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52B1 - 신발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52B1
KR102157252B1 KR1020200064851A KR20200064851A KR102157252B1 KR 102157252 B1 KR102157252 B1 KR 102157252B1 KR 1020200064851 A KR1020200064851 A KR 1020200064851A KR 20200064851 A KR20200064851 A KR 20200064851A KR 102157252 B1 KR102157252 B1 KR 10215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hoe
main body
shoe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프로
Priority to KR102020006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는, 일측이 지면에 근접하도록, 상부가 상기 일측에서 타측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본체; 신발이 담긴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일면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상기 트레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트레이들이 보관되는 보관함까지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정리장치{FOOTWEAR ARRANGEMENT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트레이에 담긴 신발을 자동으로 이동하여 보관하고, 사용자의 호출에 의해 호출된 장소로 다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구두, 샌들, 슬리퍼 등과 같이 발에 신고 다닐 수 있는 것을 신발이라 한다면 그 신발은 실외와 실내를 오갈 때마다 신고 벗기를 반복하여야 한다. 즉, 신발을 신지 않고 생활하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나 신발을 신고 활동하는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갈 때는 신발을 벗거나 신어야 한다.
위와 같이 실내와 실외를 오갈 때마다 신발을 신고 벗는 경우 중,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기 위하여 신발을 벗으면 신발의 앞부분은 실내 쪽을 향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신발의 앞부분이 실내를 향하도록 벗어놓은 신발을 실외로 나가기 위하여 다시 신으려면 사람이 돌아서 돌아선 상태로 신발을 신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로 들어온 사람이 자신의 신발을 나갈 때 편리하게 신을 수 있도록 신발 앞부분이 실외를 행하게 돌려놓거나 다른 사람이 신발을 벗어놓은 사람이 나갈 때 쉽고 편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신발을 돌려놓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람이 손으로 신발을 잡고 돌려놓을 경우에는 신발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맡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손으로 돌려놓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손님이 벗어놓은 신발을 손님이 나갈 때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신발을 돌려서 정리해놓는 서비스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와 같이 영업장 손님들의 많은 신발을 돌려놓기 위하여 손으로 신발을 잡으면 신발 안쪽의 각종 유해균이 손에 감염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음식점의 위생관리도 부실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위와 같은 영업장에서의 문제점은 손님 개인이 직접 자신의 신발을 신발장에 넣도록 하는 방법으로 개선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 역시 손으로 신발 내부를 만지게 되는 것이므로 문제의 해소방안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9820호 (2006.09.20)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발을 자동으로 보관 및 관리하는 신발정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는, 일측이 지면에 근접하도록, 상부가 상기 일측에서 타측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본체; 신발이 담긴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일면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상기 트레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트레이들이 보관되는 보관함까지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까지 이동할 때,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릿;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타측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와 분리될 때 상기 트레이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상기 슬릿의 일단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신발 착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제1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트레이의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제2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신발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상기 신발 착용자의 호출에 따라 상기 신발을 상기 신발 착용자한테 전달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트레이의 무게중심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장소에 상기 트레이를 보관하고, 상기 착용자로부터 호출되면 상기 제1정보를 근거로 상기 트레이를 호출된 장소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는 자동으로 신발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영업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서버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신발정리장치(100)는 본체(103), 결합부(120), 감지부(125), 회동부(109), 이동부(105) 및 제어부(161)를 포함한다.
본체(103)는 상부(101)와 하부(102)로 나누어지며, 상부(101)는 일측이 지면에 근접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진 상부(101)의 상면을 따라 신발(10)이 담긴 트레이(130)가 이동하게 된다. 하부(102)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하부(102)는 상부(101)와 회동부(109)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101)는 트레이(130)와 접할 때 일측이 접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부(10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부(102)에 결합된다.
트레이(130)는 신발(10)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며, 트레이(130)의 양면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트레이(130)는 신발(10)이 놓이는 바닥면(131)과 바닥면(131)에서 절곡되는 양측면(1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30)는 후술하는 결합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134)을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130)는 바닥과 접촉하는 접촉부(131a)와 접촉부(131a)로부터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부(131b)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131b)는 본체(103)의 경사진 상부(101)와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슬라이드부(131b)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트레이(130)의 무게 중심은 접촉부(131a)에 형성된다.
트레이 보관함(300)은 복수의 트레이(130)를 적층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신발(10)이 담긴 트레이(130)가 본체(103)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본체(103)의 일면에 가이드(110)가 형성된다. 가이드(110)는 트레이(1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일면에서 돌출된다.
가이드(110)에는 트레이(130)가 본체(103)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할 때 트레이(130)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1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111)이 형성된다. 트레이(130)가 본체(103)의 타측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결합부(120)와 분리될 때 트레이(130)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슬릿의 일단에는 고정슬릿(112)이 형성된다. 고정슬릿은 본체(103)의 하부(102)를 향하여 연장된다. 고정슬릿(112)과 슬릿(111)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본체(103)와 트레이(130) 간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가이드(110)의 일측에는 정렬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119)는 본체(103)로부터 일정 크기만큼 돌출되게 형성되고, 본체(103)의 상부(101)로부터 본체(103)의 하부(10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체(103)와 트레이(130)가 결합할 때 트레이(130)가 양측의 가이드(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트레이(130)의 후면(134)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120)는 자석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트레이(130)의 후면(134)은 자석에 부착이 가능하게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결합부(120)가 후크를 구비하고 트레이(130)의 후면(134)에 후크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는 트레이(130)에 형성된 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3)의 일면에는 슬롯(121)이 형성된다. 슬롯(121)의 내부에 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 결합부(120)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 모터(미도시)와 결합된 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휠이 레일과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120)가 슬롯이 형성된 본체(103)의 일면을 왕복운동(A지점과 B지점 사이)하게 된다. 휠은 적어도 일부가 슬롯에 삽입되어 레일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휠과 레일은 각각 서로 맛물리도록 기어의 이(tooth)를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125)는 결합부(120)에 형성된다. 감지부(125)는 결합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감지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감지부(125)를 통해 신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신발 착용자를 촬영하고, 신발(10)과 신발 착용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신발 착용자의 얼굴, 옷 또는 양말의 색상이나 형상를 하나의 제1 식별인자로 하고, 신발 착용자가 착용한 신발의 색상이나 형상을 다른 하나의 제2 식별인자로 하여 제1 식별인자와 제2 식별인자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신발 착용자는 트레이(130)에 신발(10)을 벗어 놓으면, 감지부(125)가 신발 착용자의 특징들은 추출하여 제1 식별인자와 제2 식별인자를 저장하고,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찾을 때, 제1 식별인자와 매칭되는 신발을 찾아 신발 착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회동부(109)는 본체(103)의 상부(101)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본체(103)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와 기어(미도시)를 통해 상부(101)가 하부(10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동부(109)를 구성하는 축은 본체(103)의 상부(101)와 하부(102)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본체(103)의 하부(102)에는 이동부(105)가 형성된다. 이동부(105)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제어부(161)의 제어에 따라 본체(103)를 이동시킨다. 이동부의 동작을 위해 모터(미도시)와 기어(미도시)가 본체(103)의 하부(102)에 내장된다.
제어부(161)는 신발정리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1)는 감지부(125)를 이용하여 신발 착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은 앞서 살펴본 제1 식별인자와 제2 식별인자가 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1 식별인자와 제2 식별인자를 포함한다. 제어부(161)는 감지부(125)를 이용하여 트레이(13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제2정보를 추출하거나 후술하는 통신부를 통해 트레이(130)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정보는 트레이(130)의 후면에 형성된 식별표지가 될 수 있다. 식별표지는 단순히 트레이(130)의 번호를 표시한 문자이거나 QR코드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식별표지는 트레이(130)에 형성된 NFC 태그일 수도 있다. 제어부(161)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신발을 관리한다. 제2 정보는 신발이 보관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신발착용자가 신발을 신기위해 호출하면 제어부(161)는 보관된 장소로 신발정리장치(100)를 이동시켜 트레이(130)를 본체(103)에 결합시킨 후 호출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통신부는 신발정리장치(100)와 다른 신발정리장치(100) 사이, 신발정리장치(100)와 다른 기기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6)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신발정리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신발정리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저장부(164)는 제어부(16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배터리(165)는 충방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신발정리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특정공간에서 신발정리장치(100)가 복수로 동작할 때, 각각의 신발정리장치(10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신발정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발정리서버는 서버제어부(201), 고정감지부(202), 단말기 및 통신부를 구비한다.
고정감지부(202)는 신발정리장치(100)의 감지부(125)와 동일하게 기능하지만, 신발정리장치(100)에 결합되어 본체(103)와 같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특정공간의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동작한다. 고정감지부(20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203)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04)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신발 착용자나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사진 등을 확인하면서 신발을 호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신발 착용자의 얼굴, 옷 또는 양말의 색상이나 형상이 출력되고, 이에 매칭된 신발의 색상이나 형상이 출력될 수 있다. 신발 착용자나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사진을 선택하여 신발이 담긴 트레이(130)가 전달되도록 호출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01)는 호출에 따라 근접한 신발정리장치(100)에게 보관된 장소에 있는 신발이 담긴 트레이(130)와 결합하여 호출된 장소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신발정리장치(10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보관된 장소로 이동하고 트레이(130)와 결합한 후 호출된 장소로 이동한다.
단말기(203), 고정감지부(202) 및 서버제어부(201)와 신발정리장치(100)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통신부가 사용될 수 있다.
신발 착용자가 자신의 신발을 찾기 위해 단말기(203)를 이용할 수 있다. 신발 착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신발 착용자의 제1 식별인자를 선택하면 신발정리장치(100)가 매칭되는 신발을 보관장소에서 찾아와 신발 착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들로 인해,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벗어 트레이(130)에 올려놓으면, 신발정리장치(100)가 신발 착용자 및 신발의 특징을 추출한 후 지정된 장소에 트레이(130)와 함께 보관하고, 신발 착용자가 자신의 신발을 찾기위해 호출하면 보관된 장소에서 신발을 찾아 호출된 장소로 신발을 전달하게 된다. 신발의 호출을 위해 신발 착용자나 다른 사용자가가 단말기(203)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3)는 휴대 전화기, 고정 컴퓨터 또는 태블릿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신발정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

  1. 일측이 지면에 근접하도록, 상부가 상기 일측에서 타측까지 경사지게 형성되는 본체;
    신발이 담긴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일면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상기 트레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상기 본체의 일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트레이들이 보관되는 보관함까지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까지 이동할 때,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슬릿;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타측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와 분리될 때 상기 트레이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상기 슬릿의 일단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신발 착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제1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트레이의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제2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신발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상기 신발 착용자의 호출에 따라 상기 신발을 상기 신발 착용자한테 전달하도록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트레이의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장소에 상기 트레이를 보관하고, 상기 착용자로부터 호출되면 상기 제1정보를 근거로 상기 트레이를 호출된 장소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정리장치.
KR1020200064851A 2020-05-29 2020-05-29 신발정리장치 KR10215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51A KR102157252B1 (ko) 2020-05-29 2020-05-29 신발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51A KR102157252B1 (ko) 2020-05-29 2020-05-29 신발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52B1 true KR102157252B1 (ko) 2020-09-17

Family

ID=7270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51A KR102157252B1 (ko) 2020-05-29 2020-05-29 신발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764B1 (ko) * 2022-11-08 2023-10-10 박예림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KR20240006245A (ko) 2022-07-06 2024-01-15 김태성 슬리퍼 정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45A (ko) * 2003-02-04 2004-08-11 (주)에스디시스템 신발을 자동으로 수납하는 신발장 및 그 방법
KR20060099820A (ko) 2005-03-15 2006-09-20 박석환 신발 방향 자동전환장치
KR20130060474A (ko) * 2011-11-30 2013-06-10 권태희 자동 신발 정돈기
KR101833705B1 (ko) * 2017-12-15 2018-03-02 (주)세화 공동주택용 붙박이 자동 신발장
KR20190062914A (ko) * 2017-11-29 2019-06-07 김은지 신발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45A (ko) * 2003-02-04 2004-08-11 (주)에스디시스템 신발을 자동으로 수납하는 신발장 및 그 방법
KR20060099820A (ko) 2005-03-15 2006-09-20 박석환 신발 방향 자동전환장치
KR20130060474A (ko) * 2011-11-30 2013-06-10 권태희 자동 신발 정돈기
KR20190062914A (ko) * 2017-11-29 2019-06-07 김은지 신발 관리 시스템
KR101833705B1 (ko) * 2017-12-15 2018-03-02 (주)세화 공동주택용 붙박이 자동 신발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245A (ko) 2022-07-06 2024-01-15 김태성 슬리퍼 정리 장치
KR102586764B1 (ko) * 2022-11-08 2023-10-10 박예림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252B1 (ko) 신발정리장치
AU2018202733B2 (en) Portable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s
CA2589122C (en) Mobile point of ca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4512641A (zh) 用于服药的管理装置
KR102364195B1 (ko) 서비스 시스템
TWI526976B (zh) 監控系統、方法及醫療監控系統
CN106682418B (zh) 一种基于机器人的智能存取系统及其存取方法
US20140053944A1 (en) Refill station using an intelligent beverage container
CN107004243A (zh) 位置跟踪系统
US20170061525A1 (en) Proximity-based object identification with live feedback
US20210052762A1 (en) Aroma diffusing system
Nickels et al. Find my stuff: supporting physical objects search with relative positioning
TW202305730A (zh) 用於提供關於物品運送之時間資訊的方法及裝置
US20170050710A1 (en) Managing diving activities by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N108924741B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商场导购系统及方法
CN107580078A (zh) 一种智能化电子名片及其系统
KR200474460Y1 (ko) 이동식 광고장치
CN206741465U (zh) 用于在用户交互点处显示动态内容的设备
JP7056722B2 (ja) ピッキング支援システム
WO2018172099A1 (en) A modular casing system for a medical device
KR101619481B1 (ko) 얼굴사진촬영용 부스를 이용한 에스테틱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US20190268744A1 (en) Multifunction scanner and computer
JP2005202472A (ja) 商品展示システム
CA2565934C (fr) Systeme et methode de reapprovisionnement d'items
KR20220017858A (ko) 병원재고관리시스템에서 이동재고를 파악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