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919B1 -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919B1
KR102153919B1 KR1020190020805A KR20190020805A KR102153919B1 KR 102153919 B1 KR102153919 B1 KR 102153919B1 KR 1020190020805 A KR1020190020805 A KR 1020190020805A KR 20190020805 A KR20190020805 A KR 20190020805A KR 102153919 B1 KR102153919 B1 KR 10215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tube
contents
cap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508A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Priority to KR102019002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9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구된 내측단부와 외측단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관과, 상기 관의 하부 외주면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파우치 접합시 융착되어지는 접합면을 형성하고 있는 실링부와, 상기 관의 상부에 캡이 체결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주둥이부와, 상기 관의 안쪽 내주면에 유로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분쇄날개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파우치를 가압하여 젤리타입의 내용물을 밖으로 인출할 때 뭉쳐져 있는 내용물이 자동으로 분쇄되어 한 입에 용이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구성된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Spout in a pouch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우치를 가압하여 젤리타입의 내용물을 밖으로 인출할 때 뭉쳐져 있는 내용물이 분쇄되어 한 입에 용이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용기는 테두리가 융착되어 안쪽에 내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파우치의 상단에 관형상의 스파우트가 융착되고 상기 스파우트의 주둥이부에 나사방식으로 탈부착되는 캡이 구비된 용기로써,
특히 사용자가 스파우트의 주둥이부를 입으로 물고 흡입하면서 내용물을 섭취하거나 혹은 파우치를 가압하여 스파우트 밖으로 내용물을 인출하면서 섭취하는 것이다.
이때 내용물은 종래 액체상태의 음료가 파우치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부폐되지 않을 정도로 수분이 증발된 과실류 또는 과채류가 농축되어 젤리화된 내용물 또는 곤약화된 내용물이 파우치 안쪽에 수용되어져 있고,
특히 이렇게 젤리화된 내용의 내용물이 파우치 안쪽에 수용되어 있게 되면서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을 흡입하거나 인출할 때 받게되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 스파우트의 직경이 종래의 스파우트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질 수 밖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스파우트의 직경이 커지게 되면, 입이 작고 치아(齒牙)가 없는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은 스파우트의 주둥이부를 한 입에 물기 어려워지고,
특히 스파우트 밖으로 밀려 나온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의 크기 역시 종래보다 더욱 크고 두꺼워지게 되면서 한 입에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을 쉽게 섭취하기가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KR 10-1676299 B1 KR 10-2018-0105871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우치 내측에 위치한 젤리타입의 내용물이 밖으로 인출되어질 때, 용이하게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이 섭취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관을 중심으로, 하부의 외주면에는 파우치 접합시 융착되어지는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캡이 체결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주둥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의 관에는 유로를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분쇄날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젤리타입의 내용물이 흡입방식으로 혹은 가압방식으로 스파우트 밖으로 인출될 때,
스파우트의 유로상에 형성되어 있는 분쇄날개에 의해 뭉쳐져 있는 내용물이 자동으로 분쇄되면서,
아이나 노약자 등이 한 입에 용이하게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사시도 및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사시도 및 저면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상에 기재된 실시 예에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은 내용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파우트의 분쇄날개와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는 고형물(젤리화)된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1)는, 개구된 내측단부(12)와 외측단부(13)를 연결하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는 관(10)과, 상기 관(10)의 하부 외주면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파우치(2) 접합시 융착되어지는 접합면(21)을 형성하고 있는 실링부(20)와, 상기 관(10)의 상부에 캡이 체결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주둥이부(30)와, 상기 관(10)의 안쪽 내주면에 유로(11)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분쇄날개(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분쇄날개(40)는 파우치(2)가 가압되어 곤약타입 혹은 젤리타입의 내용물(3)이 스파우트(1) 밖으로 인출되어질 때 뭉쳐져 있는 내용물(3)이 용이하게 분쇄되어져 치아(齒牙)가 없는 아이나 노약자들도 한 입에 용이하게 섭취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우치(2) 가압시 절개되어지도록 유로(11)를 따라 형성되어지되, 상기 관(10)을 중심으로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부(20)에 의해 지지되어지도록 대응하는 위치인 내측면 안쪽에 형성되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쇄날개(40)는 실링부(40)에 대응되도록 180도 간격을 유지한 채 한 쌍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90도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두 쌍의 분쇄날개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상기 분쇄날개(40)는 실링부(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되, 전체길이는 상기 실링부(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하여, 유로(11) 안쪽으로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3)이 유입되어진 후에 상기 분쇄날개(40)에 의해 절개되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가압방식으로 혹은 흡입방식으로 내용물(3)이 인출될 때에 내측단부(12) 주변에 받게되는 저항이 최소화되어 지면서 접합된 파우치(2)가 쉽게 터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분쇄날개(40)는 내주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직립된 편 또는 뾰족하게 돌출된 편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3)이 인출되어질 때에 십자가 형태로 부분 절개되어지면서 인출되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측 방향으로 비틀어져 상하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41)이나 경사면이 형성되어져 있는 복수의 날개(40)에 의해 스크류방식으로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3)이 일부 갈림되어지면서 인출되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관(10)은 파우치(2)의 내공간과 연결되어지는 내측단부(12)와 캡 장착시 막힘되어지는 외측단부(13)를 연결하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분쇄날개(40)에 의해 절개되어진 고형화(젤리화)된 내용물(3)이 유로(11)를 따라 스파우트(1) 밖으로 인출되어질 때에 절개되어진 상태로 혹은 절개된 내용물이 다시 뭉쳐지 않은 상태로 인출되어지게,
분쇄날개(40)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단부(11)의 직경보다 주둥이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단부(1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확장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확장된 관(10)의 형상은 사출 성형후 금형이 분리되어지어 질 때 용이하게 분리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실링부(20)는 관(10)의 하부 외주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파우치(2) 접합시 융착되어지는 접합면(21)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써, 상기 접합면(21)에는 합성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2)가 융착되어질 때 걸림되어지는 복수의 실링살(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둥이부(30)는 파우치(2) 밖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관(10)의 상부로써, 캡이 체결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부분이다.
이때 주둥이부(30)는 나사방식으로 캡이 체결되어지도록 외주면 테두리에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진 밀착면(32)이 형성되어 있어 캡이 주둥이부(30)에 체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캡의 하단이 밀착면(32)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밀착면(32)에는 걸림편(33)이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체결된 캡이 분리될 때에 상기 캡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캐런티 시일(미도시)이 상기 걸림편(33)에 걸려 분리되거나 파손되면서 외측에서 캡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이러한 주둥이부(30)와 실링부(20) 사이에는 실시 예에 따라 지지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의 지지부(50)는 실링부 상단에 플렌지 형상으로 확장된 지지편(51)이 형성되어, 사출성형시 실링부(20)의 두께와 관(10)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사이즈 변형 또는 비틀림되는 것을 잡아 주기 위해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50)는 실시 예에 따라 주둥이부(20)와 실링부(3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의 지지편(51,51a,51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는 고정편(52)이 형성되어 질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스파우트 2:파우치
10:관 11:유로
12:내측단부 13:외측단부
20:실링부 21:접합면
22:실링살 30:주둥이부
31:나사산 32:밀착편
33:걸림돌기 40:분쇄날개
41:만곡면 50:지지부
51:지지편 52:고정편

Claims (5)

  1. 개구된 내측단부(12)와 외측단부(13)를 연결하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는 관(10)과, 상기 관(10)의 하부 외주면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파우치(2) 접합시 융착되어지는 접합면(21)을 형성하고 있는 실링부(20)와, 상기 관(10)의 상부에 캡이 체결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주둥이부(30)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의 관(10)에는 파우치 가압시 곤약타입 혹은 젤리타입의 내용물(3)이 관을 통해 밖으로 인출되어질 때에 절개되어 지도록 유로를 따라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마주보는 복수의 분쇄날개(4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분쇄날개(40)는 관을 중심으로 외측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에 의해 지지되어지게 대응하는 위치인 내측면 안쪽에 형성되는 동시에 내용물(3) 인출시 내측단부(12) 주변에 받게되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링부(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되 전체길이는 상기 실링부(20) 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하고,
    상기 관(10)은 금형의 용이한 분리 및 내용물이 절개되어진 상태로 혹은 절개된 내용물이 다시 뭉쳐지 않은 상태로 인출되어지게 내측단부(12)의 직경보다 주둥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단부(1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점점 더 크게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둥이부(30)는 나사방식으로 캡이 체결되어지도록 외주면 테두리에 나사산(3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주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진 밀착면(32)이 형성되어 캡이 주둥이부(30)에 체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캡의 하단이 밀착면(32)에 밀착되어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면(32)에는 걸림편(33)이 형성되어 체결된 캡이 분리될 때에 상기 캡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캐런티 시일이 걸림편(33)에 걸려 분리되거나 파손되면서 캡의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주둥이부(30)와 실링부(20) 사이에는 플렌지 형상으로 확장된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연결하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지지부(50)에 의해 사출성형시 실링부(20)의 두께와 분쇄날개(40)에 의해 관(10) 두께 차로 발생하는 냉각 속도 차에 의한 사이즈 변형 또는 비틀림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구성된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0805A 2019-02-21 2019-02-21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KR10215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05A KR102153919B1 (ko) 2019-02-21 2019-02-21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05A KR102153919B1 (ko) 2019-02-21 2019-02-21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75 Division 2019-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508A KR20200100508A (ko) 2020-08-26
KR102153919B1 true KR102153919B1 (ko) 2020-09-09

Family

ID=7229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05A KR102153919B1 (ko) 2019-02-21 2019-02-21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284A (ko) 2020-12-17 2022-06-24 (주)아모레퍼시픽 파우치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798A (ja) * 1998-07-08 2000-01-25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
JP2005247388A (ja) * 2004-03-05 2005-09-15 Showa Marutsutsu Co Ltd 注ぎ口および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32B1 (ko) * 2010-10-25 2013-01-17 김상순 파우치용 스파우트
KR101676299B1 (ko) 2016-03-17 2016-11-15 (주) 오성프라스틱 파우치용 스파우트 조립체
KR101942644B1 (ko) 2017-03-16 2019-04-11 김성두 파우치용 스파우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798A (ja) * 1998-07-08 2000-01-25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
JP2005247388A (ja) * 2004-03-05 2005-09-15 Showa Marutsutsu Co Ltd 注ぎ口および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284A (ko) 2020-12-17 2022-06-24 (주)아모레퍼시픽 파우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508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5346A (ko)
CN106536378B (zh) 用于制备饮料的包袋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2153919B1 (ko) 내용물이 용이하게 섭취되는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CN107007475A (zh) 用于饮水瓶的饮用吸嘴和瓶盖
CN110733750A (zh) 附有一体成型吸管的饮料杯盖
US8096433B2 (en)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CN206297939U (zh) 一种固液分离饮品包装瓶
CN201857001U (zh) 吸取式管容器
US1425539A (en) Headed stopper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US10717020B2 (en) Spill resistant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3300671B (zh) 一种饮料杯杯盖
CN218259742U (zh) 一种即配式饮料瓶盖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CN109715522B (zh) 包括定量包装及固定帽的便携式饮料容器
CN106691091B (zh) 吸光杯
FR3035321A1 (fr) Dispositif d'allaitement et biberon associe
CN208485010U (zh) 一种带吸嘴的饮料包装袋
KR200490567Y1 (ko) 빙과 용기
CN219166129U (zh) 多功能环保降解吸管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CN209796306U (zh) 螺旋式空腔成型器
CN216333972U (zh) 一种盖子与勺子连体的杯盖
CN203753597U (zh) 叶片环的成型零件及采用其的塑料防盗瓶盖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