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370B1 -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370B1
KR102156370B1 KR1020190034893A KR20190034893A KR102156370B1 KR 102156370 B1 KR102156370 B1 KR 102156370B1 KR 1020190034893 A KR1020190034893 A KR 1020190034893A KR 20190034893 A KR20190034893 A KR 20190034893A KR 102156370 B1 KR102156370 B1 KR 10215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essential
articl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김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원 filed Critical 김경원
Priority to KR102019003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이나 업무에 따른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품 등에서 요구되는 필요설명을 거주자가 해당 소지품 또는 배송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위치확인 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주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물품용 태그(100)들과; 상기 물품용 태그(100)들로부터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 있어서,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인 태그별 식별자정보 및 태그별 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인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정보저장부(240)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hat guides the location and description of items set by an individual to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이나 업무에 따른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품 등에서 요구되는 필요설명을 거주자가 해당 소지품 또는 배송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위치확인 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주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및 건물을 포함하는 거주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자신이 소유하는 다양한 소지품 즉, 스마트폰, 시계, TV 리모컨, 에어컨 리모컨, 통장, 신용카드, 중요문서, 개인도장이나 지갑, 금은과 같은 귀중품, 자신이 복용하는 약, 건강보조식품 등을 거주지 내 다양한 장소에 거치 내지 수납하여 관리한다.
그런데 거주자가 소지하는 다양한 소지품들의 거치 내지 수납 장소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찾는 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거주자가 노약자인 경우 해당 소지품을 찾는데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특허문헌 1 참조)된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을 통해 해소되었다.
종래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거주자가 소지한 다수의 소지품들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하여, 거주자가 소지한 다수의 소지품들 중 거주자가 지정한 특정 소지품의 위치를 추적하고, 거주자가 소지한 소지품들 중 거주자의 의도에 따라 귀중 여부가 구분되는 소지품들에 따라 추적요청된 해당 소지품의 위치를 안내하여 주며, 추적요청된 해당 소지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곳이 단말로 선택된 경우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과 소지품에 구비되는 태그 간의 인지 거리를 거주자가 조절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거주자가 소지한 소지품 중 귀중품의 경우 최대한 거주자만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거주자가 소지하는 소지품이 복용해야 하는 약이거나 건강보조식품인 경우 하루 당 복용회수 및 복용시간이 지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하루 당 복용회수 및 복용시간은 복용해야 하는 약과 건강보조식품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거주자가 복용해야 하는 여럿의 약 및 건강보조식품의 하루 당 복용회수 및 복용시간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거주자가 복용해야 하는 여럿의 약 및 건강보조식품의 하루 당 복용회수 및 복용시간을 사전에 인지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주자가 노약자인 경우에는 더욱더 사전인지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거주자가 소지한 소지품 중 전자제품에서도 야기되는데, 특히, 사물인터넷의 범용화로 인해 다양한 전자제품이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작동 패러다임이 변모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를 숙지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은 거주자가 건물에서 업무를 보는 근무자인 경우에도 파생되어진다.
즉, 주문요청에 따라 판매품을 주문자에게 배송해야 하는 업무인 경우 수많은 배송품마다 개별적으로 배송해야 하는 일자, 배송품을 배송받는 배송지 및 배송품을 배송하는데 주문자가 요청한 배송 주의 사항 등의 다양한 배송품 관련 안내사항이 배송품마다 개별적으로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종종 배송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거주자가 소지한 소지품이나 업무에 따른 다양한 물을 배송하는 배송품 등에서 요구되는 필요설명을 거주자가 해당 소지품 또는 배송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위치확인 후 거주자에게 안내하여 주는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1954877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이나 업무에 따른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품 등에서 요구되는 필요설명을 거주자가 해당 소지품 또는 배송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위치확인 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주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물품용 태그들과;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들 중 추적하고자 하는 물품용 태그가 특정되면, 상기 물품용 태그들로부터 수신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 있어서,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는,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의 식별자인 태그별 식별자정보 및 태그별 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인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정보저장부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상기 마이크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텍스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TTS엔진이 탑재된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입력되는 텍스트정보로서,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이 텍스트로 입력되면, 상기 TTS엔진을 운영하여, 그 입력되는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에 대한 텍스트를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마이크가 탑재된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마이크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저장부에는, 물품용 태그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 간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물품용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그 수신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검출된 신호세기의 강약에 따른 거리를 나타낸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로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해당 물품용 태그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 간의 근접거리를 나타내는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이후 상기 물품용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해당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와 매칭하여 자신과 물품용 태그 사이의 검출거리를 인지하며, 그 검출거리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는, 정보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의 정보저장부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이 탑재되는 단말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입력부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을 요청하는 전원키버튼; 볼륨조절을 요청하는 볼륨키버튼; 메뉴이동 또는 요청에 따른 수치를 가감조절하는 조작키버튼;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의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수행키버튼;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구동을 종료하고 초기 상태로 재설정을 요청하는 리셋키버튼; 및 잠금기능을 요청하는 홀드키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하우징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잭;이 구비된다.
상기 단말하우징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시리얼통신을 통해 접속되게 안내하는 하드웨어 확장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스피커 증폭기능, 마이크 감도 상승 기능 및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수신신호강도 상승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된 물품의 위치추적 및 그 특정된 물품관련 필수설명을 수행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구비되는 물품용 태그들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도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용 태그들에서,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상기 물품용 태그들로부터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정보저장부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음성으로 출력되게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로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 등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은, 마이크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음성으로 출력되게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 시 추적요청된 물품용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검출된 상기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과 추적 요청된 물품용 태그 사이의 검출거리를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그 인지된 검출거리가 기지정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서, 그 인지된 검출거리가 기지정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와 연계되는 물품의 설명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이나 업무에 따른 다양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품 등에서 요구되는 필요설명을 거주자가 해당 소지품 또는 배송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위치확인 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에 구비되는 단말하우징 및 그 단말하우징에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크래들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된 물품의 위치추적 및 그 특정된 물품관련 필수설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은 크게 물품용 태그(100)들 및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물품용 태그(100)들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소지품이나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들 중 원하는 물품에 물품용 태그(100)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 중 특정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물품용 태그(100)들과 후술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 간에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지능통신이 적용되어진다.
즉, 소지하고 있는 소지품이나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에 물품용 태그(100)인 센서를 부착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개별 사물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는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은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워크(Smart Work)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이다. 즉, 세계 주요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는 사물지능 통신 서비스로는 카드결제기, 교통 시스템, 원격검침, 스마트 그리드 및 기상관제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융합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객체(장치)와 객체(장치) 간의 M2M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사물지능통신을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에 적용시킨 주된 이유는 사용자 특히 노약자 및 맹인을 포함하는 사회적 약자가 자신이 소지한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의 위치안내 및 위치안내를 받아 추적한 해당 물품의 복용이나 사용, 주문내역을 포함하는 물품관련 필수설명을 실시간으로 음성지원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물품용 태그(100)들이 부착되는 사용자의 소지품이나 판매품의 경우 노약자 및 맹인을 포함하는 사회적 약자를 위하여,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 및 건강보조식품 관련 복용설명, 전자부품이나 작동기계의 사용설명, 식당에서 판매하는 메뉴설명 또는 홍보용 제품 설명, 백화점과 같은 물품판매점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가격, 성능, 사용을 포함하는 판매물품 설명, 관광지 또는 유적지를 포함하는 명소의 관광자원설명, 공항이나 항만회사 버스 등에서 찾아야 하는 수하물에 구비되어 동일한 모양인 경우 식별하기 위해 자신의 수하물임을 안내하는 설명, 택배나 물류창고 등에 적재되는 판매품에 배송일자, 배송지 및 배송 주의 사항 등을 안내하는 설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물품이 위치한 장소 추적 및 그 추적된 물품관련 설명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특히, 후술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이 개인구매 제품이 아닌 기업용 단기렌탈 제품의 경우 쇼핑몰이나 백화점, 음식점, 면세점 등의 제품에 미리 부착되어있는 물품용 태그(100)(일예로,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종업원의 도움없이, 제품의 중요정보 사용법 및 가격 등을 기 설정된 음성으로 직접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들 중 추적하고자 하는 물품용 태그(100)가 특정되면, 상기 물품용 태그(100)들로부터 수신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정보저장부(240)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음성으로 출력되게 안내하는 단말부재이다.
이를 위해,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인 태그별 식별자정보 및 태그별 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인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정보저장부(240), 후술되는 정보통신부(250), 충전 배터리(260), USB포트(270) 및 제어부(28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이 단말하우징(201)에 탑재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세부구성은 정보 입력부(210), 정보출력부(220), 마이크(230), 정보저장부(240), 정보통신부(250), 충전 배터리(260), USB포트(270) 및 제어부(2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정보 입력부(210)는 소지자가 소지한 소지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 선택 및 상기 태그 식별자를 갖는 해당 소지품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입력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입력부(210)에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즉, 키패드로 적용되는 정보입력부(210)에는 단말하우징(201)에 탑재된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말하우징(201)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을 요청하는 전원키버튼(211), 볼륨조절을 요청하는 볼륨키버튼(212), 메뉴이동 또는 요청에 따른 수치를 가감조절하는 조작키버튼(213),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의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수행키버튼(214),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구동을 종료하고 초기 상태로 재설정을 요청하는 리셋키버튼(215) 및 잠금기능을 요청하는 홀드키버튼(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220)는 소지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의 표시 및 추적된 해당 물품의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음성으로 출력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출력부(220)에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LCD)(221)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222)를 통해 물품필수정보의 출력 시 주변에 소음이 있으면, 사용자가 잘듣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단말하우징(201)에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잭(202)이 구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240)는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인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같이 소지자가 소지한 소지품들 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하여, 소지자가 소지한 다수의 소지품들 중 소지자가 지정한 특정 소지품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그 추적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이 음성정보로 이루어진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저장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부(240)에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카드 타입의 메모리를 인식하는 메모리카드 슬롯(217)이 단말하우징(201)에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부(250)는 사용자의 물품들 중 특정된 물품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위치추적 및 그 추적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안내받는데 필요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통신부(250)에는 물품용 태그(100) 및 후술되는 사용자단말(300)과 유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혹은 매개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무선인터넷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 E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단, 근거리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근거리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260)는 상용전원과 같은 외부전원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재로서, 리튬-폴리머 충전배터리나 슈퍼콘덴서 등 다양한 충전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충전 배터리(260)에 충전 시 보다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크래들(29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90)은 후술되는 사용자단말(300)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과 사용자단말(300) 간의 데이터통신도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크래들(290)은 벽면결착용 크래들(290a)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벽면결착용 크래들(290a)은 네오디움 자석(291a)이 구비된 내측본체(292a)가 벽면에 결착되고, 벽면에 결착된 내측본체(292a)에 결합되는 외측본체(293a)가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외측본체(293a)에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이 수용되는 공간인 단말안치공간(294a)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금속판(204)이 내재되어 있어,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을 벽면결착용 크래들(290a)의 단말안치공간(294a)에 안치 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금속판(204)이 벽면결착용 크래들(290a)의 네오디움 자석(291a)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때, 네오디움 자석(291a)은 초강력 자성체로서, 자력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작은 체적으로도 강력한 자성을 갖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USB포트(270)는 충전 배터리(260)의 충전 또는 데이터통신을 위해 외부전원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어부(280)는 사용자가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 선택 및 그 태그 식별자를 갖는 해당 물품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입력, 출력 및 전송과 같이 소지자가 소지한 소지품들 마다 개별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물품들 중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물품의 위치 추적 및 그 추적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안내받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 저장관리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의 생성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마이크(230)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한다.
두 번째 예로, 사용자가 보유한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생성 가능하되, 사용자단말(3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이 개인용 컴퓨터인 PC(310) 경우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정보로서,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이 텍스트로 입력되면, TTS엔진을 운영하여, 그 입력되는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에 대한 텍스트를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케이블케이블연결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로 전송하면,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300)이 스마트폰(320)인 경우 스마트폰(320)은 마이크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면,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에서는 추적 요청한 물품의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위치추적을 요청할 때마다 출력 시 주변소음을 야기시키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에서는 물품용 태그(100)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 간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물품용 태그(100)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서 그 수신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검출된 신호세기의 강약에 따른 거리를 나타낸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로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 간의 근접거리를 나타내는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가 정보저장부(240)에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이후 물품용 태그(100)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해당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와 매칭하여 자신과 물품용 태그(100) 사이의 검출거리를 인지하며, 그 검출거리가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에서는 음성출력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의 소리를 증폭시키거나, 마이크 감도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수신신호강도의 세기를 증가시켜 주는 외부 디바이스(4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단말하우징(201)에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 디바이스(400)와 시리얼통신을 통해 접속되게 안내하는 하드웨어 확장포트(203)가 구비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 확장포트(203)에 스피커 증폭기능, 마이크 감도 상승 기능 및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수신신호강도 상승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들인 외부 디바이스(400)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된 물품의 위치추적 및 그 특정된 물품관련 필수설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을 조작하여,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구비되는 물품용 태그(200)들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 등록(S100)한다. 이는, 페어링을 통해 수행되어진다.
이후, 사용자는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 등록(S110)한다.
이후, 사용자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을 조작하여, 등록된 물품용 태그(200) 및 그 등록된 물품용 태그(100)가 구비되는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인 등록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의 물품들이 연결되는 정보를 설정(S210)한다.
이후, 사용자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을 조작하여, 자신이 찾고자 하는 해당 물품의 추적을 요청한 상태에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을 들고서 자택 내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서 물품용 태그(200)들로 부터 전송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제공한다.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200)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200)를 인식(S130)한다.
이때, 물품용 태그(200)들은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기설정주기마다 외부로 무선전송(S140)한다.
이에 따라,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물품용 태그(200)들로부터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200)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200)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S150)한다.
이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사용자가 소지한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200)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200)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2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S160)한다.
이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정보저장부(240)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S170)하여, 없으면 종료한다.
그리고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음성으로 출력되게 안내(S180)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 시 추적요청된 물품용 태그(200)로부터 수신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S181)한다.
이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검출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기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와 대비하여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과 추적 요청된 물품용 태그(100) 사이의 검출거리를 인지(S182)한다.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그 인지된 검출거리가 기지정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는지 확인(S183)하여, 그 인지된 검출거리가 기지정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지 않으면, 즉,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의 거리보다 검출거리가 더 멀면, 물품필수설명정보의 출력을 보류(S185)한다.
이후,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제어부(280)는 그 인지된 검출거리가 기지정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200)와 연계되는 물품의 설명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S184)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적요청한 해당 물품의 관련설명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게 제공한다.
100 : 물품용 태그 200 :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
201 : 단말하우징 202 : 이어폰 잭
203 : 하드웨어 확장포트 210 : 정보입력부
211 : 전원키버튼 212 : 볼륨키버튼
213 : 조작키버튼 214 : 녹음수행키버튼
215 : 리셋키버튼 216 : 홀드키버튼
217 : 메모리카드 슬롯 220 : 정보출력부
221 : 액정 222 : 스피커
230 : 마이크 240 : 정보저장부
250 : 정보통신부 260 : 충전 배터리
270 : USB포트 280 : 제어부
290 : 크래들 290a : 벽면결착용 크래들
291a : 네오디움 자석 292a : 내측본체
293a : 외측본체 294a : 단말안치공간
204 : 금속판 300 : 사용자단말
310 : PC 320 : 스마트폰
400 : 외부 디바이스

Claims (14)

  1. 사용자가 소지한 소지품 또는 판매품을 포함하는 물품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당 태그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태그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물품용 태그(100)들과;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들 중 추적하고자 하는 물품용 태그(100)가 특정되면, 상기 물품용 태그(100)들로부터 수신되는 태그별 식별자 신호들 중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가 존재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 있어서,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사용자의 물품들에 구비된 물품용 태그(100)의 식별자인 태그별 식별자정보 및 태그별 식별자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인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정보저장부(240)를 검색하여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출력되게 안내하며,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텍스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TTS엔진이 탑재된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입력되는 텍스트정보로서,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이 텍스트로 입력되면, 상기 TTS엔진을 운영하여, 그 입력되는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에 대한 텍스트를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보저장부(240)에는, 물품용 태그(100)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 간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물품용 태그(100)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한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서 그 수신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검출된 신호세기의 강약에 따른 거리를 나타낸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로서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후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 간의 근접거리를 나타내는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를 인지하였다는 정보의 출력 이후 상기 물품용 태그(100)로부터 송신되는 태그별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해당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별 거리정보와 매칭하여 자신과 물품용 태그(100) 사이의 검출거리를 인지하며, 그 검출거리가 상기 정보저장부(240)에 저장된 물품필수설명 출력요청용 설정거리정보에 해당되면, 추적 요청된 해당 물품용 태그(100)와 연계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정보입력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정보저장부(24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이 탑재되는 단말하우징(201);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입력부(210)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하우징(201)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을 요청하는 전원키버튼(211); 볼륨조절을 요청하는 볼륨키버튼(212); 메뉴이동 또는 요청에 따른 수치를 가감조절하는 조작키버튼(213);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에 해당하는 음성의 녹음을 수행하는 녹음수행키버튼(214);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의 구동을 종료하고 초기 상태로 재설정을 요청하는 리셋키버튼(215); 및 잠금기능을 요청하는 홀드키버튼(2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에는, 마이크(230);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상기 마이크(230)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필수설명정보는, 음성정보이고,
    마이크가 탑재된 사용자단말(300);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상기 마이크를 운영하여, 물품용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과 관련된 필수설명을 음성으로 입력받아 음성정보인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물품 필수정보안내단말(200)은, 전송되는 물품필수설명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240)에 해당 물품용 태그(100)의 태그별 식별자정보와 연계하여 저장관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하우징(201)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잭(20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하우징(201)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 디바이스(400);와 시리얼통신을 통해 접속되게 안내하는 하드웨어 확장포트(203);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400)는, 스피커 증폭기능, 마이크 감도 상승 기능 및 태그별 식별자신호의 수신신호강도 상승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34893A 2019-03-27 2019-03-27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93A KR102156370B1 (ko) 2019-03-27 2019-03-27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93A KR102156370B1 (ko) 2019-03-27 2019-03-27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370B1 true KR102156370B1 (ko) 2020-09-15

Family

ID=724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93A KR102156370B1 (ko) 2019-03-27 2019-03-27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615A (ko) * 2012-01-09 2013-07-17 유현종 개인 휴대용 핫스팟 확장용 이어폰잭 보호장치
KR101313563B1 (ko) * 2012-09-20 2013-10-01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멀티콘센트
KR20190001866A (ko) * 2017-06-28 2019-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물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954877B1 (ko) 2018-10-10 2019-03-06 김경원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 그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615A (ko) * 2012-01-09 2013-07-17 유현종 개인 휴대용 핫스팟 확장용 이어폰잭 보호장치
KR101313563B1 (ko) * 2012-09-20 2013-10-01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멀티콘센트
KR20190001866A (ko) * 2017-06-28 2019-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물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954877B1 (ko) 2018-10-10 2019-03-06 김경원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 그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173B2 (en) Index of everyday life
US9836103B2 (en) Wireless personal tracking device
US8199014B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track of portable items by means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754548B1 (ko) 전자 태그 위치 측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8165287A1 (en) Order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50054290A1 (en) Rules bas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notification messages based on the proximity of electronic devices to one another
JP6723420B2 (ja) 個人が設定した物品の位置を追跡する端末、その個人が設定した物品の位置を追跡する端末を用いた位置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22114B1 (ko) Rfid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US10499754B2 (en) Sensing device for shopping cart
AU2021272546B2 (en) Product location system
KR102156370B1 (ko) 개인이 설정한 물품의 위치 및 설명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02922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차량/사용자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14556455A (zh) 使用短程通信的射频识别(rfid)标签位置验证
WO200714545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inpointing a tag's lo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utilizing both of them
US10848923B2 (en) User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EP3136310A1 (en) Automatic digital ticket selection system
Vora et al. Review on RFID based Audio Tour Guide with NFC Monitoring Function
JP2013069028A (ja) 携行品における探し物の所在位置確認システム
KR101755932B1 (ko) 비콘을 이용한 소지품 점검 장치
US11508226B2 (en) Inventory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ID tags
KR101860434B1 (ko) 콘텐츠 모니터링 장치
US20170053229A1 (e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0740332B1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전원을 이용한 고객 위치감지장치및 그 방법
EP4207021A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id tags
KR2017009248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