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57B1 -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57B1
KR102156657B1 KR1020180128666A KR20180128666A KR102156657B1 KR 102156657 B1 KR102156657 B1 KR 102156657B1 KR 1020180128666 A KR1020180128666 A KR 1020180128666A KR 20180128666 A KR20180128666 A KR 20180128666A KR 102156657 B1 KR102156657 B1 KR 10215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hesive
jigsaw puzzle
puzzl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887A (ko
Inventor
박영선
신원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티이
주식회사 원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티이, 주식회사 원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티이
Priority to KR102018012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72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소퍼즐의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단되는 면의 각 판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판 및 하판을 구비하는 단계;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상판 및 하판 간에 점착판을 개재하고, 상판, 점착판 및 하판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상판, 점착판 및 하판을 압착하여 퍼즐판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판을 설정되는 직소퍼즐의 형태로 절단하여 직소퍼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직소퍼즐은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dhesive plastic direct-sourcing to maintain the shape of completion}
본 발명은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소퍼즐의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단되는 면의 각 판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소 퍼즐은 조각들로 이루어진 놀이기구로, 각 조각에는 요철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 조각들과 서로 체결된다. 통상의 직소 퍼즐의 조각들은 종이로 제작된다.
종이 소재의 특성과 제조 공정으로 인해, 인접 조각들 사이의 접촉 영역은 조각들이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연결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통상의 직소 퍼즐은 완전히 조립된 직소 퍼즐을 유지하기 위해 하부 지지판을 구비하는 평판 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나, 프레임을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직소의 가격이 올라가고, 직소 퍼즐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각들이 조립된 직소 퍼즐과 프레임 구성과 칼라 톤은 뚜렷이 구분되어 조화로운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서로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다른 통상의 직소 퍼즐은 종이에 비해 인접 조각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접 플라스틱 조각들의 측면들은 서로가 완전히 접촉하여, 통상의 종이 직소 퍼즐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명확한 조각 경계를 구비하는 조각으로 이루어진 그림 대신에, 편평하고 매끈한 그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직소 퍼즐의 시각적 효과는 고전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종이에 비해 플라스틱은 더 딱딱하고 변형이 덜 되기 때문에, 직소 퍼즐을 성공적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직소 퍼즐이 정밀도가 매우 높게 가공되어야 한다.
또한, 직소퍼즐 간에 결합력이 종이에 비해 강하긴 하나 충격을 받거나 흔들는 등의 압력을 가하면 퍼즐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복수의 플라스틱제 조각들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직소를 포함하되, 인접 플라스틱제 조각들은 조각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체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체결되는 평면형 직소 퍼즐에 있어서, 각 플라스틱제 조각은 정면과 상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챔퍼 에지를 구비하며, 챔퍼 에지의 높이는 인접 플라스틱제 조각들 사이의 접촉 영역 높이의 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직소 퍼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직소퍼즐에 챔버엣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결합력은 저하되고, 외부의 압력으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793호(2010.12.06.)
본 발명은 직소퍼즐의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단되는 면의 각 판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을 구비하고,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조기를 통해 상하측면에 상판과 하판을 형성하여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즐판을 설정되는 직소퍼즐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장치를 통해 절단하여 직소퍼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직소퍼즐의 각 조각이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및 하판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판은 (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와 점착성 물질인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TPO : thermo plastic olefin)을 혼합하여 형성하거나, (i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와 점착성 물질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소퍼즐의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되는 면의 각 판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을 통해 절단되어 완성되는 직소퍼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의 직소퍼즐을 수평 방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의 직소퍼즐이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리된 상태의 직소퍼즐이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20)을 구비하고,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조기를 통해 상하측면에 상판(10)과 하판(30)을 형성하여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즐판을 설정되는 직소퍼즐(100)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장치를 통해 절단하여 직소퍼즐(100)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상기 직소퍼즐(100)의 각 조각이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판(20)은 (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와 점착성 물질인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TPO : thermo plastic olefin)을 혼합하여 형성하거나, (i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와 점착성 물질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의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20)을 구비하고,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조기를 통해 상하측면에 상판(10)과 하판(30)을 형성하여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즐판을 설정되는 직소퍼즐(100)의 형태로 절단하여 직소퍼즐(100)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S10)는 먼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2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점착판(20)은 상판(10) 및 하판(30)의 두께보다 두꺼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점착판(20)은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하나와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TPO : thermo plastic olefin)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점착판(20)은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점착판(20)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중 하나와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접착제 성분인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각 직소퍼즐(100) 조각 간이 점착력을 통해 점착되어 직소퍼즐(100)이 맞춰진뒤 이동 또는 외부의 압력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점착판(20)은 0.7 ~ 0.9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판(10)과 하판(30)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점착판(20)의 두께가 0.7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점착되는 면의 면적이 좁아 정상적으로 점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0.9mm를 초과할 경우 점착면적이 넓어 직소퍼즐(100)을 조각으로 분리해아 하는 경우 분리가 쉽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점착판(2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에틸렌 중 어느 하나가 65 ~ 72 중량% 로 이루어지고,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이 28 ~ 35 중량% 로 이루어지는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가 65 ~ 72 중량% 로 이루어지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28 ~ 35 중량% 로 이루어지는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점착판(20)을 이루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에틸렌의 함유량이 65 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가 저하되어 퍼즐 조각들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함유량이 72 중량%를 초과하면 강도가 강화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점착판(20)을 이루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28 중량% 미만일 경우 점착력이 약해 직소퍼즐(100) 조각이 조립된 경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착된 각 조각들을 분리할 경우 분리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점착판(20)을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조기를 통해 상하측면에 상판(10)과 하판(30)을 형성하여 퍼즐판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10)과 하판(30)은 제조기를 통과하는 점착판(20)의 상하측면에 상판(10) 및 하판(30)을 이루는 재질을 압출시켜 점착판(2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은 점착판(20)과 박리되지 않으며, 빠르게 퍼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점착판(20) 형상의 설정되는 크기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과 하판(30)은 동일한 두께와 크기를 가지며 형성되어 점착판(20)의 상측과 하측에 구분없이 적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판(10)과 하판(30)의 두께는 0.1 ~ 0.13mm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 또는 하판(30)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 강도가 약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0.13mm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두께가 두꺼워 절단면으로 인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S10)를 통해 형성된 퍼즐판은 직소퍼즐(100)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통해 형성된 퍼즐판은 절단장치(2)로 설정되는 직소퍼즐(100) 형태로 절단하여 직소퍼즐(100)로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을 통해 절단되어 완성되는 직소퍼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단장치(2)를 통해 절단되는 직소퍼즐은 점착판(20)의 절단면이 굴곡지도록 절단되는데, 이를 위해 절단장치(2)가 절단날(2a)로 압착된 상판(10), 점착판(20) 및 하판(30)을 절단할때 절단날(2a)을 일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절단할 수 있고, 절단장치(2)가 레이저로 압착된 상판(10), 점착판(20) 및 하판(30)을 절단할 때에는 레이저로 인해 절단과 동시에 굴곡지도록 절단될 수 있다. 이로서, 점착판(20)의 절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지는 굴곡면(21)이 형성되어, 상기 굴곡면(21)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어 결합되는 직소퍼즐(100)의 각 조각 상호간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의 직소퍼즐을 수평 방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의 직소퍼즐이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리된 상태의 직소퍼즐이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직소퍼즐은 조립 후 들어 올려도 분리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직소퍼즐(100)의 접촉되는 각 퍼즐의 점착판 간이 점착되어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되는 면의 각 판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제조기 2 : 절단장치
2a : 절단날
10 : 상판 20 : 점착판
30 : 하판

Claims (3)

  1.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착성 수지 및 플라스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의 점착판(20)을 구비하고, 제조기에 투입하여 제조기를 통해 상하측면에 상판(10)과 하판(30)을 형성하여 퍼즐판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퍼즐판을 설정되는 직소퍼즐(100)의 형태로 프레스 절단장치(2)를 통해 절단하여 직소퍼즐(100)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상기 상판(10) 및 하판(30)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판(20)은 (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가 65 ~ 72 중량% 로 이루어지고, 점착성 물질인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TPO : thermo plastic olefin)이 28 ~ 35 중량% 로 이루어지는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ii)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가 65 ~ 72 중량% 로 이루어지고, 점착성 물질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가 28 ~ 35 중량% 로 이루어지는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단장치(2)를 통해 절단되는 직소퍼즐(100)은 절단장치(2)가 가열된 상태로 절단하므로, 점착판(20)의 절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지는 굴곡면(21)이 형성되어, 상기 굴곡면(21)에 의하여 상호 접촉되어 결합되는 직소퍼즐(100)의 각 조각 상호간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128666A 2018-10-26 2018-10-26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KR102156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66A KR102156657B1 (ko) 2018-10-26 2018-10-26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66A KR102156657B1 (ko) 2018-10-26 2018-10-26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87A KR20200046887A (ko) 2020-05-07
KR102156657B1 true KR102156657B1 (ko) 2020-09-16

Family

ID=7073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66A KR102156657B1 (ko) 2018-10-26 2018-10-26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851A (ja) * 2011-06-03 2012-12-20 Gateway Arch Inc ジグソーパズルとその製造方法
JP5640177B2 (ja) * 2012-06-21 2014-12-10 株式会社ゲートウェイアーチ ジグソーパズルとその製造方法
US20170043243A1 (en) * 2015-08-10 2017-02-16 Margo Sheryl Chazen Studded Jigsaw Puzzle with Pry To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6359B (zh) 2008-06-06 2011-03-23 庄子毅 一种平面拼图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851A (ja) * 2011-06-03 2012-12-20 Gateway Arch Inc ジグソーパズルとその製造方法
JP5640177B2 (ja) * 2012-06-21 2014-12-10 株式会社ゲートウェイアーチ ジグソーパズルとその製造方法
US20170043243A1 (en) * 2015-08-10 2017-02-16 Margo Sheryl Chazen Studded Jigsaw Puzzle with Pry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887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6129A1 (en) Stair tread structure
JP2007253531A (ja) 木製容器及びその製造法
KR102156657B1 (ko) 완성 형상이 유지되는 점착식 플라스틱 직소퍼즐 제조방법
US9168453B2 (en) Puzz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US8123299B2 (en) Armres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97636B1 (ko) 종이 구조체를 가지는 도마의 제조방법 및 종이 구조체를 가지는 도마
KR101418562B1 (ko) 이중사출형 도마
WO2008137339A1 (en) Joint for connecting wood members
US20020149148A1 (en) Multi-layer chopping board
KR101655082B1 (ko) 필름 절단용금형
KR101421682B1 (ko) 가구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0184A (ko) 포장용 트레이
KR100420452B1 (ko) 가구용 판재의 표면마감 방법 및 구조
KR20170054901A (ko) 애묘용 카드보드 스크래쳐
KR100616265B1 (ko) 고주파 융착법에 의하여 설계 제작된 다용도 박스 및 그제조방법
KR101884132B1 (ko) 조립식 채반
KR200370194Y1 (ko) 브이 커팅을 이용한 가구용 다리
USD1016467S1 (en) Shoe upper
KR102032774B1 (ko) 무늬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D1024521S1 (en) Footwear upper
JP7208626B2 (ja) 化粧複合板及び絞り加工された化粧複合板の製造方法
KR102188221B1 (ko) 플라스틱 양면도마의 제조방법
US5717163A (en) Plastic material pouring device for forming electronic components
JP3092915U (ja) 2分割容器
JPH079625Y2 (ja) 融着函の製造に用いる溶融用熱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