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614B1 -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614B1
KR102154614B1 KR1020200016668A KR20200016668A KR102154614B1 KR 102154614 B1 KR102154614 B1 KR 102154614B1 KR 1020200016668 A KR1020200016668 A KR 1020200016668A KR 20200016668 A KR20200016668 A KR 20200016668A KR 102154614 B1 KR102154614 B1 KR 10215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power supply
power
storage means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섭
박준남
Original Assignee
(주)에너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캠프 filed Critical (주)에너캠프
Priority to KR102020001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614B1/ko
Priority to EP20918881.2A priority patent/EP3934055A4/en
Priority to PCT/KR2020/008614 priority patent/WO2021162182A1/ko
Priority to US17/594,009 priority patent/US202201584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력원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고, 부하장가 연결되는 출력단이 구비되고, 도킹부를 갖는 무정전 전원수단; 부하장치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출력포트와, 외부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하여 수신된 외부데이터와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을 학습 및 분석하기 위한 분석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사용 후 전력 충전이나 보관을 위해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의 도킹부에 거치되고, 상기 분석프로세서에 의한 학습정보를 기반으로 전력공급차단시점이나 상기 출력포트에 연결된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충전 또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에너지저장수단이 거치됨과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이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활성화되어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수단에 구비된 분석모듈에 의하여 전력소비패턴, 환경정보 및 재난정보를 학습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들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수단의 충전 속도 및 충전량,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Intelligent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with dock 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에너지저장수단이 거치됨과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이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활성화되어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수단에 구비된 분석프로세서에 의하여 전력소비패턴, 환경정보 및 재난정보를 학습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들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수단의 충전 속도 및 충전량,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전자기기의 각종 전자제품들은 전기사업자(예 : 한국전력)가 제공하는 상용 교류전원(예 : AC120V)을 가정이나 사무실에 구비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용 교류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상용 교류전원 대신 전자기기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탑재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아웃도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배터리를 [0003] 이용하여 각종 전자제품을 구동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야외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캠핑, 낚시 및 바캉스 등의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려는 인구가 대폭 증가하고, 캠핑 등의 아웃도어 문화가 가족단위로 바뀌면서 야외에서도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충전기, 배터리팩, 인버터로 구성되지만, 충전기, 배터리팩, 인버터 등이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제거하기 위해 통합한 일체형 에너지저장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가정이나, 병원에서 정전 시, 전원시스템으로 사용하거나,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휴대용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다양한 변화, 즉 전력소비패턴이나, 계절, 온도, 날씨 등의 환경정보, 재난 및 구호문자 등의 재난정보 등을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최적 운영을 위한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장치의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3948호(2014.06.2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에너지저장수단이 거치됨과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이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활성화되어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수단에 구비된 분석프로세서에 의하여 전력소비패턴, 환경정보 및 재난정보를 학습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들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수단의 충전 속도 및 충전량,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충전을 지원하는 보조에너지공급모듈을 에너지저장수단에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무정전 전원장치보다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휴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외부의 전력원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고, 부하장가 연결되는 출력단이 구비되고, 도킹부를 갖는 무정전 전원수단; 부하장치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출력포트와, 외부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하여 수신된 외부데이터와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을 학습 및 분석하기 위한 분석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사용 후 전력 충전이나 보관을 위해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의 도킹부에 거치되고, 상기 분석프로세서에 의한 학습정보를 기반으로 전력공급차단시점이나 상기 출력포트에 연결된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라 충전 또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은 상기 분석프로세서에 의한 학습 및 분석에 의하여 전력공급차단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으로부터 상시 충전이 차단되고, 상기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력공급차단시점은 전력공급차단에 대한 재난예방문자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에는 정전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센싱부가 구비되고,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은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의 전력센싱부에 의하여 정전신호가 검출되면 전력공급차단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은 상기 분석프로세서에 의한 학습 및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부하장치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부하장치 중 중요도가 낮은 순서에 따라 중요도가 낮은 부하장치가 연결된 출력포트로부터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의 출력포트에는 강제출력잠금설정이 가능한 온/오프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온/오프 버튼을 소정 시간이상 누르는 경우 해당 출력포트는 잠금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력포트 중 잠금 모드로 설정된 출력포트에는 중요도가 높은 부하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은 전력공급차단시점이 감지되는 경우 잠금 모드로 설정된 출력포트의 잠금 모드를 활성화시켜 해당 출력포트에만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은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에너지공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에너지저장수단이 거치됨과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이 무정전 전원공급 기능이 활성화되어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수단에 구비된 분석모듈에 의하여 전력소비패턴, 환경정보 및 재난정보를 학습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들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저장수단의 충전 속도 및 충전량, 부하장치의 중요도에 따른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충전을 지원하는 보조에너지공급모듈을 에너지저장수단에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무정전 전원장치보다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휴대의 편의성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나타내는 개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보조에너지공급모듈을 나타내는 개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수단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전력운영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도킹부(17)가 형성된 무정전 전원수단(10)과, 무정전 전원수단(10)의 도킹부(17)에 거치되는 에너지저장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수단(10)은 독(dock) 타입으로, 도킹부(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 상용전원이 입력되고, 부하장치(2)가 연결되는 출력단(15)이 구비되어 있다.
즉 무정전 전원수단(10)은 본체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비된 상용전원인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1)에 연결되는 플러그(13)가 구비된다. 또한 타측에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부하장치(2)의 플러그(13)가 연결되는 출력단(15)이 구비된다. 특히 무정전 전원수단(10)의 본체에는 일정한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도킹부(17)가 구비되고, 이 도킹부(17)에는 충전을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도킹부(17)에는 후술할 휴대용 내지 이동형 에너지저장수단(20)이 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수단(10)은 안정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스테이션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너지저장수단(20)이 도킹부(17)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하장치(2)만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멀티탭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에는 다수의 출력단(15)이 구비되어 여러 종류의 부하장치(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수단(20)은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이 필요한 장소나 시간이면 언제든지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휴대하여 사용한 후에는 전력 충전이나, 보관, 충전 및 보관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무정전 전원수단(10)을 충전스테이션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저장수단(20)을 사용 후, 무정전 전원수단(10)의 도킹부(17)에 거치하여 전력을 충전하거나, 보관 또는 충전 및 보관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에너지저장수단(20)에는 다수의 출력포트(26)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출력포트(26)에는 부하장치(2)를 연결함과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20)은 UPS 기능, 즉 무정전 전원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기능의 다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수단(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팩(22)(Battery Pack)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부(21)가 구비되고, 충전부(21)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팩(22)이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팩(22)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장치(2)에 공급을 위해 다수의 출력포트(26)와 연결되는 인버터(23)가 구비되고, 장치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4)와, 에너지저장수단(20)의 정보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5)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배터리팩(22)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셀타입의 배터리모듈(22a)이 구비되고, 이 배터리모듈(22a)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으로 구성된다. 배터리관리시스템은 에너지저장수단(20)이 무정전 전원수단(10)의 도킹부(17)에 거치되고, 부하장치(2)가 연결되어 UPS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배터리모듈(22a)의 충전량과, 인버터(23)를 통한 출력량을 관리제어하여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수단(20)은 휴대뿐만 아니라, 지능형, 즉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 환경정보 및 재난정보 등을 학습을 통해 분석하기 위한 분석프로세서(27)가 구비된다.
즉 에너지저장수단(20)의 분석프로세서(27)는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전력소비패턴을 학습 및 분석할 뿐만 아니라, 내장되어 있는 통신모듈(28)에 의하여 수신되는 외부데이터, 날씨 및 온도 등의 환경정보 및 긴급재난이나 구호문자 등의 재난정보를 학습 및 분석을 통해 에너지저장수단(20)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모듈(28)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LTE 등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석프로세서(27)는 분석된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공급차단시점을 조기에 인지하여 충전 속도나 충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공급차단시점은 전기 사용이 많은 여름이나, 겨울, 해외의 경우 건조한 지역에서 산불 화재로 인해 인가의 전기 공급이 불확실하거나, 2차 화재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전력공급차단에 대한 재난예방문자가 발송되어 통신모듈(28)에 의하여 수신된 경우일 수 있다(도 4의 도시에서 실선으로 표시), 또한 장시간 동안 전원이 차단되는 정정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무정전 전원수단(10) 내부에 전력센싱부(19)가 구비되어 정전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정전 검출 시점일 수 있다(도 4의 도시에서 점선).
이와 같이 전력공급차단이 예상되는 경우 에너지저장수단(20)은 전력공급차단시점까지 충전상태를 유지하고, 재난예방문자에 의하여 발송된 전력공급차단시간 또는 전력센싱부(19)에 의하여 검출된 정전 시점, 즉 전력공급차단시점을 기준으로 무정전 전원수단(10)으로부터 에너지저장수단(20)의 상시 충전기능은 차단되고, 동시에 에너지저장수단(20)에서는 출력포트에 연결된 부하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환된다. 즉 전력공급차단시점이 감지되면 에너지저장수단은 UPS 기능이 활성화, 즉 전환된다.
또한 통신모듈(28)에 의하여 수신된 외부데이터는 전술한 같은 정보 이외에도 재난문자나 구호문자 등에 의하여 전력공급차단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비패턴을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많은 부하장치(2)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예상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전력공급차단시점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환경정보의 경우 온도, 습도, 미세먼지, 날씨, 계절, 옥외, 실내 등 사용 장소에 따른 각종 정보를 통해 합리적인 전력공급차단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전력공급차단시점을 조기에 예측한 후, 이에 대응되도록 충전 속도나, 충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저장수단(20)의 최적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환경정보나 재난정보 등을 취득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수단(20)에는 각종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에너지저장수단(20)의 분석프로세서(27)는 분석된 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부하장치(2)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부하장차의 중요도는 전력소비패턴, 예컨대 단일 부하의 전력소모량이 많은 경우나, 사용시간이 장시간인 경우 등과 같은 경우 중요도를 가중하고, 이러한 경우 우선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부하장치의 중요도는 다양한 형태로 설정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에너지저수단의 각 출력포트(26)에는 온/오프 버튼(26a)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온/오프 버튼(26a)은 강제출력잠금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데, 강제출력잠금설정은 온/오프 버튼(26a)을 소정 시간 이상, 즉 수초이상 눌러 잠금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잠금 모드가 설정된 출력포트(26)에 연결된 부하장치(2)는 중요도가 높은 부하장치로 전술한 바와 같은 전력공급차단시점에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에너지저장수단(20)은 UPS 기능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잠금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출력포트(26)의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잠금 모드가 설정된 출력포트(26)는 잠금 모드가 활성화되어 이 출력포트에만 전원이 출력된다.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부하장치에는 재난상항이나 비상상황에도 전원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제출력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것 이외에도 배터리 사용가능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배터리 사용시간 미만일 경우 전력소모량이 많은 순서 또는 우선 순위를 둔 후순위 순서로 출력포트를 오프(off)시켜 배터리 사용가능 시간을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정수단(20)에는 신재생에너지에 의하여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보조에너지공급모듈(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에너지공급모듈(30)은 신재생에너지 즉,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수단(20)이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너지저장수단(20)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어려운 경우, 장시간 사용으로 충전된 전기를 모두 소모하는 경우 전력공급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옥외나, 외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 즉 태양광이나 풍력 등을 활용하여 에너지 변환을 통해 전력을 충전 및 공급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물론이고, 사용자의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수단(20), 즉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일반적인 UPS 시스템보다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보조에너지공급모듈(30)은 첨부된 도 2의 도시와 같이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경우 에너지저정수단(20)에 일체로 결합된 태양광패널(31)이나, 또는 에너지저장수단(20)에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형 태양광패널(31)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풍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풍력모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는 태양광모듈에 비하여 전력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태양광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태양광패널(41)을 도입하는 경우 분석프로세서(27)에 의하여 외부데이터와 전력사용패턴을 통한 학습 및 분석 후, 이러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전력운영 사례는 다음과 같다.
즉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일기예보에 관련된 정보와, 태양광패널에 의한 충전량 및 평소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 즉 전력소모량 등을 분석프로세서에 의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전 등의 상황 시 각 출력포트마다 전기 사용량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례로는 예컨대 에너지저장수단이 100% 충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후 1시에 태양광패널을 연결하여 충전 중일 때(이때 전기사용료가 소비되는 상용전원의 충전은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태양광에 의한 충전만 이용하는 상태), 일기예보를 통하여 날씨가 맑다는 외부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조금 뒤 오후 3시부터 정전이 된다는 정보를 받은 경우 전력운영은 다음과 같다, 즉 에너지저장수단이 완충될 때까지 현재 태양광에 의한 충전 효율과 남은 2시간 동안 일기예보에서 지속적으로 맑음이 예상되는 경우 정전이 되는 오후 3시까지 100% 충전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상용전원이 아닌 태양광에 의한 충전만을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사례로서 재난정보 학습의 경우에는 평소 재난발생이 잦은 지역의 경우 빈번하게 정전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일기예보 상으로 날씨가 아무리 맑아도 태양광에 의한 충전비율(일주일에 몇 번 또는 1일 1시간 이내)은 최대한 줄이고, 상용전원만으로 충전하는 비율을 높여 상시 정전사태를 학습을 통해 대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외부데이터와 전력소비패턴을 기반으로 한 분석프로세서에 통해 데이터를 활용한 전력운영방식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콘센트 2 : 부하장치
10 : 무정전 전원수단
11 : 바디 13 : 플러그
15 : 출력단 17 : 도킹부
19 : 전력센싱부
20 : 에너지저장수단
21 : 충전부 22 : 배터리팩
22a : 배터리모듈 22b : 배터리관리시스템
23 : 인버터 24 : 인터페이스
25 : 디스플레이부 26 : 출력포트
26a : 온/오픈 버튼
27 : 분석프로세서 28 : 통신모듈
30 : 보조에너지공급모듈
31 : 태양광패널

Claims (8)

  1. 외부의 전력원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고, 부하장치(2)가 연결되는 출력단(15)이 구비되고, 도킹부를 갖는 무정전 전원수단(10);
    부하장치(2)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출력포트(26)와, 외부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8)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하여 수신된 외부데이터와 사용자의 전력소비패턴을 학습 및 분석하기 위한 분석프로세서(27)를 포함하되,
    사용 후 전력 충전이나 보관을 위해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의 도킹부(17)에 거치되고,
    상기 분석프로세서(27)에 의한 학습 및 분석에 의하여 전력공급차단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10)으로부터 상시 충전이 차단되고, 상기 부하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분석프로세서(27)에 의한 학습 및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부하장치(2)의 중요도를 결정하고, 상기 부하장치(2) 중 중요도가 낮은 순서에 따라 중요도가 낮은 부하장치(2)가 연결된 출력포트(26)로부터 전력공급을 차단하며, 충전 또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수단(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차단시점은 전력공급차단에 대한 재난예방문자가 상기 통신모듈(28)을 통하여 수신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10)에는 정전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센싱부(19)가 구비되고,
    상기 에너지저장수단(20)은 상기 무정전 전원수단의 전력센싱부(19)에 의하여 정전신호가 검출되면 전력공급차단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수단의 출력포트(26)에는 강제출력잠금설정이 가능한 온/오프 버튼(26a)이 구비되고, 상기 온/오프 버튼(26a)을 소정 시간이상 누르는 경우 해당 출력포트(26)는 잠금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포트(26) 중 잠금 모드로 설정된 출력포트(26)에는 중요도가 높은 부하장치(2)가 연결되되,
    상기 에너지저장수단(20)은 전력공급차단시점이 감지되는 경우 잠금 모드로 설정된 출력포트(26)의 잠금 모드를 활성화시켜 해당 출력포트(26)에만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수단(20)은 태양광에 의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에너지공급모듈(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0200016668A 2020-02-11 2020-02-11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KR10215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68A KR102154614B1 (ko) 2020-02-11 2020-02-11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EP20918881.2A EP3934055A4 (en) 2020-02-11 2020-07-01 INTELLIGENT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NETWORKED WITH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CT/KR2020/008614 WO2021162182A1 (ko) 2020-02-11 2020-07-01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동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US17/594,009 US20220158479A1 (en) 2020-02-11 2020-07-01 Intelligent portable energy storage system interlinked wi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68A KR102154614B1 (ko) 2020-02-11 2020-02-11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614B1 true KR102154614B1 (ko) 2020-09-10

Family

ID=7245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68A KR102154614B1 (ko) 2020-02-11 2020-02-11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58479A1 (ko)
EP (1) EP3934055A4 (ko)
KR (1) KR102154614B1 (ko)
WO (1) WO20211621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4876A (zh) * 2020-07-06 2020-10-30 国网思极紫光(青岛)微电子科技有限公司 双模通信单元的供电方法、双模通信单元及智能电能表
CN112255563A (zh) * 2020-10-20 2021-01-22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不间断电源测试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294289B1 (ko) * 2021-02-24 2021-08-26 이온어스(주) 가정용 ess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554A (ko) * 2007-10-12 2009-04-16 동영전기 주식회사 무정전 부하 순차 제어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101324516B1 (ko) * 2013-08-14 2013-11-01 주식회사 우신이엠시 전기 제품과 접속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이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40029671A (ko) * 2012-08-29 2014-03-1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에너지저장 배터리팩 전원 장치
KR101847177B1 (ko) * 2017-09-22 2018-05-28 자동차부품연구원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전기 에너지 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39B1 (ko) * 2007-11-21 200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8227937B2 (en) * 2008-07-02 2012-07-24 Nnw Ventures, Llc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solar power kit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related methods
JP5998081B2 (ja) * 2013-03-08 2016-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需要調整システム及び需要調整実行システム
WO2017027041A1 (en) * 2015-08-13 2017-02-1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vice operating state modification with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KR101824454B1 (ko) * 2016-05-11 2018-02-26 그레이스이엔지(주) 가정용 이동가능 다목적 태양광 충전장치
US10938224B2 (en) * 2016-08-16 2021-03-02 Helion Concepts, Inc. Hardware/software reconfigurable, intelligent and versatile electrical energy provisioning system for on-grid and off-grid applications
US10996735B2 (en) * 2017-07-13 2021-05-04 Hygge Power Inc. Power management system
EP3824677A1 (en) * 2018-07-19 2021-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s for optimizing backup power control using machine learning
US11223228B2 (en) * 2019-06-20 2022-01-11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rtificially intellig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554A (ko) * 2007-10-12 2009-04-16 동영전기 주식회사 무정전 부하 순차 제어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KR20140029671A (ko) * 2012-08-29 2014-03-1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에너지저장 배터리팩 전원 장치
KR101413948B1 (ko) 2012-08-29 2014-06-30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용 에너지저장 배터리팩 전원 장치
KR101324516B1 (ko) * 2013-08-14 2013-11-01 주식회사 우신이엠시 전기 제품과 접속되는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이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1847177B1 (ko) * 2017-09-22 2018-05-28 자동차부품연구원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전기 에너지 할당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4876A (zh) * 2020-07-06 2020-10-30 国网思极紫光(青岛)微电子科技有限公司 双模通信单元的供电方法、双模通信单元及智能电能表
CN111864876B (zh) * 2020-07-06 2022-04-29 国网思极紫光(青岛)微电子科技有限公司 双模通信单元的供电方法、双模通信单元及智能电能表
CN112255563A (zh) * 2020-10-20 2021-01-22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不间断电源测试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2255563B (zh) * 2020-10-20 2024-04-12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不间断电源测试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294289B1 (ko) * 2021-02-24 2021-08-26 이온어스(주) 가정용 ess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8479A1 (en) 2022-05-19
WO2021162182A1 (ko) 2021-08-19
EP3934055A4 (en) 2022-12-21
EP3934055A1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614B1 (ko) 독 타입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구비된 지능형 포터블 에너지저장시스템
US10910681B2 (en) Portable renewable energy power system
CN201789318U (zh) 一种带皮套电池供电的手机供电装置
CN101771293A (zh) 一种手执移动终端及其供电装置
CN103840525A (zh) 移动存储电源
CN104205004A (zh) 通过检测室内使用来节省gps电力
KR20190137246A (ko) 태양광 연계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CN106128016A (zh) 用于变电站的安全防护系统
CN201742147U (zh) 具有电源管理功能的移动式备用电源装置
CN104133233B (zh) 组合电源互备份智慧型船用定位终端及定位信息上传策略
CN203708587U (zh) 一种家用多功能应急照明装置
CN102474676A (zh) 遥控器
CN201830315U (zh) 一种实现备用电池功能的移动终端
KR102562951B1 (ko) 충전 예약 및 정전 인식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
CN202005017U (zh) 多用途led灯智能控制装置
CN205595560U (zh) 一种不断电排插
CN207867696U (zh) 一种智能家居用零功耗遥控装置
US20150372523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N201629589U (zh) 一种手机备用电源装置
CN214543698U (zh) 一种自供电的智能推窗控制器
KR20140078322A (ko) 태양광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에너지 저장 배터리팩 전원 시스템
CN201302698Y (zh) 一种基于zigbee通讯的无线键盘
CN204835591U (zh) 带电源的便携式容器
CN108849611A (zh) 一种用于宠物防丢器的省电方法和装置
CN212850598U (zh) 一种具有延长续航能力的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