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17B1 -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517B1
KR102154517B1 KR1020190049867A KR20190049867A KR102154517B1 KR 102154517 B1 KR102154517 B1 KR 102154517B1 KR 1020190049867 A KR1020190049867 A KR 1020190049867A KR 20190049867 A KR20190049867 A KR 20190049867A KR 102154517 B1 KR102154517 B1 KR 10215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stair
fastened
plate portion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종대
Original Assignee
신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대 filed Critical 신종대
Priority to KR102019004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09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odularized steel stai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rovided i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stair structure, which comprises: a support beam obliquely arranged between stories; and a plurality of stair units arranged and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In the support beam,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The stair units comprise: an upper plate unit; a side plate unit of which the upper e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unit around a first hinge shaft in left-and-right directions; a first connecting plate rotatably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unit around a second hinge shaft in left-and-right directions;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rotatably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unit around a third hinge shaft in left-and-right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comprise: a guide ri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mounting grooves; and a guide groove concavely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on the opposite surface to the one surface. Therefore, time and costs required for construction can be reduced.

Description

모듈화된 방식의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Modular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화된 방식을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constructed at low cost using a modular method.

일반적으로 다층 구조의 건물이나 구조물에서는 각 층간의 이동을 위해 계단 구조물이 시공되고 있다. 통상 건물 내부 등에 구비되는 계단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통해 건물 구조와 일체화된 형태로 시공되고 있으나, 건물 외부에 설치되거나, 실외 구조물에 마련되는 계단 구조물의 경우 시공상의 편의 등을 이유로 철재 계단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 들어 미관 등을 목적으로 실내에 구비되는 계단 구조물도 철재로 이뤄지는 경우가 상당 수 있다.In general, in a multi-storey building or structure, a staircase structure is constructed to move between each floor. In general, stair structures provided inside buildings are constructed in an integrated form with the building structure through concrete, but in the case of stair structure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or provided in outdoor structures, steel stairs are used for reasons of construction convenience, etc. .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staircase structure provided indoors for the purpose of aesthetics may also be made of steel.

다만, 상기와 같은 철재 계단 구조물은 대부분 특정 건물이나 구조물의 설계 구조에 적합하도록 주문 제작되어 개별적으로 시공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근래 들어 일부 조립식 철재 계단 구조물 등이 등장하고 있으나, 설치 환경에 따라 그 적용 폭이 좁고, 용접 접합 등 작업자의 개입이 요구되는 부분이 많아 실효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are custom-made to suit the design structure of a specific building or structure, and are individually constructed. In addition, some prefabricated steel staircase structures have appeared in recent years, but their application width is narrow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there are many parts that require operator intervention, such as welding, so that the effectiveness is po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단 구조물의 각 구성부품을 모듈화하여 시공이 보다 용이하고, 시공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보다 절감시킬 수 있는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can be more easily constructed by modularizing each component of the staircase structure, and further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층간에 경사 배치된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 배치되는 복수의 계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빔은, 상면에 복수의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홈은, 상기 지지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계단유닛은, 상판부; 상단이 상기 상판부의 전단에 좌우 방향의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하단에 좌우 방향의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연결판; 및 상기 상판부의 후단에 좌우 방향의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연결판은, 상기 안착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리브;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상기 가이드리브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철재 계단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eam is obliquely disposed between each layer; And a plurality of stair units assembled and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wherein the support beam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on an upp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define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tair unit includes: a top plate; A side plate portion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fastened to a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about a first hinge axis in a left-right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plate rotatably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side plate about a second hinge axi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bout a third hinge axis in a left-righ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are guides formed protruding on one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seating groove. live; And a guide groove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A steel staircase structur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철재 계단 구조물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계단유닛이 시공 위치로 이송되는 단계; 시공을 위한 각 층간에 지지빔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계; 상기 지지빔에 상기 복수의 계단유닛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각 계단유닛이 상기 지지빔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단계는, 상기 각 계단유닛이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계단유닛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단계는, 상기 각 계단유닛에 구비된 제1, 2연결판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지지빔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각 계단유닛이 상기 지지빔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2연결판에 각각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상기 지지빔에 상기 제1, 2연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재 계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comprising: transferring a plurality of staircase units to a construction loca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upport beam inclined between each layer for construction; Disposing the plurality of step units on the support beam; And fixing each of the stair units to the support beam, wherein the transferr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stair units in a state in which the stair units are arranged in a flat shape, and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are stacked up and down. Including, the arranging step, wherein the guide rib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provided in each of the stair units are seated in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beam, so that each stair unit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Including, wherein the fixing step comprises the step of fastening the fixing means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respectively,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to the support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steel staircase structur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계단유닛, 핸드레일유닛 등 철재 계단 구조물의 각 구성부품을 모듈화하여 그 보관이나 이송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나 정형적인 프로세스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에 필요한 비용이나 시간을 상당 부분 절감시킬 수 있다.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tored or transported by modularizing each component of a steel staircase structure such as a staircase unit and a handrail unit. By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the process,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재 계단 구조물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유닛의 적재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에 핸드레일유닛이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커버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동암 하단 부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핸드레일유닛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eel stairc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air unit shown in FIG. 1.
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loading form of the stair unit shown in FIG. 1.
7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rail unit is added to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ver unit.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pivot arm shown in FIG. 7.
10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handrail unit shown in FIG.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 will omit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재 계단 구조물의 측면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eel stairc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 등에 표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전후 방향, y축 방향을 좌우 방향,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지칭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the x-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ront-rear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s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coordinate axi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철재 계단 구조물(이하, '구조물(100)'로 지칭)은 지지빔(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eel staircas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beam 110.

지지빔(110)은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빔(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외곽 형상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지지빔(11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면에 계단유닛(120)이 적절히 장착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pport beam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upport beam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uter cross-section as shown. However, the support beam 110 may be of a shape in which the stair unit 120 can be properly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emplified square-shaped cross section.

지지빔(110)은 구조물(100) 및 이에 가해지는 외부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빔(110)은 스틸 등의 금속류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nd structure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properly support the structure 100 and an external load applied thereto. For example, the support beam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steel.

지지빔(110)은 적어도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빔(110)은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계단유닛(120)의 좌우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지지빔(110)은 셋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빔(110)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계단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빔(110)의 개수는 계단유닛(120)의 좌우 폭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at least left and right. A pair of support beam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left and right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air unit 120. If necessary, the support beam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ree or more, and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10 are arranged left and right spaced apart to support the stair unit 120. For example, the number of support beams 11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tair unit 120.

지지빔(110)은 설치 장소나 조건에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빔(110)의 각 단부는 각 층에 배치된 소정의 지지 구조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빔(110)의 각 단부는 해당 층의 바닥면이나 벽면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지지물 등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110 may be fixedly installed by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or condition. Each end of the support beam 110 may be fixedly supported by being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disposed on each layer. For example, each end of the support beam 110 may be rigidly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layer, or a support that can replace it.

지지빔(110) 상면에는 복수의 안착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111)은 지지빔(110) 상면이 하측으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11)은 지지빔(110)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측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1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The sea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is recessed to the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may be opened.

안착홈(111)은 지지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홈(111)의 개수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안착홈(111)은 후술할 바와 같이 계단유닛(12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인접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1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10. The number or spacing of the seating grooves 1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seating grooves 111 have a function of gui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air unit 120 as described later, so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1 are formed at adjacent intervals.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안착홈(111)은 상단의 폭(W1)이 하단의 폭(W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계단유닛(120)이 안착홈(111)에 보다 원활하게 안착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가 설치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가이드리브(123a)의 배치 각도가 일부 변형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안착홈(111)의 형상이 설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안착홈(111)은 상단의 폭(W1)이 하단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계단유닛(120)의 배치 각도 등에도 불구하고, 가이드리브(123a)가 원활하게 안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preferably, the width W1 of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W2 of the lower end by a predetermined degree. This is to allow the stair unit 120 to be more smoothly seated and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111. In particular, in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 1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 and accordingly,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guide rib 123a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artially changed.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111 can help in installation. That is, the seating groove 111 has a width W1 of the upper end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lower end, so that the guide rib 123a can be smoothly seated and disposed despit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tair unit 120. I ca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계단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air unit 120.

계단유닛(120)은 각 단(step)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빔(110)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단유닛(120)은 일측단(좌측단)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지지빔(110)에 체결되고, 타측단(우측단)이 반대측의 지지빔(110)에 체결되어, 지지빔(110) 상부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The stair unit 120 is for forming each step, and may be fasten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beam 110. Specifically, the stair unit 120 is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10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left end), and the other end (right e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10 on the opposite side, thereby supporting It may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top of the beam 110.

계단유닛(12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계단유닛(120)은 지지빔(110)을 따라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층계를 형성할 수 있다.The stair unit 120 may be provided in plural.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may be sequentially fastened along the support beam 110 to form a stair.

계단유닛(120)은 외부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계단유닛(120)은 스틸 등의 금속류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ir unit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nd structure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adequately support an external load. For example, the stair unit 120 may be formed of metal such as stee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air unit shown in FIG. 1.

도 1 및 3을 참조하면, 계단유닛(120)은 상판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3, the stair unit 120 may include an upper plate portion 121.

상판부(121)는 층계 구조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부(121)는 소정 넓이를 가진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판부(121)는 대체로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portion 121 may form a support surface of a layered structure. The upper plate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referably, the upper plate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by a predetermined degree.

상판부(121)는 상면에 슬립방지패드(121a)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립방지패드(121a)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판부(121) 상면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슬립방지패드(121a)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plate portion 121 may be provided with an anti-slip pad 121a on the upper surface. The anti-slip pad 121a may have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s illustrated, the anti-slip pad 121a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슬립방지패드(121a)는 상판부(12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판부(121)와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 체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슬립방지패드(121a)는 고무, 플라스틱 등 상판부(121)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i-slip pad 121a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121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o be assembled and fastened. In the latter case, the anti-slip pad 121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121 such as rubber or plastic.

슬립방지패드(121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립방지패드(121a)는 상판부(121)의 상면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ads 121a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anti-slip pads 121a may be spaced apart back and for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상판부(121)의 하면에는 슬립방지패드(121a)와 대응되는 패드홈(121b)이 구비될 수 있다. 패드홈(121b)은 슬립방지패드(121a)와 대응되도록 상판부(121)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슬립방지패드(121a)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고, 상판부(121) 하면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슬립방지패드(121a)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며, 패드홈(121b)은 이에 대응되도록 대략 반원형의 홈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있다.A pad groove 121b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he pad groove 121b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1 to correspond to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and has a predetermined shape in which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can be accommodated, and left and r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1 Can be formed to extend. As illustrated, the anti-slip pad 121a protrudes with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pad groove 121b is recessed into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groove corresponding thereto.

패드홈(121b)은 복수의 슬립방지패드(121a)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홈(121b)은 상판부(121)의 하면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홈(121b) 간 간격이나 위치는, 상판부(121)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슬립방지패드(121a)와 대응된다.A plurality of pad grooves 121b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lip prevention pads 121a. The plurality of pad grooves 121b may be spaced apart back and forth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he spacing or po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ad grooves 121b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anti-slip pads 121a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한편, 계단유닛(120)은 측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ir unit 120 may include a side plate part 122.

측판부(122)는 상판부(121)의 전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측판부(122)는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판부(121) 전단에 체결될 수 있다.The side plate part 122 may be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art 121. That is, the side plate part 122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art 121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hinge axis H1 by a predetermined degree.

측판부(122)는 층계 구조의 단차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넓이를 가진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판부(122)의 좌우 길이는 상판부(121)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측판부(122)의 상하 높이는 반드시 상판부(121)의 전후 길이 등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측판부(122)의 상하 높이는 상판부(121)의 전후 길이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The side plate part 122 is for forming a step of a layered structure,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However,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2 need not necessaril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s illustrated,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2 ar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by a predetermined degree.

설치 형태에 있어서, 측판부(122)는 대체로 상판부(121)의 전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측판부(122)는 계단의 경사 등에 따라 적절히 체결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의 상하 방향이 반드시 상판부(121)에 직교하는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측판부(122)는 상판부(121)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장착 배치될 수 있다.In the installation form, the side plate portion 122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in general.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ide plate part 122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stairs, and the vertical direc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per plate part 121. For example, the side plate part 122 may be mounted and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upper plate part 121 and the upper plate part 121.

한편, 계단유닛(120)은 제1연결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ir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late 123.

제1연결판(123)은 측판부(122) 하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연결판(123)은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측판부(122)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측판부(122)는 상단이 제1힌지축(H1)에 의해 상판부(121) 전단과 체결되고, 하단이 제2힌지축(H2)에 의해 제1연결판(123) 전단과 체결된 형태로 장착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be hinged to the bottom of the side plate part 122.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part 12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H2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side plate part 122, the upper end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art 121 by the first hinge axis H1, and the lower end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by the second hinge axis H2. It can be mounted and arranged in a form.

제1연결판(123)은 지지빔(110)으로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소정 넓이를 가진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판(123)의 좌우 길이는 측판부(122)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판(123)의 전후 길이는 특정 수치나 길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체로 전술한 상판부(121)의 전후 길이나, 측판부(122)의 상하 높이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23)은 상판부(121) 및 측판부(122)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는 후술할 제2연결판(124)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s for installation to the support beam 110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2.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or length, and may generall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or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side plate portion 122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as shown,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nd the side plate portion 122. This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to be described later.

제1연결판(123)은 지지빔(110)을 향해 배치된 일면에 가이드리브(12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123a)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1연결판(123)의 일면에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일면은 계단유닛(120)의 설치시 지지빔(110)을 향해 배치되는 제1연결판(123)의 일면을 지칭한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have a guide rib 123a protruding from one surface disposed toward the support beam 110. The guide ribs 123a may have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extend left and right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one surface refers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disposed toward the support beam 110 when the stair unit 120 is installed.

제1연결판(123)은 가이드리브(123a)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 가이드홈(123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23b)은 가이드리브(123a)와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리브(123a)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have a guide groove 123b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n which the guide rib 123a is formed. The guide groove 123b has a position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123a, and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guide rib 123a.

제1연결판(123)은 설치홀(123c)을 구비할 수 있다. 설치홀(123c)은 가이드리브(123a) 및 가이드홈(123b)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연결판(12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have an installation hole 123c. The installation hole 123c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123a and the guide groove 123b.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제1연결판(123)은 지지빔(110) 상면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수단(123d)을 통해 지지빔(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as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support beam 110 through the fixing means 123d.

여기서, 제1연결판(123)은 가이드리브(123a)가 지지빔(110) 상면의 안착홈(111)에 안착 배치되어, 일차적으로 그 위치 등이 가조립될 수 있다. 즉, 가이드리브(123a)가 대응되는 안착홈(111)에 안착 배치됨으로써, 소정의 고정수단(123d)을 체결하기 전이라도 제1연결판(123) 내지 계단유닛(12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Here, in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the guide ribs 123a are disposed to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be temporarily assembled. That is, the guide rib 123a is seated and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seating groove 111,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123 to the stair unit 120 can be maintained even before fastening the predetermined fixing means 123d. It can be. This makes it easier to install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바람직하게, 제1연결판(123)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23a)는 기단 측의 전후 폭(W3)이 끝단 측의 전후 폭(W4)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어,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리브(123a)의 형상은 전술한 안착홈(111)에 있어 하단의 폭(W2)이 상단의 폭(W1)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된 것과 대응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나 제1연결판(123)이 지지빔(110)에 체결되는 각도가 가변됨에도 불구하고, 가이드리브(123a)가 적절히 안착홈(111)에 안착 배치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guide rib 123a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has a front and rear width W3 at the base end side that is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W4 at the end side, and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Can have The shape of the guide rib 123a corresponds to that in the above-described mounting groove 111, the width W2 of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this case, although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 110 or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s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10 is varied, the guide rib 123a is properly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1 Can be arranged, so that the ease of installation work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가이드리브(123a)에 대응되는 반대편의 가이드홈(123b) 또한 가이드리브(123a)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 the guide groove 123b on the opposite s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123a may also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like the guide rib 123a, and may extend left and right.

다시 도 1 및 3을 참조하면, 계단유닛(120)은 제2연결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3, the stair unit 12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late 124.

제2연결판(124)은 상판부(12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연결판(124)은 제3힌지축(H3)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판부(121) 후단에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may be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may b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third hinge shaft H3 by a predetermined degree.

제2연결판(124)은 지지빔(110)으로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그 체결 위치를 달리할 뿐 전술한 제1연결판(123)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연결판(124)은 소정 넓이를 가진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 및 그 반대면에 각각 가이드리브(123a) 및 가이드홈(123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빔(110)에 형성된 안착홈(111)에 안착 배치되어, 소정의 고정수단(123d)을 통해 지지빔(110)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is for installation to the support beam 110 and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ion plate 123 only by changing its fastening position.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have a guide rib 123a and a guide groove 123b o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beam 110 It is seated and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111 formed in, and can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support beam 110 through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123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구조물(10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100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지지빔(110)이 설치 공간에 설치된다. 지지빔(110)은 각 층의 바닥면, 벽면, 지지물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층 간의 간격이나 높이 등에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빔(110)은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좌우 한 쌍의 지지빔(110)이 설치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beam 11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The support beam 110 may be rigidly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wall surface, support material, etc. of each layer, and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a distance or height between each lay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left and right, and generally, a pair of support beams 110 may be installed.

상기와 같이 지지빔(110)이 고정 설치되면, 계단유닛(12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지지빔(110)을 따라 순차적 배치된 구조를 이루며, 기 설치된 지지빔(110)에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순차적 또는 동시 다발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beam 110 is fixedly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tair unit 120 may be installed.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support beam 110, and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bundled in the previously installed support beam 110. Can be installed separately.

각 계단유닛(120)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method of each stair unit 120 is as follows.

먼저, 각 층 간의 간격이나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 등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계단유닛(120)이 선택된다. 이후 기 설치된 지지빔(110)에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First, an appropriate number of stair units 120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each floor or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s 110. Thereafter,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disposed on the previously installed support beam 1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구체적으로, 제1연결판(123)이 지지빔(110)의 소정 위치에 가조립된다. 여기서, 제1연결판(123)은 가이드리브(123a)가 지지빔(110)의 안착홈(111)에 안착 배치됨으로써, 소정의 조립 위치로 안내 및 가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s temporarily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 beam 110. Here,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may be guided and temporarily installed to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by placing the guide ribs 123a in the seating groove 111 of the support beam 110.

또한, 제2연결판(124)이 제1연결판(123)으로부터 이격된 소정 위치에 가조립된다. 제2연결판(124) 또한 제1연결판(123)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 위치가 안내 및 가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124 is temporarily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plate 123. The second connecting plate 124 may also be guided and temporarily installed in an assembly position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123.

상기와 같이 제1, 2연결판(123, 124)이 안착홈(111)을 통해 지지빔(110) 상의 소정 위치로 가조립되면, 계단유닛(120)은 가조립된 위치 및 배치 형태로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계단유닛(120)이 가조립되면, 이에 연속 또는 동시 다발적으로 다른 계단유닛(120)이 유사한 방식으로 가조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are temporarily assemb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pport beam 110 through the seating groove 111, the stair unit 120 is temporarily fixed in the temporarily assembled position and arrangement form. I can. Accordingly, when a predetermined stair unit 120 is temporarily assembled, the other stair units 120 may be temporarily assembled in a similar manner, either continuously or simultaneously.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가조립되면, 제1, 2연결판(123, 124)과 지지빔(110) 사이에 고정수단(123d)이 체결되어, 각 계단유닛(120)이 지지빔(110) 상에 완전히 고정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가조립 과정과 이와 같은 본조립 과정은 동시 다발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temporarily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ans 123d is faste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123 and 124 and the support beam 110, and each stair unit 120 It is completely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110. If necessary, the above-described temporary assembly process and the main assembly proces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multiple times.

각 계단유닛(120)이 지지빔(110)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면, 지지빔(110)을 따라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배치된 층계가 완성될 수 있다.When each stair unit 120 is completely fixed to the support beam 110, a stair in which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arranged along the support beam 110 may be completed.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은 상기와 같이 층계 시공을 간편하고,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은 지지빔(110) 및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조립 설치되는 방식을 통해 층계의 시공이 가능하며, 층간의 간격이나 거리에 적절히 대응 가능하여 시공 비용이나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즉, 일종의 조립식 부품 형태로 각 구성 부품을 미리 제작하여두고, 시공 환경에 따라 이를 적절히 가변시켜 설치 가능함으로써,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the stair construction simply and more quickly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structed by stair construction through a method in which the support beam 110 and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assembled and installed, and can be appropriately responded to the interval or distance between floors. I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ducing cost or time. 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 and time by pre-producing each component in the form of a kind of prefabricated part, and installing it by changing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의 설치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모듈화된 각 계단유닛(120)의 설치 개수를 변경하여 각 층간의 간격이나 거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계단유닛(120)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여 각 층간의 높이나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에도 절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in this embodiment, by changing the number of modular stair units 120 installe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spacing or distance between each floor, and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stair unit 120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height or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 11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도 5의 (a)와 같은 전형적인 설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ructure 100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typical installation form as shown in FIG. 5A.

여기서, 도 5의 (b)와 같이 각 층간의 높이나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가 가변된 경우,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각 계단유닛(120)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여 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즉, 측판부(122)를 상판부(121)에 대해 적절히 회동 이동시키고, 측판부(122)와 상판부(121) 간의 각도를 변경 배치함으로써, 지지빔(110)의 배치 각도 등에 대응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1, 2연결판(123, 124) 등은 전형적인 설치 형태(도 5의 (a)와 같은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빔(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어, 그 각도나 배치 형태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작업 과정을 통해 구조물(100)의 설치가 가능하다.Here, when the height of each floor or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 110 is changed as shown in FIG. 5B,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spond appropriately by changing the arrangement angle of each stair unit 120. I can. That is, by appropriately rotating the side plate portion 122 relative to the top plate portion 121 and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side plate portion 122 and the top plate portion 121,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upport beam 110 and the like. In addition, eve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110 in the same manner as in a typical installation form (in the case of FIG. 5 (a)). Despite the change in the angle or arrangement form,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tructure 100 through the same working process.

나아가,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그 이송이나 보관, 적재 등에 있어서도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주문 제작 방식이 아닌 기성품의 형태로 대량 생산될 경우 경제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송이나 보관 상의 용이성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Furthermore,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 transport, storage, and loading. In particular, since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re economical when mass-produced in the form of a ready-made product rather than a custom-made method, it will be said that the ease of transport or storage is requir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계단유닛의 적재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loading form of the stair unit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복수의 계단유닛(120)을 포함하여, 이의 보관이나 적재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계단유닛(120)은 제1 내지 3힌지축(H1, H2, H3)을 중심으로 각각 측판부(122), 제1, 2연결판(123, 124)이 회동되어 도 5와 같은 평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 등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판부(121), 측판부(122), 제1, 2연결판(123, 124)이 대략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회동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nd storage or loading thereof may be required. In this case, the stair unit 120 rotates the side plates 12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123 and 124 around the first to third hinge axes H1, H2, H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It can be arranged in the same plate shape. Tha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 and the like,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he side plate portion 12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123 and 124 are rotated to form approximately one plane.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의 계단유닛(120)은 상하로 적층된 형태로 보관이나 이송될 수 있다. 각 계단유닛(120)이 대략 평면 형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면서 다수의 계단유닛(120)이 보관이나 이송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may be stored or transferred in a vertically stacked form. This is because each stair unit 120 has an approximately flat shape. Therefore,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can be stored or transferred while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또한, 상기에서 각 계단유닛(120)에 구비된 슬립방지패드(121a) 등은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배치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부(121)에 형성된 슬립방지패드(121a)는, 그 상측에 적층된 다른 상판부(121)의 패드홈(121b)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2연결판(123, 124)에 형성된 각 가이드리브(123a)는, 그 상측에 적층된 다른 제1, 2연결판(123, 124)의 각 가이드홈(123b)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된 계단유닛(120) 간은 슬립방지패드(121a), 패드홈(121b), 가이드리브(123a), 가이드홈(123b) 등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이탈이 일정 부분 제한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the slip prevention pads 121a provided in each stair unit 120 may contribute to a more stable stacking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Specifically, the anti-slip pad 121a formed on the upper plate 121 may be fastened to the pad groove 121b of the other upper plate 121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Each of the guide ribs 123a formed in may be fastened to each of the guide grooves 123b of the other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herefore, between the stair units 120 stacked up and down, the devi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partially limited by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the pad groove 121b, the guide rib 123a, the guide groove 123b, etc. , A more stable stacked structure can be achiev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철재 계단 구조물에 핸드레일유닛이 추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rail unit is added to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shown in FIG. 1.

도 7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구조물(100)은 핸드레일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f necessary,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andrail unit 130.

핸드레일유닛(130)은 전술한 지지빔(110)에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설치된 후, 필요에 따라 지지빔(110)에 추가로 설치되어 핸드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After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installed on the aforementioned support beam 110, the handrail unit 13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110 as necessary to form a handrail.

핸드레일유닛(130)은 레일브라켓(131)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브라켓(131)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빔(beam)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브라켓(131)은 지지빔(110)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 및 설치됨에 따라 핸드레일을 형성하게 된다.The handrail unit 130 may include a rail bracket 131. The rail bracket 131 may have a shape of a beam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as a whole. The rail bracket 131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support beam 110 and is disposed and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form a handrail.

레일브라켓(131)은 하측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131a)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일브라켓(131)은 대략 하측을 향해 개구된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전후로 연장되어 수용공간(131a)을 형성하고 있다.The rail bracket 131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131a open toward the lower side. As shown, the rail bracket 131 has a'C'-shaped cross section that is substantially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and extends back and forth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31a.

한편, 핸드레일유닛(130)은 레일브라켓(131)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암(132)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암(132)은 상단이 레일브라켓(131) 내측의 수용공간(131a)에 배치되어, 좌우 방향의 회동축(132a)을 가지고 레일브라켓(1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rail unit 130 may include a pivoting arm 132 hinged to the rail bracket 131. The rotation arm 132 has an upper e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inside the rail bracket 131, and may be hinged to the rail bracket 131 with a rotation shaft 132a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회동암(132)은 회동축(132a)을 중심으로 레일브라켓(131)에 대해 소정 정도 회동될 수 있다. 회동암(132)은 수용공간(131a)에 배치되거나, 이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되어 전개될 수 있다. 즉, 회동암(132)은 레일브라켓(13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레일브라켓(131) 하부의 수용공간(131a)으로 삽입 배치되거나, 상단의 회동축(132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용공간(131a)으로부터 이탈 및 전개될 수 있다.The rotation arm 132 may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132a with respect to the rail bracket 131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rotating arm 132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or may be rotated downward therefrom to be deployed. That is, the rotation arm 13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bracket 131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1a under the rail bracket 131 or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32a at the top. It can be separated and deploy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31a).

바람직하게, 회동암(132)은 레일브라켓(131) 내측의 수용공간(131a)에 적절히 수용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1a)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수용공간(131a)은 대략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회동암(132) 또한 이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Preferably, the pivoting arm 132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131a so that it can be properly accommodated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inside the rail bracket 131. As illustrated, the receiving space 131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the rotating arm 132 also has a corresponding rectangular cross-section.

회동암(132)의 하단에는 암고정홀(132b)이 구비될 수 있다. 암고정홀(132b)은 회동암(132) 하단을 지지빔(110)과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빔(110)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고정홀(112)과 체결될 수 있다. 지지빔(110)의 측면에는 이와 같이 회동암(132) 하단을 조립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레일고정홀(112)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고정홀(112)은 지지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도 1 등의 경우 도시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레일고정홀(112)을 생략하고 있다.An arm fixing hole 132b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arm 132. The arm fixing hole 132b is for fastening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arm 132 with the support beam 110, and may be fastened to the rail fixing hole 112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eam 110. A plurality of rail fixing holes 112 for assembl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arm 13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eam 110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rail fixing holes 112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10.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FIG. 1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the rail fixing hole 112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회동암(13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핸드레일유닛(130) 또는 레일브라켓(131)에는 복수의 회동암(132)이 마련될 수 있다. 각 회동암(1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이 레일브라켓(131)에 힌지 결합되어, 소정 범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otating arms 132 may be provided.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pivoting arms 132 may be provided on one handrail unit 130 or rail bracket 131. Each of the pivoting arms 132 may have an upper end hinged to the rail bracket 131 as described above, and thus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에서 전후로 인접한 회동암(132) 간의 간격은 각 회동암(132)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회동암(132)은 레일브라켓(131) 측으로 회동되어 모두 수용공간(131a)에 삽입 배치되거나, 이로부터 하방으로 회동되어 지지빔(110)과 레일브라켓(131) 사이에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자와 같이 복수의 회동암(132)이 수용공간(131a)에 삽입 배치된 경우, 핸드레일유닛(130)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한 보관이나 이송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arms 132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each rotating arm 132. Therefore, the plurality of pivoting arms 132 are rotated toward the rail bracket 131 and are all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1a, or are pivoted downward therefrom, and are substantially vertically between the support beam 110 and the rail bracket 131 Can be placed as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ivoting arms 132 are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as in the former, the volume of the handrail unit 130 can be minimized, and more convenient storage or transport i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은 핸드레일유닛(130)은 수개의 회동암(132)을 구비한 형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 즉, 핸드레일유닛(130)은 기 설정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회동암(13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빔(110)의 길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복수개가 연결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드레일유닛(130)의 모듈화는 그 보관이나 이송, 설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rail unit 130 as described above may be modularized in a form having several pivoting arms 132. That is, the handrail unit 1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include a number of rotating arms 132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lurality of handrail units are appropriately connect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beam 110 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Can be used. Such modularization of the handrail unit 130 can facilitate storage, transport, and installation work.

도 8은 커버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ver unit.

도 8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핸드레일유닛(130)은 커버유닛(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f necessary, the handrai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unit 133.

커버유닛(133)은 회동암(132)이 이탈된 수용공간(131a)에 체결되어, 핸드레일유닛(130)의 미관이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The cover unit 133 is fastened to the receiving space 131a from which the pivoting arm 132 is separated, and thus the aesthetics and feeling of use of the handrail unit 130 may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커버유닛(133)은 레일브라켓(131)의 상면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 배치되는 상부커버(133a)와, 상부커버(133a)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레일브라켓(131)의 측면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커버(133b)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unit 133 includes an upper cover 133a mount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bracket 131,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cover 133a to the side of the rail bracket 131 It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covers (133b) mounted to surround the portion.

또한, 상기에서 각 사이드커버(133b)는 그 하단에서 수용공간(131a)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단체결편(133c)과, 하단체결편(133c)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편(133d)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체결편(133c)은 레일브라켓(131)의 하단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 배치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편(133d)은 수용공간(131a)을 향해 소정 정도 연장되어, 레일브라켓(131)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커버유닛(133)은 이와 같은 하단체결편(133c) 및 이탈방지편(133d)에 의해 레일브라켓(131)에 장착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ach side cover (133b)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receiving space (131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wer end fastening piece (133c) and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iece (133c) extending to the upper by a predetermined degre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33d). Here, the lower fastening piece 133c may be mounted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end of the rail bracket 131,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133d extends toward the receiving space 131a by a predetermined degree, and the rail bracket 131 It may be mounted to sur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e cover unit 133 may be mounted and assembled to the rail bracket 131 by the lower fastening piece 133c and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133d.

커버유닛(133)은 회동암(13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레일브라켓(131)에는 복수의 커버유닛(133)이 장착 조립될 수 있다. 즉, 각 회동암(132)이 이탈된 수용공간(131a)에 각 커버유닛(133)이 장착 조립되는 것이다.The cover unit 133 may be extend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otating arm 132.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ver units 133 may be mounted and assembled to one rail bracket 131. That is, each of the cover units 133 is mounted and assembl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from which the respective pivoting arms 132 are separated.

커버유닛(133)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유닛(133)은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유닛(133)의 외면에는 그 미관이나 촉감 등을 개선하기 위한 소정의 무늬, 형상, 색상, 질감 등이 부여될 수 있다.The cover unit 133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cover unit 13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rubb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color, texture, etc.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33 to improve the aesthetics or touch.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동암 하단 부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pivot arm shown in FIG. 7.

도 9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핸드레일유닛(130)은 회동암(132) 하단에 체결되는 고정핀(134)과, 고정핀(134)에 체결되는 핀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f necessary, the handrail unit 130 may include a fixing pin 134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arm 132 and a pin cover 135 fastened to the fixing pin 134. have.

고정핀(134)은 회동암(132) 하단에 형성된 암고정홀(132b)과, 지지빔(110) 측면의 레일고정홀(11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고정핀(134)의 양단에는 제1, 2끼움돌기(134a, 13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2끼움돌기(134a, 134b)는 대략 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핀(134)이 지지빔(110)과 회동암(132)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고정핀(134)은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n 134 may be inserted into the arm fixing hole 132b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arm 132 and the rail fixing hole 112 on the side of the support beam 110 in a force-fitting manner.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4a and 134b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in 134.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protrusions 134a and 134b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or partial spherical protrusion shape, so that the fixing pin 134 does not deviate between the support beam 110 and the rotating arm 132. Preferably, the fixing pin 134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lastic.

핀커버(135)는 고정핀(134)의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핀커버(135)는 일면에 핀끼움홈(135c)을 구비하고, 제1끼움돌기(134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커버(135)는 제1끼움돌기(134a)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부위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The pin cover 135 may be fit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in 134. That is, the pin cover 135 may have a pin fitting groove 135c on one surface and may be fitted 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4a. The pin cover 135 may prevent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4a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oupling portion.

보다 바람직하게, 핀커버(135)는 회동암(132)을 향해는 일면에 이형지(135a)가 접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형지(135a)가 제거되고,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면(135b)이 회동암(132)의 측면에 접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끼움돌기(134a) 및 핀끼움홈(135c)에 의한 결합력을 접착면(135b)이 보조하여, 핀커버(13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ore preferably, the pin cover 135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release paper 135a is adhered to one side toward the pivoting arm 132, and the release paper 135a is removed, and an adhesive surface containing an adhesive (135b) may be installed in a form bonded to the side of the pivoting arm (132). This i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in cover 135 by assisting the bonding surface 135b with the bonding force by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4a and the pin fitting groove 135c.

또한, 핀커버(135)는 플라스틱,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소정의 무늬, 형상, 색상, 질감 등이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 cover 135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plastic or rubb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color, texture, etc. to improve its appearance.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핸드레일유닛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handrail unit shown in FIG. 7.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핸드레일유닛(130)이 설치 위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각 핸드레일유닛(130)은 회동암(132)이 수용공간(131a)에 배치된 형태로 적재 내지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first, a plurality of handrail units 130 are transferred to an installation position. Here, each handrail unit 130 may be loaded or transported in a form in which the rotating arm 132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다음으로, 핸드레일유닛(130)이 설치 위치로 배치된다. 핸드레일유닛(130)은 전술한 계단유닛(120)과 병행하여 설치나 조립 작업이 이뤄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먼저 계단유닛(120)이 조립 완료된 후 핸드레일유닛(130)의 설치가 이뤄질 수 있다.Next, the handrail unit 130 is disposed in an installation position. The handrail unit 130 may be installed or assembled in parallel with the stair unit 120 described above, but preferably, the handrail unit 130 may be installed after the stair unit 120 is first assembled. have.

설치 위치로 배치된 핸드레일유닛(130)은 복수의 회동암(132)이 전개된다. 회동암(132)의 전개는 각 회동암(132)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 즉, 핸드레일유닛(130)의 이송이나 운반시에는 수용공간(131a)의 개구부가 상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하여, 각 회동암(132)이 수용공간(131a)에 수용된 상태로 이송 및 운반될 수 있으며, 설치시에는 수용공간(131a)의 개구부를 하측을 향해 배치하여 회동암(132)이 하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The handrail unit 130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has a plurality of pivoting arms 132 deployed therein. The development of the pivot arm 132 may be naturally performed by the weight of each pivot arm 132. That is, when the handrail unit 130 is transported or transported,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131a is arranged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each pivoting arm 132 can be transported and transpor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1a. In addition, during installation, the rotation arm 132 may be deployed downward by arranging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pace 131a toward the lower side.

회동암(132)이 전개되면, 레일브라켓(131)의 단부가 소정의 지지 구조에 고정 설치된다. 예컨대, 레일브라켓(131)의 단부는 해당 층의 벽면이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지지물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pivoting arm 132 is deployed, the end of the rail bracket 131 is fixedly install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For example, the end of the rail bracket 131 may be fixed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f a corresponding layer or a support that can replace it.

또한, 각 회동암(132)의 하단은 고정핀(134)을 통해 지지빔(11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암(132) 하단이 체결되는 레일고정홀(112)은 레일브라켓(131)의 높이, 기 설치된 계단유닛(120)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회동암(132)은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레일브라켓(131)의 배치 높이 등에 따라 소정 정도 경사진 배치 형태로 장착 조립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관상의 목적을 위해 이와 같은 회동암(132)의 경사 배치가 고려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each pivoting arm 132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10 through a fixing pin 134. Here, the rail fixing hole 112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voting arm 132 is fastene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rail bracket 131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stair unit 120. That is, the pivoting arm 132 is not necessari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mounted and assembled, but may be mounted and assembled in a predetermined inclined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rail bracket 131. In some cases, for aesthetic purposes, such an inclined arrangement of the pivoting arm 132 may be considered.

한편, 각 회동암(132)이 지지빔(110)에 체결되면, 필요에 따라 이에 핀커버(135)가 다시 체결될 수 있다. 핀커버(135)는 이형지(135a)가 제거되고, 고정핀(134) 일단의 제1끼움돌기(134a)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제1끼움돌기(134a) 및 접착면(135b)에 의해 장착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ach pivoting arm 132 is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10, the pin cover 135 may be fastened again, if necessary. The pin cover 135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the release paper 135a is removed, and the fixing pin 134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4a of one end, and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34a and the adhesive surface 135b It can be mounted and supported by

또한, 설치 환경에 따라, 복수의 핸드레일유닛(13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기 설치된 핸드레일유닛(130)의 단부에 다른 핸드레일유닛(130)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앞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회동암(132) 등이 지지빔(110)에 조립되게 된다.Also,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 plurality of handrail units 130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That is, the other handrail unit 130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end of the previously installed handrail unit 130, and a plurality of pivoting arms 132, etc., are assembled to the support beam 110 in a similar manner as before. do.

상기와 같이 지지빔(110)에 복수의 핸드레일유닛(130)이 장착 완료되면, 각 핸드레일유닛(130)의 레일브라켓(131)에 커버유닛(133)이 조립될 수 있다. 커버유닛(133)은 레일브라켓(131)의 외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되, 하단의 이탈방지편(133d)이 레일브라켓(131) 내측의 수용공간(131a)으로 소정 정도 인입되어, 레일브라켓(131)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다 견고한 조립을 위해 레일브라켓(131)과 커버유닛(133) 간에는 볼트 등 소정의 결합수단(133e)이 추가될 수도 있다(도 8 참조).When the plurality of handrail units 130 are mounted on the support beam 110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unit 133 may be assembled to the rail bracket 131 of each handrail unit 130. The cover unit 133 is fasten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bracket 13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33d at the bottom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1a inside the rail bracket 131 by a predetermined degree, and the rail bracket 131 ) Can be assembled and fixed. In some cases, a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133e, such as a bolt, may be added between the rail bracket 131 and the cover unit 133 for a more robust assembly (see FIG. 8).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철재 계단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계단유닛(120), 핸드레일유닛(130) 등 철재 계단 구조물(100)의 각 구성부품을 모듈화하여 그 보관이나 이송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나 정형적인 프로세스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여 시공에 필요한 비용이나 시간을 상당 부분 절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100 such as the staircase unit 120 and the handrail unit 130 is modularized and stored.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can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by enabling mass production or construction of a formal proces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구조물 110: 지지빔
111: 안착홈 112: 레일고정홀
120: 계단유닛 121: 상판부
121a: 슬립방지패드 121b: 패드홈
122: 측판부 123: 제1연결판
123a: 가이드리브 123b: 가이드홈
123c: 설치홀 123d: 고정수단
124: 제2연결판 130: 핸드레일유닛
131: 레일브라켓 131a: 수용공간
132: 회동암 132a: 회동축
132b: 암고정홀 133: 커버유닛
133a: 상부커버 133b: 사이드커버
133c: 하단체결편 133d: 이탈방지편
133e: 결합수단 134: 고정핀
134a: 제1끼움돌기 134b: 제2끼움돌기
135: 핀커버 135a: 이형지
135b: 접착면 135c: 핀끼움홈
100: structure 110: support beam
111: mounting groove 112: rail fixing hole
120: stair unit 121: top plate
121a: slip prevention pad 121b: pad groove
122: side plate part 123: first connection plate
123a: guide rib 123b: guide groove
123c: installation hole 123d: fixing means
124: second connection plate 130: handrail unit
131: rail bracket 131a: accommodation space
132: rotating arm 132a: rotating shaft
132b: arm fixing hole 133: cover unit
133a: upper cover 133b: side cover
133c: lower part fastening piece 133d: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33e: coupling means 134: fixing pin
134a: first fitting protrusion 134b: second fitting protrusion
135: pin cover 135a: release paper
135b: adhesive surface 135c: pin insertion groove

Claims (5)

각 층간에 경사 배치된 지지빔(110); 및
상기 지지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 배치되는 복수의 계단유닛(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빔(110)은, 상면에 복수의 안착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홈(111)은, 상기 지지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계단유닛(120)은,
상판부(121);
상단이 상기 상판부(121)의 전단에 좌우 방향의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측판부(122);
상기 측판부(122)의 하단에 좌우 방향의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연결판(123); 및
상기 상판부(121)의 후단에 좌우 방향의 제3힌지축(H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연결판(1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연결판(123, 124)은,
상기 안착홈(111)에 체결 가능하도록 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리브(123a);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상기 가이드리브(12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된 가이드홈(123b);을 구비하고,
상기 계단유닛(120)은,
상기 상판부(121), 상기 측판부(122), 상기 제1연결판(123) 및 상기 제2연결판(124)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평면 형태를 이루는 제1배치상태; 및
상기 상판부(121)에 대해 상기 측판부(122)가 상기 제1힌지축(H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고, 상기 측판부(122)에 대해 상기 제1연결판(123)이 상기 제2힌지축(H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고, 상기 상판부(121)에 대해 상기 제2연결판(124)이 상기 제3힌지축(H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 제2배치상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계단유닛(120)은, 상기 제1배치상태에서 상하로 적층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23a)는, 상기 제1배치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된 다른 계단유닛(120)의 가이드홈(123b)에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121)는,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상판부(121)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립방지패드(121a); 및
상기 슬립방지패드(12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21)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패드홈(121b);을 구비하고,
상기 슬립방지패드(121a)는, 복수개가 상기 상판부(121)의 상면에 전후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드홈(121b)은, 상기 복수개의 슬립방지패드(121a)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상기 상판부(121)의 하면에 전후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립방지패드(121a)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철재 계단 구조물.
A support beam 110 disposed inclined between each lay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ssembled and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10,
The support beam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1 on the upper surface,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111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110,
The stair unit 120,
An upper plate portion 121;
A side plate part 122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fastened to a front end of the upper plate part 121 about a first hinge axis H1 in a left-right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plate 123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side plate part 122 about a second hinge axis H2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Including; a second connection plate 124 that is rotatably fastened about a third hinge axis H3 in a left-right direction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A guide rib (123a) protruding from one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mounting groove (111); And
It has a guide groove (123b)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123a)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ne surface; and,
The stair unit 120,
A first arrangement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121, the side plate 122,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planar shape; And
The side plate part 122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H1 with respect to the top plate part 121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12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ide plate part 122. A second arrangement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H2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124 is rotated about the third hinge axis H3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to be possible,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formed to be stackable vertically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guide rib 123a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guide groove 123b of the other stair unit 1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first arrangement state,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 slip prevention pad (121a) protruding with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And
It has a pad groove (121b)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121); and,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is, a plural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is spaced apart back and forth,
The pad groove (121b),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anti-slip pads (121a), a plurality of the upper plate portion 121 is spaced back and forth spaced apart,
The slip prevention pad 121a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 steel staircas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1)은,
상단의 전후 폭(W1)이 하단의 전후 폭(W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23a) 및 상기 가이드홈(123b)은,
상기 안착홈(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단의 전후 폭(W3)이 타단의 전후 폭(W4)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2연결판(123, 124)은,
상기 가이드리브(123a) 및 상기 가이드홈(123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2연결판(123, 124)을 각각 관통하는 설치홀(123c)을 구비하고, 상기 각 설치홀(123c)에 체결되는 고정수단(123d)에 의해 상기 지지빔(110)에 조립 고정되는, 철재 계단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groove 111,
The front and rear width (W1) of the upper e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gree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W2) of the lower end
The guide rib (123a) and the guide groove (123b),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111, the front and rear width W3 of one end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W4 of the other end by a predetermined degre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I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guide ribs 123a and the guide grooves 123b, and has an installation hole 123c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and 124,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installation holes A steel staircase structure that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support beam 110 by a fixing means (123d) fastened to (123c).
청구항 1 또는 4 중 어느 한 항의 철재 계단 구조물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시공 위치로 이송되는 단계;
시공을 위한 각 층간에 지지빔(11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단계;
상기 지지빔(110)에 상기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각 계단유닛(120)이 상기 지지빔(110)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단계는,
상기 각 계단유닛(120)이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계단유닛(120)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단계는,
상기 각 계단유닛(120)에 구비된 제1, 2연결판(123, 124)의 가이드리브(123a)가, 상기 지지빔(110)에 형성된 안착홈(111)에 안착되어, 상기 각 계단유닛(120)이 상기 지지빔(110)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2연결판(123, 124)에 각각 고정수단(123d)을 체결하여, 상기 지지빔(110)에 상기 제1, 2연결판(123, 124)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재 계단 구조물의 시공방법.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eel staircase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1 or 4,
Step of transferring a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to a construction loca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upport beam 110 inclined between each layer for construction;
Arranging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on the support beam 110; And
Including, the step of fixing each of the stair units 120 to the support beam (110),
The transfer step,
Each of the stair units 120 is arranged in a flat shape, and the plurality of stair units 120 are transferred in a vertically stacked state,
The placing step,
Guide ribs (123a)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124) provided in each of the stair units (120) are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s (111) formed in the support beam (110), and each stair unit (120)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110),
The fixing step,
Including the step of fastening the fixing means (123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124), respectively, to fix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123, 124) to the support beam (110),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staircase structure.
KR1020190049867A 2019-04-29 2019-04-29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54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67A KR102154517B1 (en) 2019-04-29 2019-04-29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867A KR102154517B1 (en) 2019-04-29 2019-04-29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517B1 true KR102154517B1 (en) 2020-09-10

Family

ID=7245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867A KR102154517B1 (en) 2019-04-29 2019-04-29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5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886A (en) * 2021-02-26 2021-06-15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Steel stair transformation method and steel st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3571A1 (en) * 2007-01-09 2008-07-10 Arthur Kohler Method and system for walkway with unsupported end
KR20080100302A (en) * 2008-07-23 2008-11-17 김용근 Assembly stairway
KR101425590B1 (en) * 2014-01-27 2014-08-01 주식회사 다함포스텍 The stairway where the angle control is possib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way
KR20150050713A (en) * 2013-10-31 2015-05-11 임주혁 Construction Type st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3571A1 (en) * 2007-01-09 2008-07-10 Arthur Kohler Method and system for walkway with unsupported end
KR20080100302A (en) * 2008-07-23 2008-11-17 김용근 Assembly stairway
KR20150050713A (en) * 2013-10-31 2015-05-11 임주혁 Construction Type stair
KR101425590B1 (en) * 2014-01-27 2014-08-01 주식회사 다함포스텍 The stairway where the angle control is possib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w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886A (en) * 2021-02-26 2021-06-15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Steel stair transformation method and steel stair
CN112962886B (en) * 2021-02-26 2023-08-25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Steel stair transformation method and steel st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517B1 (en) Modular steel stai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54515B1 (en) Steel stair structure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EP2327847B1 (en) Fixing system of a skirting
JP2009275500A5 (en)
KR100928908B1 (en) Access floor assembly
KR101970404B1 (en) Module assembly type prefabricated house
KR200485650Y1 (en) Scaffolding structure
US4800697A (en) Modular interstitial concrete sub-floor
JP2746231B2 (en) Partition mounting structure in temporary house
JPH09242287A (en) Stair of unit type building
JP4234292B2 (en) Building unit
CN214364524U (en) Assembled stair component for building
CN212641804U (en) Coupling assembling and wall structure
JP5484511B2 (en) Extension hardware, extension structure and extension method
JP2009150168A (en) Double floor structure and partitio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7131749B2 (en) Sash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JPH0435586B2 (en)
JP5625161B2 (en) Staircase
JP2009285192A (en) Foldable assembly coffin
JP6888973B2 (en) Parts for temporary toilets and temporary toilets
JP6858512B2 (en) Deck structure
JPH10121586A (en) Expansion joint
KR101754933B1 (en) Unit for finishing upper portion of elevator door assembly
JP4319951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houses with strip stairs
JP3108725B2 (en) Double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