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807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807B1
KR102156807B1 KR1020190035853A KR20190035853A KR102156807B1 KR 102156807 B1 KR102156807 B1 KR 102156807B1 KR 1020190035853 A KR1020190035853 A KR 1020190035853A KR 20190035853 A KR20190035853 A KR 20190035853A KR 102156807 B1 KR102156807 B1 KR 10215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
image signal
satellite
digit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형모
정대원
이명신
정옥철
이동효
서정원
이우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3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DIS(Direct Ingest Subsystem)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DIS에 의해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타위성과 연관되어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전달부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된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고,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DIS로 전달 함으로써, 통합 DIS의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이 수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METHOD AND SYSTEM FOR DIRECTLY SAVING RECEIVED IMAGE USING NETWORK}
본 발명은 위성 영상 획득 기술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의 간소화에 연관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등록번호: 10-0945733 (2010.02.26), "위성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2) 등록번호: 10-1094784 (2011.12.09), "사용자 중심 인공위성 영상자료 제공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중심 인공위성 영상자료 제공방법"
3) 등록번호: 10-0678395 (2007.01.29),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도 1은 종래에 따른 영상 수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영상 수신 시스템(100)은 안테나(110), RF 장비(120), 구 모뎀('수신 모뎀')(130), 전송 분배 시스템(140) 및 영상 저장 시스템(DIS, Direct Ingest Subsystem)(1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시스템(100)은 안테나(110)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RF 장비(120)를 통해 RF 신호를 각 수신 모뎀(130)으로 분배하고, 각 수신 모뎀(130)에서는 신호 동기화에 의해 데이터 및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 분배 시스템(140)은 데이터 및 클록 신호를, 각 위성 별로 마련된 DIS A, B, C, D(150)로 분배하고, 각 DIS(150)는 데이터 및 클록 신호를 처리해 획득한 원시 데이터(위성 영상)을 저장 처리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위성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 시스템(DIS)이 각 위성 별로 운영되고 있고, 뿐만 아니라 RF 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에 따라서도 다른 영상 저장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향후 위성이 증가할 경우 용량 한계 및 복잡도 증가와 같은 문제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비해 영상 수신 시스템(100)을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영상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영상 수신 시스템(100)에서 구 모뎀('수신 모뎀')(130) 및 위성/채널 별로 마련된 각각의 DIS(141, 142) 사이는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 수신 시스템(100)에서는 수신 모뎀(130)에서 출력된 데이터 및 클록을, 각각의 DIS(141, 142)로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물리적인 데이터 케이블('최대 16*2개')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신 모뎀(130)과 각 DIS(141, 142) 간의 설치 거리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 모뎀(130)은 대략 10년 이상 사용되어 노후화된 상태로, 현재 제조사에서 단종되어 고장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영상 수신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개발 운영 비용을 최소화 하고, 신규 장비의 고도화를 통한 위성 운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성 별로 혹은 채널 별로 운영되는 각각의 영상 저장 시스템(DIS)를 하나의 통합된 DIS로 대체하여, 기존 영상 수신 시스템을 간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모뎀과 통합 DIS 사이를 선정된 네트워크(예, 'TCP/IP')로 연결하여, 물리적인 케이블 사용에 따른 설치 거리의 제한 없이 빠른 속도로 디지털 영상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모뎀을 복수의 모뎀 장치로 구성하여, 일정 사용 기간 이상 경과한 일부 모뎀을 신규 모뎀으로의 전환 시에도 영상신호의 전달이 끊기지 않게 하고, 신규 장비의 고도화를 통해 위성 운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DIS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DIS에 의해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타위성과 연관되어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전달부는,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된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고,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DIS로 전달 함으로써, 통합 DIS의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DIS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DIS에 의해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타위성과 연관되어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변환됨에 따라,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된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DIS로 전달 함으로써, 통합 DIS의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별로, 채널 별로 운영되는 각각의 DIS를 하나의 통합된 DIS로 대체하여, 기존 영상 수신 시스템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간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개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 DIS를 실행 가능한 1대의 PC를 통해, 수신 모뎀과의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 없이 위성으로부터의 수신 영상을 직저장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는 대신에 TCP/IP와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 함으로써 저장 시간을 단축하고 저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후된 수신 모뎀을 신규 장비로 고도화 하여, 위성 운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위성 영상 데이터의 수신 제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영상 수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영상 수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뎀 장치 및 통합 DIS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에서, 처리 S/W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수신부(310), 변환부(320), 전달부(340), 처리부(350) 및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모뎀부(330)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수신 안테나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변환부(32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즉 변환부(320)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변조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320)는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한 RF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다운 컨버전(Down Conversion)하여,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전달부(340)는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DIS(Direct Ingest Subsystem)에 전달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일례로 10G TCP/IP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인 데이터 케이블 대신에 TCP/IP와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 함으로써 저장 시간을 단축하고 저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처리부(350)는 상기 DIS에 의해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한다.
이때 전달부(340)는 타위성과 연관되어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된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고, 전달부(340)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네트워크('10G TCP/IP')를 통해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하여, 상기 통합 DIS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저장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전달부(340)는 각기 다른 위성에서 전송된 영상신호의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통합 DIS로 전달하여, 이미지 파일의 생성 및 저장이 하나의 통합 DIS에 의해 처리되도록 할 수 있어, 저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성 별로 각각의 DIS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각 DIS로 디지털 영상신호를 분배할 전송 분배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영상 수신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간소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모뎀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뎀부(330)는 상기 통합 DIS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일례로 10G TCP/IP일 수 있다.
전달부(340)는 모뎀부(330)에 의해, TCP/IP 연결되는 통합 DIS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모뎀부(330)는 노후된 구 모뎀(도 2의 130 참조)으로부터 신규 모뎀(410)으로 고도화 될 수 있다. 상기 통합 DIS는 1대의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규 모뎀(410)은 네트워크('10G TCP/IP')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빠른 속도로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 시간이 단축되고 저장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신규 모뎀(410)은 물리적인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는 대신에, 네트워크('10G TCP/IP')를 이용 함으로써, 이격 거리의 제한 없이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250)는 생성한 이미지 파일을, 위성 별로 마련한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 처리할 수도 있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360)에 위성 식별자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60)는 영상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에 따라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350)는 상기 통합 DIS를 통해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생성한 이미지 파일을,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할 때,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을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360) 내, 상기 채널에 해당되는 파티션에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에서 지상으로 영상신호를 전송 시 사용하는 채널에 무관하게, 하나의 통합된 DIS를 이용하여 수신 영상의 직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뎀부(330)는 복수의 모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모뎀부(330)는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을 고려해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조 처리가 가능한 복수의 모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수신 안테나를 통해, 타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변환부(320)는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한 RF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다운 컨버전 하여,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모뎀 장치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분배할 수 있다.
모뎀부(330)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분배된 상기 복수의 모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복원하고, 전달부(340)는 모뎀부(330)에 의해 복원되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할 수 있다.
처리부(350)는 상기 통합 DIS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화 처리 또는 Level0F 데이터의 변환 저장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와 연관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합 DIS에 전달되는 경우, 처리부(350)는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각각으로 상이한 채널을 할당 함으로써, 상기 통합 DIS에 의해 각 채널 별로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동시에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을 임의로 조정하여, 통합 DIS에 의해 처리되는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동시성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350)는 상기 통합 DIS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 시, 상기 이미지 파일의 카탈로그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과 함께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350)는 상기 카탈로그 이미지를 확인한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위성 별로, 채널 별로 수신되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350)는 상기 통합 DIS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에 관해 유지한 원본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성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통합 DIS에 의한 처리에 의해 구현한 수신 영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과 기존 영상 수신 시스템과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항 목 기존 기술 본 발명
물리적간소화 물리적 데이터케이블 16개 사용 10G Network 케이블 1개 사용
시스템간소화 서버 2대, 전용수신카드 2대 사용 일반 PC 1대, 10G Network Card
비용절감 서버, 전용카드, 케이블 비용
위성별 별도시스템구성
일반 PC를 이용하기 때문에 최소 1/10~1/100 비용을 절감가능
개발비용 절감 위성별 영상수신시스템 개발비용소요 본 시스템으로 대체가능
운영비용간소화 시스템 복잡성으로 유지보수 복잡 시스템 간소화로 유지보수 간소화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뎀 장치 및 통합 DIS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도 4를 참조하면,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400)은 신규 모뎀(410), 네트워크(420) 및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규 모뎀(410)은 물리적인 다수의 데이터 케이블을 사용하는 대신에 네트워크(420)를 이용하여 영상 저장 시스템(430)에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규 모뎀(410)은 1대의 PC에서 실행되는 영상 저장 시스템(430)과 '10G TCP/IP'라는 네트워크(420)를 연결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저장 시스템(430)과의 이격 거리의 제한이 없어지게 되고, 물리적인 케이블이 없어 통합 DIS와 모뎀의 관리가 용이해지며, 빠른 속도로 저장할 수 있어 저장 시간이 단축된다.
영상 저장 시스템(430)은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은 처리 SW(431), 모니터링부(432), 제어부(433), 저장부(434), 네트워크 카드(435) 및 저장 HDD(43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영상 저장 시스템(430)은 1대의 PC로 구현 가능하고, 상기 PC에 요구되는 H/W 사양은 하기와 같다.
CPU: Intel® i7 3.7GHz (4Core/8Tread), RAM: 16GB, HDD: 삼성 970 PRO M.2 2280(1TB), Seagate 7200(8TB), LAN: NX628 PCI-ex4 10G 랜카드*2, OS: WIN 10 64 bi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에서, 처리 S/W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한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에서의 처리 SW과정이 나타나 있다.
상기 처리 SW에 따르면, 영상 저장 시스템 PC(430)는 수동 초기화(510), 스케줄 생성(520), 컨트롤&모니터링(530), 이벤트&알람(540) 및 데이터 저장(550)의 과정을 거쳐서, 디지털 영상신호를 처리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은 상술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단계(620)에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정된 네트워크(예, TCP/IP)를 통해 통합 DIS로 전달한다.
상기 통합 DIS는 기존에 위성 별로, 채널 별로 마련된 DIS를 하나로 통합한 영상 저장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합 DIS는 위성 별로, 채널 별로 마련된 각각의 DIS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630)에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상기 통합 DIS에 의해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640)에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300)은, 다른 위성에서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합 DIS에 의한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처리로 생성되는 제2 이미지 파일을, 상기 제1 이미지 파일과 구분해서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별로(채널 별)로 운영되는 각각의 DIS를 하나의 통합된 DIS로 대체하여, 기존 영상 수신 시스템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간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개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 영상의 저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300: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310: 수신부
320: 변환부
330: 모뎀부
340: 전달부
350: 처리부
360: 데이터베이스

Claims (15)

  1.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위성과 다른 타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2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위성에 관련되어 마련된 DIS(Direct Ingest Subsystem)로,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DIS에 의해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상기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타위성에 관련되는 DIS가 아닌,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통합 DIS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통합 DIS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 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파티션에,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DIS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모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모뎀부에 의해 TCP/IP 연결되는 상기 통합 DIS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수신 안테나를 통해, 타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한 RF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다운 컨버전 하여,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따른, 상기 모뎀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모뎀 장치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분배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따른 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복원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모뎀부에 의해 복원되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상기 통합 DIS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각각으로 상이한 채널을 할당 함으로써, 상기 통합 DIS에 의해 각 채널 별로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동시에 처리되도록 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합 DIS에 의한,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화 처리 또는 Level0F 데이터의 변환 저장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와 연관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합 DIS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 시, 상기 이미지 파일의 카탈로그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카탈로그 이미지를 확인한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출력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합 DIS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에 관해 유지한 원본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파일을 검증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10.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위성에 관련되어 마련된 DIS로,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DIS에 의해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가 처리 됨에 따라 상기 DIS를 통합 DIS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합 DIS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위성과 다른 타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2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타위성에 관련되는 DIS가 아닌,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DIS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타위성에 관해 마련된 데이터베이스 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사용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파티션에,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모뎀부를 통해, 상기 통합 DIS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뎀부에 의해 TCP/IP 연결되는 상기 통합 DIS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신 안테나를 통해, 타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한 RF 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다운 컨버전 하여,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따른, 상기 모뎀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뎀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모뎀 장치로,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 내,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따른 모뎀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뎀부에 의해 복원되는 제2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통합 DIS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상기 통합 DIS에 전달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 각각으로 상이한 채널을 할당 함으로써, 상기 통합 DIS에 의해 각 채널 별로 복수의 상기 제2 디지털 영상신호가 동시에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KR1020190035853A 2019-03-28 2019-03-28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KR10215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53A KR102156807B1 (ko) 2019-03-28 2019-03-28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53A KR102156807B1 (ko) 2019-03-28 2019-03-28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807B1 true KR102156807B1 (ko) 2020-09-16

Family

ID=7266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53A KR102156807B1 (ko) 2019-03-28 2019-03-28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8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218B1 (ko) * 2022-07-07 2022-09-23 대한민국 재난안전 다종 위성정보의 수신 및 처리장치
KR102496741B1 (ko) * 2022-08-31 2023-02-08 대한민국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열분포도 작성 시스템
KR20230083104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처리를 위한 영상데이터 텔레메트리 및 보조데이터 텔레메트리 패킷 대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83A (ko) * 2004-11-08 2006-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영상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114A (ko) * 2014-12-16 2016-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083A (ko) * 2004-11-08 2006-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영상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114A (ko) * 2014-12-16 2016-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104A (ko) * 2021-12-02 2023-06-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처리를 위한 영상데이터 텔레메트리 및 보조데이터 텔레메트리 패킷 대응 방법 및 장치
KR102568263B1 (ko) * 2021-12-02 2023-08-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 처리를 위한 영상데이터 텔레메트리 및 보조데이터 텔레메트리 패킷 대응 방법 및 장치
KR102446218B1 (ko) * 2022-07-07 2022-09-23 대한민국 재난안전 다종 위성정보의 수신 및 처리장치
KR102496741B1 (ko) * 2022-08-31 2023-02-08 대한민국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열분포도 작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80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영상 직저장 시스템 및 수신 영상 직저장 방법
CN112425093B (zh) 卫星天线地面站服务系统
RU222211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ания временн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сети цифрового видео
US84341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program identifiers into multicast groups
US8560825B2 (en) Streaming virtual machine boot services over a network
US20100103022A1 (en)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ads-b) network infrastructure, ground station and situation display software deployment and evaluation activity
WO199905481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omponent in a first transaction processing environment to access a resource in another environment
EP1941729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a satellite gateway failure
CN114679213B (zh) Ka频段双模式机载宽带卫星通信系统
US9680930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a storage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633758A (zh) 使用对分搜索模式识别干扰移动终端的方法
CN104202620A (zh) 移动智能终端实现单向机顶盒视频点播回看的系统及方法
CN100367689C (zh) 使用用于识别干扰移动终端的事件相关的方法和装置
CN107484226B (zh) 机载无线接入服务器
CN101727343A (zh) 分布式服务器的软件安装部署方法
US10127175B2 (en) Avionics system of an aircraft comprising line replaceable units that can exchange messages between them and device for monitoring such an avionics system
CN111818145B (zh) 一种文件传输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663883B1 (ko) 기상 환경 위성영상처리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8392534B2 (en) Device for access to data aboard an aircraft
CN109144782A (zh) 一种数据恢复方法及装置
CN101977243A (zh) 云数据存储分配(ddcs)
CN101594388A (zh) 一种基于无盘启动的ip网络存储系统
CN115167782A (zh) 临时存储副本管理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2577429B (zh) 一种业务发放的方法、设备及系统
CN209806096U (zh) 一种机载局域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