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07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07B1
KR102156507B1 KR1020200018201A KR20200018201A KR102156507B1 KR 102156507 B1 KR102156507 B1 KR 102156507B1 KR 1020200018201 A KR1020200018201 A KR 1020200018201A KR 20200018201 A KR20200018201 A KR 20200018201A KR 102156507 B1 KR102156507 B1 KR 10215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gestion
user equipment
layer elemen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000A (ko
Inventor
파드마바시 수다르산
폴 스티븐스
윌리엄 맥클레오드
레자 모하마드 로쿠이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0010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diverting traffic away from congested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with rate being modified by the source upon detecting a change of network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방법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 사이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계층 요소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의 모니터링 및 네트워크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와 연관된 혼잡 또는 저하를 결정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기기와 연관된 혼잡 또는 저하의 원인을 식별하는 단계와, 혼잡 또는 저하의 원인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내에서, 혼잡(congestion)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열화(degradation)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되거나 예측되는 최종 사용자 경험 열화를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새로운 해결안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을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양상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주제(subject matter)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서 정의된다.
구현의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개진된다.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청구항으로부터 다른 특징이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서 몇몇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인데, 여기에서
도 1은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고,
도 2 및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를 보여주며,
도 4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5는 서빙(serving) 연결의 대역폭이 증가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며,
도 6은 서빙 네트워크 노드(node)가 변경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7은 새로운 서빙 연결의 대역폭이 증가되고 서빙 노드가 변경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며,
도 8은 전송 네트워크 혼잡(transport network congestion)을 판정하는 것에 관련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9는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cloud resource congestion)에 관련된 실시예를 보여주며,
도 10 및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보여준다.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적이다. 명세서는 본문의 몇 개의 위치에서 "일", "하나의" 또는 "몇몇" 실시예(들)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는 각각의 참조가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해 행해짐, 또는 특정한 특징이 단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될 뿐임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또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 아키텍처(access architecture)의 예로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 Advanced, LTE-A) 또는 신무선(New Radio: NR, 5G)에 기반하는 무선 액세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다만, 실시예를 그러한 아키텍처에 제한하지 않고서,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는 적절히 파라미터 및 절차를 조절함으로써 적합한 수단을 갖는 다른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에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적합한 시스템을 위한 다른 옵션의 몇몇 예는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Radio Access Network: UTRAN 또는 E-UTRAN),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E-UTRA와 같음),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WiFi),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범세계 상호운영가능성(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블루투스(Bluetooth®),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 지그비(ZigBee®),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MANET) 및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s: IMS)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이다.
도 1은 단지 몇몇 요소와 기능적 개체(모두 논리적 유닛임)를 도시하면서 단순화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를 묘사하되, 그 구현은 도시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연결은 논리적 연결인데; 실제의 물리적 연결은 상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이 아닌 기능 및 구조를 또한 포함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나, 실시예는 예로서 주어진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해결안을 필요한 속성과 함께 제공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예는 예시적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은 셀을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104)(예컨대 (e/g)NodeB)와의 셀 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상의 무선 연결이 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102)를 도시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e/g)NodeB로의 물리적 링크는 업링크(uplink) 또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칭해지고 (e/g)NodeB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링크는 다운링크(downlink) 또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로 칭해진다. (e/g)NodeB 또는 그것의 기능은 임의의 노드(node), 호스트(host), 서버(server)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그러한 사용에 적합한 개체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하나보다 많은 (e/g)NodeB를 포함하는데 그 경우에 (e/g)NodeB는 또한 그 목적을 위해 설계된, 유선 또는 무선인, 링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링크는 시그널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g)NodeB는 그것이 커플링된(coupled) 통신 시스템의 무선 리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NodeB는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액세스 포인트,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스테이션(relay station)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인터페이싱 디바이스(interfacing device)로 지칭될 수 있다. (e/g)NodeB는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거나 이에 커플링된다. (e/g)NodeB의 트랜시버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양방향 무선 링크를 수립하는 안테나 유닛으로 연결이 제공된다. 안테나 유닛은 복수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e/g)NodeB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110)(CN 또는 차세대 코어(Next Generation Core: NGC))에 또한 연결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CN 측의 대응물(counterpart)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고(routing) 송출함(forwarding)),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디바이스(UE)의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또는 모바일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MME)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또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 단말 디바이스 등으로 칭해짐)는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상의 리소스가 할당되고 배정되는 장치의 하나의 타입을 예시하며,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로써 본 문서에 기술되는 임의의 특징은 릴레이 노드와 같은 대응하는 장치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릴레이 노드의 예는 기지국을 향한 계층 3 릴레이(자기-백홀링 릴레이(self-backhauling relay))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다음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없이 또는 이와 함께 동작하는 무선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가능 컴퓨팅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모바일 전화), 스마트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핸드세트(handset), 무선 모뎀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알람 또는 측정 디바이스 등), 랩톱(laptop) 및/또는 터치 스크린 컴퓨터, 태블릿, 게임 콘솔, 노트북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거의 배타적인 업링크만인 디바이스(nearly exclusive uplink only device)일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하는데, 그 예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을 네트워크에 로딩하는(loading)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이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인간 대 인간(human-to-human) 또는 인간 대 컴퓨터(human-to-computer) 상호작용을 요구하지 않고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능력이 객체에 제공되는 시나리오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클라우드(cloud)를 활용할 수 있다. 몇몇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무선 부분을 가진 소형 휴대가능 디바이스(예컨대 시계, 이어폰 또는 안경)를 포함할 수 있고 계산은 클라우드에서 수행된다. 사용자 디바이스(또는 몇몇 실시예에서 계층 3 릴레이 노드)는 사용자 장비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또한, 그저 몇 개의 이름 또는 장비를 언급하자면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칭해질 수 있다.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은 또한 사이버 물리 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CPS)(물리적 개체를 제어하는 협력 계산 요소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PS는 상이한 위치에서 물리적 객체 내에 임베딩된(embedded) 대량의 상호연결된(interconnected) ICT 디바이스(센서, 액추에이터(actuator), 프로세서 마이크로 제어기 등)의 구현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해당 물리 시스템이 내재적으로 이동성(mobility)을 갖는 모바일 사이버 물리 시스템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의 하위 범주이다. 모바일 물리 시스템의 예는 인간 또는 동물에 의해 운송되는 모바일 로봇 및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장치가 단일 개체로서 묘사되었으나, 상이한 유닛,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 유닛(도 1에 전부 도시되지는 않음)이 구현될 수 있다.
5G는 서비스 수요, 사용 사례 및/또는 가용 스펙트럼에 따라서 다양한 무선 기술을 이용하고 더 작은 스테이션과의 협동으로 동작하는 매크로 사이트를 포함하여, LTE보다 더욱 많은 기지국 또는 노드를(이른바 소형 셀 개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 Multiple Output: MIMO) 안테나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한다. 5G 모바일 통신은 광범위한 사용 사례 및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데이터 공유의 상이한 방식 및 머신 타입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형태(예컨대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mMTC)(차량 안전, 상이한 센서 및 실시간 제어를 포함함)을 지원한다. 5G는 여러 무선 인터페이스, 곧 6GHz 미만, cmWave 및 mmWave를 갖는다고 예상되며, 또한 LTE와 같은 기존의 레거시(legacy) 무선 액세스 기술과의 점진적 변이가 가능하다(intergradable). LTE와의 통합은, 적어도 초기 국면에서,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매크로 커버리지(macro coverage)가 LTE에 의해 제공되고 LTE로의 집성에 의해 소형 셀로부터 5G 무선 인터페이스 액세스가 비롯된다. 다시 말해, 5G는 RAT간 운영가능성(inter-RAT operability)(예컨대 LTE-5G) 및 RI간 운영가능성(inter-RI operability)(무선 인터페이스간 운영가능성(inter-radio interface operability), 예컨대 6GHz 미만 - cmWave, 6GHz 미만 - cmWave - mmWave) 양자 모두를 지원하도록 계획된다.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것으로 여겨지는 개념 중 하나는 여러 독립적 및 전용의 가상 서브네트워크(네트워크 인스턴스)가 지연시간(latency), 신뢰성(reliability), 쓰루풋(throughput) 및 이동성에 대한 상이한 요구사항을 갖는 서비스를 가동하기 위해 동일한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내에 창출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이다.
LTE 네트워크에서의 현재의 아키텍처는 무선전신에서는 완전히 분산되고(distributed)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완전히 중앙집중화된다(centralized). 5G에서의 저지연시간(low latency)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는 콘텐트(content)를 국부적인 발발과 다중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으로 이어지는 무선전신에 가깝게 하게 할 것을 요구한다. 5G는 분석 및 지식 생성이 데이터의 소스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이 접근법은 랩톱, 스마트폰, 태블릿 및 센서와 같이 네트워크에 계속해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리소스를 구사하는 것(leveraging)을 요구한다. MEC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호스팅을 위한 분산형 컴퓨팅 환경(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을 제공한다. 그것은 또한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위해 셀룰러 가입자에 아주 가까이에서 콘텐트를 저장하고 처리할 능력을 갖는다.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은 광범위한 기술, 예컨대 무선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데이터 수집, 모바일 시그니처(signature) 분석, 협동적 분산형 피어 대 피어(peer-to-peer) 애드혹 네트워킹 및 처리(이는 또한 로컬 클라우드(local cloud)/포그(fog) 컴퓨팅 및 그리드(grid)/메쉬(mesh) 컴퓨팅, 듀(dew)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 클라우드릿(cloudlet)으로 분류가능함), 분산형 데이터 저장 및 검색(retrieval), 자율적인 자기 회복(self-healing) 네트워크, 원격 클라우드 서비스, 증강 및 가상 현실, 데이터 캐싱(data caching),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대규모 연결성(massive connectivity) 및/또는 지연시간 관건적(latency critical)), 긴요 통신(critical communication)(자율주행체, 교통 안전, 실시간 분석, 시간 관건적(time-critical) 제어, 건강관리(healthcare) 애플리케이션)을 망라한다(cover).
통신 시스템은 또한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인터넷(112)과 통신하거나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할 수가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용을 지원할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동작의 적어도 일부가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수행될 수 있다(이는 도 1에서 "클라우드"(114)에 의해 묘사된다). 통신 시스템은 또한, 상이한 운영자의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스펙트럼 공유에서 협동하기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중앙 제어 개체,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edge cloud)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VF) 및 소프트웨어 정의형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을 활용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내에 인입될 수 있다. 에지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은 액세스 노드 동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또는 기지국(무선 부분을 포함함)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coupled) 서버, 호스트 또는 노드 내에서 수행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노드 동작은 복수의 서버, 노드 또는 호스트 사이에 분산될 것임이 또한 가능하다. 클라우드RAN 아키텍처의 적용은, 예를 들어, RAN 측에서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104) 내에서) 수행되는 RAN 실시간 기능 및 중앙집중화된 방식으로 (중앙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108) 내에서) 수행되는 근 실시간(near-real time)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코어 네트워크 동작 및 기지국 동작 간의 작업의 분산은 LTE의 것과 상이하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아마도 사용될 몇몇 다른 기술 발달은 빅 데이터(Big Data) 및 올아이피(all-IP)인데, 이는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관리되고 있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5G(또는 신무선, NR) 네트워크는 여러 계층구조를 지원하도록 설계되고 있는데, MEC 서버는 코어 및 기지국 또는 노드B(nodeB)(gNB) 사이에 놓일 수 있다. MEC는 4G 네트워크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5G는 또한, 예를 들어 백홀링을 제공함으로써, 5G 서비스의 커버리지(coverage)를 향상시키거나 보완하기 위해 위성 통신을 활용할 수 있다. 가능한 사용 사례는 머신 대 머신(Machine-to-Machine: M2M)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위해 또는 차량의 탑승 승객을 위해 서비스 연속성(service continuity)을 제공하는 것, 또는 긴요 통신 및 장래의 철도/해양/항공 통신을 위해 서비스 가용성(service availability)을 보장하는 것이다. 위성 통신은 정지 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위성 시스템을, 또한 저궤도(Low Earth Orbit: LEO) 위성 시스템도, 특히 초대형 성상도(mega-constellation)(수백 개의 (나노)위성이 배치된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다. 초대형 성상도 내의 각각의 위성(106)은 지상(on-ground) 셀을 창출하는 몇 개의 위성 작동식(satellite-enabled) 네트워크 개체를 망라할 수 있다. 지상 셀은 지상 릴레이 노드(104)를 통해서 또는 위성 내에 또는 지상에 위치된 gNB에 의해 창출될 수 있다.
묘사된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일부의 예일 뿐이며 실제로, 시스템은 복수의 (e/g)NodeB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무선 셀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으며 시스템은 또한 다른 장치, 예컨대 물리 계층 릴레이 노드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e/g)NodeB 중 적어도 하나는 홈(Home) (e/g)nodeB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지리적 영역에서 복수의 무선 셀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무선 셀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셀은, 보통 최대 수십 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큰 셀인 매크로 셀(또는 우산 셀(umbrella cell)), 또는 마이크로-, 펨토- 또는 피코셀과 같은 더 작은 셀일 수 있다. 도 1의 (e/g)NodeB는 이들 셀 중 임의의 종류를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은 몇 종류의 셀을 포함하는 다층(multilayer) 네트워크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층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액세스 노드는 하나의 종류의 셀 또는 셀들을 제공하고, 따라서 복수의 (e/g)NodeB는 그러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도록 요구된다.
통신 시스템의 배치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and-play) (e/g)NodeB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전형적으로, "플러그 앤드 플레이" (e/g)NodeB를 사용할 수가 있는 네트워크는, Home (e/g)NodeB(H(e/g)nodeB) 외에도, 홈 노드 B 게이트웨이(home node B gateway) 또는 HNB-GW(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HNB 게이트웨이(HNB Gateway: HNB-GW)는, 전형적으로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에 설치되는데 많은 수의 HNB로부터 도로 코어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집성할 수 있다.
5G는 사용자(가령, UE, 예컨대 모바일 또는 스마트 폰) 및 사업체에 여러 산업에 걸쳐, 종적으로,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이전의 네트워크 구조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할 잠재력을 갖는다. 5G에 의해 초래되는 개선은 자율 주행, 도로 안전을 개선하기, 신흥 시장과 원격 지역을 지원하는 연결형(connected) 건강관리, 그리고/또는 오락, 훈련, 가정 및 산업 사용을 위한 증강 및 가상 현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5G의 총 잠재력을 성취하는 것은 용량(capacity), 쓰루풋 및/또는 지연시간에 관해 엄격하고, 신뢰성 있으며, 예측가능한 서비스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한 기술적 및 상업적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단대단(end-to-end) 아키텍처 접근법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5G가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새로운 사용 사례의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제안된다. 이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 사례는 기능의 면에서 네트워크에 상이한 요구사항을 둘 것이며, 그것들의 성능 요구사항은 달라질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여러 가상 네트워크로 하여금 공통의 공유되는 물리적 인프라스트럭처 위에 창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가상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디바이스, 고객 및/또는 운영자의 특정 필요를 만족하도록 맞춤화된다(customized). 본 출원의 맥락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는 네트워크 동작(가령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전용 및/또는 결정된 리소스로서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가상일 수 있으므로, 그것의 구성은 동적일 수 있고, 따라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갖가지 상이한 사용 사례를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및 폐루프형 최적화(closed looped optimization) 같은 능력은 네트워크 효율성 및 단대단(End-to-End: e2e) 사용자 경험을 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에지 지능(edge intelligence), 폐루프형 최적화 및 자동화는 오늘날 업계에서 중심 포커스(focus)였고 다양한 표준 단체, 포럼이 이를 다루기 위해 해결안을 논의하고 있다. 증가된 5G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대역폭 능력과 조합된 확장된 서비스 적용가능성은 네트워크가 혼잡 제약 하에서 자기 회복 및/또는 최적화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폐루프 최적화된 시스템으로부터 편익을 얻을 수 있다.
5G의 도래는 저지연시간 사용 사례를 다루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싱, 폐루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최적화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교차 도메인(cross domain) 지식 및 특히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또는 RAN 계층) 및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걸친 특정 폐루프 근 실시간 조절에 대한 필요성이 있는 듯하다. 발명자는 유리하게도 혼잡이 필시 전송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고, UE를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열화를 야기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면, RAN에서의 리소스는, 상이한 계층 간의 통신 없이는, 어떤 과도적인 부하 스파이크(transient load spike)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보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전송 계층 내에 혼잡이 있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전송 및 RAN 계층에 걸친 정보의 근 실시간 또는 실시간 교환을 위한 어떤 메커니즘도 적소에 있지 않다. 그러한 메커니즘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하고/거나 UE에 의해 경험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령 도 1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계층 요소(network layer element)에서의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것(블록(202)); 전송 계층 요소(transport layer element)로부터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것(블록(20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모니터링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를 판정하는 것(블록(206));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식별하는 것(블록(208)); 및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action)을 수행하는 것(블록(209)).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령 도 1의 네트워크)의 전송 계층 요소에서의 방법이 제공되는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것(블록(302));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계층 요소에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블록(304))(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함);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블록(306); 및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블록(308)).
도 2 및 도 3에 관해서 논의된 UE(들)는, 예를 들어, UE(들)(100, 10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예를 들어, RAN 모듈 또는 기능일 수 있다. 몇몇 예시적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RAN 지능형 모듈(RAN Intelligent Module: RIM)로 지칭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RAN 지능형 제어기(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 또는 가상화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Virtualized Radio Access Network: VRAN)와 연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일 수 있거나 CU/VRAN 또는 RAN 관리와 공존할 수 있다. RIM은, 몇몇 실시예에서, RIC 내에 상주할(reside) 수 있다. RIC는 개방 RAN 연합체(Open RAN Alliance)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RIM은 반드시 RIC 또는 개방 RAN 연합체 특정적인 해결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령 RAN)의 UE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E2 인터페이스로 지칭된다.
전송 계층 요소는, 예를 들어, 전송 도메인 관리 제어기(Transport Domain Management Controller: TDMC) 또는 유사한 모듈 또는 기능일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되는 메트릭(metric)(들)은 지연시간, 지터(jitter), 패킷 손실(packet loss), 대역폭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계층 요소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또는 다중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서비스, 터널 및/또는 경로에 대한 텔레메트리(telemetry)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모을 수 있다. 텔레메트리는, 예를 들어, 대역폭 활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연시간, 지터 및/또는 패킷 손실 데이터와 같은 IP/MPLS 서비스, 터널 및/또는 경로에 대한 운영 및 관리(Operations And Management: OA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텔레메트리 및/또는 OAM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메트릭에 대한 임계 교차 경보(Threshold Crossing Alert: TC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임계(들)는 혼잡 또는 열화 상황을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결과적 액션(들)은 만일 하나 이상의 임계가 초과되는 경우 트리거될(triggered)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대역폭, 지연시간, 지터, 패킷 손실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208 및/또는 209)의 액션이 트리거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임계가 한 번에 활용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액션이 트리거되기 전에 적어도 두 임계(가령 각각은 상이한 메트릭에 대한 것임)가 초과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임계의 사용이 충분할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는 소프트웨어 정의형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제어기와 연관될 수 있다.
본 해결안의 측면 중 하나는 전송 및 네트워크(가령 RAN) 계층 데이터의 조합이다. 전송 및 네트워크 계층은 또한 각각 전송 및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계층간 데이터의 조합은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하고/거나 요구되는 사용자 경험(가령 요구되는 QoS)을 전달/유지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 경험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 하여금 클라우드 리소스 및/또는 전송 네트워크의 다양한 측면을 모니터링하고, 코디네이트된(coordinated) 액션을 전송 및 네트워크 계층에 걸쳐서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후에,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예를 들어,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액션을, 네트워크 계층 요소와 함께, 전송 네트워크 내의 어떤 조절을 수행하도록 전송 계층 요소에 지시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 간의, 그리고 특별히 전송 계층 요소 및 네트워크 계층 요소 간의 제2 인터페이스가 도입되고 활용된다.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은 근 실시간(가령 몇 초의 지연) 또는 실시간 양방향 통신일 수 있다. 그래서, 제2 인터페이스(네트워크 계층-전송 계층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될 수 있음)는 두 계층 간의 근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로 하여금, 근 실시간으로 요구 시에 그리고/또는 주기적으로(가령 정보의 요구 시 검색 및/또는 정보의 스케줄링된 검색) RAN 알고리즘에의 입력(가령 대역폭, 지연시간, 토폴로지 경로(topology path) 및 유사한 것)으로서, 다중 셀 뷰(multi cell view), 전송 계층 요소로부터의 전송과 같은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로 하여금 요소(410)에서의 분석에 기반하여 전송 계층 요소(420)에 정책 변경을 푸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420)는 집성된(aggregated) 및/또는 상관된(correlated) 바와 같은 네트워크 통계를 네트워크 요소(410)에 발신할 수 있다. 송신은 요구 시에 있고/거나 주기적일 수 있다. 주기적 송신은 요소(410) 및/또는 요소(4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계는 5분마다 송신될 수 있으나 이 시간 프레임(time frame)은 제어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 및/또는 전송 계층 요소(420)는 다중 벤더(Multi-Vendor: MV)를 지원할 수 있다. 그래서, 인터페이스(가령 제2 인터페이스)는 벤더 수요에 따라서 구성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장래의 수요에 따라서 제2 인터페이스를 표준화된 환경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라, 본 해결안의 개관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블록(412, 414, 416)으로써 예시된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일반적으로, 나중에 도 5, 도 6,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참조 부호 410으로써 참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410)는, 예를 들어, 블록(412, 414, 416)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는 참조 부호 420으로써 나타내어지고 클라우드 리소스 모니터링(가령 VRAN 또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은 참조 부호 430으로써 나타내어진다. 클라우드 리소스 모니터링(430)은 물리적 리소스 상에서 가동되는 가상 리소스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리소스는 시스템 내의 통신을 위해 리소스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클라우드 리소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N(402)(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UE(들)(100, 102)를 위해 상이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서비스로써 서빙되는(served) 많은 상이한 타입의 UE가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사용자 경험이 서비스 레벨 합의(Service Level Agreement: SLA) 메트릭 타겟을 만족함을 판정하고/거나 보장하기 위해 UE(들)(100, 102)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모니터링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 내부의 사용자 경험 엔진 기능(4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연속적인 조절이 행해질 수 있다.
나아가, RIM은 전송 계층 요소(420)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정보가 요소(43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들은 도 4에서 화살표로써 예시된다. 그래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폐루프(442) 내에서 UE 및 그것의 SLA 타겟, 클라우드 리소스 메트릭 및/또는 전송 계층 메트릭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일 기존 서비스에 대해 최적의 사용자 경험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면 또는 그럴 때에(가령 네트워크 조건을 변경하는 것 또는 새로운 서비스 요청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야기됨),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연속적인 폐루프(444)에서 다양한 메트릭을 분석하여 최적의 또는 적어도 더 나은 해답(resolution)을 판정할 수 있다(블록(416)).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전반적인 최종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고/거나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AN(402)을 향한 액션을, 네트워크 계층 요소와 함께, 전송 계층 요소(420)에 지시할 수 있다. 상이한 해결안의 세부사항이 아래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직접적으로 RAN(402)을 향해 그리고/또는 전송 계층 요소(420)를 향해, 액션이 트리거될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또한, 예를 들어, RAN(402)을 향해 액션(들)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몇몇 실시예를 더 자세히 살펴보자. 우선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블록(209))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계층 요소(420)에 분산형 유닛(504)(DU) 및 제어 유닛(520)(CU)(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함)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588)을 포함한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요청에 기반하여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요청의 기반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가 단말 디바이스(100, 102)와 연관된 혼잡이 DU(504) 및 CU(520) 간의 혼잡에 의해 야기된다고 판정한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그러한 혼잡은 본 문서에서 전송 네트워크 혼잡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만일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거나 이미 증가한 경우,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예를 들어, (가령 블록(302)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통계를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584) 전송 계층 요소(420)로부터 획득된(블록(204)에서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정보(586)에 기반하여, 전송 네트워크 혼잡을 판정할 수 있다. 더욱이, 블록(202)에서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UE(들)(100, 102) 및 그것의 SLA 메트릭 타겟을 모니터링(582)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및 네트워크 통계는 동일한 메트릭, 예컨대 지터, 지연시간, 패킷 손실, 대역폭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지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CU(520) 및 DU(504)는, 예를 들어, 전송 네트워크(510) 또는 전송 클라우드(가령 L3 전송 네트워크 또는 클라우드) 개체 및/또는 인터페이스(도 5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송 네트워크(510)는 때때로 미드홀(midhaul) 또는 미드홀 연결(가령 L3 미드홀)로 지칭될 수 있다. 예시된 클라우드-RAN 네트워크는 DU 및 CU가 전송 네트워크(가령 전송 네트워크(510))를 통해 서로 연결된 분산형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의 하나의 예이다. DU(504)는 UE(100, 102)로의 및 이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502)을 또한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DU-CU-RRU 구축은 일반적으로 분산형 통신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RRU(502)는 때때로 더욱 광범위하게 네트워크 노드(502)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U(504)는 프론트홀(fronthaul) 또는 프론트홀 연결(511)(가령 L3 프론트홀)로 지칭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RU(502)에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CU(520)는 백홀(backhaul) 또는 백홀 연결(512)(가령 L3 백홀)로 지칭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513)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513)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및/또는 UPF와 같은 요소(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홀(511), 백홀(512) 및 코어 네트워크(513)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사한 또는 동일한 요소가 활용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의 세부사항에 대해 더 살펴보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UE 성능/상태를 모니터링할(582)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성능이 하나 이상의 SLA 메트릭과 대비될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네트워크 통계를 수집할(584)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네트워크 통계를 송출할(586)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네트워크 통계 및/또는 UE 성능/상태에 기반하여, UE(100, 102)가 전송 네트워크 혼잡에 의해 야기된 사용자 경험 및/또는 쓰루풋의 (즉 RRU(502)에서의) 지속되는 하강을 경험하고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판정된 혼잡 및 그것의 원인이 식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DU(504) 및 CU(520)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전송 계층 요소(420)에 요청할(588) 수 있다. 요청은 적어도, 혼잡이 DU 및 CU 간의 혼잡에 의해 야기된 전송 네트워크 혼잡임을 판정하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그래서, 몇몇 실시예에서, 대역폭 증가는 초당 비트(bits per second)(bps)로 요청된다(가령 x bps 증가가 요청될 수 있는데, x는 양수(positive number)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588)는 요청된 대역폭 증가 또는 요청된 대역폭을 나타내는 명시적인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만일 전송 계층 요소(420)가 그것이 전송 경로를 수정하지 않고서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전송 계층 요소(420)는 요청에 기반하여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대역폭이 증가될 수 없는 경우, 전송 계층 요소(420)는 요청(588)에 부정적으로 확인응답할(negatively acknowledge) 수 있다.
또한, 전송 계층 요소(420)는 대역폭 증가에 대해 교차 도메인 편성(orchestration) 및 서비스 관리 개체(550)(가령 e2e 편성기(orchestrator))에 통지할(590) 수 있다.
실시예에서, 혼잡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DU(504) 및 CU-사용자 평면(CU-User Plane)(524)(CU-UP) 간에 있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대역폭이 DU(504) 및 CU-UP(524) 간에 증가되도록 요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 계층 요소(420)는 DU(504) 및 CU-UP(524) 간의 대역폭을 증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DU(504)는 별도로 CU-UP(524) 및 CU-제어 평면(CU-Control Plane)(522)(CU-CP)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귀중한 리소스를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위해서만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유사한 요소 및 단계(582, 584, 586)가 도시된다. 다만, 도 6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블록(209))은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9410)에 의해,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602)가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currently serving network node)(502)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됨을 판정하는 것(네트워크 노드(502, 602)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overlapping)(즉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 및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및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502)로부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602)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이관하는 것(transferring)을 야기하는 것. 이 해결안은,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공되는 해결안에 대한 대안일 수 있고, 만일 더 낮은 혼잡(가령 혼잡이 전혀 없음)을 가진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602)가 이용가능한 경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602)(가령 RRU(602))는 상이한 DU(604)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DU(604) 및 CU(520)(또는 CU-CP(524)) 사이의 혼잡은 DU(504) 및 CU(520)(또는 CU-CP(524)) 사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더 낮은 혼잡은 전송 계층 요소(410)로부터 수신된(586) 네트워크 통계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더 낮은 혼잡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가 어떤 혼잡도 없음을 판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UE(100, 102)가 전송 네트워크 혼잡에 의해 야기된 사용자 쓰루풋의 (즉 네트워크 노드(50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의) 지속되는 하강을 경험하고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네트워크 통계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노드(602)가 어떤 전송 혼잡도 없는 또는 SLA 메트릭을 만족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낮다고 판정된 적어도 더 낮은 혼잡을 가진 다른 곳으로부터 충분한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UE(100, 102)를 네트워크 노드(502, 602)로부터 이관할(688) 수 있다. 이 이관은 하나의 노드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일종의 핸드오버(handover)(가령 주파수간(inter frequency) 핸드오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관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가 RAN(가령 CU(520))에 요청을 송신함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요청은 UE(100, 102)로 하여금 네트워크 노드(502)로부터 네트워크 노드(602)로 이관되게 할 수 있는 UE 측정 구성에 대한 업데이트(upda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502)로부터 노드(602)로의 이관은 DU(504) 및 CU(520) 간의 대역폭 증가가 불가능하다고 판정되거나 전송 계층 요소(420)에 의해 거부된 경우 개시될 수 있다. 나아가, 더 낮은 혼잡을 갖거나 어떤 혼잡도 갖지 않는 네트워크 노드(602)가 이용가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RAN 연결의 대역폭이 증가될 수 없는 경우에, UE(100, 102)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이용가능한 RAN 연결이 활용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의 해결안의 일종의 조합이 도시된다. 우선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블록(209))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계층 요소(420)에 분산형 유닛(604)(DU) 및 제어 유닛(520)(CU)(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602)를 서빙함)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69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은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502)로부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602)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이관하는 것을 야기하기 전에 증가되도록 요청된다(690). 그래서, 대역폭 증가는 미리, 즉 UE가 서빙 노드로부터 판정된 상이한 노드로 이관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분산형 유닛(604) 및 제어 유닛(520) 간에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다. RRU(602)(즉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602))는 DU(504)와 연관될 수 있는 서빙 RRU(502)와는 상이한 DU(604)와 연관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한다. 두 DU(504, 604) 모두 동일한 CU(520) 또는 상이한 CU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582, 584, 586)는 도 5 및 도 6에서와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UE(100, 102)가 전송 네트워크 혼잡에 의해 야기된 사용자 쓰루풋의 (즉 네트워크 노드(50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서의) 지속되는 하강을 경험하고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네트워크 통계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노드(602)가 다른 곳으로부터 충분한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다만, SLA 메트릭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 DU(604) 및 CU(520)(또는 CU-UP(524)) 간의 대역폭의 증가가 필요함이 또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새로운 연결을 위한 (즉 DU(604) 및 CU(520)(또는 CU-UP(524)) 간의) 대역폭 증가를 요청할(690)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에서, 요청은 대역폭이 증가되도록 요청되는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대역폭 증가가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보고할 수 있다. 만일 대역폭이 성공적으로 증가된 경우, 전송 계층 요소(420)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그렇게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대역폭이 증가되어서 노드(502)로부터 노드(602)로의 이관이 유익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즉 대역폭이 증가되거나 적어도 증가되도록 확인된 후에) UE(100, 102)를 노드(502)로부터 노드(602)로 이관할(694) 수 있다. 이관은 도 6에서와 유사할 수 있다. 즉, 이관은 하나의 노드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일종의 핸드오버(가령 주파수간 핸드오버)로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전송 계층 요소(420)는 도 5에서와 유사하게 대역폭 증가에 대해 e2e 편성기(550)에 나타낼(692) 수 있다.
도 8은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된 상이한 해결안의 개관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전송 네트워크 혼잡(즉 DU(들) 및 CU(들) 간의 혼잡)을 판정할(블록(810)) 수 있다. 판정은 폐루프 서비스 지능(closed-loop service intelligence)에 기반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은,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 및 정보를 제공하여 혼잡을 판정하고 이에 따라 혼잡을 완화하거나 제거하도록 행동한다. 혼잡은, 예를 들어, QoS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는 데이터 혼잡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전송 및 네트워크 계층 개체(420, 410)는 프론트 홀, 미드 홀, 백홀 및/또는 인터넷/서비스 종단점 인터페이스의 전송 인지(transport awareness)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정의된 4개의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에 상주하는 전송 계층 개체(420)는 최적화(가령 열화의 원인의 완화 또는 제거)를 가능케 하기 위해 네트워크 계층 개체(410)에 동적인 폐루프 자동화를 제공할 수 있다.
혼잡이 판정되고(가령 블록(206)) 원인이 식별되는(가령 블록(208)) 기반인 메트릭은 실시간 및/또는 비실시간 메트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트릭은 여기서 전송 계층 개체(420)로부터 네트워크 계층 개체(410)로 송신되는 네트워크 통계를 지칭할 수 있다. 그래서, 제2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통계 또는 네트워크 정보의 실시간 및/또는 비실시간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502, 602)는 별개의 장소에 놓이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그것들의 전송 연결성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경로와 연관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602)는 CU(520)와는 상이한 CU와 연관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한다. 그러나, 동일한 CU(520)가 두 DU(504, 604) 모두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CU가 사용되는지 여부는 사용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의존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DU 및 하나 이상의 CU 간의 연결은 별개일 수 있고, 따라서 그것의 대역폭은 (만일 증가가 요청되고 가능한 경우) 별도로 증가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혼잡은, 예를 들어, 다음 측정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판정될(블록(206)) 수 있다: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측정, 셀 레벨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QoS 관련 측정, 그리고/또는 무선 리소스 활용 관련 측정. 일단 혼잡이 판정되면 전송 조건 인지 지능/액션으로써 액션(들)이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기술된 측정(들)에 기반하여, 혼잡이 전송 네트워크 혼잡 또는 나중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임을 판정할 수 있다.
블록(810)의 판정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전송 네트워크 혼잡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할(블록(820)) 수 있다. 이 액션(들)은, 예를 들어, 블록(822)의 액션(도 5에 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액션(들)), 블록(824)의 액션(도 6에 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액션(들)) 또는 블록(826 및 828)의 액션(도 7에 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은 액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우선 액션 중 하나를 수행하고 이후 만일 첫 번째 수행된 액션이 불충분하다고 판정되면 다른 것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액션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 만일 하나보다 많은 액션이 수행되면, 수행은, 예를 들어, 후속적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
그러면 혼잡 또는 열화가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에 의해 야기된다고 판정되는 경우를 고려하자. 역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한 그러한 판정은 UE 모니터링(즉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함) 및/또는 전송 계층 요소(42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 또는 네트워크 통계에 기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클라우드 성능 모니터링 요소(430)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클라우드 리소스의 성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성능 모니터링 요소(430)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을 판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정보는 가용 리소스, 사용된 리소스 및/또는 총 리소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활용, 임계(들) 및/또는 알람(들) 같은 메트릭을 나타낼 수 있다. 임계(들) 및 알람(들)은, 예를 들어, CPU 활용 임계(들) 및 알람(들)을 지칭할 수 있다. 그래서, 요컨대, 블록(206)에서 혼잡 또는 열화를 판정하는 것 및 블록(208)에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식별하는 것은 UE 모니터링 정보(즉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UE를 모니터링함), 전송 계층 요소(42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통계, 그리고/또는 클라우드 성능 모니터링 요소(430)로부터 수신된 클라우드 리소스의 성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 또는 열화는 전송 네트워크 혼잡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이제 더 상세히 논의되는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다음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하는 제어 유닛(520)이 혼잡을 경험하고 있음을 판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하기 위한 다른 제어 유닛(920)을 판정하는 것(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블록(209))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504) 및 다른 제어 유닛(920) 간의 새로운 연결(972)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생성을,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 계층 요소에 요청하는 것(982).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하기 위한 다른 제어 유닛(920)은 혼잡(즉 클라우드 혼잡)을 겪고 있지 않은 제어 유닛을 의미할 수 있거나 적어도 CU(920)의 혼잡은 서빙 CU 혼잡보다 더 낮다고 판정될 수 있다.
제어 유닛(520)이 경험하는 혼잡은 엄격한 또는 제한된 컴퓨팅 리소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520)은 물리적 리소스 상의 가상 리소스(즉 클라우드 리소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여하튼, 몇몇 경우에 제어 유닛(520)을 위한 리소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다른 제어 유닛으로의 이관이 유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리소스 혼잡은 제어 유닛(520)에 리소스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산업이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는 이동성 최종 사용자 수요에서의 일일 시각(time-of-day) 전환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리소스를 어떻게 최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또는 어떤 지리적 위치에서의 클라우드 리소스(즉 UE(100, 102) 요구 리소스)에 대한 최종 사용자 수요는 혼잡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최종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요소(410, 420)는 점증하는 부하(가령 vRAN (CU-UP) 부하)를 다룰 수 있는 대체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를 판정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다. 대체 전송 터널(들)(가령 연결 또는 터널(972, 974))이 (즉 충분한 리소스를 갖지 않을 수 있어 혼잡으로 이어질 수 있는 데이터센터(930)로부터) 여분의 이용가능한 CPU/서버 용량을 갖는 대체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940)로 수립될 수 있도록, 최종 사용자 부하에서의 전환은 실시간 방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일단 그런 전송 터널이 수립되면, 새로운 E1/F1 연결이 창출될 수 있고 결국,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부하를 혼잡한 CU(520)로부터 혼잡하지 않은 CU(920)로 점진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하나의 CU로부터 다른 데이터센터의 다른 CU로 이관될 사용자 장비(또는 다른 말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기준은 다음에 의존할 수 있다(가령 타겟은 가능한 한 많이 두절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1. 새로운 CU(920)를 위한 지연시간 요구사항 및 지연시간 버짓(budget):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이 지연시간 버짓과 매칭됨을 판정하는 것;
2. 가입자 정책 및 네트워크 정책; 및/또는
3. 새로운 사용자를 위한 대역폭 수요/요구사항.
기술된 프로세스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절차일 수 있고, 부하/혼잡의 과거 이력을 판정함으로써 인공 지능을 적용하고 시스템으로 하여금 이 혼잡한 상태를 예측하고, 따라서, 혼잡이 발생하기 전에 트래픽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안은 DU(504)로 하여금 혼잡을 겪는다고 판정된 CU(520)와는 상이한 데이터센터(940)로부터의 리소스 상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CU(920)에 연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컴퓨팅 리소스의 더욱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데이터센터로부터, 그리고 특히 상이한 데이터센터(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CU로부터 리소스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어떤 데이터센터를 위한 리소스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부족한 리소스의 동적 리소스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0, 102)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504)은 혼잡을 경험하는 제어 유닛(520)과 연관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즉 전송 계층 요소(420)에 의해 블록(308)에서) 수행하는 것은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요청(982)에 기반하여, 분산형 유닛(504) 및 다른 제어 유닛(920) 간의 새로운 연결(972)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래서, 요청(982)에 기반하여, 전송 계층 요소(420)는 새로운 연결(972)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생성(또는 다른 말로 창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생성됨을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응답할(984)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CU(520)의 혼잡이 특히 CU-UP(524)의 혼잡을 지칭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그것은 일반적으로 CU(520)의 혼잡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972)은 DU(504) 및 CU-UP(524) 간에 수립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연결(972)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CU(520) 및 CU(920) 간의(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CU-UP(524) 및 CU-UP(924) 간의) 연결(974)을 위한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한다. 연결(974)은 CU(920)로의 DU(504)의 이관 동안에 CU(520, 920)(가령 CU-UP(524) 및 CU-UP(924)) 간의 데이터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 UE(100, 102)로 하여금 CU(520)로부터 CU(920)로의 DU(504)의 이관에 의해 야기되는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서빙될 수 있게 하는 그러한 것이 유익할 수 있다. CU(920)는 CU-CP(9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기술된 해결안은 때때로 피크(peak) 시간 동안 CU-UP 혼잡에 기반한 실시간, 교차 도메인 SLA 인지 부하 분배로 지칭될 수 있다. 우선 동일한 UPF(956)가 있는 구체적인 예를 논의하자.
UE는 어떤 부하(가령 낮시간 부하)를 가진 CU-UP(524)와 연관될 수 있다. 낮시간 부하는 낮 동안(가령 오전 8시 및 오후 5시 사이)의 부하를 지칭할 수 있다. 대도시 내의 대중 장소에 의해 CU-UP(524) 상에 상이한 부하(가령 저녁 부하)가 트리거될 수 있다. 지속되는 CU-UP 혼잡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CU-UP(924)가 이력 시간 기간(historic period of time) 동안 혼잡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또한 서비스 SLA 요구사항, 지연시간 내성(tolerance) 및/또는 열화된 서비스가 UE에게 수용가능한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CU-UP(924)로의 DU(504)의 이관을 트리거할 수 있다. 또한, 이관 그 자체는 이관이 유익한지 여부를 판정할 때에 또한 참작될 수 있는 어떤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DU(504)로부터 CU-UP(924)로의, 그리고 CU-CP(524)에서 CU-UP(924)로의 두 네트워크 슬라이스(또는 전송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를 창출 또는 생성할 것을 전송 계층 요소(420)에 요청할(982) 수 있다.
요청에 기반하여, 전송 계층 요소(420)는 두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지원될 수 있는지를 계산하고 판정할 수 있으며, 만일 그렇다면 이어서 그것들을 창출한다. 전송 계층 요소(420)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창출되었음을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나타낼(984)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생성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하여 새로운 연결(들)(972, 974)을 수립할 것을 도메인 관리(910)(가령 RAN 도메인 관리)에 또한 요청할(986) 수 있다. 도메인 관리(910)는 수립된 연결(들)(972, 974)에 대해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에 나타낼(988)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또한 적어도 연결(972)(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연결(974))을 활용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UE(100, 102)를 옮길 수 있다. 예를 들어, CU(920)는 동일한 UPF(956)를 CU(520)로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PF는 UPF(956)로부터 UPF(926)로 재위치될 수 있다. UPF 재위치는 3GPP 정의된 SME-CU-CP 절차(들)에 달려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메인 관리(910) 및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동일한 개체 내에 포함된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는 RIM(410)이다.
실시예에서, 전송 계층 요소(420)는 TDMC(420)이다.
실시예에서, 위에서 논의된 네트워크 노드는 RRU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50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RRU(502)일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60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RRU(602)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RRU, 하나 이상의 DU 및 하나 이상의 CU의 조합은 gNB를 형성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제어 회로망(control circuitry)(CTRL)(1010, 1110),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소프트웨어)(1032, 113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30, 1130)를 포함하는 장치(1000 및 1100)를 제공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소프트웨어)(1032, 113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각 장치(1000, 1100)로 하여금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 중 임의의 것, 또는 이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메모리(1030, 1130)는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 기술, 예컨대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 플래시(flash) 메모리, 자기(magnetic)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광학(optical)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고정형(fixed) 메모리 및 탈거가능(removable)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0, 113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034, 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0, 11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연결성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페이스(radio interface)(TRX)(1020, 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RX는,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통신 능력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TRX는 표준적인 잘 알려진 컴포넌트, 예컨대 증폭기, 필터, 주파수 변환기(frequency-converter),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그리고 인코더/디코더 회로망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TRX는, 예를 들어, 요소(410, 420, 430) 간에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능력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장치(1000, 110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마이크, 터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 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0, 1140)는 장치(1000, 1100)의 사용자에 의해 각 장치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1000)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 가령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0)는 네트워크 계층 요소(410)(가령 RIM)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망(1010)은 장치(1000)로 하여금 블록(202)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회로망(1012), 장치(1000)로 하여금 블록(204)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망(1014), 장치(1000)로 하여금 블록(206)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판정 회로망(1016), 장치(1000)로 하여금 블록(208)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식별 회로망(1018), 그리고 장치(1000)로 하여금 블록(209)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망(1019)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1100)는 전송 계층 요소, 가령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는 전송 계층 요소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100)는 전송 계층 요소(420)(가령 TDMC)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회로망(1110)은 장치(1100)로 하여금 블록(302)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회로망(1112), 장치(1100)로 하여금 블록(304)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 회로망(1114), 장치(1100)로 하여금 블록(306)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망(1116), 그리고 장치(1100)로 하여금 블록(308)의 적어도 어떤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수행 회로망(111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1000, 110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2개의 물리적으로 별개인 디바이스 간에 공유되어, 하나의 동작가능한 개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00, 1100)는 기술된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작가능한 개체를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장치(1000), 하나 이상의 장치(1100) 및 하나 이상의 UE(100, 102)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각각 하나 이상의 RRU, 하나 이상의 DU 및 하나 이상의 CU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제안된 도메인간 통신은, 또 특별히, 제안된 제2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도메인 간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망'(circuitry)은 다음 모두를 지칭한다: (a) 하드웨어만의 회로 구현, 예컨대 오직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망으로의 구현, 그리고 (b) (적용가능시) 다음과 같은, 회로 및 소프트웨어(그리고/또는 펌웨어)의 조합: (i)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ii) 장치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의 부분, 그리고 (c) 설령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요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분과 같은 회로. '회로망'의 이 정의는 이 출원에서의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의 예로서, 이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망'은 또한 단지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분 및 그것의(또는 그것들의) 동반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구현을 망라할 것이다. 용어 '회로망'은 또한, 예를 들어, 그리고 만일 특정한 요소에 적용가능한 경우, 모바일 전화를 위한 기저대역(baseband) 집적 회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유사한 집적 회로를 망라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는 기술된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몇몇 예시적 수단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detector), 프로세서(듀얼 코어(dual-core) 및 다중 코어(multiple-core) 프로세서를 포함함),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제어기, 수신기, 송신기, 인코더, 디코더, 메모리, RAM, ROM, 소프트웨어, 펌웨어, 디스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회로망,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망,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회로, 안테나, 안테나 회로망, 그리고 회로망.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처리 수단을 형성하거나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 중 임의의 것 또는 이의 동작에 따라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회로망을 포함한다. 활성화되는 경우에, 회로망은 장치로 하여금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 중 임의의 것 또는 이의 동작에 따라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게 한다.
본 문서에 기술된 기법 및 방법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법은 하드웨어(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펌웨어(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소프트웨어(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실시예의 장치(들)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DSPD),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위해, 구현은 본 문서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chip set)의 모듈(가령 절차, 기능 및 기타 등등)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그것은 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문서에 기술된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이에 관해 기술된 다양한 측면 등의 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재배열되고/거나 추가적인 컴포넌트에 의해 보완될 수 있고, 그것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주어진 도면 내에 개진된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의 부분에 의해 정의된 컴퓨터 프로세스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의 실시예는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령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가령 비일시적(non-transient)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장치로 하여금 도 1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이에 저장됨)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source code) 형태, 목적 코드(object code) 형태, 또는 어떤 중간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record medium), 컴퓨터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일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든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예를 들어, 비일과성(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코딩은 완전히 통상의 기술자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비록 첨부된 도면에 따라 예를 참조하여 발명이 전술되었으나,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부기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몇 개의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따라서, 모든 단어와 표현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그것들은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발명적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기술된 실시예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으나 그러하도록 요구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Claims (14)

  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계층 요소(network layer element)가 적어도,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 계층 요소(transport layer element)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상기 모니터링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congestion) 또는 열화(degradation)를 판정하는 것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식별하는 것과,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action)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currently serving network node)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됨을 판정하는 것 -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coverage)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overlapping) - 과,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이관(transferring)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과 제어 유닛(control unit)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상기 전송 계층 요소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상기 전송 계층 요소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E2 인터페이스인,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이관하게 하기 전에 대역폭이 증가되도록 요청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계층 요소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제어 유닛이 혼잡을 경험하고 있음을 판정하는 것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 위한 다른 제어 유닛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과 상기 다른 제어 유닛 간의 새로운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의 생성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송 계층 요소에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6.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 계층 요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계층 요소에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것 -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함 - 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이관될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E2 인터페이스인,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상기 분산형 유닛과 상기 제어 유닛 간의 상기 대역폭은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이관 전에 증가되는,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분산형 유닛은 혼잡을 경험하는 제어 유닛과 연관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분산형 유닛과 다른 제어 유닛 간의 새로운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부터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요청에 기반하여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1.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계층 요소 내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 계층 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상기 모니터링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됨을 판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 - 와,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이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상기 전송 계층 요소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 계층 요소 내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계층 및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계층 요소에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함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이관될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계층 요소 내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 계층 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상기 모니터링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됨을 판정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 - 와,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이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것을 상기 전송 계층 요소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 계층 요소 내에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계층과 전송 계층 간의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계층 요소에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를 모니터링함 - 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연관된 혼잡 또는 열화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계층 요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혼잡 또는 열화의 상기 원인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는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현재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보다 더 낮은 혼잡과 연관된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로 이관될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와 연관된 분산형 유닛과 제어 유닛 간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018201A 2019-02-15 2020-02-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 KR102156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95120 2019-02-15
FI20195120 2019-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000A KR20200100000A (ko) 2020-08-25
KR102156507B1 true KR102156507B1 (ko) 2020-09-15

Family

ID=6959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201A KR102156507B1 (ko) 2019-02-15 2020-02-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69220B2 (ko)
EP (1) EP3697040B1 (ko)
KR (1) KR102156507B1 (ko)
CN (1) CN111586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052B (zh) * 2017-05-25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网类型选择方法、设备及系统
US11425601B2 (en) * 2020-05-28 2022-08-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ooling of baseband unit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533217B2 (en) * 2020-07-31 2022-12-20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assurance
US11589264B2 (en) * 2020-07-31 2023-02-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leveraging access 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gateway resources to provide 5G edge computing services
US11652878B2 (en) * 2020-11-30 2023-05-16 Arm Limited Extended-reality system and method
KR20220076949A (ko) * 2020-12-01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310733B1 (en) 2020-12-10 2022-04-19 Amazon Technologies, Inc. On-demand application-driven network slicing
US11886315B2 (en) * 2020-12-10 2024-01-30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computing capacity in radio-based networks
US11601348B2 (en) 2020-12-10 2023-03-07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radio-based private networks
US11252655B1 (en) * 2020-12-10 2022-02-15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assignments of network slices
US11627472B2 (en) 2020-12-10 2023-04-11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ed deployment of radio-based networks
US11729091B2 (en) 2020-12-10 2023-08-15 Amazon Technologies, Inc. Highly available data-processing network functions for radio-based networks
US11711727B1 (en) 2021-03-16 2023-07-25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sioning radio-based networks on demand
US11895508B1 (en) 2021-03-18 2024-02-06 Amazon Technologies, Inc. Demand-based allocation of ephemeral radio-based network resources
US11838273B2 (en) 2021-03-29 2023-12-05 Amazon Technologies, Inc. Extending cloud-based virtual private networks to radio-based networks
US11743953B2 (en) 2021-05-26 2023-08-29 Amazon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user plane functions for radio-based networks
US20230164024A1 (en) * 2021-11-19 2023-05-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e network response to predictable satellite backhaul outages
CN116261170A (zh) * 2021-12-09 2023-06-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A3231135A1 (en) * 2021-12-14 2023-06-22 Massimo Notargiacomo Distributed radio system for combining legacy analog base station signals with packetized mid-haul signals of multiple operators and private networks
WO2023239614A1 (en) * 2022-06-07 2023-12-14 Dish Wireless L.L.C. Coverage and load based smart mo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8A1 (ko) 2017-06-09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3202B (zh) * 2010-03-31 2016-08-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通信网络中的拥塞处理的方法和网络组件
CN102143199A (zh) 2010-10-19 201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内容的方法、节点及内容网络
US9100871B2 (en) * 2011-03-10 2015-08-04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Hybrid congestion control
CN102905312B (zh) * 2011-07-27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负载均衡处理方法、中继节点、宿主基站、和通讯系统
EP2608567A1 (en) * 2011-12-13 2013-06-26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triggering and congestion control
JP5805583B2 (ja) * 2012-05-16 2015-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3582029B (zh) 2012-07-24 2018-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策略控制方法及设备
KR101502141B1 (ko) * 2012-12-21 2015-03-12 주식회사 케이티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의 허브 장치, 그리고 이의 부하 분산 방법
US10715453B2 (en) * 2013-07-24 2020-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congest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075902B2 (en) * 2014-04-08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unified control of random access and traffic ingress in a congested radio access network
CN106464315B (zh) * 2014-07-09 2019-11-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对来自无线设备的传输执行CoMP接收的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US20170373950A1 (en) * 2015-01-27 2017-12-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ffic flow monitoring
US20180212845A1 (en) 2015-07-28 2018-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resource handling
WO2017052690A1 (en) * 2015-09-24 2017-03-30 Intel Corporation Congestion control for vehicular-to-anything services
WO2017070635A1 (en) * 2015-10-22 2017-04-27 Phluido, Inc. Virtualization and orchestr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US10200267B2 (en) 2016-04-18 2019-02-05 Nyansa, Inc. System and method for client network congestion dete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WO2018164469A1 (ko) * 2017-03-07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19606B2 (en) 2017-04-27 2020-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cessing paths in a converged network
EP3718270A4 (en) * 2017-11-27 2021-08-25 Opang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A DATA TRANSPORT NETWORK PROTOCOL BASED ON REAL-TIME TRANSPORT NETWORK CONGESTION COND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88A1 (ko) 2017-06-09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abling intelligent transport in 5G networks,", Stefan Dahifort et al. https://www.ericson.com/en/reports-and-papers/ericsson-technology-review/articles/enabling-intelligent-transport-in5g-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7596A1 (en) 2020-08-20
CN111586754B (zh) 2022-02-22
US10869220B2 (en) 2020-12-15
CN111586754A (zh) 2020-08-25
EP3697040A1 (en) 2020-08-19
KR20200100000A (ko) 2020-08-25
EP3697040B1 (en) 202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50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혼잡 제어 기법
US11197209B2 (en) Efficient computing of application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0366257B (zh) 配置为提供具有增强的资源分配的无线接入的网络节点
FI128634B (en) Obtaining information
US11109284B2 (en) Controlling handover based on network slices supported by base station
US20210360045A1 (en) Video on demand load equalization
US11337100B1 (en) Transfer of channel estimate in radio access network
CN112640524A (zh) 服务质量流重新分配处的优先级处理
US20230142879A1 (en) Improving service continuity
US20240049091A1 (en) Determining handover command transmission based on survival time
US11526826B2 (en) Remote definition of metrics
US20230232455A1 (en) Enhanced carrier selection
WO2023016634A1 (en) Relay extension in cellular network
WO2023209454A1 (en) Mobility load balancing for multicast/broadcast services
WO2021198879A1 (en) Adapting operation of a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