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829B1 -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829B1
KR102154829B1 KR1020190174368A KR20190174368A KR102154829B1 KR 102154829 B1 KR102154829 B1 KR 102154829B1 KR 1020190174368 A KR1020190174368 A KR 1020190174368A KR 20190174368 A KR20190174368 A KR 20190174368A KR 102154829 B1 KR102154829 B1 KR 10215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control
control room
inner space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홍
이재호
김태순
문종설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는 주제어실의 제1 내부 공간과 제2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1 배기부, 상기 제1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배기부,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공기 주입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HOT GAS IN MAIN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본 기재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main control room)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한 운전을 위한 다중 계열 운전을 위해 서로 이격된 A계열 캐비닛(cabinet)과 B계열 캐비닛이 위치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서 A계열 캐비닛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 및 B계열 캐비닛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 중 일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일 공간의 화재로 인해 발생된 고온 가스가 대류 현상에 의해 타 공간으로 이동하여 타 공간에 위치하는 캐비닛이 고온 가스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한 고온 가스에 의해 캐비닛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A계열 캐비닛(cabinet)이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A계열 캐비닛과 이격된 B계열 캐비닛이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1 배기부, 상기 주에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배기부, 상기 주에어실의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공기 주입부, 및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상기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제2 배기부, 상기 제2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상기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제2 배기부, 상기 제2 공기 주입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화재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화재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부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배기부 및 상기 제1 공기 주입부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2 배기부, 및 상기 제1 공기 주입부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배기부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부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한 고온 가스에 의해 캐비닛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제1 내부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제2 내부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한 운전을 위한 다중 계열 운전을 위해 서로 이격된 A계열 캐비닛(11)과 B계열 캐비닛(12)이 위치한다. A계열 캐비닛(11)과 B계열 캐비닛(12)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과 관련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으며, A계열 캐비닛(11)과 B계열 캐비닛(12) 사이에는 A계열 캐비닛(11) 및 B계열 캐비닛(12)과 연결되어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주제어반(main control board)이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화재 등으로 인해 A계열 캐비닛(11) 사용 불가 시 B계열 캐비닛(12)이 작동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정지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은 A계열 캐비닛(11)이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IS1) 및 B계열 캐비닛(12)이 위치하는 제2 내부 공간(IS2)을 포함한다.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은 서로 연통하고 있으며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의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은 복수의 캐비닛들이 위치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에서 발생된 화재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를 제거하여 고온 가스에 의한 A계열 캐비닛(11) 및 B계열 캐비닛(12)의 손상을 억제하며, 제1 센서부(100), 제2 센서부(200),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1 배기부(400), 제1 공기 주입부(500), 제2 배기부(600), 제2 공기 주입부(700),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1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에 위치한다. 제1 센서부(100)는 A계열 캐비닛(11)이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IS1)의 화재를 센싱한다. 제1 내부 공간(IS1)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제1 센서부(100)는 화재 센싱 신호를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제1 센서부(100)는 화재를 센싱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2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에 위치한다. 제2 센서부(200)는 B계열 캐비닛(12)이 위치하는 제2 내부 공간(IS2)의 화재를 센싱한다. 제2 내부 공간(IS2)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제2 센서부(200)는 화재 센싱 신호를 제어부(800)로 전송한다. 제2 센서부(200)는 화재를 센싱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제1 내부 공간(IS1) 및 제2 내부 공간(IS2) 중 일 공간에 화재가 발생하면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서로 연통하는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여 화재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가 대류 현상에 의해 일 공간으로부터 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에 설치된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화재 발생 시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으로부터 하부 바닥으로 연장되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한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의 온(on) 및 오프(off)는 플렉서블 방화문(300)을 구동하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구동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의 온(on) 및 오프(off) 각각은 플렉서블 방화문(300)에 의한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의 차단 및 비차단 각각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플렉서블 내화벽, 질소 커튼, 미분무수 커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으로부터 하부 바닥으로 연장된 레일 및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플렉서블 내화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예로,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에 설치된 질소 스프레이들 및 질소 스프레이들로부터 분사되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질소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에 설치된 미분무수 스프레이들 및 미분무수 스프레이들로부터 분사되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미분무수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플렉서블 방화문(300)은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으로부터 하부 바닥으로 연장된 레일 및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플렉서블 내화벽, 플렉서블 내화벽과 이웃하여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에 설치된 질소 스프레이들 및 질소 스프레이들로부터 분사되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질소 커튼, 그리고 질소 커튼과 이웃하여 주제어실(10)의 상부 천장에 설치된 미분무수 스프레이들 및 미분무수 스프레이들로부터 분사되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는 미분무수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방화문(300)이 플렉서블 내화벽, 질소 커튼, 미분무수 커튼을 포함함으로써, 미분무수 커튼 및 질소 커튼이 플렉서블 내화벽과 이웃하여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화재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에 의해 플렉서블 내화벽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배기부(4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과 연결된다. 제1 배기부(400)는 제1 내부 공간(IS1)을 배기한다. 제1 배기부(400)는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의 상부 측벽에 설치되며, 제1 내부 공간(IS1)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를 제1 내부 공간(IS1)으로부터 배기한다. 제1 배기부(400)의 온(on) 및 오프(off)는 제1 배기부(400)에 설치된 댐퍼(damp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배기부(400)는 제1 내부 공간(IS1)의 고온 가스를 배기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기부(400)의 온(on) 및 오프(off) 각각은 제1 배기부(400)의 구동 및 비구동 각각을 의미한다.
제1 공기 주입부(5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과 연결된다. 제1 공기 주입부(500)는 제1 내부 공간(IS1)으로 공기(air)를 주입한다. 제1 공기 주입부(500)는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의 상부 천장에 설치되며, 제2 내부 공간(IS2)에서 화재 발생 시 제1 내부 공간(IS1)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제1 공기 주입부(500)의 온(on) 및 오프(off)는 제1 공기 주입부(500)에 설치된 댐퍼(damp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공기 주입부(500)는 제1 내부 공간(IS1)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공기 주입부(500)의 온(on) 및 오프(off) 각각은 제1 공기 주입부(500)의 구동 및 비구동 각각을 의미한다.
제2 배기부(6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과 연결된다. 제2 배기부(600)는 제2 내부 공간(IS2)을 배기한다. 제2 배기부(600)는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의 상부 측벽에 설치되며, 제2 내부 공간(IS2)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를 제2 내부 공간(IS2)으로부터 배기한다. 제2 배기부(600)의 온(on) 및 오프(off)는 제2 배기부(600)에 설치된 댐퍼(damp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배기부(600)는 제2 내부 공간(IS2)의 고온 가스를 배기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배기부(600)의 온(on) 및 오프(off) 각각은 제2 배기부(600)의 구동 및 비구동 각각을 의미한다.
제2 공기 주입부(700)는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과 연결된다. 제2 공기 주입부(700)는 제2 내부 공간(IS2)으로 공기(air)를 주입한다. 제2 공기 주입부(700)는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의 상부 천장에 설치되며, 제1 내부 공간(IS1)에서 화재 발생 시 제2 내부 공간(IS2)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제2 공기 주입부(700)의 온(on) 및 오프(off)는 제2 공기 주입부(700)에 설치된 댐퍼(damp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공기 주입부(700)는 제2 내부 공간(IS2)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공기 주입부(700)의 온(on) 및 오프(off) 각각은 제2 공기 주입부(700)의 구동 및 비구동 각각을 의미한다.
제어부(800)는 주제어실(10)의 외부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제어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제1 센서부(100), 제2 센서부(200),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1 배기부(400), 제1 공기 주입부(500), 제2 배기부(600), 제2 공기 주입부(700)와 연결된다. 제어부(800)는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 또는 제2 내부 공간(IS2)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1 센서부(100) 또는 제2 센서부(200)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1 배기부(400), 제1 공기 주입부(500), 제2 배기부(600), 제2 공기 주입부(700) 각각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제1 내부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에서 A계열 캐비닛(11)이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IS1)에 화재(FI)가 발생하면, 제어부(800)는 제1 센서부(100)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1 배기부(400), 및 제2 공기 주입부(700)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제2 배기부(600) 및 제1 공기 주입부(500)를 오프(off)시킨다.
이로 인해, 플렉서블 방화문(300)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제1 내부 공간(IS1)의 화재(FI)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HG)가 대류 현상에 의해 제2 내부 공간(IS2)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제1 내부 공간(IS1)의 화재(FI)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HG)가 제1 배기부(400)를 통해 제1 내부 공간(IS1)으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제2 내부 공간(IS2)으로 제2 공기 주입부(700)를 통해 공기(AI)가 주입되어 B계열 캐비닛(12)이 냉각됨으로써, 열에 의한 B계열 캐비닛(12)의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제1 공기 주입부(500)에 의한 제1 내부 공간(IS1)으로의 공기 주입이 차단되어 제1 내부 공간(IS1)에서 발생된 화재(FI)가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어부(800)는 제1 내부 공간(IS1)에 화재(FI)가 발생되면, 플렉서블 방화문(300)을 이용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고, 제1 배기부(400)를 이용해 제1 내부 공간(IS1)의 고온 가스(HG)를 배기하고, 제1 공기 주입부(500)에 의한 제1 내부 공간(IS1)으로의 공기 주입을 차단하고, 제2 공기 주입부(700)를 이용해 제2 내부 공간(IS2)에 공기(AI)를 주입함으로써, 주제어실(10)의 제1 내부 공간(IS1)에서 발생된 화재(FI)의 고온 가스(HG)에 의해 제2 내부 공간(IS2)에 위치하는 B계열 캐비닛(12)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제2 내부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에서 B계열 캐비닛(12)이 위치하는 제2 내부 공간(IS2)에 화재(FI)가 발생하면, 제어부(800)는 제2 센서부(200)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2 배기부(600), 및 제1 공기 주입부(500)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제1 배기부(400) 및 제2 공기 주입부(700)를 오프(off)시킨다.
이로 인해, 플렉서블 방화문(300)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제2 내부 공간(IS2)의 화재(FI)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HG)가 대류 현상에 의해 제1 내부 공간(IS1)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제2 내부 공간(IS2)의 화재(FI)로부터 발생된 고온 가스(HG)가 제2 배기부(600)를 통해 제2 내부 공간(IS2)으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제1 내부 공간(IS1)으로 제1 공기 주입부(500)를 통해 공기(AI)가 주입되어 A계열 캐비닛(11)이 냉각됨으로써, 열에 의한 A계열 캐비닛(11)의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제2 공기 주입부(700)에 의한 제2 내부 공간(IS2)으로의 공기 주입이 차단되어 제2 내부 공간(IS2)에서 발생된 화재(FI)가 확산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어부(800)는 제2 내부 공간(IS2)에 화재(FI)가 발생되면, 플렉서블 방화문(300)을 이용해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 사이를 차단하고, 제2 배기부(600)를 이용해 제2 내부 공간(IS2)의 고온 가스(HG)를 배기하고, 제2 공기 주입부(700)에 의한 제2 내부 공간(IS2)으로의 공기 주입을 차단하고, 제1 공기 주입부(500)를 이용해 제1 내부 공간(IS1)에 공기(AI)를 주입함으로써, 주제어실(10)의 제2 내부 공간(IS2)에서 발생된 화재(FI)의 고온 가스(HG)에 의해 제1 내부 공간(IS1)에 위치하는 A계열 캐비닛(1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10)에서 화재(FI) 발생 시 화재(FI)에 의한 고온 가스(HG)에 의해 캐비닛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계열 캐비닛(11), B계열 캐비닛(12), 제1 내부 공간(IS1), 제2 내부 공간(IS2), 주제어실(10), 플렉서블 방화문(300), 제1 배기부(400), 제1 공기 주입부(500), 제2 배기부(600), 제2 공기 주입부(700), 제어부(800)

Claims (4)

  1. A계열 캐비닛(cabinet)이 위치하는 제1 내부 공간 및 상기 A계열 캐비닛과 이격된 B계열 캐비닛이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제2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1 배기부;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배기부;
    상기 주제어실의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배기하는 제2 공기 주입부; 및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상기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제2 배기부, 상기 제2 공기 주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상기 제1 공기 주입부, 상기 제2 배기부, 상기 제2 공기 주입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화재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화재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1 배기부,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부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배기부 및 상기 제1 공기 주입부를 오프(off)시키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화재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플렉서블 방화문, 상기 제2 배기부, 및 상기 제1 공기 주입부를 온(on)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배기부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부를 오프(off)시키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KR1020190174368A 2019-12-24 2019-12-24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KR10215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68A KR102154829B1 (ko) 2019-12-24 2019-12-24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68A KR102154829B1 (ko) 2019-12-24 2019-12-24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829B1 true KR102154829B1 (ko) 2020-09-21

Family

ID=7270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368A KR102154829B1 (ko) 2019-12-24 2019-12-24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5070A (ja) * 2014-10-23 2016-05-19 株式会社東芝 原子炉施設および事故時処理方法
JP2017217192A (ja) * 2016-06-07 2017-12-14 清水建設株式会社 建物の火災時煙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5070A (ja) * 2014-10-23 2016-05-19 株式会社東芝 原子炉施設および事故時処理方法
JP2017217192A (ja) * 2016-06-07 2017-12-14 清水建設株式会社 建物の火災時煙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829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고온 가스 제거 장치
KR20060024357A (ko) 방화 방연 구획 형성 설비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AU2001229336A1 (en) Exhaust hood with air curtain
KR101699614B1 (ko) 버너 시스템
KR20090072589A (ko) 함체에 적용되는 자동 소화 장치
US5890890A (en) Kiln assembly
Liu et al. Examination of the extinguishment performance of a water mist system using continuous and cycling discharges
KR102343035B1 (ko) 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CN206320784U (zh) 一种防止水冷壁高温腐蚀的高速贴壁风装置
KR102638942B1 (ko) 전력 시스템
KR101738993B1 (ko) 무독성 고온 열분해 소각장치
JPH06299246A (ja) レールの熱処理方法
JPH0663060U (ja) 水噴射装置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KR20020051476A (ko)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CN112271580A (zh) 一种带有灭火功能的开关柜
CN116247581B (zh) 一种透气型耐火电缆桥架
CN219304294U (zh) 一种防爆阻燃型配电柜
JP2849061B2 (ja) 炉壁一体型蓄熱式燃焼装置
KR102143147B1 (ko) 화장로 연소촉진공기 투입 장치
JP2006299888A (ja) 筒内噴射式火花点火内燃機関
EP4279716A1 (en) Exhaust system
JP2023171208A (ja) 排気システム
CN217955515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多层电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