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576B1 -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576B1
KR102155576B1 KR1020200023291A KR20200023291A KR102155576B1 KR 102155576 B1 KR102155576 B1 KR 102155576B1 KR 1020200023291 A KR1020200023291 A KR 1020200023291A KR 20200023291 A KR20200023291 A KR 20200023291A KR 102155576 B1 KR102155576 B1 KR 10215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invert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채봉
장성택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비엠 filed Critical (주)에이비엠
Priority to KR10202000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식접속반 내부에 입력스위치부, 직렬스위치부 및 병렬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제어부에서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발명은 태양광을 집적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 어레이부; 어레이부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부,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부, 확장식접속반부를 상호 연결하는 병렬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확장식접속반; 각 확장식접속반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직류상태로 전송된 전력을 교류상태로 변환하는 다수의 인버터; 어레이부와 입력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력센서, 어레이입력스위치와 직렬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어레이부, 인버터의 전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에서 전송한 정보를 전송받아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expandable connection panel}
본 발명은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식접속반 내부에 입력스위치부, 직렬스위치부 및 병렬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제어부에서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법으로서, 여러개의 태양 전지들이 붙어있는 태양광 패널을 대규모로 펼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재생가능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 전지와 태양전지 어레이의 생산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는 계통연계형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서 태양광 전기에 대한 특혜적인 기준가격 의무구매제와 요금상계제 같은 재정적인 장려 정책을 호주, 독일, 이스라엘, 일본 및 미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지원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은,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태양 전지를 사용해서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무공해ㆍ무한정한 태양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점 등으로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청정에너지이며, 가동부분이나 고온, 고압의 부분이 없고, 보수가 용이하며, 무인화가 가능하며, 무한정한 에너지원이며, 양산성이 높고, 필요에 따라 소규모에서 대규모 시스템까지 설치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발전량이 일사시간에 좌우되고, 대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면적이 필요하며, 상용전력에 비해 고가이고, 직류전력이 먼저 얻어지는 점 등에 유의해야 한다.
태양전지는 그 자체만으로는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기기 등은 전기를 축전하는 전원 컨트롤 장치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배터리는 낮 시간 동안 태양전지로부터 발전된 전류를 충전하고, 전기가 필요하게 될 때 공급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은 상용전력계통과의 연계 여부에 따라 독립형 (stand-alone) 시스템과 계통연계형(grid(utility)-connected)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독립형 시스템은 계통선이 보급되지 않는 산간벽지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주간에 발생시켜 사용하고 남은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사용한다. 예로는 낙도전원, 가로등, 관개용수용 펌프시스템등이 있다
계통연계형 시스템은 상용전원 등의 계통선이 공급되는 지역에서 태양광으로 발전된 전기와 함께 전력 회사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다. 태양광으로 발전되지 않는 시간에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태양광으로 발전하여 전기를 사용하고도 남는 경우에는 전력 계통에 거꾸로 흘려 보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저발전 상황에서도 다수개의 인버터를 모두 사용하여 정격용량에 못 미치는 발전효력 공급으로 인버터의 전력변환 손실이 발생하여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전상황에 맞게 가동하는 인버터의 수를 제어하고 인버터 및 어레이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 자동으로 대처하여 발전시스템 운용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240534호(2013.03.1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확장식접속반 내부에 입력스위치부, 직렬스위치부 및 병렬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제어부에서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집적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 어레이부; 어레이부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부,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부, 확장식접속반부를 상호 연결하는 병렬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확장식접속반; 각 확장식접속반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직류상태로 전송된 전력을 교류상태로 변환하는 다수의 인버터; 어레이부와 입력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력센서, 어레이입력스위치와 직렬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어레이부, 인버터의 전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에서 전송한 정보를 전송받아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센서가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력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서 입력스위치 및 직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병렬스위치를 개방하여 인버터를 전부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력센서가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서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 및 병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하나의 직렬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직렬스위치를 열어 단일 인버터만을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전력센서가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 정격용량 2배 이하인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병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하나의 직렬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직렬스위치를 열며,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가 되도록 입력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여 단일 인버터만을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어레이부 및 인버터에서 동작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어레이부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어레이와 연결된 입력스위치를 차단하고,인버터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인버터와 연결된 직렬스위치를 차단하여, 어레이 및 인버터의 비정상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부의 온도센서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스트링과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를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의 정격용량대비 인버터의 효율저하폭을 감소시키고, 상황에 따라 제어부에서 스위치를 개폐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반의 접속방식과 본 발명의 확장식접속반의 접속방식을 비교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확장식접속반 접속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입력전력의 세기가 설정전력 이상인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이하인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순간적으로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어레이 중 일부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인버터 중 일부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온도센서에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각 구성요소와 제어부간의 연결관계를 도사한 도면
도 10은 발전량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변환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반의 접속방식과 본 발명의 확장식접속반의 접속방식을 비교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확장식접속반 접속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입력전력의 세기가 설정전력 이상인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이하인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순간적으로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어레이 중 일부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인버터 중 일부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 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온도센서에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개폐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각 구성요소와 제어부간의 연결관계를 도사한 도면, 도 10은 발전량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변환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어레이부(100), 확장식접속반(200), 인버터(400), 센서부(3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어레이부(100)는 태양광을 집적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확장식접속반(200)은, 입력스위치부(210), 직렬스위치부(220) 및 병렬스위치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입력스위치부(210)는 어레이부(100)와 연결되어 있고, 직렬스위치부(220)는 인버터(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병렬스위치부(230)는 확장식접속반(200)을 상호 연결한다.
인버터(400)는 각 확장식접속반(200)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직류상태로 전송된 전력을 교류상태로 변환시킨다.
센서부(300)는 전력센서(310) 및 온도센서(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력센서(310)는 어레이부(100)와 입력스위치(210) 사이에 위치하여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하고, 온도센서(320)는 입력스위치와 직렬스위치의 시아에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어레이부(100), 인버터(400)에서 동작정보를 전송받고, 전력센서(310) 및 온도센서(320)를 포함한 센서부에서 전송한 정보를 전송받아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 직렬스위치 및 병렬스위치를 포함한 스위치의 개폐여부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센서(310)가 어레이부(100)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전력센서(310)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의 세기에 따라 제어부(600)는 확장식접속반(200) 내부의 입력스위치(210), 직렬스위치(220) 및 병렬스위치(230)의 개폐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센서(310)에 의하여 측정된 어레이부(100)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제어부(600)에서 설정된 전력 이상인 경우, 제어부(600)가 입력스위치(210) 및 직렬스위치(220)를 모두 닫고, 병렬스위치(230)를 개방하여 인버터(400)를 모두 가동시킨다.
즉, 어레이부(100)에서 발전되는 발전출력이 높은 경우, 입력스위치(210)를 모두 연결시켜 어레이부(10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모두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시키고, 병렬스위치(230)를 개방하여 확장식접속반(200) 상호간의 연결을 차단하며, 직렬스위치(220)를 모두 연결시켜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되는 전력을 모두 인버터(400)로 입력시켜 모든 인버터(400)를 가동시킨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전력센서(310)에 의하여 측정된 어레이부(100)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400)의 정격용량 이하인 경우, 제어부가 입력스위치 및 병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하나의 직렬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직렬스위치를 열어 단일 인버터만을 가동하게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전력센서(310)에 의하여 측정된 어레이부(100)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인 경우, 제어부(600)가 입력스위치(210) 및 병렬스위치(230)를 모두 닫고, 하나의 직렬스위치(220)를 제외한 나머지 직렬스위치를 열어 단일 인버터만을 가동하게 한다.
즉, 어레이부(100)에서 발전되는 발전출력이 낮은 경우, 입력스위치(210)를 모두 연결시켜 어레이부(10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모두 확장식접속반(200)으로 입력시키고, 병렬스위치(230)를 모두 연결하여 확장식접속반(200)을 모두 상호 연결시키며, 직렬스위치(220)를 모두 차단하고 가동할 인버터(400)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220)만을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400)만을 가동하게 한다.
발전출력이 낮은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 하나의 특정 인버터 만을 계속적으로 가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이 경과 후 제어부에서 직렬스위치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계속하여 가동되었던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를 개방하고, 휴지기가 가장 길었던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를 닫아 개별인버터의 휴지기를 확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출력이 낮은 경우, 모든 인버터를 가동하면 도 10과 같이 전력변환효율이 감소하여 전력 변환 손실이 발상하는바,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고 개별인버터의 휴지기를 확보하여 인버터의 가동시간을 단축하여 인버터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전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를 열어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가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가 되도록하고, 전력셍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으로 소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를 닫고, 병렬스위치를 열고, 직렬스위치를 닫아 다수대의 인버터를 가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순간적으로 입력전력의 세기가 증가한 경우에는 바로 인버터를 추가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스위치를 열어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가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가 되도록하여, 단일인버터만을 가동시키고, 입력전력의 세기가 정격용량 이상으로 소정시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열었던 입력스위치를 닫아 입력전력 모두가 확장식접속반 내부로 입력되도록 하고, 병렬스위치를 열고 직렬스위치를 닫아 2대 이상의 인버터를 가동하도록 한다.
즉, 순간적으로 입력전력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병렬스위치를 모두 연결하여 확장식접속반을 상호 모두 연결시키고, 직렬스위치를 모두 차단하고 가동할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만을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만을 가동하게 하며,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에 근접하도록 입력스위치를 일부 차단하여 하나의 인버터만을 가동하게 한다.
입력전력이 지속적으로 인버터의 정격용량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두대의 인버터를 가동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순간적으로 인버터의 정격용량이상으로 올랐다가 다시 정격용량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두대의 인버터를 가동하였다가 다시 하나의 인버터를 가동하는 것이 효율이 더 떨어지므로, 입력전력이 지속적으로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두대의 인버터를 가동하게 하여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어레이부 및 인버터에서 동작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어레이부 및 인버터에서 전송받은 동작정보에 따라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어레이부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어레이와 연결된 입력스위치를 차단하고, 인버터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인버터와 연결된 직렬스위치를 차단하여 어레이 및 인버터의 비정상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의 온도센서는 어레이부와 입력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스트링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서부(300)의 온도센서(310)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600)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스트링과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210)를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어레이부 200 - 확장식접속반
210 - 입력스위치부 220 - 직렬스위치부
230 - 병렬스위치부 300 - 센서부
310 - 전력센서 320 - 온도센서
400 - 인버터 500 - 수배전반
600 - 제어부

Claims (6)

  1. 태양광을 집적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포함한 어레이부;
    어레이부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부,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부,
    확장식접속반부를 상호 연결하는 병렬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병렬스위치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확장식접속반;
    각 확장식접속반과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며, 직류상태로 전송된 전력을 교류상태로 변환하는 다수의 인버터;
    확장식접속반 내부에 위치하며,
    어레이부와 입력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력센서,
    어레이부와 입력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는 센서부;
    어레이부, 인버터의 전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한 센서부에서 전송한 정보를 전송받아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스위치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확장식 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센서가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제어부에서 설정된 전력 이상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서 입력스위치 및 직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병렬스위치를 개방하여 인버터를 전부 가동하는 것; 및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서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 및 병렬스위치를 모두 닫고, 하나의 직렬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직렬스위치를 열어 단일 인버터만을 가동하는 것
    을 포함하고,
    단일인버터를 가동할 때, 특정 인버터가 소정시간 이상 가동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직렬스위치를 제어하여 소정시간 이상 가동된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를 개방하고, 최장 휴지기 상태인 인버터와 연결되어 있는 직렬스위치를 닫아 인버터의 휴지기를 확보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전력센서가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를 열어 어레이에서 생성되어 확장식접속반으로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가 단일인버터의 정격용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 및
    전력센서에 의해서 센싱되는 입력전력의 세기가 단일 인버터의 정격용량 이상으로 소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확장식접속반 내부의 입력스위치를 닫고, 병렬스위치를 열고, 직렬스위치를 닫아 다수대의 인버터를 가동시킬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어레이부 및 인버터에서 동작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어레이부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어레이와 연결된 입력스위치를 차단하고,
    인버터에서 전송받은 동작상태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비정상동작상태 신호를 전송한 인버터와 연결된 직렬스위치를 차단하여,
    어레이 및 인버터의 비정상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센서부의 온도센서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에서 이상온도가 감지되는 스트링과 연결되어 있는 입력스위치를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00023291A 2020-02-26 2020-02-26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15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91A KR102155576B1 (ko) 2020-02-26 2020-02-26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91A KR102155576B1 (ko) 2020-02-26 2020-02-26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76B1 true KR102155576B1 (ko) 2020-09-14

Family

ID=7247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291A KR102155576B1 (ko) 2020-02-26 2020-02-26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90A (ko) * 2020-09-22 2022-03-30 주식회사 현태 태양광 발전시설의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719A (ko) * 2012-04-13 2013-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통연계형 멀티스트링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
KR101913546B1 (ko) * 2018-07-04 2018-10-30 세종솔젠텍(주) 화재예방 및 차단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719A (ko) * 2012-04-13 2013-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통연계형 멀티스트링 태양광 인버터 시스템
KR101913546B1 (ko) * 2018-07-04 2018-10-30 세종솔젠텍(주) 화재예방 및 차단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90A (ko) * 2020-09-22 2022-03-30 주식회사 현태 태양광 발전시설의 관리 시스템
KR102480440B1 (ko) * 2020-09-22 2022-12-30 주식회사 현태 태양광 발전시설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5920C2 (ru)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торая максимизирует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озобновляемой энергии
KR101510986B1 (ko) 기동 조건 검출을 위한 보조발전장치를 갖는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229960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264142B1 (ko) 가정과 마이크로그리드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시스템
KR101469904B1 (ko) 에너지 저장장치가 구성된 태양광 발전 설비의 통합전력제어반 모드 제어시스템
WO2014192015A2 (en)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port modular pv inverter
JP6190224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KR101794837B1 (ko) 태양광 발전기의 충·방전 제어 유닛 시스템
KR20140111118A (ko) 최대수요전력 보상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02046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2155576B1 (ko) 확장식접속반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60001086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계통연계 시스템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GB2429343A (en) Low voltage power supply system
EP2797198A1 (en) Charging/discharging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system using same
CN203312826U (zh) 光伏智能全网发电系统
Bayhan Predictive load shedding method for islanded AC microgrid with limited generation sources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GB2541431A (en) On-grid battery storage system
JP2013153572A (ja)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RU19111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дключения и переключения источников питания нагрузки для гибридных электростанций на базе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одулей,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и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ДГУ)
WO2017197437A1 (en) Solar energy collection system
KR101557847B1 (ko) 가정용 소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3423531U (zh) 光电建筑微电网管理系统
CN110932332A (zh) 一种分布调控式太阳能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