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479B1 -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479B1
KR102158479B1 KR1020200047118A KR20200047118A KR102158479B1 KR 102158479 B1 KR102158479 B1 KR 102158479B1 KR 1020200047118 A KR1020200047118 A KR 1020200047118A KR 20200047118 A KR20200047118 A KR 20200047118A KR 102158479 B1 KR102158479 B1 KR 10215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nd
filtration layer
sand filtration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김기팔
최창형
성상호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시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부유 및 침전성의 비점오염 물질을 정화처리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역세척에 의해 장치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정화장치에 관한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 및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여과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여과재가 코팅된 튜브형필터에 의해 여과처리하며, 상기 튜브형필터를 정역회전시켜 트위스트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정역회전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여과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처리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세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시역세척여과부에서는 별도의 역세척 공정이 필요없이 상시 역세척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Water quality purification equipment for rainwater treatment and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본 발명은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시 초기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부유 및 침전성의 비점오염 물질을 정화처리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역세척에 의해 장치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오염물질의 배출원을 구분하면 크게 점오염원(Point Source)과 비점오염원(Non-[0002] Point Source)으로 나눌 수 있다.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일정한 배출경로와 배출지점을 가지며 차집시설 등을 통하여 적정 처리시설이나 장치를 통해 처리가 용이하다.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일반 가정이나 건물, 폐수를 발생시키는 공장이나 가축 사육시설 등 오염 배출원을 특정할 수 있는 시설을 점오염원이라 한다.
반면에 비점오염원은 일정한 배출경로 및 배출지점을 갖지 않는 오염원을 말하며 오염발생 범위가 광범위하여 오염원을 특정하기가 곤란한 오염 배출원을 말한다. 도로의 오염물질, 공사장의 토사류나 협잡물, 농경지의 농약이나 비료 등은 강우시 빗물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으로 분산 배출되면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자연수계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을 비점오염원이라 한다.
이러한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물질은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등이 있으며, 특히 강우시에 초기우수와 함께 지표면 또는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빠른 시간내에 부패가 됨으로써 수질오염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생태계를 파괴하기도 한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의 경우 초기우수시 우수와 함께 지표면 또는 지하수로 유입되므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여과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고자 초기우수 처리장치로서, 기존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강우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여러 단계를 거쳐 정화함으로써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초기우수 유출수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이 제안되고 있다.
즉, 강우시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여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비점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를 통해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여 자연수계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저류식 시설이나 인공습지 등과 같은 시설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들 시설은 부지가 많이 소요되어 도심지나 공원 등과 같이 부지사용이 제한적인 경우에는 많은 제약조건이 따르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우수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필터를 통해 정화시켜 배출시키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가지며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56호의 초기우수 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입수관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다양한 종류의 필터층에 쌓이게 되고, 이는 필터층의 상부와 통공들을 막아 초기우수의 흐름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고 이물질의 제거에도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스크린에 의해 필터층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사전에 거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량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스크린 상에 적재되면서 초기우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은 물론, 스크린에 의해서는 미세입자까지 여과가 어렵고 역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후 작업자가 일일이 세척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고 작동에 많은 불편함이 동반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6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처리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처리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시역세척여과부는 별도의 역세척 공정이 필요없이 상시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여과부는 역세척 시 트위스트 형태로 꼬임이 발생하도록 정역회전을 주어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급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오염물질이 제1배수구로 유입되어 제2배수구를 통해 완속혼화부 측으로 역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 및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여과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여과재가 코팅된 튜브형필터에 의해 여과처리하며, 상기 튜브형필터를 정역회전시켜 트위스트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정역회전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여과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에는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주어 모래 여과층을 압밀시키는 진동압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 상기 스크린압밀판체 측면과 상시역세척여과부 내벽면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스프링부; 및 상기 스크린압밀판체에 고정 결합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내벽면 일측에 탄성스프링부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장치; 상기 진동장치의 하단부에 길게 연설되는 진동봉; 및 상기 진동봉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며,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내벽에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판체; 상기 고정판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부; 상기 탄성스프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체; 상기 지지판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진동장치; 상기 지지판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모래 여과층의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진동봉; 및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진동봉의 중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역회전장치는, 상기 튜브형필터가 정역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샤프트, 상기 편심샤프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크랭크암 및, 일단이 상기 크랭크암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여과수저장부의 미세여과수배출관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형필터를 소정의 각도로 정역회전시키는 코아샤프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속혼화부의 바닥에는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완속혼화부의 바닥에는 제2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수구와 제2배수구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물질배출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2배수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1배수구와 제2배수구의 사이 오염물질배출관에는 격자 형태로 되는 스크린망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망과 제2배수구의 사이에는 부력재로 되는 원형의 차단볼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볼이 제2배수구 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수를 차단하고, 상기 제2배수구를 통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볼이 스크린망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완속혼화부의 물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배수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처리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세 이물질이 걸러지는 상시역세척여과부에서는 별도의 역세척 공정이 필요없이 상시 역세척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여과부에서는 역세척 시 정역회전에 의해 튜브형 필터가 트위스트 형태로 꼬임이 발생하므로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고, 이는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속혼화부의 바닥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이 제1배수구를 통해 완속혼화부 측의 제2배수구 측으로 역 유입될 염려가 전혀 없는 구조이며, 역세척시에는 급속혼화부 및 완속혼화부의 이물질이 오염물질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초기우수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실시예 1의 진동압밀장치가 구비된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확대 예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실시예 2의 진동압밀장치가 구비된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확대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실시예 3의 진동압밀장치가 구비된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확대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실시예 3의 진동압밀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미세여과처리부를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미세여과처리부에 구비되는 정역회전장치의 일부 확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에서 역세척 시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초기우수로부터 오염물질을 플럭화시키기 위한 급속혼화부(100)와 완속혼화부(200) 및 전처리수저장부(300)가 구비되고,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상시역세척여과부(400)와 미세여과처리부(50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급속혼화부(100)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중화제와 응집제 등을 주입하고 프로펠라형 고속 교반기를 약 3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급속혼화를 시킨다.
급속혼화부(100)에서 혼화된 초기우수 중 플럭화된 오염물질은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상등수는 완속혼화부(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완속혼화부(200)는 급속혼환부(100)의 후단에 설치되고, 급속혼환부(100)와 완속혼화부(200) 사이에는 제1벽체(120)가 설치되며, 제1벽체(120)의 하단부는 급속혼환부(100)와 완속혼화부(200)의 사이가 차단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완속혼화부(200)는 급속혼화부(100)로부터 넘어온 초기우수를 마찬가지로 프레펠라형 완속 교반기에 의해 혼화를 시키게 되며, 약 60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혼화한다.
여기서 전처리수저장부(300)는 완속혼화부(2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완속혼화부(200)에서 혼화되어 전처리된 전처리수가 이동되어 소정의 시간동안 체류를 하면서 오염물질이 바닥측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완속혼화부(200)와 전처리수저장부(300)의 사이에는 제2벽체(210)가 설치되며, 제2벽체(210)의 상단부는 완속혼화부(200)와 전처리수저장부(300)의 사이가 차단되도록 하고, 상단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전처리수저장부(300)의 상단 일측에는 공급관(310)이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시역세척여과부(400)는 모래여과층(410)에 의해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공간부 내부에 모래가 소정의 높이로 적층되어 모래여과층(410)이 형성되며, 공간부 하단부에는 호퍼(420)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여과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배출되기 위한 상시여과배출관(425)이 마련된다.
또한, 전처리수저장부(300)의 공급관(310)과 연결되는 원수분배관(430)이 모래여과층(410)의 하단부측까지 인출되어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410) 하단부에서 분출이 되도록 한다.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중앙부 상측에서 모래여과층(410)의 하단부까지 관통하여 모래이송관(440)이 설치된다. 모래이송관(440)의 내벽면에는 브러쉬(442)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연질 판체에 브러쉬(442)를 부착하고, 이를 둥글게 말아 모래이송관(440)의 내부에 삽입하여 모래이송관(440)의 내벽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브러쉬(442)는 모래이송관(440)의 내부로 상승하는 모래가 부딪치며 세척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모래이송관(440)의 하단부 측으로 에어(Air)가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분사부(4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모래이송관(440)의 상단부에는 모래이송관(440)을 통해 상승하는 모래와 세척수를 분리하기 위한 세척모래저장부(460)가 마련된다. 세척모래저장부(460)의 일측에는 오염물질과 세척수가 배출되기 위한 세척수배관(461)이 구비된다.
또한,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는 진동압밀장치(4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압밀장치(470)는 모래여과층(410)의 모래를 압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가 통과 가능하면서도 모래 여과층(410)을 다지며 압밀 할 수 있는 형태, 즉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격자로 되는 스크린 형태의 스크린압밀판체(471)가 모래여과층(410)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스크린압밀판체(471)의 측면과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 사이에는 탄성스프링부(472)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스크린압밀판체(471)의 상면에는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장치(473)가 결합된다.
여기서 진동장치(473)는 에어 또는 유압 또는 전기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진동을 부여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진동장치(473)의 진동은 스크린압밀판체(471)에 전달되고, 스크린압밀판체(471)에 의해 모래여과층(410)의 모래가 다져지며 압밀되게 된다.
그리고 원수분배관(430)를 통해 상시역세척여과부(400) 내부로 분출된 원수는 모래여과층(410)에 의해 여과될 때, 여과수는 스크린압밀판체(471)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상측부로 이동하게 된다.
스크린압밀판체(471)는 탄성스프링부(472)에 의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진동은 모래여과층(410)에 전달이 되고 진동장치(473)의 진동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는 진동이 미세하게 전달이 되게 된다.
실시예 2에서는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 일측에 진동장치(473)가 탄성스프링부(472)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진동장치(473)의 하단부에는 진동봉(474)이 모래여과층(410)의 사이에 삽입 위치하도록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봉(474)의 하단부에는 실시예 1과 같이 격자로 되는 스크린 형태의 스크린압밀판체(471)가 고정 결합된다. 이때 진동장치(473)는 도 3a와 같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3b와 같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외부에 구비되어 별도의 벽면에 탄성스프링부(472)가 결합된 후, 진동봉(474)은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상측부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진동장치(473)의 진동은 진동봉(474)을 통해 스크린압밀판체(471)에 전달되며, 스크린압밀판체(471)에 의해 모래여과층(410)의 모래가 압밀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진동장치(473)의 진동은 탄성스프링부(472)에 의해 진동이 상쇄되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는 진동이 미세하게 전달이 되고, 진동봉(474)을 통해 스크린압밀판체(471)에만 전달이 된다. 그리고, 여과된 여과수는 스크린압밀판체(471)의 관통공을 통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실시예 3에서는 모래여과층(410)의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판체(475)가 구비되고, 고정판체(475)는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판체(475)의 중앙부에는 삽입공(477)이 소정의 크기로 관통 형성된다.
고정판체(475)의 상면에는 탄성스프링부(472)가 결합되고, 탄성스프링부(472)의 상부에는 지지판체(476)가 자유로운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판체(476)의 상면에는 진동장치(473)가 고정 결합된다.
지지판체(476)의 하부에는 진동봉(474)이 긴 길이로 형성되어 고정판체(475)의 관통공(477)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끝단부가 모래여과층(410)의 중도부에 위치하는 진동봉(474)의 중도부 및 끝단부에는 스크린압밀판체(471)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스크린압밀판체(471)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격자로 되는 스크린 형태를 가진다.
이때 진동장치(473)는 도 4a와 같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내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4b와 같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외부에 구비되고 고정판체(475)를 대신하는 상측부와 진동장치(473)와의 사이에 탄성스프링부(472)를 결합한 후, 상측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진동봉(474)이 삽입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동장치(473)에 의해 부여되는 진동은 진동봉(474)을 통해 스크린압밀판체(471)에 전달되어 모래여과층(410)을 압밀하게 되며, 진동장치(473)의 진동은 탄성스프링부(472)에 의해 상쇄되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는 진동이 미약하게 전달이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여과처리부(500)는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고, 미세여과처리부(500)의 상단부에는 여과수저장부(510)가 구비되며, 여과수저장부(510)와 연결된 미세여과수배출관(520)이 미세여과처리부(500)의 상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여과수저장부(51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튜브형 필터(530)가 긴 길이로 설치된다.
미세여과처리부(500)의 외측 상면에는 역세척 공정시 튜브형 필터(530)에 트위스트 형태로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는 정역회전장치(600)가 구비되어 여과수저장부(510)의 미세여과수배출관(520)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정역회전장치(600)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610)가 구비되고, 회전모터(610)의 구동축에는 편심샤프트(62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어 회전모터(610)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편심샤프트(620)의 타단에는 크랭크암(6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편심샤프트(620)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직선 운동하며, 크랭크암(630)의 타단에는 코아샤프트플랜지(64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코아샤프트플랜지(640)의 타단은 여과수저장부(510)의 미세여과수배출*520)을 감싸며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정역회전장치(600)의 회전모터(610)에 의해 미세미여과수배출관(520)이 소정의 각도만큼씩 정역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정역회전 각도는 2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속혼화부(100)의 바닥에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구(130)가 형성되고, 완속혼화부(200)에는 제2배수구(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배수구(130)와 제2배수구(230)는 오염물질배출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제2배수구(2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231)이 형성되고, 제1배수구(130)와 제2배수구(230) 사이의 오염물질배출관(220)에는 격자 형태로 되는 스크린망(24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린망(240)과 제2배수구(230)의 사이에는 부력재로 되는 원형의 차단볼(250)을 구비하여, 초기우수 또는 역세척수에 따라 차단볼(250)이 스크린망(240) 또는 제2배수구(2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혼화부(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는 급속혼화부(100)에서 응집제와 함께 고속 교반기에 의해 급속혼화 된다. 그리고 혼화되면서 발생한 플록(floc)은 바닥면 측으로 가라앉게 되고 초기우수는 제1벽체(120)의 상측을 넘어 완속혼화부(200) 측으로 이동한다.
완속혼화부(200)에서는 완속 교반기에 의해 서서히 혼화되면서 오염물질의 작은 플럭들이 바닥으로 가라 앉게 되고, 급속혼화부(100)와 완속혼화부(200)에서 전처리된 전처리수는 전처리수저장부(300)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체류를 한 후, 후단의 공급관(310)을 통해 상시역세척여과부(400)로 유입된다.
이때 급속혼환부(10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일부는 바닥의 제1배수구(130) 측을 통해 오염물질배출관(220) 측으로 유입되기도 한다. 따라서 오염물질배출관(220) 내부의 차단볼(250)이 초기우수의 압력과 부력에 의해 제2배수구(2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볼(250)은 제2배수구(230)의 경사면(231)에 걸리면서 제2배수구(230)를 차단하게 되므로, 오염물질배출관(220)에 유입된 초기우수 및 급속혼화부(100)의 오염물질이 제2배수구(230)를 통해 완속혼화부(200)로 유입될 염려가 없게 된다.
그리고 전처리수저장부(300)에서 상시역세척여과부(400)로 유입된 전처리수는 원수배출관(430)을 통해 상시역세척여과부(400)의 모래여과층(410)의 하단부 측으로 분출되며, 분출된 전처리수는 모래여과층(410)에 의해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상승하게 된다. 여과되어 상승한 여과수는 오버플로우 되어 미세여과부(500) 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된 모래여과층(410)의 하단부 모래는 에어분사부(45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모래이송관(440)을 통해 물과 함께 상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모래이송관(440)을 통해 상승하는 모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440)의 내벽면 및 브러쉬(442)에 부딪치면서 모래에 붙은 오염물질이 탈리되고, 탈리된 오염물질과 세척된 모래는 모래이송관(440)의 상측에 구비되는 세척모래저장부(460)로 모아진다.
세척모래저장부(460)로 모아진 모래와 오염물질 및 세척수 중 오염물질과 세척수는 세척수배관(461) 측으로 배출되고, 세척된 모래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모래여과층(410)의 상측부에 다시 적층되게 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걸러지며 오염된 모래여과층(410) 하단부의 모래가 모래이송관(440)을 통해 상승하면서 세척이 되고 다시 적층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항상 최적의 여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역세척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한편, 낙하하며 적층되는 모래는 물 속에서 부력을 받아 서서히 쌓여 모래와 모래 사이에 많은 공극을 가지며 쌓이게 되는데, 본 발명의 진동압밀장치(470)의 진동에 의해 모래여과층(410)의 모래가 진동을 받아 압밀되어 쌓이게 되므로 공극이 줄어들고, 이렇게 압밀된 모래여과층(410)을 통과하는 원수의 여과효율도 향상되게 된다.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져 여과된 1차여과수는 방류하거나, 재이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시여과수배출관(425)을 통해 미세여과처리부(500) 측으로 유입되어 미세 오염물질의 여과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미세미여과수배출관(520)에 결합된 공지의 펌프에 의해 미세여과처리부(500) 내부의 물을 흡입하게 되면 미세여과처리부(500) 내부의 물은 튜브형 필터(530)를 통해 흡입되며 미세 오염물질이 2차여과된다. 이때 미세여과처리부(500)에 의해 여과처리 전에 미세여과처리부(500)의 물에는 규조토 등의 여과재가 희석되어 있고, 튜브형 필터(530)의 외측에는 여과재가 코팅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형 필터(530)로 흡입되는 미세여과처리부(500) 내부의 1차여과수는 튜브형 필터(530) 외측에 코팅된 여과재를 통과하며 2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원수의 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는 있으나,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면 여과재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의 양이 많아지면서 여과성능이 점차 저하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공정을 중지하고 역세척공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혼화부(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 또는 비점오염원의 공급을 중단하고, 전처리수저장부(300) 측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오염물질과 함께 제2배수구(230)로 유입되어 오염물질배출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역세척수가 제2배수구(230)로 유입될 때 경사면(231)에 걸려있던 차단볼(250)이 역세척수와 함께 오염물질배출관(220)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데, 차단볼(250)은 오염물질배출관(220)의 중도부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망(240)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오염물질과 역세척수는 스크린망(24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미세여과처리부(500)의 여과공정도 중단하고, 미세미여과수배출관(520) 측으로도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튜브형 필터(530)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튜브형 필터(530) 외벽에 부착된 여과재와 오염물질을 탈리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아울러 역세척수 공급과 별도로, 또는 역세척수의 공급과 함께 정역회전장치(600)의 회전모터(610)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모터(610)의 회전에 의해 편심샤프트(62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편심사프트(620)와 힌지 결합된 크랭크암(630)이 소정의 간격만큼 당겨지게 되고, 동시에 크랭크암(630)의 끝단에 힌지 결합된 코아샤프트플랜지(640)도 크랭크암(630)의 작동 거리만큼 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미세여과수배출관(520)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된다.
계속되는 회전모터(610)와 편심샤프트(620)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당겨지던 크랭크암(630)이 다시 후퇴하면서 코아샤프트플랜지(640)도 소정의 거리만큼 밀게 되고, 코아샤프트플랜지(640)의 작동에 따라 미세여과수배출관(520)이 소정의 각도만큼 반대로 역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수저장부(510)의 하단에 긴 길이로 늘어진 상태로 결합된 다수개의 튜브형 필터(530)이 일체로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튜브형 필터(530)는 트위스트 형태로 꼬임이 발생하게 되면서 서로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튜브형 필터(530)의 외측에 부착되었던 여과재와 오염물질의 탈리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처리하여 일정 이상의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수질 상태로 방류 또는 재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시역세척여과부(400)에 의해 걸러지는 오염물질은 상시 역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모래여과층(410)이 폐색될 염려가 전혀 없고, 미세여과처리부(500)의 역세척 시에는 정역회전장치(600)에 의해 역세척 효과가 향상되어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급속혼화부 130 : 제1배수구
200 : 완속혼화부 220 : 오염물질배출관
230 : 제2배수구 240 : 스크린망
250 : 차단볼 300 : 전처리수저장부
400 : 상시역세척여과부 410 : 모래여과층
420 : 호퍼 430 : 원수분배관
440 : 모래이송관 450 : 에어분사부
460 : 세척모래저장부 470 : 진동압밀장치
471 : 스크린압밀판체 472 : 탄성스프링부
473 : 진동장치 474 : 진동봉
475 : 고정판체 476 : 지지판체
500 : 미세여과처리부 510 : 여과수저장부
520 : 미세미여과수배출관 530 : 튜브형 필터
600 : 정역회전장치 610 : 회전모터
620 : 편심샤프트 630 : 크랭크암
640 : 코아샤프트플랜지

Claims (8)

  1.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및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에는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주어 모래 여과층을 압밀시키는 진동압밀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
    상기 스크린압밀판체 측면과 상시역세척여과부 내벽면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스프링부; 및
    상기 스크린압밀판체에 고정 결합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2.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및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에는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주어 모래 여과층을 압밀시키는 진동압밀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내벽면 일측에 탄성스프링부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장치;
    상기 진동장치의 하단부에 길게 연설되는 진동봉; 및
    상기 진동봉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며,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3.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및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에는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주어 모래 여과층을 압밀시키는 진동압밀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진동압밀장치는,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내벽에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판체;
    상기 고정판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부;
    상기 탄성스프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판체;
    상기 지지판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진동장치;
    상기 지지판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모래 여과층의 중도부에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진동봉; 및
    스크린 형태로 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 중도부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진동봉의 중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래 여과층에 진동을 전달하는 스크린압밀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역세척여과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여과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여과재가 코팅된 튜브형필터에 의해 여과처리하며, 상기 튜브형필터를 정역회전시켜 트위스트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정역회전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여과처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회전장치는,
    상기 튜브형필터가 정역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축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편심샤프트,
    상기 편심샤프트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크랭크암 및,
    일단이 상기 크랭크암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여과수저장부의 미세미여과수배출관 결합되어 상기 튜브형필터를 소정의 각도로 정역회전시키는 코아샤프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6.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응집제를 반응시켜 혼화하는 급속혼화부;
    상기 급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혼화부로부터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완속 혼화하는 완속혼화부;
    상기 완속혼화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완속혼화부에서 혼화된 전처리수가 저장되는 전처리수저장부; 및
    상기 전처리수저장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처리수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전처리수가 모래여과층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되며, 상기 모래여과층의 하단부의 모래가 에어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에어와 함께 모래이송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되고, 세척된 모래는 상기 모래여과층의 상단부에 다시 적층되며 이물질과 함께 세척수는 세척수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시역세척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속혼화부의 바닥에는 제1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완속혼화부의 바닥에는 제2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배수구와 제2배수구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염물질배출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2배수구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제1배수구와 제2배수구의 사이 오염물질배출관에는 격자 형태로 되는 스크린망이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망과 제2배수구의 사이에는 부력재로 되는 원형의 차단볼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초기우수가 상기 완속혼화부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차단볼이 제2배수구 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수를 차단하고,
    상기 제2배수구를 통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볼이 스크린망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완속혼화부의 물이 오염물질배출관 측으로 배수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00047118A 2020-03-23 2020-04-20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2158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800 2020-03-23
KR20200034800 2020-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479B1 true KR102158479B1 (ko) 2020-09-22

Family

ID=7270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118A KR102158479B1 (ko) 2020-03-23 2020-04-20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290B1 (ko) * 2021-07-12 2022-12-2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빗물저류탱크와 결합된 우수정화시스템
KR20230046452A (ko) * 2021-09-30 2023-04-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918B1 (ko) * 1995-02-20 1998-04-15 김지수 정수처리 장치
KR20070047257A (ko) * 2007-03-19 2007-05-04 한상배 하폐수 및 정수처리를 위한 수평류형 여과장치
KR100952220B1 (ko) * 2009-09-25 2010-04-09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압착식 섬유 여과장치
KR20120090583A (ko) * 2011-02-08 2012-08-17 (주)에이엔티이십일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치
KR101196653B1 (ko) 2011-03-17 2012-11-05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85556B1 (ko)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918B1 (ko) * 1995-02-20 1998-04-15 김지수 정수처리 장치
KR20070047257A (ko) * 2007-03-19 2007-05-04 한상배 하폐수 및 정수처리를 위한 수평류형 여과장치
KR100952220B1 (ko) * 2009-09-25 2010-04-09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압착식 섬유 여과장치
KR20120090583A (ko) * 2011-02-08 2012-08-17 (주)에이엔티이십일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치
KR101196653B1 (ko) 2011-03-17 2012-11-05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85556B1 (ko)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능을 갖는 우수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290B1 (ko) * 2021-07-12 2022-12-2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빗물저류탱크와 결합된 우수정화시스템
KR20230046452A (ko) * 2021-09-30 2023-04-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654025B1 (ko) * 2021-09-30 2024-04-03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805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158479B1 (ko)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N203065263U (zh) 一种用于处理初期雨水径流污染的装置
KR102140016B1 (ko) 초기우수처리 및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452222Y1 (ko) 비점 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0958326B1 (ko)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140043427A (ko)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재사용하거나 깨끗하게 처리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하천수와 빗물을 저장하여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수시스템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DE202012011112U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verschmutztem Niederschlagswasser oder dergleichen im Straßenablauf (Gully)
KR101725047B1 (ko)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1580859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CN105251254B (zh) 一种可变式双向流高速纤维过滤器
KR100920007B1 (ko) 오염수를 정화시키는 사면 구조 및 사면에서의 오염수의정화방법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20110056600A (ko) 빗물 정수 시스템
KR101621030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2364566B1 (ko) 하수처리 시스템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1463B1 (ko)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