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29B1 -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29B1
KR102154229B1 KR1020190080289A KR20190080289A KR102154229B1 KR 102154229 B1 KR102154229 B1 KR 102154229B1 KR 1020190080289 A KR1020190080289 A KR 1020190080289A KR 20190080289 A KR20190080289 A KR 20190080289A KR 102154229 B1 KR102154229 B1 KR 10215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pretreatment
scraper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안영수
강기환
이준규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29B1/ko
Priority to US16/538,378 priority patent/US11065859B2/en
Priority to CN202010587571.5A priority patent/CN11213378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층되고 접합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구비한 적층 패널이 마운트(mount) 되는 테이블 모듈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을 분해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적층 패널에 홈(groove)을 형성하는 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태양광 모듈은, 친환경적 에너지 생산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수명이 다한 태양광 모듈은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하는 데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폐 태양광 모듈은, 유리와 유가 금속 등을 포함하므로 재활용(recycling)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태양광 패널에 부착된 정션박스와 태양광 패널을 구성하는 봉지재는 유가 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재활용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는, 분리될 경우, 재활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발생될 수 있다.
KR 10-2013-0080950 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 모듈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유리와 봉지재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을 분해하여 봉지재를 유리에서 효과적으로 분리시키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기술적 과제는, 유리와 봉지재의 경계에 압력이 집중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an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층되고 접합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구비한 적층 패널이 마운트(mount) 되는 테이블 모듈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을 분해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一邊)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another aspect)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리와 봉지재가 부착되어 형성된 태양광 모듈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분해하는 스크레이퍼 유닛과,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유닛과,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 및 상기 전처리 유닛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S10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상기 유리와 상기 봉지재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S20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는, 태양광 모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는, 유리와 봉지재로 구성된 태양광 모듈을 분해하여 봉지재를 유리에서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는, 유리와 봉지재의 경계에 압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태양광 모듈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플레이트와 스크레이퍼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 모듈을 횡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n 커팅 작업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태양광 모듈(50)의 분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폐기 대상이 되는 태양광 모듈(50)은, 분해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에 포함된 유리 또는 유가금속은 분리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태양광 모듈(50)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모듈(50)은, 정션박스와 백시트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은, 유리(56)와 봉지재(5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은, 백시트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유리(56)는, 태양광 모듈(50)의 전면(前面)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56)는 빛을 투과할 수 있다. 봉지재(58)는, 유리(56)의 후면(後面)에 위치할 수 있다. 봉지재(58)의 내부에 태양전지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봉지재(58)는, 태양전지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는 봉지재(58)는, 태양전지소자를 유리(56)에 결합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소자는, 빛(光)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봉지재(58)의 내부에 금속 리본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일부를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5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를 유리(5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와 유리(56) 사이의 경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봉지재(58)를 유리(5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은, 스테이지(211)에 적재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면, 태양광 모듈(50)이 스테이지(211)에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블록(212)은, 스테이지(211)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스테이지(211)에 대한 태양광 모듈(5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스테이지(211)와 지지 블록(2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봉지재(58)와 유리(56)의 사이에 압력을 가하며 이동하면, 봉지재(58)는 유리(5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하며 이동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를 유리(5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된 봉지재(58)는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진행 방향으로 말리면서(curled) 유리(56)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프레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테이블 모듈(210)과 가이드 레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모듈(210)은, 스테이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211)의 상면(上面)에 태양광 모듈(50)이 안착될 수 있다. 테이블 모듈(210)은, 지지 블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블록(212)은, 스테이지(21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블록(212)은, 스테이지(211)에서 태양광 모듈(5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가이드 레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2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220)은, 제1 가이드 레일(221)과 제2 가이드 레일(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레일(221)과 제2 가이드 레일(222)은, 스테이지(211)에 인접할 수 있다. 스테이지(211)는, 제1 가이드 레일(221)과 제2 가이드 레일(2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태양광 모듈(50)은, 제1 가이드 레일(221)과 제2 가이드 레일(2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스크레이퍼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여 태양광 모듈을 분해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제1 횡축빔(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축빔(330)의 제1 단부(端部)는, 제1 가이드 레일(2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횡축빔(330)의 제2 단부는, 제2 가이드 레일(2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블레이드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제1 횡축빔(33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가이드 레일(2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20)의 길이 방향은, 전후(前後) 방향 또는 종방향(縱方向)일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一邊)에서 타변(他邊)을 향하여 이동하며,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의 타변은, 태양광 모듈의 일변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의 일변과 타변은, 태양광 모듈(50)의 가장자리 중 일부일 수 있다. 봉지재(58, 도 1 참조)의 일변 및 유리(56, 도 1 참조)의 일변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을 형성할 수 있다. 봉지재(58, 도 1 참조)의 타변 및 유리(56, 도 1 참조)의 타변은, 태양광 모듈(50)의 타변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전처리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전방(前方)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면(一面)의 영역 중 일변에 인접한 영역(이하 “일변 영역”)을 일부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유닛(400)은, 봉지재(58, 도 1 참조)의 일변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 영역의 상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태양광 모듈에서, 봉지재(58, 도 1 참조)는 유리(56, 도 1 참조)의 상면(上面)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의 일면(一面)에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유닛(400)은,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형성되는 홈은, 횡방향(橫方向)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에 인접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에 의해 삭제되는 일변 영역은, 다른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의 일변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처리 유닛(400)은, 봉지재(58, 도 1 참조)의 일변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재(58, 도 1 참조)의 일변을 포함한 일변 영역이 제거될 수 있다.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형성되는 홈의 길이 방향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이동 방향은, 가이드 레일(2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의 제1 단부는, 제1 가이드 레일(2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의 제2 단부는, 제2 가이드 레일(2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에 의해 태양광 모듈(50)에 홈이 형성되면, 블레이드 모듈(340)은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된 홈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 모듈(340)의 기준 위치는,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모듈(340)의 기준 위치는,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기준 위치에서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블레이드 모듈(34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하는 위치는, 기준 위치일 수 있다. 기준 위치에서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모듈(340)이 봉지재(58, 도 1 참조)에 압력을 제공하기 용이할 수 있다. 즉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형성된 홈에 기인하여, 블레이드 모듈(340)은 봉지재(58, 도 1 참조)와 유리(56, 도 1 참조)의 사이에 압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흡입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닛(6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후방(後方)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 유닛(600)은, 가이드 레일(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유닛(600)의 제1 단부는, 제1 가이드 레일(2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유닛(600)의 제2 단부는, 제2 가이드 레일(2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600)은, 태양광 모듈(50)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편을 흡입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과 전처리 유닛(400) 사이의 간격은, 일정 거리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과 흡입 유닛(600) 사이의 간격은, 일정 거리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가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하는 과정이 설명될 수 있다. 도 2에서 태양광 모듈(50)은 유리(56, 도 1 참조)와 봉지재(58, 도 1 참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봉지재(58, 도 1 참조)가 유리(56, 도 1 참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은, 스테이지(211)에 적재될 수 있다. 스테이지(211)에 적재된 태양광 모듈(50)의 일변(一邊)은 지지 블록(212)과 작용할 수 있다. 지지 블록(212)은, 태양광 모듈(5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지지 블록(212)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의 타변(他邊)에 인접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의 타변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변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의 일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유닛(400)은 봉지재(58, 도 1 참조)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한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에 의해 태양광 모듈(50)에 홈이 형성된 이후, 블레이드 모듈(340)은 기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이 기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1 횡축빔(330)이 가이드 레일(220)에서 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이 기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모듈(340)은 제1 횡축빔(330)에서 상하(上下)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모듈(340)이 기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모듈(340)은 제1 횡축빔(330)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블레이드 모듈(340)이 기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1 횡축빔(33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이 기준 위치로 이동한 이후, 제1 횡축빔(330)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횡축빔(3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블레이드 모듈(340)은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하며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하는 지점은, 유리(56, 도 1 참조)와 봉지재(58)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처리 유닛(4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과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태양광 모듈(50)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흡입 유닛(6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후방에서 파편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 유닛(6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과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파편은, 유리(56, 도 1 참조) 또는 봉지재(58, 도 1 참조)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의 일부 구성 요소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은, 가이드 레일(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의 상하 방향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제1 횡축빔(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축빔(330)은,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의 하단부는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에 결합되고,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의 상단부는 제1 횡축빔(33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블레이드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제1 횡축빔(33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의 이동에 따라 전후 방향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의 신축(伸縮)에 따라 상하 방향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 위치 변화를 통해, 블레이드 모듈(340)은 기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전처리 이동 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이동 모듈(410)은, 가이드 레일(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전처리 지지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은, 전처리 이동 모듈(410)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은, 전처리 이동 모듈(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제2 횡축빔(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횡축빔(430)은, 전처리 지지 모듈(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의 하단부는 전처리 이동 모듈(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의 상단부는 제2 횡축빔(43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전처리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브라켓(44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서포트 바(44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443)는 브라켓(441)에 연결 또는/및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바(443)는, 브라켓(441)에서 아래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커터(445)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445)는, 서포트 바(443)에 결합 또는/및 연결될 수 있다. 커터(445)는, 태양광 모듈(50)에 작용하여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445)는 예를 들어 “디스크 휠(disc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커터(445)에 의해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groove)을 통해, 유리(5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모듈(340)은 외부에 노출된 유리(56)에 접촉한 이후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수 있다. 이로써 태양광 모듈(50)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커터(445)가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커터(445)는 초기 위치로 이동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전처리 이동 모듈(41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터(445)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이 신축(伸縮)하면, 커터(44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의 신축과 전처리 이동 모듈(410)의 전후 방향 이동에 기인하여, 커터(445)는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초기 위치”는, 커터(445)가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시작 위치라 할 수 있다.
커터(445)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이후,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에서 이동할 수 있다.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횡방향은, 종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종방향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이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브라켓(44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면, 커터(445)는 태양광 모듈(50)에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태양광 모듈(50)에 복수 개의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모듈(440)은, 태양광 모듈(50)에 2개의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모듈(440)은, 태양광 모듈(50)에 제1 홈과 제2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445)는, 제1 초기 위치로 이동한 이후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50)에 제1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445)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커터(445)는, 제2 초기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모듈(50)에 제2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초기 위치는, 제1 홈이 시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초기 위치는, 제2 홈이 시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화하면, 제n 초기 위치는, 제n 홈이 시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전처리 모듈(44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처리 모듈(440)은, 브라켓(44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 도 3 참조)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브라켓(441)은, 제2 횡축빔(430, 도 3 참조)을 따라 제1 가이드 레일(221, 도 2 참조) 측에서 제2 가이드 레일(222, 도 2 참조) 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서포트 바(44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443)는, 브라켓(441)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 바(443)는, 브라켓(44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커터(445)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445)는, 전체적으로, 디스크(disc)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커터(445)의 외주면 중 중심부는 웨지(wedge)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터(445)는, 디스크 휠(disc wheel)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터(445)는, 조각칼, 끌, 연마석, 추지석, 숫돌, 금속/세라믹 브러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서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누름 플레이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누름 플레이트(500)는 가이드 레일(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500)는,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은, 누름 플레이트(500)와 스테이지(2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500)는,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플레이트와 스크레이퍼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누름 플레이트(500)는,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기준 위치에서 이동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이동에 맞추어 누름 플레이트(500)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누름 플레이트(500)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b) 및 (c)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태양광 모듈(50)이 분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재(58)는 유리(5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하는 지점은, 유리(56)와 봉지재(58) 사이의 경계일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제공하는 압력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접하는 지점(이하 “분해 지점”)에 집중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제공하는 압력이 분해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태양광 모듈(50)의 각 지점으로 분산될 경우, 봉지재(58)가 유리(56)에서 분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500)는,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누름 플레이트(500)는 유리(56)를 스테이지(2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스크레이퍼 유닛(300)이 태양광 모듈(50)에 제공하는 압력은, 분해 지점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플레이트(500)에 기인하여, 태양광 모듈(50)의 분해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누름 플레이트(500)는, 유리(56)가 파손된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3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 모듈(340)을 횡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및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모듈(340)은, 블레이드 바디(34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바디(341)는, 제1 횡축빔(330, 도 2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바디(341)는 빔(beam)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나이프 홀더(343, 34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 홀더(343, 345)는, 블레이드 바디(341)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340)은, 나이프(347)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347)는, 나이프 홀더(343, 345)에 결합될 수 있다. 나이프(347)는, 태양광 모듈(50, 도 6 참조)에 접하며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이프 홀더(343, 345)는, 제1 나이프 홀더(343)와 제2 나이프 홀더(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이프 홀더(345)는, 제1 나이프 홀더(343)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나이프 홀더(345)는, 제1 나이프 홀더(3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나이프(347)는, 교체하기 용이할 수 있다.
제1 나이프 홀더(343)는 블레이드 바디(34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나이프 홀더(345)는, 제1 나이프 홀더(34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나이프 홀더(345)는, 제1 나이프 홀더(34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나이프 홀더(343)와 제2 나이프 홀더(345)의 사이에, 나이프(347)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나이프(347)의 일부는, 제1 나이프 홀더(343)와 제2 나이프 홀더(345)의 사이에 위치하며 결합될 수 있다. 나이프(347)는, 제1 나이프 홀더(343)와 제2 나이프 홀더(345)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1 내지 8과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은, 전처리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에서,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에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은, 분리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단계(S200)에서,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봉지재(58)를 유리(5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 단계(S200)에서, 누름 플레이트(500)는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전방에서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분리 단계(S200)에서, 흡입 유닛(60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후방에서 파편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단계(S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9와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1 내지 9에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user) 등으로부터 입력(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크레이퍼 유닛(300), 전처리 유닛(400), 누름 플레이트(500), 그리고 흡입 유닛(6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처리 단계(S100)는, 입력 획득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의 입력부는, 전처리에 관한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전처리에 관한 입력은,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groove)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50)에 형성되는 홈의 개수는, N개일 수 있다. 즉 입력 획득 단계(S110)에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N회 처리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N은 “입력 회차”라 칭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가 입력 획득 단계(S11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입력 회차(N)는, 기설정된 “기준 회차”라 칭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는, 회차 초기 설정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전체 N회 처리 중 각 회차별로 다른 위치와 다른 이동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는 회차의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회차는, “”으로 표현될 수 있다. n은 “실시 회차”라 칭할 수 있다. 실시 회차(n)는, 이 단계(S120)에서 “1”로 설정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는,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30)에서, 제어부는 전처리 유닛(400)을 제어하여 태양광 모듈(50)에 n번째 홈(groove)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는, 실시 회차(n)와 입력 회차(N)를 비교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40)에서,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실시 회차(n)와 입력 회차(N)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 회차(n)와 입력 회차(N)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전처리 단계(S100)를 종료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100)는, 실시 회차 증가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회차(n)가 입력 회차(N)와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실시 회차(n)가 입력 회차(N) 보다 작은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 회차(n)가 입력 회차(N)와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실시 회차(n)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10과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는, 제어부가 전처리 모듈(440)을 제n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31)에서, 전처리 모듈(440)은 제n 초기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이 제n 초기 위치에 위치하기 위하여, 전처리 이동 모듈(4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브라켓(441)은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전처리 지지 모듈(420)의 신축(伸縮)에 의하여 커터(44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는, 횡방향 커팅 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32)에서, 제어부는 브라켓(441)을 제2 횡축빔(43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브라켓(441)이 제2 횡축빔(430)을 따라 이동하면, 커터(445)는 제n 초기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단계(S132)에서, 커터(445)에 의해 태양광 모듈(50)에 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홈(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단계(S200)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 내지 11과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분리 단계(S200)는, 제어부가 블레이드 모듈(340)을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10)에서, 블레이드 모듈(34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의 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320)은 신축(伸縮)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리 단계(S200)는, 블레이드 모듈(340)이 전진하여 태양광 모듈(50)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20)에서, 블레이드 모듈(340)은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310)의 전진 이동에 의하여 전진할 수 있다.
이 단계(S220)에서, 누름 플레이트(500)는 블레이드 모듈(340)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태양광 모듈(5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플레이트(500)와 블레이드 모듈(340) 사이의 간격은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다.
분리 단계(S200)는, 흡입 유닛(600)이 전진하며 파편을 흡입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230)에서, 흡입 유닛(600)은 블레이드 모듈(340)의 후방에 위치하되 전진하며 파편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태양광 모듈(50)을 분해할 수 있다. 즉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유리(56)에 부착된 봉지재(58)를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적층 패널”을 분해할 수 있다. 적층 패널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접합된 패널(panel)을 의미할 수 있다. 적층 패널은, 예를 들어, 적층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100)는, 제1 패널에 부착된 상태의 제2 패널을 제1 패널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패널은 예를 들어 유리(56)이고, 제2 패널은 예를 들어 봉지재(58)일 수 있다. 제1 패널의 강도(strength)는, 제2 패널의 강도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의 강도는 제2 패널의 강도 보다 클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과 작용하지 않으면서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전처리 유닛(400)은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한 이후에 태양광 모듈(5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크레이퍼 유닛(3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처리 유닛(400)은 가이드 레일(220)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유닛(200)은, 가이드 레일(220)에 인접한 “외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은, 제1 외부 프레임과 제2 외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20)은, 제1 외부 프레임과 제2 외부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의 제1 단부는, 제1 외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닛(400)의 제2 단부는, 제2 외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하거나 태양광 모듈(50)의 일부를 제거한 이후,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이 상부로 이동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전처리 모듈(44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처리 모듈(440)은 태양광 모듈(50)에 홈을 형성하거나 태양광 모듈(50)의 일부를 제거한 이후, 횡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이 횡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전처리 유닛(400)과 작용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이동 모듈(410)은 외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은, 전처리 이동 모듈(410)에 결합되되 신축(伸縮)할 수 있다. 제2 횡축빔(430)은, 전처리 지지 모듈(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제2 횡축빔(4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은, 전후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처리 이동 모듈(410)은 외부 프레임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처리 지지 모듈(420)은 외부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지지 모듈(420)은 신축(伸縮)할 수 있다. 제2 횡축빔(430)은 전처리 지지 모듈(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횡축빔(430)은, 스크레이퍼 유닛(30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은, 제2 횡축빔(4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처리 모듈(440)이 외부 프레임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스크레이퍼 유닛(300)은 제2 횡축빔(430)의 아래로 통과하여 전진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에 있어서, 제어부는, 스크레이퍼 유닛(300), 전처리 유닛(400), 누름 플레이트(500), 그리고 흡입 유닛(6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크레이퍼 유닛(300), 전처리 유닛(400), 누름 플레이트(500), 그리고 흡입 유닛(600) 각각의 구동(또는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200: 프레임 유닛
300: 스크레이퍼 유닛 400: 전처리 유닛
500: 누름 플레이트 600: 흡입 유닛

Claims (24)

  1. 적층되고 접합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구비한 적층 패널이 마운트(mount) 되는 테이블 모듈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을 분해하는 스크레이퍼 유닛;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처리 이동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一邊)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유닛은,
    상기 전처리 이동 모듈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상의 전처리 지지 모듈;
    상기 전처리 지지 모듈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2 횡축빔; 그리고
    상기 제2 횡축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의 상기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지지 모듈은,
    상기 전처리 이동 모듈과 상기 제2 횡축빔을 연결하고, 신축(伸縮) 가능하며,
    상기 전처리 모듈은,
    상기 전처리 지지 모듈이 신축하면, 상하(上下) 방향으로 이동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은,
    상기 제2 횡축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커터; 그리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커터를 연결하는 서포트 바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인접한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유닛은,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伸縮) 가능한 전처리 지지 모듈;
    상기 전처리 지지 모듈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2 횡축빔; 그리고
    상기 제2 횡축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축빔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 보다 높게 위치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은,
    상기 전처리 모듈이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인접하면, 상기 제2 횡축빔의 아래로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적층 패널을 분해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
    상기 스크레이퍼 이동 모듈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상의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
    상기 스크레이퍼 지지 모듈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1 횡축빔; 그리고
    상기 제1 횡축빔에 결합되고 상기 적층 패널을 분해하는 블레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제1 횡축빔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바디;
    상기 블레이드 바디에 결합되는 제1 나이프 홀더;
    상기 제1 나이프 홀더를 마주하고 상기 제1 나이프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나이프 홀더; 그리고
    상기 제1 나이프 홀더와 상기 제2 나이프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나이프 홀더와 상기 제2 나이프 홀더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나이프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적층 패널에 아래 방향의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이 전진하면,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과의 간격을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로 유지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이 전진하면서 발생되는 파편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이 전진하면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과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패널은,
    태양광 모듈이고,
    상기 제1 패널은,
    유리이며,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유리에 적층되어 부착된 봉지재인,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유닛은,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에 인접하여 홈(groove)을 형성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유닛은,
    상기 적층 패널의 일변을 포함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17.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과, 유리와 봉지재가 부착되어 형성된 태양광 모듈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분해하는 스크레이퍼 유닛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처리 이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유닛과,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 및 상기 전처리 유닛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의 일변에 인접한 영역의 상부를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S10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상기 유리와 상기 봉지재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S20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가 실시 회차(n)를 “1”로 설정하는 단계(S12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에 대하여 홈을 형성하는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시 회차(n)를 기설정된 기준 회차(N)와 비교하는 단계(S14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시 회차(n)가 기준 회차(N)와 다른 경우, 상기 실시 회차(n)에 “1”을 더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 회차(n)에 “1”을 더하는 단계(S150) 이후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를 수행하고,
    상기 실시 회차(n)가 기준 회차(N)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전처리 단계(S100)를 종료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커팅 작업 단계(S13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전처리 유닛에 구비된 커터를 제n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31);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처리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커터를 상기 제n 초기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S132)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는,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 회차(n)를 “1”로 설정하는 단계(S120) 이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기준 회차(N)를 획득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S2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 모듈이 전진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S2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에 구비된 흡입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흡입 유닛이 전진하며 파편을 흡입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단계(S220)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에 구비된 누름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상기 태양광 모듈에 압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스크레이핑(scraping)하는 단계(S220)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제어하여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의 전방에 위치시키되 상기 스크레이퍼 유닛과의 간격을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로 유지시키는,
    태양광 모듈 분해 방법(S10).
KR1020190080289A 2019-02-01 2019-07-03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15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89A KR102154229B1 (ko) 2019-07-03 2019-07-03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US16/538,378 US11065859B2 (en) 2019-02-01 2019-08-12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solar cell module
CN202010587571.5A CN112133785B (zh) 2019-06-24 2020-06-24 太阳能组件拆解设备及拆解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89A KR102154229B1 (ko) 2019-07-03 2019-07-03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229B1 true KR102154229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89A KR102154229B1 (ko) 2019-02-01 2019-07-03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379A (ko) * 2021-08-10 2023-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팅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 분해 장치 및 방법
KR20230080194A (ko) 2021-11-29 2023-06-07 박희완 태양광 폐모듈 분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450A (ja) * 2006-07-06 2008-01-24 Imamura:Kk 積層パネルの表層材の剥離装置
KR20130080950A (ko) 2012-01-06 2013-07-16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 모듈의 친환경적 해체 방법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JP2016203093A (ja) * 2015-04-22 2016-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のリサイクル装置およびリサイクル方法
KR101842224B1 (ko) * 2016-11-11 2018-03-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 모듈 국부 박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450A (ja) * 2006-07-06 2008-01-24 Imamura:Kk 積層パネルの表層材の剥離装置
KR20130080950A (ko) 2012-01-06 2013-07-16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 모듈의 친환경적 해체 방법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JP2016203093A (ja) * 2015-04-22 2016-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のリサイクル装置およびリサイクル方法
KR101842224B1 (ko) * 2016-11-11 2018-03-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 모듈 국부 박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379A (ko) * 2021-08-10 2023-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팅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 분해 장치 및 방법
KR102647185B1 (ko) * 2021-08-10 2024-03-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팅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 분해 장치 및 방법
KR20230080194A (ko) 2021-11-29 2023-06-07 박희완 태양광 폐모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229B1 (ko)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및 방법
CN103635438B (zh) 平板玻璃的切割分离方法
JP6416901B2 (ja) 平坦なワークピースを複数の部分に分割する方法及び装置
JP5750202B1 (ja) 脆性材料の板材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TWI424580B (zh) A trench processing tool, a trench processing method and a cutting device using a thin film solar cell
US110658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solar cell module
CN111393019A (zh) 一种玻璃切割裂片加工方法及装置
RU2012119734A (ru) Способ лазерной обработки хрупк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5461207A (zh) 分割方法及分割装置
US20230211597A1 (en)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CN105461203A (zh) 分割方法及分割装置
JP201920598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リサイクル装置
CN211072476U (zh) 一种晶硅光伏组件的接线盒拆除装置
CN106216834B (zh) 一种具有活动分光片的双头激光切割机
CN205552636U (zh) 一种新型高分子材料切割设备
CN111747640A (zh) 曲面基板的刻划装置以及切断系统
CN216460804U (zh) 一种用于分离光伏组件的玻璃板的分离装置
CN105116581A (zh) 一种显示屏的切割工艺
KR102154241B1 (ko) 태양광 모듈 분해 디바이스
CN103420600A (zh) 透明工件的激光切割加工方法及系统
KR102188252B1 (ko) 싱글드 솔라셀 절단 장치
KR20170008676A (ko) 경질 취성판의 할단 방법 및 장치
JP2001026435A (ja) 硬質脆性板の割断方法
KR20170126792A (ko) 분할 공구 및 분할 공구의 사용 방법
CN105835106A (zh) 一种木塑复合板旋切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