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741B1 -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 Google Patents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3741B1 KR102153741B1 KR1020200052793A KR20200052793A KR102153741B1 KR 102153741 B1 KR102153741 B1 KR 102153741B1 KR 1020200052793 A KR1020200052793 A KR 1020200052793A KR 20200052793 A KR20200052793 A KR 20200052793A KR 102153741 B1 KR102153741 B1 KR 102153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ke
- screen
- impurities
- wir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riv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88 screen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회가능한 레이크부를 갖는 제진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의 근접 위치에서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pivotable 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damper capable of lifting and removing impurities from a screen while moving in a caterpillar at a position close to a screen installed in a waterway.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취수장, 우수처리 시설과 같이 물을 관리하는 곳에서는 부유하여 떠다니는 각종 협잡물(Debris)이 수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를 가로막아 제진기(Bar Screen, Trash remover)를 설치하고 있다. In general, in places that manage water such as rivers, water intake stations, and rainwater treatment facilities, a bar screen (trash remover) is installed by blocking the waterway to prevent various floating debris from flowing through the waterway. have.
이러한 제진기는, 수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체인과,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류에 포함된 협잡물이 걸리는 스크린과, 구동체인에 설치되어 구동체인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스크린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쓸어 올리는 레이크와, 스크린과 연결되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에 의해 쓸어 올려진 협잡물을 담아 배출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These vibration dampers include a fram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a drive chain installed on the frame, a screen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to catch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ter stream, and an infinite number of devices installed on the drive chai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chain.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rake that rotates in a track and sweeps up the impurities hanging on the screen, and a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creen to contain and discharge the impurities swept up by the rake.
하지만, 메인스크린에 자갈이나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협잡물이 끼어 빠지지 않는 경우, 레이크와 체인 및 구동장치에 과부하가 걸려 제진기 고장을 일으키고, 또 수로가 막혀 하천이 범람하는 대형 안전사고와 농지나 가옥의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실정이다.However, if hard contaminants such as gravel or plastic are stuck in the main screen, the rake, chain, and drive may be overloaded, causing a vibration suppressor failure, and a large safety accident in which rivers overflow due to clogged waterways, and flooding of farmland or houses. Damage is occurring.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제10-2074817호에서, 스크린을 횡단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며, 양단이 제진기에 마련된 체인에 결합되어 체인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스크린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고정부재에 설치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과 다른 위치에서 고정부재로부터 스크린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고정부재에 설치된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 및 스크린을 횡단하는 평탄한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스크린에 근접한 선단에는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빗살형의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갈퀴의 뒤쪽에서 갈퀴의 높이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을 관통하는 힌지축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갈퀴가 스크린에 근접한 인양자세와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진 회피자세로 전환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in Patent No. 10-2074817 disclosed in the prior art, a fixing member formed to extend to cross the screen,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a chain provided in a vibration damper and installed to move with the chain, and a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fixing member in the screen direction A hinge bracket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so as to have a structure, a spring bracket installed on the fixing member so as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fixing member in a direction of the screen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hinge bracket, and a torsion spring installed on the spring bracket and the screen crossing It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but a comb-shaped rake is formed at the tip close to the screen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screen, and the hinge bracket has a center coincident with the center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ake at the rear of the rake. A technology consisting of a hinge shaft that penetrates through is installed, and consists of a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orsion spring and converts the rake to a lifting position close to the screen and an avoidance position away from the screen. Has been presented.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746465호에서, 엔드리스체인에 고정되는 체인결합부, 상기 체인결합부에서 협폭으로 외향 연장된 레이크갈퀴, 상기 레이크갈퀴 하부에 직각으로 용접 고정된 삼각형의 보강리브, 하부로 갈수록 폭이 곡선으로 좁아지는 대칭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좁고 가는 절개부분이 형성되며, 그 폭은 상기 레이크갈퀴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보강리브에 상기 절개 부분이 끼워져 결합 고정되는 안내날개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1746465, a chain coupling part fixed to an endless chain, a rake rake that extends narrowly outward from the chain coupling part, a triangular reinforcing rib welded at a right angle to the lower part of the rake rake, It has a symmetrical shape whose width narrows in a curved line toward the bottom, and a narrow and thin incision is formed in the center, the width of which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rake rake, and the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rib and fixed. A technology including a guide wing to be used has been previously register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레이크 회전동작에 따른 탄력을 조절할 수 없어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의 협잡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설정이 불가능하고, 특히 스크린에 자갈이나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협잡물이 끼어 빠지지 않는 경우 반복된 마찰로 레이크 수명단축을 초래함과 더불어 메인스크린 여과 면적축소로 하천이 범람하는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However, the prior art cannot adjust th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ake, so it is impossible to customize setting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impurities in the field.In particular, when hard impurities such as gravel or plastic are caught i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repeat friction In addition to shortening the life of the lake, the reduction of the main screen filtration area led to a major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river overflowed.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횡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이크부를 구성하고 이 레이크부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레이크부에서 발생되는 과부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제진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new technology was created. The rake unit rotates around the horizontal axis and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overload of the rake unit to prevent overload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rake units. It is a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damper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Along with this, although not described separately, other objects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inferr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and claims for carrying out the following invention are also included in the entir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진기를 구성하되, 수로에 설치되는 프레임(12)에 지지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구비되는 스크린(10); 상기 스크린(10)을 횡단하도록 설치되고, 스크린(10) 양단에 마련되는 체인(22)에 연결되어 궤도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암(20); 상기 받침암(20)상에서 횡축(3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 되고, 일단에 스크린(10) 사이로 내입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갈퀴날(32)과, 타단에 스크린(10)에 걸린 협잡물들을 포집한 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스크린(10)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호퍼(34)가 구비되는 레이크부(30); 및 상기 받침암(20)과 레이크부(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부(30)가 협잡물에 걸려 과부하에 의해 선회운동 후,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above invention, but constitutes a vibration damper, the
이때, 상기 텐션부재(40)는, 상기 레이크부(30)에 힌지(42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리브(42)와, 일단이 받침암(20)에 힌지(44a)로 결합되고 타단은 슬리브(42)에 관통 삽입되는 조절봉(44)과, 상기 슬리브(42)에 탄지되게 설치되는 탄성체(46)로 이루어져, 상기 레이크부(30)가 선회운동 시 상기 레이크부(30)에 결합된 슬리브(42)가 조절봉(44)을 타고 상승하면서 탄성체(46)가 압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레이크부(30)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센싱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50)는, 상기 프레임(12) 단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52)와, 와이어(52)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54)과, 상기 횡축(31)에 연결되어 레이크부(30) 선회운동에 연계되어 와이어(5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감지편(56)과, 센서모듈(54) 감지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센서모듈(54)은, 와이어(52) 단부가 직선운동구간(52a)을 형성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롤러(54a)와, 와이어(52) 직선운동구간(52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프레임(12)에 연결되어 탄성체(54b)에 의해 와이어(52)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로드봉(54c)과,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와이어(52) 장력 상승에 의한 로드봉(54c)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4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58)는 센서모듈(54)을 통하여 검출되는 레이크부(30) 과부하 패턴을 검출하고, 과부하 패턴 값이 반복되는 횟수가 설정 값에 도달하면 스크린(10)에 협잡물 고착으로 판단하고, 레이크부(30) 비상정지 및 비상정지 상황을 서버로 송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레이크부에 의한 협잡물 제거 강도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현장 맞춤형으로 조절되고, 특히 단일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크부에서 발생되는 과부하를 통합 관리함과 더불어 과부하 패턴을 검출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nsity of removal of impurities by the rake un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ield by simple operation, and in particular, the overload pattern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rake units is integrated and managed using a single sensing uni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 emergency stop by detec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크부와 텐션부재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레이크부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action of the rake portion and the tens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ake portion of th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matters that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도 1은 본 발명어서 제공하는 제진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제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본 발명의 제진기는 레이크부에 의한 협잡물 제거 강도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현장 맞춤형으로 조절되고, 특히 단일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크부에서 발생되는 과부하를 통합 관리함과 더불어 과부하 패턴을 검출하여 비상정지에 따른 정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스크린(10), 받침암(20), 레이크부(30) 및 텐션부재(4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ibration damp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on damper. The vibration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strength of removing impurities by the rake unit 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e, and in particular, by using a single sensing unit, the overload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rake units is integrated and managed, and the overload pattern is det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 emergency stop. 20), consisting of a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은 수로에 설치되는 프레임(12)에 지지되어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구비된다. 프레임(12)은 수로 벽면에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에 의해 스크린(10)이 지지된다. 스크린(10)은 복수개의 스크린날이 수직방향(종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로를 타고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고, 걸러진 협잡물은 후술하는 레이크부에 의해 수거되어 컨베이어벨트나 버킷에 실려 처리장으로 이송된다.First, the
본 발명에 따른 받침암(20)은 상기 스크린(10)을 횡단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기에 기술할 레이크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한 부재이다. The
상기 받침암(20)의 양 단은 한 쌍의 체인(22)에 연결되어 체인(22)과 함께 궤도운동 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체인(22)은 한 쌍의 프레임(12)에 구비되는 레일 및 스프라켓에 연결되어 궤도운동 되고, 어느 하나의 스프라켓은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된다.Both ends of the support arm (20) are connected to a pair of chains (22) and provided in plural so as to orbital movement with the chain (22), and the chain (22) is a rail provided on the pair of frames (12) And the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orbital motion, and any one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moto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부(30)는 상기 스크린(10)들 사이에서 스크린(1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스크린(10)에 걸린 협잡물들을 상향 인양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확대와 같이 상기 레이크부(30)는 저면에 축관이 형성되어 횡축(31)에 끼움 결합되어 받침암(20)상에서 횡축(3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 되고, 일단에 스크린(10) 사이로 내입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갈퀴날(32)과, 타단에 스크린(10)에 걸린 협잡물들을 포집한 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스크린(10)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호퍼(34)가 구비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enlargement of FIG. 1, the
이에 상기 레이크부(30)는 체인(22)에 의해 스크린(10)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갈퀴날(32)이 스크린(10)에 포집된 협잡물을 제거하고, 갈퀴날(32)에 의해 제거된 협잡물은 레이크부(30) 상면을 타고 이동되어 호퍼(34)에 포집된다. 이 때 호퍼(34)는 레이크부(30) 단부를 상향 절곡하여, 호퍼(34)에 포집된 협잡물의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본 발명에 따른 텐션부재(40)는 상기 받침암(20)과 레이크부(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부(30)가 협잡물에 걸려 과부하에 의해 선회운동 후, 원위치 즉 스크린(10)에 수직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레이크부(30)는 텐션부재(40)에 의해 수평상태로 유지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크부와 텐션부재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부재(40)는, 상기 레이크부(30)에 힌지(42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리브(42)와, 일단이 받침암(20)에 힌지(44a)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슬리브(42)에 관통 삽입된 상태로 조절너트(45)가 체결되는 조절봉(44)과, 슬리브(42)와 조절너트(45)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46)로 이루어진다. 3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rake portion and the tens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레이크부(30)가 협잡물에 걸려 과부하로 인해 선회 운동 시 상기 레이크부(30)에 결합된 슬리브(42)가 조절봉(44)을 타고 상승하면서 탄성체(46)가 압축되며, 레이크부(30)에 가해지는 과부하가 해제되면 탄성체(46)가 압축력에 의해 레이크부(30)가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된다. Du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한편, 상기 조절봉(4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조절너트(45)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탄성체(46)의 압축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레이크부(30)에 의한 협잡물 제거 강도가 텐션부재(40)의 조절너트(45)를 조절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현장 맞춤형으로 조절되는바, 즉, 돌을 포함하는 경질 협잡물이 주류를 이루는 수로에는 탄성체(46) 압축강도를 비교적 약하게 조절하고, 식물줄기를 포함하는 연질 협잡물이 주류를 이루는 수로에는 탄성체(46) 비교적 강하게 조절하여, 레이크부(30)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협잡물 제거 효율 향상을 도모한다.Meanwhile,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진기에는 상기 레이크부(30)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센싱부(50)가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센싱부(50)는, 상기 프레임(12) 단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52)와, 와이어(52)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54)과, 상기 횡축(31)에 연결되어 레이크부(30) 선회운동에 연계되어 와이어(5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감지편(56)과, 센서모듈(54) 감지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58)로 이루어진다. The vibration damp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상기 와이어(52)는 레이크부(30) 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와이어(52)와 대응하는 평행한 위치에 봉 형태의 감지편(56)이 횡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설치되어, 레이크부(30)가 회전하면 감지편(56)도 같이 회전하여 와이어(52)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The
도 1 내지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54)은 와이어(52) 단부가 직선운동구간(52a)을 형성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롤러(54a)와, 와이어(52) 직선운동구간(52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프레임(12)에 연결되어 탄성체(54b)에 의해 와이어(52)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로드봉(54c)과,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와이어(52) 장력 상승에 의한 로드봉(54c)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4d)로 이루어진다.1 to 2, the
이처럼 상측의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간단한 구조의 센싱부(50)를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크부(30)에서 발생되는 과부하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 고장율이 낮고, 장기간 운영에 다른 유지관리비가 크게 절감된다. In this way, by using the
이하에서 제진기의 레이크부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 4를 통해 제진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isol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showing an enlarged operation of the rake portion of the vibration damper.
상기 레이크부(30)가 협잡물에 걸려 과부하에 의해 선회운동 되면, 도 4처럼 횡축(31)에 연결된 감지편(56)이 함께 선회되면서 와이어(52)를 가압하고, 이때 와이어(52)가 당겨지는 길이만큼 센서모듈(54)의 로드봉(54c)이 직선 이동되어 센서(54d)를 터치하게 된다. When the
그리고 센서(54d)를 터치한 신호는 제어부(58)에서 레이크부(30) 과부하로 감지하여 메모리에 저장 및 통신모듈을 통하여 서버(중앙관제실, 관리자 단말기 등)로 전송되어 스크린(10) 교체, 청소를 포함하는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알람을 띄우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8)는 레이크부(30) 과부하를 감지 시, 레이크부(30)에 의한 협잡물 제거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모드를 실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ignal touching the
또한, 상기 제어부(58)는 센서모듈(54)을 통하여 검출되는 레이크부(30) 과부하 패턴을 검출한다. 여기서 레이크부(30) 과부하 패턴은 체인(22)이 일정한 속도로 궤도운동 되는 조건하에서 일정한 시간주기로 레이크부(30) 과부하를 감지 신호가 검출되는 것을 일컫는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레이크부(30) 과부하 패턴 값이 반복되는 횟수가 제어부(58)에 설정 값에 도달하면, 스크린(10)에 협잡물 고착으로 판단하고, 레이크부(30) 비상정지 및 비상정지 상황을 서버로 송출하도록 구비된다.An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overload pattern value of the
이에 상기 제어부(58)에서 레이크부(30) 과부하 감지 신호를 1회 수신하더라도 정지하지 않고 제어부(58)에 설정 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회 반복하여 과일, 흙덩어리를 포함하는 연성 협잡물이 끼인 경우 제거함은 물론 단발성 충격으로 인한 레이크부(30) 비상정지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제어부(58)에 설정된 반복 횟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돌과 같은 경질 협잡물로 판단하고 레이크부(30) 비상정지 및 비상정지 상황을 서버로 송출함에 따라 불필요한 레이크부(30) 정지로 인한 협잡물 제거효율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recognized from the technique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equivalent technical means from these techniques.
10: 스크린 12: 프레임
20: 받침암 22: 체인
30: 레이크부
31: 횡축 32: 갈퀴날 34: 호퍼
40: 텐션부재
42: 슬리부 42a, 44a: 힌지 44: 조절봉
45: 조절너트 46: 탄성체
50: 센싱부
52: 와이어 52a: 직선운동구간 54: 센서모듈
54a: 가이드롤러 54b: 탄성체 54c: 로드봉 54d: 센서
56: 감지편 58: 제어부10: screen 12: frame
20: support arm 22: chain
30: Lake part
31: horizontal axis 32: rake blade 34: hopper
40: tension member
42:
45: adjustment nut 46: elastic body
50: sensing unit
52:
54a: guide
56: sensing piece 58: control unit
Claims (5)
상기 스크린(10)을 횡단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스크린(10) 양단에 마련되는 체인(22)에 연결되어 궤도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암(20);
상기 받침암(20)상에서 횡축(3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 되고, 일단에 스크린(10) 사이로 내입되어 협잡물을 제거하는 갈퀴날(32)과, 타단에 스크린(10)에 걸린 협잡물들을 포집한 체로 이송시키기 위해 스크린(10)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호퍼(34)가 구비되는 레이크부(30); 및
상기 받침암(20)과 레이크부(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부(30)가 협잡물에 걸려 과부하에 의해 선회운동 후, 원위치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부(30)의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50)는, 상기 프레임(12) 단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52)와, 와이어(52) 장력을 감지하는 센서모듈(54)과, 상기 횡축(31)에 연결되어 레이크부(30) 선회운동에 연계되어 와이어(52)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감지편(56)과, 센서모듈(54) 감지신호를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가능한 레이크부를 갖는 제진기.
A screen 10 supported by the frame 12 installed in the waterway and provided to filter out impurities;
A plurality of support arms (20)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raverse the screen (10) and connected to chains (2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creen (10) so as to be tracked;
A rake blade 32 that is pivotally moved around the horizontal axis 31 on the support arm 20 and is inserted between the screens 10 at one end to remove impurities, and the other end collects impurities caught in the screen 10. A rake part 30 provided with a hopper 3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10 to transfer through a sieve; And
A tension member 40 installed to connect the support arm 20 and the rake unit 30, and provided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rake unit 30 is caught by an impurity and pivoted by an overload; Includes,
The sensing unit 50 for detecting the overload of the rake unit 30 includes a wire 5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frame 12, and a sensor module 54 that detects the tension of the wire 52 And, a sensing piece 56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haft 31 and connected to the rake unit 30 to pressurize the wire 52,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sensing signal to the server ( 58),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damper having a pivotable rake.
상기 텐션부재(40)는, 상기 레이크부(30)에 힌지(42a)로 결합되어 선회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리브(42)와, 일단이 받침암(20)에 힌지(44a)로 결합되고 타단은 슬리브(42)에 관통 삽입되는 조절봉(44)과, 상기 슬리브(42)에 탄지되게 설치되는 탄성체(46)로 이루어져, 상기 레이크부(30)가 선회운동 시 상기 레이크부(30)에 결합된 슬리브(42)가 조절봉(44)을 타고 상승하면서 탄성체(46)가 압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가능한 레이크부를 갖는 제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ension member 40 includes a sleeve 42 coupled to the rake part 30 by a hinge 42a to enable a swing movement,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arm 20 by a hinge 44a, and the other end Consisting of an adjustment rod 44 inserted through the silver sleeve 42, and an elastic body 46 installed elastically in the sleeve 42, the rake part 30 is attached to the rake part 30 when the rake part 30 rotates. A vibration damper having a pivotable rak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sleeve 42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elastic body 46 while ascending along the control rod 44.
상기 센서모듈(54)은, 와이어(52) 단부가 직선운동구간(52a)을 형성하도록 구속하는 가이드롤러(54a)와, 와이어(52) 직선운동구간(52a)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프레임(12)에 연결되어 탄성체(54b)에 의해 와이어(52)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로드봉(54c)과,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와이어(52) 장력 상승에 의한 로드봉(54c)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4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가능한 레이크부를 갖는 제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module 54 has one end connected to a guide roller 54a constraining the end of the wire 52 to form a linear motion section 52a,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section 52a of the wire 52, and the other end A rod rod 54c connected to the silver frame 12 and provid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52 by an elastic body 54b, and a rod rod 54c installed on the frame 12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wire 52 ) Vibrator having a pivotable rak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nsor (54d) for detecting mov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2793A KR102153741B1 (en) | 2020-04-29 | 2020-04-29 |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2793A KR102153741B1 (en) | 2020-04-29 | 2020-04-29 |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3741B1 true KR102153741B1 (en) | 2020-09-09 |
Family
ID=7246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2793A KR102153741B1 (en) | 2020-04-29 | 2020-04-29 |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374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674B1 (en) | 2021-02-26 | 2021-05-13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Rake of vibration damper |
KR102312353B1 (en) | 2021-05-18 | 2021-10-15 | 주식회사 우성테크 |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suspended matters stuck in the screen |
KR102557086B1 (en) * | 2022-02-03 | 2023-07-21 | 주식회사 아이엔텍 | Scraper using rake having weight sensor |
KR20240026567A (en) * | 2022-08-22 | 2024-02-29 | 최종남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capable of precise measurement of disposal weigh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031B1 (en) * | 2011-12-26 | 2012-05-17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A dust removing machine incluing a rake capable to tilt toward both side |
KR101731936B1 (en) * | 2017-02-10 | 2017-05-02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adulteration pass in the lower part |
KR101746465B1 (en) | 2016-07-19 | 2017-06-14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Bar screen having annticollision rake |
KR102074817B1 (en) | 2018-06-25 | 2020-02-07 | 서재부 | Rake for screen with hinge point |
-
2020
- 2020-04-29 KR KR1020200052793A patent/KR1021537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031B1 (en) * | 2011-12-26 | 2012-05-17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A dust removing machine incluing a rake capable to tilt toward both side |
KR101746465B1 (en) | 2016-07-19 | 2017-06-14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Bar screen having annticollision rake |
KR101731936B1 (en) * | 2017-02-10 | 2017-05-02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adulteration pass in the lower part |
KR102074817B1 (en) | 2018-06-25 | 2020-02-07 | 서재부 | Rake for screen with hinge poin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1674B1 (en) | 2021-02-26 | 2021-05-13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Rake of vibration damper |
KR102312353B1 (en) | 2021-05-18 | 2021-10-15 | 주식회사 우성테크 |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suspended matters stuck in the screen |
KR102557086B1 (en) * | 2022-02-03 | 2023-07-21 | 주식회사 아이엔텍 | Scraper using rake having weight sensor |
KR20240026567A (en) * | 2022-08-22 | 2024-02-29 | 최종남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capable of precise measurement of disposal weight |
KR102666328B1 (en) * | 2022-08-22 | 2024-05-14 | 최종남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capable of precise measurement of disposal weigh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3741B1 (en) | Trash remover with pivotable rake | |
CN110904930B (en) | Intercepting device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 |
KR101013862B1 (en) | Screen for waste remover | |
KR102074817B1 (en) | Rake for screen with hinge point | |
KR101695462B1 (en) | A Rotary Dust Removal Device Capable of Self Removing Caught Dust | |
KR102184790B1 (en) | Flat screen device with swivel rake | |
KR101293356B1 (en) | Assembly type screen adulteration remover | |
KR100540219B1 (en) | Adultration removing method of a link type dash pot and link type dash pot thereof | |
KR200332449Y1 (en) | A rotary-type equippment which separtaes floating matters from the screen | |
KR20140033613A (en) | Front screen of removing machine of dregs in water | |
US4725365A (en) | Bar screen ra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KR102312353B1 (en) |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with the function of removing suspended matters stuck in the screen | |
KR101365038B1 (en) | A rotary type debris removal apparatus | |
KR101738635B1 (en) | Dust removing machine of Front screen front and rear reciprocating device | |
JPH08509277A (en) | Strainer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from effluent | |
CN219059939U (en) | Bucket canal sundry interception and salvage device | |
KR200411808Y1 (en) | Dust and rubbish inflow prevention apparatus of for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 |
JPS5847206B2 (en) | Sand raking device | |
KR100746924B1 (en) | Screen for use of waste water treatment | |
CN210699145U (en) | Self-cleaning filtering assembly and floating filtering device | |
GB255997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a water intake on a waterway | |
KR200271609Y1 (en) | The braking equipment for rake of screen | |
KR200327207Y1 (en) | A rotary-type equippment improved ejecter | |
KR102445260B1 (en) | Rotary screen having remaining meterial removal function rake | |
KR200333051Y1 (en) | A Rake Type Cleaner for Water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