 노드는 배터리에 의존할 수도 있고, 저차원 복잡도 처리를 선호할 수도 있다. 약간의 전력 제한을 갖고 또는 어떠한 전력 제한도 없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은 더 강력한 처리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은 덜 강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서브프레임이 CRS를 포함한다면, CRS 오버헤드로 인한 DM-RS 기반 ePDCCH 경우의 차원 손실을 피하기 위해 CRS 기반 R-PDCCH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중계 노드가 새로운 반송파 타입이라면, 중계 노드가 단지 드문드문한(sparse) 방식으로 CRS를 전송하고 있으므로, ePDCCH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공여 eNB가 레거시 반송파 타입이고 레거시 PDCCH를 전송하며, 공여 eNB에 의해 서빙되는 중계 노드가 (중계 노드가 단독으로 레거시 제어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하는) 새로운 반송파 타입이라면, 백홀 통신들을 위해 중계 노드에 의해 레거시 PDCCH와 ePDCCH가 지원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R-PDCCH와 ePDCCH 사이의 선택에 대한 것과 비슷한 메커니즘들이 백홀 통신들을 위한 레거시 PDCCH와 ePDCCH 사이의 선택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0090] 처리 능력들은 또한 채널 상태들에 좌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의 처리 능력들은 RN에서의 UL 타이밍 어드밴스에 좌우될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RN에서의 UL 타이밍 어드밴스는 RN이 공여 eNB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좌우되는데; 거리가 더 멀수록, UL 타이밍 어드밴스가 더 크다). 큰 UL 타이밍 어드밴스는 일반적으로, PDSCH 송신들과 대응하는 HARQ 피드백 사이의 더 짧은 처리 지연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모바일 중계기는 중계기의 R-PDCCH 또는 ePDCCH 처리에 영향을 주는 채널 상태들의 대응하는 변화에 따라, 정지 상태에서 고속 상태로 전이할 수도 있다.
[0091]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들은 다양한 기준들을 기초로 R-PDCCH 또는 ePDCCH 사이의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0092] 중계 노드 및/또는 대응하는 공여 eNB의 능력 및/또는 동작 상태에 따라, R-PDCCH를 사용할지 아니면 ePDCCH를 사용할지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 이 결정은 공여 eNB(DeNB: donor eNB)에 의해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여 eNB(DeNB)는 중계 노드의 타입, 및/또는 동작 상태들을 결정하여, 중계 노드에 R-PDCCH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ePDCCH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0093] 대안으로, 이 결정은 중계 노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는 R-PDCCH 또는 ePDCCH에 대한 자신의 선호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중계 노드는 DeNB로의 송신에서 1비트 정보 필드를 통해 R-PDCCH 또는 ePDCCH에 대한 자신의 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 따르면, 중계 노드는 자신의 처리 상태, 전력 상태 등을 표시함으로써 R-PDCCH 또는 ePDCCH에 대한 자신의 선호를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0094] 어떤 경우들에, 이 결정은 중계 노드가 처음에 UE로서 시스템에 액세스하게 하는 채널의 타입과 관련될 수 있다. 시스템에 처음 액세스할 때 중계 노드는 UE의 역할을 하며, 자신이 중계 기능의 제공으로 전이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레거시 PDCCH 또는 ePDCCH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가 시스템에 처음 액세스할 때 PDCCH에만 의존한다면, 백홀에 대한 R-PDCCH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계 노드가 시스템에 처음 액세스할 때 ePDCCH를 사용한다면, 백홀에 ePDCCH가 사용될 수도 있다.
[0095] 어떤 경우들에, 이 결정은 반송파 타입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 및/또는 공여 eNB에 대한 반송파가 새로운 반송파 타입이라면, 백홀에 ePDCCH가 사용될 수 있어, 새로운 반송파 타입은 단지 한 가지 타입의 제어 채널 - ePDCCH만을 처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R-PDCCH와 ePDCCH 둘 다 사용될 수도 있다(따라서 레거시 반송파 중계 노드는 세 가지 타입들의 제어 채널들인 PDCCH, R-PDCCH 및 ePDCCH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들에, 이 결정은 CRS의 유무와 관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서브프레임이 CRS를 포함한다면, CRS 기반 R-PDCCH가 사용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DM-RS 기반 ePDCCH가 사용될 수 있다.
[0096] 제어 채널 타입의 표시는 전용 시그널링 또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시그널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 타입은 반-정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동적 표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의존 R-PDCCH 및 ePDCCH가 가능하다.
[0097] 다양한 예시적인 사용 경우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여 eNB는 두 가지 타입들의 중계 노드들: 기지국 중계기들 및 UE 중계기들을 관리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지국 중계기들에는 ePDCCH가 사용되고 UE 중계기들에는 R-PDCCH가 사용된다. 모바일 중계기는 자신이 고정적일 때는 ePDCCH로 시작할 수 있고, 자신이 고속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는 CRS 기반 R-PDCCH로 전환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DeNB에 가까운 중계 노드는 백홀에 ePDCCH를 사용할 수 있고; DeNB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중계 노드는 백홀에 R-PDCCH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중계 노드와 DeNB 사이의 더 먼 거리가 일반적으로 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그리고 이에 따라 PDSCH에서부터 HARQ 피드백까지의 더 짧은 처리 시간을 의미하여, R-PDCCH가 바람직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0098] 어떤 경우들에는, 중계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PDCCH 타입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경우들에는,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을 초과한다면(예를 들어, 중계 노드에서 공여 기지국까지의 상당한 거리를 표시함), 제 1 타입의 PDCCH(예를 들어, R-PDCCH)가 선택될 수 있고,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 미만이라면(예를 들어, 중계 노드가 공여 기지국에 더 가까움을 표시함), 제 2 타입의 PDCCH(예를 들어, ePDCCH)가 선택될 수 있다.
[0099] 어떤 경우들에는, 중계 노드의 이동성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PDCCH 타입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면, 제 1 타입의 PDCCH(예를 들어, R-PDCCH)가 선택될 수 있는 한편, 중계 노드가 고정적이거나 임계값 미만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면, 제 2 타입의 PDCCH(예를 들어, ePDCCH)가 선택될 수 있다.
[00100] LTE Rel-11에서는, UE들에 대해 CoMP 동작이 도입된다. 마찬가지로, CoMP 동작은 중계 백홀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R-PDCCH 및 대응하는 PDSCH, PUSCH, PUCCH, SRS 등에 대한 가상 셀 ID, 간섭 측정 자원(IMR: 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들, PDSCH의 레이트 매칭 파라미터들의 동적 표시, 및 DM-RS와 CSI-RS 사이의 준-콜로케이션에 의해 모바일 중계기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PDCCH는 개별적으로 구성된 두 세트들의 자원들을 갖도록 강화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자원 할당 타입들 또한 가질 수 있다. 자원들의 각각의 세트는 각자의 가상 셀 ID, R-PDCCH 시작 심벌, R-PDCCH 종료 심벌, 및 R-PDCCH 인터리빙 모드들(예를 들어, DM-RS 기반 PRB 인터리빙, CRS 기반 PRB 인터리빙, CRS 기반 REG 인터리빙)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들의 서빙에 수반되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공여 eNB들을 동시에 타깃으로 하는 중계 노드에 의해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DL 및/또는 UL 타이밍 경우들이 지원될 수 있다.
[00101] 일 실시예에서는, 백홀 통신들에 ePDCCH가 사용될 때, 어떤 변경이 필요하다. 예컨대, 서로 다른 다운링크 백홀 타이밍 경우들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ePDCCH 및 대응하는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해 종료 심벌이 명시될 수 있다. 특히, 서브프레임에서 공여 eNB와 중계 노드 사이에 타이밍 오프셋이 있다면, ePDCCH 및 대응하는 PDSCH에 대한 종료 심벌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이 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서 공여 eNB와 중계 노드가 동기화된다면, ePDCCH 및 대응하는 PDSCH에 대한 종료 심벌은 서브프레임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심벌이 될 수 있다. ePDCCH 자원들의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세트들이 구성된다면,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세트들은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종료 심벌들을 가질 수도 있다. ePDCCH 자원들의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세트들은 역시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시작 심벌들을 가질 수도 있다. ePDCCH 자원들의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세트들은 또한 서로 다른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타이밍 경우들과 연관될 수도 있다.
[00102] 도 9는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DeN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900)을 나타낸다. 902에서, 기지국과 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함으로써 동작들이 시작된다. 904에서, 기지국은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반이중 중계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00103] 도 9에 도시된 동작들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및 전송은 도 3에 도시된 eNB(110)의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04]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R-PDCCH들에 대한 복수의 자원 할당들을 구성할 수 있다.
[00105]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에 ePDCCH에 대한 종료 심벌을 구성할 수 있다.
[00106] 도 10은 예를 들어, 중계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1000)을 나타낸다. 1002에서, 기지국― 기지국은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함 ―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함으로써 동작들이 시작된다. 1004에서, 중계 노드는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00107]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은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 및 모니터링은 도 3에 도시된 eNB(110) 또는 UE(120)(이들 중 어느 하나가 중계 노드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의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108]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중계 노드는 R-PDCCH에 대해 이루어진 복수의 자원 할당들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00109]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중계 노드는 서브프레임에서 ePDCCH에 대한 종료 심벌의 구성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00110]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00111]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112]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0113]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00114]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15] 본 개시의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30)

  1.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half duplex)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중계 PDCCH(R-PDCCH: relay PDCCH)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강화된 PDCCH(ePDCCH: enhanced PDCCH)인,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TDM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FDM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R-PDCCH에 대한 복수의 자원 할당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ePDCCH에 대한 서브프레임에서의 종료 심벌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공통 기준 신호들(CRS: common reference signals) 또는 복조 기준 신호들(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과 함께 전송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CRS 없이 DM-RS와 함께 전송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은 상기 중계 노드의 처리 능력들과 관련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은 상기 중계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condition)들과 관련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타입의 PDCCH가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 2 타입의 PDCCH가 선택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은,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할 때 상기 중계 노드가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한 PDCCH의 타입과 관련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은 상기 중계 노드에 의해 표시되는 PDCCH의 선호 타입과 관련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에 상기 선택된 타입의 PDCCH의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함 ―; 및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중계 PDCCH(R-PDCCH)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강화된 PDCCH(ePDCCH)인,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TDM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FDM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R-PDCCH에 대한 복수의 자원 할당들의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ePDCCH에 대한 서브프레임에서의 종료 심벌의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공통 기준 신호들(CRS) 또는 복조 기준 신호들(DM-RS)과 함께 전송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CRS 없이 DM-RS와 함께 전송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노드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할 때 상기 중계 노드가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한 PDCCH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PDCCH의 선호 타입의 명시적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타입의 PDCCH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4.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는데 사용되는 반이중 중계 노드로의 송신을 위해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또는 제 2 타입의 PDCCH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반이중 중계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중계 PDCCH(R-PDCCH)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강화된 PDCCH(ePDCCH)인,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은,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할 때 상기 중계 노드가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한 PDCCH의 타입과 관련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중계 노드에 상기 선택된 타입의 PDCCH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타입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할지 아니면 제 2 타입의 PDCCH를 모니터링할지를 결정하고 ―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송신들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중계 노드를 사용함 ―, 그리고 결정된 타입의 PDCCH를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타입의 PDCCH는 중계 PDCCH(R-PDCCH)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입의 PDCCH는 강화된 PDCCH(ePDCCH)인,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로서 동작할 때 상기 중계 노드가 초기 액세스를 위해 사용한 PDCCH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PDCCH의 선호 타입의 명시적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선택된 타입의 PDCCH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중계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KR1020157014132A 2012-11-09 2013-11-07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KR102158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4778P 2012-11-09 2012-11-09
US61/724,778 2012-11-09
US14/073,297 US9432175B2 (en) 2012-11-09 2013-11-06 Control channel management for relay backhaul
US14/073,297 2013-11-06
PCT/US2013/068935 WO2014074709A1 (en) 2012-11-09 2013-11-07 Control channel management for relay backha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371A KR20150082371A (ko) 2015-07-15
KR102158670B1 true KR102158670B1 (ko) 2020-09-22

Family

ID=5068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132A KR102158670B1 (ko) 2012-11-09 2013-11-07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32175B2 (ko)
EP (1) EP2918122B1 (ko)
JP (1) JP6239638B2 (ko)
KR (1) KR102158670B1 (ko)
CN (1) CN104969640B (ko)
WO (1) WO2014074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4857B (zh) * 2010-09-10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te下行控制信道资源分配方法及基站
US9491738B2 (en) * 2012-02-0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ownlink and uplink resources for low cost user equipments
JP6516263B2 (ja) 2012-12-03 2019-05-22 ソニー株式会社 Lteのためのグループベースのpdcch能力
FR3023102A1 (fr) * 2014-06-27 2016-01-01 Orange Procede de transmission dynamique et selectif fd-dsdf d'un signal numerique pour un systeme mamrc avec plusieurs relais full-duplex, produit programme et dispositif relais correspondants
HUE043397T2 (hu) 2014-08-20 2019-08-28 Ericsson Telefon Ab L M Eljárás és berendezés erõforrások összehangolására
WO2017075746A1 (en) * 2015-11-02 2017-05-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cell identifiers and other parameters for flexible duplex operations
CN107205267A (zh) * 2016-03-18 2017-09-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回程传输方法及装置
GB2550218B (en) * 2016-05-13 2022-01-05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15835367A (zh) * 2016-08-10 2023-03-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降低等待时间的系统中的定时提前和处理能力
CN108282885B (zh) * 2017-01-06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CN108574558B (zh) * 2017-03-13 2020-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11516788B2 (en) * 2017-07-28 2022-11-29 Ntt Docomo, Inc.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1527722B (zh) 2017-11-14 2023-05-0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pdcch)候选确定的方法
CN109803406B (zh) * 2017-11-17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网络中时域资源的指示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US11398878B2 (en) * 2018-01-21 2022-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0290592B (zh) * 2018-03-19 2024-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中继传输的方法及用户设备
US20220045742A1 (en) * 2020-08-04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forwarding a wireless signal using a digital repea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9800B2 (ja) * 2009-03-16 2012-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
WO2010140298A1 (ja) * 2009-06-02 2010-1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761074B2 (en) * 2009-08-27 2014-06-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Relay backhaul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1053009A2 (ko) 2009-10-28 2011-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
US9014080B2 (en) 2009-10-30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backhaul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11595A1 (en) * 2010-02-16 2011-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n early decoding of signals in relay backhaul links
US9237583B2 (en) 2010-05-0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vailability for PDSCH in relay backhaul transmissions
US9276722B2 (en) 2010-05-05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Expanded search space for R-PDCCH in LTE-A
US8699386B2 (en) 2010-08-18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H-ARQ timing and backhaul subframe configuration for TDD relay in LTE-A
CN102387593B (zh) * 2010-09-06 2014-05-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采用空分复用接入sdma的通信方法及基站
US8755324B2 (en) 2011-08-03 2014-06-17 Blackberry Limited Allocating backhaul resources
US9197387B2 (en) * 2011-08-15 2015-11-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083517B2 (en) * 2011-08-17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carriers of a backhaul connection
US9131524B2 (en) * 2011-10-0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full-duplex operation for TDD carrier aggregation
US9198070B2 (en) * 2012-05-14 2015-11-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201750B1 (ko) * 2012-08-11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091990*
3GPP R1-1014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8122A1 (en) 2015-09-16
JP2015535663A (ja) 2015-12-14
CN104969640A (zh) 2015-10-07
US9432175B2 (en) 2016-08-30
WO2014074709A1 (en) 2014-05-15
US20140133367A1 (en) 2014-05-15
KR20150082371A (ko) 2015-07-15
JP6239638B2 (ja) 2017-11-29
EP2918122B1 (en) 2017-11-01
CN104969640B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70B1 (ko) 중계 백홀에 대한 제어 채널 관리
US9629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uplink coverage in interference scenarios
US9113463B2 (en) Resource management for enhanced PDCCH
KR10192097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e-pdcch 에 대한 검색 공간 설계
US9713026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traffic adaptation (eIMTA) in LTE
US8937906B2 (en) Structure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in long term evolution (LTE)
EP2767026B1 (en) Extension carrier as a bandwidth extension
US9602145B2 (en) Insertion loss improvement in a multi-band device
US8576791B2 (en) Sharing control channel resources
US10243707B2 (en) Efficient downlink operation for eIMTA
US20130163501A1 (en) Flexible cyclic prefix management
US10952193B2 (en) LTE-TDD carrier aggregation enhancement for half-duplex 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