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291B1 -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291B1
KR102156291B1 KR1020130092664A KR20130092664A KR102156291B1 KR 102156291 B1 KR102156291 B1 KR 102156291B1 KR 1020130092664 A KR1020130092664 A KR 1020130092664A KR 20130092664 A KR20130092664 A KR 20130092664A KR 102156291 B1 KR102156291 B1 KR 10215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area
electronic document
encrypt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787A (ko
Inventor
진성훈
강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91B1/ko
Priority to US14/293,256 priority patent/US10146949B2/en
Priority to EP14179318.2A priority patent/EP2843586A1/en
Publication of KR2015001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문서의 일부를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가,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을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자 문서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전자 문서의 부분 암호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ENCRYPTING SOME AREAS OF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은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암호화 영역을 설정하고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문서의 암호화에는 크게 2개의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문서에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문서 자체를 암호화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방식인, 문서의 접근 권한 설정은, 문서의 헤더 부분에 접근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암호를 저장해 놓고, 워드프로세서 등의 편집기로 문서를 열 때, 컴퓨터 단말기로 입력한 암호가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문서를 열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를 열지 못하게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방식이다. 문서의 접근 권한 설정은,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지만, 암호를 알지 못해도, 해킹 도구 등으로 간단하게 문서 내용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은 취약한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인, 문서 자체의 암호화는, 문서의 내용 자체를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이 뛰어나나, 대용량의 파일인 경우 문서를 복호화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암호를 잊어버릴 경우, 문서를 영원히 복구할 수 없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문서 자체의 암호화는 워드프로세서 등의 편집기에서 자체 지원하기도 하고, 문서 파일 자체를 암호화하는 별도의 유틸리티 프로그램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문서의 암호화는 문서 전체에 대해 적용되므로, 문서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비효율적이며, 문서의 내용 자체를 암호화할 경우 이를 복호화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도 문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여, 암호화 영역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하고 열람 권한을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이식 문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문서를 축소하고 암호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이식 문서 디스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백지 영역에 메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을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전자 문서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영역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제2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시키는 단계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 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시키는 단계는,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제1 지점은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제1 지점부터 제2 지점까지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백지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블러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는, 노트, 링크, 주석,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하는 방법은,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을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자 문서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하고, 제1 영역은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 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제1 지점부터 제2 지점까지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백지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블러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는,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의 암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에 따른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활성화된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기능이 활성화된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기능이 활성화된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단말을 제어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행하는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매우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패닝(panning)"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매우 빠르게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핀치(pinch)”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화면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낸다. 오브젝트 또는 페이지의 확대(Pinch Open) 또는 축소(Pinch Close)를 위한 제스처이며, 두 손가락의 거리에 따라 확대값이나 축소값이 결정된다.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는 문서를 구성하는 각 페이지 또는 여러 페이지의 집합에 해당하는 개체이다. 이하 설명에서 각 페이지 또는 여러 페이지를 나타내는 2 차원 그래픽 개체, 예를 들어, 직사각형 오브젝트로 표현된다. 문서 페이지는, 이미지와 문자가 포함된 문서의 일부이거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윈도우,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나 워드 프로세서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는 어떠한 내용을 포함 할 수 있고, 공백일 수도 있다.
한편,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의 암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00에서, 장치는,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문서”는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어 송, 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 형식의 자료를 의미한다. 또한, 이미 작성된 문서뿐만 아니라, 작성 중인 문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문서에는 종이 문서를 본뜬 것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든 이미지 또는 문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사진이나 웹 브라우저,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도 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문서 내용에 어떠한 내용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문서는 스크린상에 변형 없이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110에서, 장치는,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며, 일례로 드래그 입력, 플릭 입력, 탭 입력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대한 입력은 각각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핀치 입력과 같이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신호가 마우스 입력인 경우, 마우스의 커서가 제1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클릭한 후, 순차적으로 마우스의 커서가 제2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클릭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마우스 커서를 제1 지점에서부터 제2 지점으로 드래그&드랍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화면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의 일부 영역을 손가락 또는 전자펜으로 터치한 채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이 최초 시작된 지점이 제1 지점이 되고, 드래그 동작 완료 후 드랍 동작이 이루어진 시점이 제2 지점이 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지점을 포함한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제2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1 영역을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는 제1 이동 모드 및 제2 이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3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단계 120에서, 장치는, 제1 지점의 인접 영역을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하는 제1 지점의 인접 영역은 제1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 방식에는 평행이동, 대칭이동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점(400)의 인접 영역(430)이 제2 지점(4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를 참조하면, 제1 지점(600)의 인접 영역(630)이 제2 지점(6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단계 130에서, 장치는 전자 문서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된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의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는,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백지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블러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40에서, 장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패스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패턴 인식 방식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지정된 암호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서 내 복수의 암호화 영역 각각에 대하여 암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암호화를 위한 입력 버튼 하나만으로 간단하게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지정된 암호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암호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서 전체에 걸쳐서 제1 사용자에게만 개시하는 부분은 제1 패스워드를 적용하고, 제2 사용자에게만 개시하는 부분은 제2 패스워드를 적용하고,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모든 사용자에게 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에 따른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200에서, 장치는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며, 일례로 드래그 입력, 플릭 입력, 탭 입력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대한 입력은 각각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핀치 입력과 같이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화면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의 일부 영역을 손가락 또는 전자펜으로 터치한 채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동작이 최초 시작된 지점이 제1 지점이 되고, 드래그 동작 완료 후 드랍 동작이 이루어진 시점이 제2 지점이 될 수 있다.
단계 210에서, 장치는 제1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모드를 결정은, 제1 지점이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즉,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 경우 제1 이동 모드로, 나머지 경우는 제2 이동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이동 모드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장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이동 모드는,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제1 영역이 이동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 값으로 이동 모드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220에서, 제1 지점이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제1 이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장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이동 모드인 경우 암호화 영역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제1 영역과 겹쳐진 영역으로 결정된다.
단계 230에서, 대칭이동한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는, 노트, 링크, 주석,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 문서의 콘텐츠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문서에 대해 필요한 메모 입력이 가능하다.
단계 240에서, 제2 이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이동 모드인 경우 암호화 영역은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 사이의 영역으로 결정된다.
단계 250에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패스워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패턴 인식 방식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지정된 암호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서 내 복수의 암호화 영역 각각에 대하여 암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암호화를 위한 입력 버튼 하나만으로 간단하게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지정된 암호가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암호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서 전체에 걸쳐서 제1 사용자에게만 개시하는 부분은 제1 패스워드를 적용하고, 제2 사용자에게만 개시하는 부분은 제2 패스워드를 적용하고,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모든 사용자에게 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300에서, 장치는,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이 패스워드 방식인 경우, 인증 정보는 패스워드일 수 있다.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해 패턴 인식 방식을 취한 경우, 인증 정보는 패턴 입력일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장치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암호화 영역 각각에 대해 다른 암호를 부여한 경우, 암호화 영역 각각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암호가 적용된 경우,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한 잠금 모드 해제를 실행하기 위하여 한 번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스워드 방식을 취한 경우,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수신한 패스워드와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스워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스워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 인식 방식을 취한 경우,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수신한 패턴 입력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턴 입력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과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턴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장치는, 인증 절차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스워드 방식을 취한 경우, 인증 결과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수신한 패스워드와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스워드가 동일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증 결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스워드가 동일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 인식 방식을 취한 경우, 인증 결과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수신한 패턴 입력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하여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턴 입력이 동일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증 결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과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턴이 동일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영역 각각에 대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경우, 인증 절차가 수행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만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암호가 적용된 경우,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한 잠금 모드 해제를 실행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경우, 동일한 암호가 적용된 암호화 영역 전체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전자 문서 전체에 대하여 지정된 암호가 제1 패스워드 및 제2 패스워드로라면, 인증 정보로써 수신한 패스워드가 제1 패스워드와 동일한 경우, 제1 패스워드를 적용한 암호화 영역 전체에 대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패스워드를 적용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는 여전히 잠금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장치는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은, 도 1의 단계 120에서 제1 지점과 인접한 영역이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암호화 영역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단계 120에서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펼쳐지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잠금 모드를 해제하여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열람한 뒤, 암호화 영역을 새로 설정할 필요 없이,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어, 쉽고 효율적인 문서 관리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지점(400) 및 제2 지점(4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제1 지점(4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제1 지점이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440)에 위치하는 경우는 제1 이동 모드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430)은 전자 문서의 제1 지점(400) 및 제2 지점(410) 사이의 경계선(420)을 기준으로 대칭이동한다. 장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430)이 대칭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400)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지점(500) 및 제2 지점(5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제1 지점(5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제1 지점(500)이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540)에 위치하는 경우는 제1 이동 모드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지점(500)이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꼭짓점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550)에 위치하는 경우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대각선 방향으로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30)은 전자 문서의 제1 지점(500) 및 제2 지점(510) 사이의 경계선(520)을 기준으로 대칭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계선(520)은 제1 지점(500) 및 제2 지점(510)을 연결하는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일 수 있다. 또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530)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530)의 이동 방향과 경계선(520)의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지점(600) 및 제2 지점(6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제1 지점(6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제1 지점(600)이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640)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이동 모드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630)은 제2 지점(610)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장치는 제1 지점(600)을 지나는 제1 직선(650)과, 제2 지점(610)을 지나고 제1 직선(650)과 평행한 제2 직선(660)이 만나도록,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630)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지점(700) 및 제2 지점(7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제1 지점(7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하는 경우, 제1 지점(700)이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740)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이동 모드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지점(700) 및 제2 지점(710)을 연결하는 선분과 가로 방향의 수평선과의 각도 차이가 소정의 값 내인 경우, 제1 직선(750)은 세로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730)은 제2 지점(710)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장치는 제1 지점(700)을 지나는 제1 직선(750)과, 제2 지점(710)을 지나고 제1 직선(750)과 평행한 제2 직선(760)이 만나도록,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730)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활성화된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영역(800)은 백지 처리 될 수 있고, 잠금 모드가 활성화되었다는 아이콘(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영역(800)은 모자이크 처리 될 수 있고, 잠금 모드가 활성화되었다는 아이콘(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영역(800)은 블러링 처리 될 수 있고, 잠금 모드가 활성화되었다는 아이콘(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기능이 활성화(910, 1010)된 전자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 모드인 경우, 장치는 대칭이동한 제1 영역(900, 1000)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는, 노트, 링크, 주석,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 문서의 콘텐츠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문서에 대해 필요한 메모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문서를 제1 이동 모드에 의한 이동 후 잠금 모드를 활성화(910, 1010) 시킬 수 있다. 또한,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 됨에 따라, 대칭이동한 제1 영역(900, 1000)에 새롭게 백지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영역(900, 1000)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사용자는 제1 영역(900, 1000)에 메모 입력(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을 할 수 있다. 제1 영역(900, 1000)에 입력된 메모는 모든 사용자에게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여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문서의 암호화 영역이 개시될 수 있다. 암호화 영역이 개시됨에 따라, 메모가 입력된 영역인 제1 영역(900, 1000)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문서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메모를 열람하기 위한 메모 열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모 열람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하면, 장치는 제1 영역(900, 1000)에 입력된 메모 내용을 개시하는 새로운 창을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는 제2 이동 모드에 의한 이동 후 잠금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일 수 있다. 장치는 인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창(11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잠금 모드 해제 입력을 위한 버튼(1110)을 탭하면, 인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창(1100)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인증 정보 입력창(1100)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인증 절차 결과에 따라, 열람 권한이 인증된 경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암호화 단계에서 제1 영역이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영역을 이동시킴에 따라 암호화 영역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펼쳐지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암호화 영역(1120)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1120)에 대해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버튼(11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입력부(1200), 제어부(1210), 디스플레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장치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입력부(1200)는,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0)는 키 패드(key pad), 마우스,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2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입력부(1200)는, 화면(또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예컨대, 드래그 제스처, 탭 제스처, 플릭 제스처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0)는, 화면(또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의 핀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200)는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통상적으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10)는, 입력부(1200), 디스플레이부(1220), 메모리(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이동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에는, 제1 이동 모드 및 제2 이동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10)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이동 모드가 제1 이동 모드인지 제2 이동 모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이동 모드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제1 지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10)는,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지점의 인접 영역을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10)는,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하고, 제1 영역을 제2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10)는,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된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이동 모드가 제1 이동 모드인 경우,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메모는, 노트, 링크, 주석,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인증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1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0)는,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20)는, 전자 문서를 화면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22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0)는,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20)는, 확인된 이동 모드에 따라, 제1 영역이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20)는, 확인된 이동 모드가 제1 이동 모드인 경우,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이 대칭이동 함에 따라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20)는, 확인된 이동 모드가 제2 이동 모드인 경우,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제2 지점을 지나고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 앤 드랍 입력 방식을 취하는 경우, 제1 영역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0)는,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된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잠금 모드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영역에 대한 잠금 모드 해제 입력을 위한 버튼(11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잠금 모드 해제 입력을 위한 버튼(1110)을 탭하면, 인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창(11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경우, 암호화 영역이 개시된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20)는 암호화 단계에서 제1 영역이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영역을 이동시킴에 따라 암호화 영역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펼쳐지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제어부(1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미도시)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전자 문서의 부분 암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제1이동 모드 또는 제2이동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이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1영역을 상기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 중 상기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1 영역이 경계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동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이동 모드는 제 1 지점을 지나는 제1직선과, 상기 제2지점을 지나고 상기 제1직선과 평행한 제2직선이 만나도록 상기 제 1 영역이 이동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이 대칭이동 함에 따라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지점을 지나고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백지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블러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는, 노트, 링크, 주석, 및 북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상기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방법.
  13. 전자 문서의 부분 암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자 문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지점이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제1이동 모드 또는 제2이동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1영역을 상기 제2 지점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자 문서 중 상기 이동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영역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1 영역이 경계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이동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이동 모드는 제 1 지점을 지나는 제1직선과, 상기 제2지점을 지나고 상기 제1직선과 평행한 제2직선이 만나도록 상기 제 1 영역이 이동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전자 문서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이 대칭이동 함에 따라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지점을 지나는 제1 직선과, 상기 제2 지점을 지나고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이 만나도록, 상기 전자 문서의 문서 페이지 오브젝트가 접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백지 처리, 모자이크 처리 및 블러링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전자 문서의 콘텐츠 중 상기 암호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콘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한 열람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암호화 영역을 개시한 상기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기 암호화 영역에 대하여 다시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92664A 2013-08-05 2013-08-05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64A KR102156291B1 (ko) 2013-08-05 2013-08-05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4/293,256 US10146949B2 (en) 2013-08-05 2014-06-02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rea of electronic document
EP14179318.2A EP2843586A1 (en) 2013-08-05 2014-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an Area of Electronic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64A KR102156291B1 (ko) 2013-08-05 2013-08-05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87A KR20150016787A (ko) 2015-02-13
KR102156291B1 true KR102156291B1 (ko) 2020-09-15

Family

ID=5126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64A KR102156291B1 (ko) 2013-08-05 2013-08-05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46949B2 (ko)
EP (1) EP2843586A1 (ko)
KR (1) KR102156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2429B2 (en) * 2016-12-14 2021-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henticating a user subvocalizing a displayed text
US11222063B2 (en) * 2019-04-03 2022-01-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query adjustment based on data protection configur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163A1 (en) 2004-04-15 2005-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ve encryption within documents
US20100119067A1 (en) * 2007-05-31 2010-05-13 Pfu Limited Electronic document encrypting system, decrypting system, progra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9982B2 (en) 2000-12-21 2006-11-21 Xerox Corporation Navig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virtual three-dimensional books
JP4539479B2 (ja) 2005-07-27 2010-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媒体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媒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55560A1 (en) * 2005-08-26 2007-03-08 Quinn Eugene R Jr Document creation and review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8037411B2 (en) * 2008-03-03 2011-10-11 Xerox Corporation Methods for removing imaging artifacts when folding 3D objects that represent duplex media
KR20100123108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426422B2 (ja) * 2010-02-10 2014-02-26 株式会社Pfu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385473A (zh) 2010-09-02 2012-03-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切换方法和装置
US20120131471A1 (en) 2010-11-18 2012-05-24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privacy of content
US8997025B2 (en) 2010-11-24 2015-03-31 Fuji Xerox Co., Ltd.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ocument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folding gesture technique on a multi-touch display
KR101748665B1 (ko) * 2010-12-20 2017-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9727176B2 (en) * 2011-06-21 2017-08-08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ensor pattern
EP2587361A3 (en) 2011-10-25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KR20130050606A (ko)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독서 실행 방법 및 장치
US9734132B1 (en) * 2011-12-20 2017-08-15 Amazon Technologies, Inc. Alignment and reflow of displayed character im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163A1 (en) 2004-04-15 2005-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ve encryption within documents
US20100119067A1 (en) * 2007-05-31 2010-05-13 Pfu Limited Electronic document encrypting system, decrypting system, program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ikat Basu, "Microsoft Word 2007에서 텍스트 숨기기 방법", 2009.1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87A (ko) 2015-02-13
US10146949B2 (en) 2018-12-04
US20160117516A1 (en) 2016-04-28
EP2843586A1 (en)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47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99719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8902181B2 (en) Multi-touch-movement gestures for tablet computing devices
EP355739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335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executing command through gesture input
US11636192B2 (en) Secure login with authentication based on a visual representation of data
US20150199125A1 (en) Displaying an application image on two or more displays
KR102521333B1 (ko)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164454B1 (ko)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968444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40143688A1 (en) Enhanced navigation for touch-surface device
US20130154952A1 (en) Gesture combining multi-touch and movement
JP5951886B2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Rivu et al. GazeButton: enhancing buttons with eye gaze interactions
EP3491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ouchscreen user interface for a collaborative editing tool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6291B1 (ko) 전자 문서의 일부 영역을 암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19579A1 (en) Method of turning over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by use of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US201403801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08315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74717A (ja) 情報端末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5022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TR201812358U5 (tr) Mobil Cihazlar İçin Geliştirilmiş Arka Dokunmatik Kontrol Paneli
KR1020687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