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393B1 -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93B1
KR102153393B1 KR1020130139810A KR20130139810A KR102153393B1 KR 102153393 B1 KR102153393 B1 KR 102153393B1 KR 1020130139810 A KR1020130139810 A KR 1020130139810A KR 20130139810 A KR20130139810 A KR 20130139810A KR 102153393 B1 KR102153393 B1 KR 10215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ata
pixel
logo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026A (ko
Inventor
김정겸
오진영
추교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items expressed in broadcast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9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은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속적인 영상프레임에서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에 존재하는 에지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화소들에 대해서 다른 화소들과 구분되는 에지데이터를 부여하는 제1 단계,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에지데이터를 동일한 화소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누적함으로써 각각의 화소들에 대해서 누적된 에지데이터인 합산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모든 화소들에 대한 상기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지맵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에지맵에서 상기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합산데이터를 갖는 화소를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a Logo in Moving Image In Real Time basis}
본 발명은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신호는 방송국 식별 또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를 위해서 동영상의 프레임에 일정 영역에 로고를 표시한다. 하지만 시청자들에게는 이러한 로고가 영상을 시청하는데에 방해되고 불편할 뿐이다. 특히, 이러한 로고는 고휘도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로고가 위치하는 영역의 특정 화소들의 열화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상에서 로고를 검출하여 제거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 5,668,917호는 불투명한 로고들의 반복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로고를 검출한다. 그리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34538호에 공개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 내에서 불투명한 로고 검출 장치 및 방법'은 장면 변화를 갖는 키 프레임들을 비교하여 로고를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로고 검출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을 영상프레임들 간의 화소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즉, 종래의 로고 검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인 영상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다. 즉,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프레임메모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구성이 복잡해 질 수밖에 없다.
또한 선행기술들은 영상프레임들 간의 비교를 통해서 로고를 검출하기 때문에, 매 순간 로고 검출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 로고 검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은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속적인 영상프레임에서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에 존재하는 에지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화소들에 대해서 다른 화소들과 구분되는 에지데이터를 부여하는 제1 단계,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에지데이터를 동일한 화소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누적함으로써 각각의 화소들에 대해서 누적된 에지데이터인 합산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모든 화소들에 대한 상기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지맵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에지맵에서 상기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합산데이터를 갖는 화소를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은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영상프레임들의 에지를 이용하여 로고를 검출하고 검출된 영상의 로고 영역에 대해서 영상을 보정한다. 즉, 본 발명은 최초 프레임에서 기준시간에 해당하는 시간 이후에는 각각의 단일 영상프레임에 대해서 영사 보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영상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에 의하면 영상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프레임메모리를 요구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메모리와 라인 메모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비용을 절약하며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의 로고 검출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고 검출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화면에서 로고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동영상은 복수의 영상프레임을 디스플레이장치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기반으로 재생되거나 저장매체에 압축되어 저장된 영상파일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재생되는 것일 수 있다. 로고는 동영상에서 표시되는 해당 영상의 제목 또는 해당 영상의 제작자나 배포자와 같이, 영상의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로고 검출장치는 동영상에서 로고를 표시하는 화소를 검출하여 해당 화소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티-콘(T-con)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패널에서 특정 화소의 열화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에 적용될 수 있지만, 로고로 인한 시청자의 영상시청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고 검출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로고 검출장치(100)는 에지 검출부(110), 에지데이터 합산부(120), 노이즈 검출부(130), 로고 검출부(140) 및 영상 보정부(150)를 구비한다.
에지 검출부(110)는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프레임들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으며, 각각의 영상프레임에 포함되는 에지 화소를 검출한다 그리고 에지 검출부(110)는 각각의 화소들에 대해서 에지 화소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에지데이터를 부가한다.
에지 검출부(110)는 에지 화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소 간의 휘도차이에 근거하여 임의의 화소가 에지 화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에지 검출부(110)는 에지 마스크(112)를 이용하여 모든 화소들에 대해서 인접하는 화소와의 휘도 차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에지 검출부(110)는 화소 간의 휘도 차이가 휘도변화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임의의 화소의 휘도가 인접하는 화소의 휘도와 휘도기준치 이상의 휘도 차이가 있으면, 에지 검출부(110)는 해당 화소에 '1'의 에지데이터를 부여한다. 또는 임의의 화소의 휘도가 인접하는 화소의 휘도와 휘도변화 임계치 미만의 휘도 차이가 있으면, 에지 검출부(110)는 해당 화소에 '0'의 에지데이터를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에지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휘도변화 임계치는 인접하는 화소 간의 휘도 차이가 서로 다른 객체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는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휘도변화 임계치는 영상의 휘도를 256휘도로 표현할 경우에 '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에지 검출부(110)가 이용하는 마스크는 '3×3 마스크'가 될 수 있다. 에지 검출부(110)는 '5×5 마스크' 또는 '10×10 마스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라인 메모리의 절감을 위하여 '3×3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구현 예로서, 본 발명의 에지 검출부(110)는 라인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지 검출방법은 프레임 메모리를 절감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에지 검출부(110)에서 획득한 에지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10)에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누적된 에지데이터인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지맵을 생성한다. 이때,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1'의 에지데이터를 누적한 횟수를 카운트한다.
에지맵을 생성하기 위해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에지 검출부(110)에서 획득한 최초 프레임의 제1 에지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에지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1 에지맵의 각 화소들의 제1 에지데이터에 제2 프레임에서 획득한 각 화소들의 제2 에지데이터를 합산함으로써, 전체 화소들에 대한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에지맵을 생성한다.
이때 에지데이터 합산부(120) 각 화소들의 에지데이터를 합산하는 과정은 '1'인 에지데이터만을 이전 프레임까지의 합산데이터에 합산하고, '0'의 에지데이터를 갖는 화소에 대해서는 이전 프레임까지의 합산데이터를 초기화한다. 예컨대, P0의 화소에 대해서, 제(i-1) 프레임까지의 합산데이터가 'k'라고 할 때 제i 프레임의 에지데이터가 '1'이면,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i 에지맵의 합산데이터를 'k+1'로 부여한다. 만약 이때, 제i 프레임의 에지데이터가 '0'이면,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i 에지맵의 합산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최초 프레임에서 n번째 프레임에 대한 제n 에지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1'의 에지데이터가 합산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면서,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지데이터 합산부(120)가 합산데이터의 임계치 초과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추정 로고 화소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합산데이터가 클수록 해당 화소에서 일정크기 이상의 에지가 지속적으로 나타난 것을 의미하고, 이는 해당 화소가 로고 영역일 가능성이 큰 추정 로고 화소가 되기 때문이다. 임계치는 합산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인 프레임 수와 연관된다. 즉, 임계치는 영상에서 로고를 추정하기 위한 기준시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영상에서 로고가 지속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만약 기준시간이 적다면 로고 이외에 영상패턴에 의해서도 추정 로고 화소가 검출될 가능성이 클 수 있고, 기준시간이 길다면 최초 로고를 검출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준시간은 로고 검출의 소요시간이 길지 않아지는 범위 내에서 로고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시간은 2분 내외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1초당 60프레임을 갖는 영상에서 임계치는 60×120(초) = 7200(프레임)을 기준을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합산데이터가 7200 내외, 예컨대 6000~8400 범위에서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감지하여 추정 로고 화소를 검출할 수 있다.
노이즈 검출부(130)는 에지데이터 합산부(120)에서 생성한 에지맵에서 노이즈를 검출하여 제거한다.
노이즈 검출부(130)가 노이즈를 검출하는 동작은 에지 검출부(110)가 추정 로고 화소를 확인한 것을 바탕으로 수행된다. 즉, 에지 검출부(110)가 추정 로고 화소를 검출할 경우에, 노이즈 검출부(130)는 해당 추정 로고 화소가 노이즈인지 로고 영역인지를 판별한다.
노이즈 검출부(130)는 추정 로고 화소들이 연속적으로 정렬된 크기를 바탕으로 노이즈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영상에서 로고는 시청자에게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수 개의 화소들인 임펄스성 잡음(Impluse Noise)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따라서, 노이즈 검출부(130)는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추정 로고 화소를 노이즈로 간주하여 제거하며, 이를 위해서 미디언 필터(Median Filter)를 이용할 수 있다.
로고 검출부(140)는 노이즈 검출부(130)를 통해서 노이즈가 제거된 추정 로고 화소들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로고 화소들을 검출한다. 추정 로고 화소는 에지데이터들을 합산한 것을 바탕으로 검출한 것이다. 결국 추정 로고 화소는 에지, 즉 객체의 경계선만을 검출한 결과이다. 따라서, 로고 검출부(140)는 경계선들의 내부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로고 영역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서 로고 검출부(140)는 스캔-라인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50)는 로고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로고 영역에 포함되는 로고 화소들의 데이터에 영상 보정을 수행한다. 로고 검출부(140)에서 검출한 로고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높은 휘도를 갖는 화소 데이터이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영상 보정부(150)는 로고 데이터의 휘도를 낮추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로고 화소들의 휘도를 지나치게 낮추게 되면 영상에서 암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휘도를 너무 조금 낮추면 패널의 소자 열화 현상을 개선하는 데에 불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검출부(140)는 로고 영역의 데이터를 인가받는 데이터에서 40~60% 휘도를 낮추는 영상 보정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로고 검출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고 검출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에지 검출을 통한 에지데이터 획득 : S201 >
로고 검출을 위해서 에지 검출부(110)는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제공받는다. 그리고 에지 검출부(110)는 순차적으로 제공받는 영상프레임에서 에지 화소를 검출하고 에지데이터를 부가한다.
도 3은 'OCN'이라는 문자 로고가 표시되는 영상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만약 밝은 로고(L)가 어두운 배경(scenery)에서 표현되고 있을 경우에 로고(L)를 검출하는 방법을 'A'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및 [j+1] 행에 속한 화소들의 휘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에지 화소를 검출하기 위해서, 에지 검출부(110)는 에지마스크(112)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행 또는 인접하는 열 간의 휘도 차이가 일정한 크기 이상일 경우에 중심 화소를 에지로서 판명한다. 예컨대 에지마스크(112)는 좌측열에서 우측열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각 행의 에지 화소를 검출한다. 그리고, 하나의 행에 대해서 에지 화소 검출을 마치면, 그 다음 행에 대한 에지 화소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프레임의 모든 화소들에 대해서 에지 검출을 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들이 에지 화소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에지마스크(112)는 오른쪽 인접화소와 에지마스크(112)의 중심화소(Cij) 간의 휘도 차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에지마스크(112)는 계산된 휘도 차이가 휘도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에지마스크(112)의 중심화소를 에지 화소로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에지마스크(112)의 중심화소(Cij)가 'P9'화소에 위치할 경우에 'P9'화소와 우측 인접 화소인 (j+1,K+1)의 화소와의 휘도차이(d)가 임계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에지마스크(112)는 'P9'의 화소를 에지 화소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P10'화소 내지 "16'화소 역시 우측 인접 화소와의 휘도차이(d)가 휘도기준치 이상으로 판별되어 에지로 검출된다.
유사하게, 에지마스크(112)의 중심화소(Cij)가 'P1'화소에 위치할 경우에, 아래의 인접 화소인 (j+1,K+1)의 화소는 로고(L)에 속한 화소로서 휘도가 높은 화소이다. 이에 따라서, 에지마스크(112)는 'P1'화소를 에지 화소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P2'화소 내지 'P8'화소 역시 아래측 인접 화소와의 휘도차이가 휘도기준치 이상으로 판별되어 에지로 검출된다.
그리고 에지 검출부(110)는 이처럼 에지로 검출된 화소들(P1~P16)에 에지데이터를 '1'로 부가한다. 또한, 에지 검출부(110)는 에지로 검출되지 않은 화소들에 대해서는 '0'의 에지데이터를 부가한다. 이때, '0'과 '1'의 에지데이터는 에지화소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각각 다른 크기의 에지데이터가 부가될 수도 있다.
< 에지데이터의 누적을 통해서 에지맵 생성 : S203 >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에지 검출부(110)에서 획득한 에지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10)에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에지맵을 생성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제1 프레임(F1)이 최초 영상프레임일 경우에,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에지로 검출된 화소들(P1~P16)에 부가된 '1'의 에지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10)에 저장한다.
도 5는 도 4와 같은 제1 프레임(F1)의 'A'영역에 대한 에지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제1 에지맵(M1)에서 'A'영역은 'P1' 내지 'P16' 화소들만 '1'의 데이터를 갖고, 나머지 화소들 영역은 '0'의 데이터를 갖는다.
이와같이,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1 프레임(P1)에서 에지로 검출된 화소들에 대해서 '1'의 에지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10)에 저장함으로써 제1 에지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에지맵의 에지데이터는 제1 합산데이터로 간주된다.
이어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2 프레임의 에지데이터를 제1 에지데이터에 합산하여 합산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에지맵을 생성한다. 즉, 제1 프레임(F1)에 이어지는 제2 프레임의 'A'영역이 도 4에 도시된 제1 프레임(F1)의 'A'영역과 같다면,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에지가 검출된 화소들(P1~P16)에 부가된 '1'의 에지데이터를 제1 에지맵의 에지데이터에 합산한다. 따라서, 제2 프레임까지의 'A'영역의 제2 에지맵(M2)은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제2 프레임까지의 에지데이터를 합산하여 제2 합산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제2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에지맵(M2)을 생성한다.
그리고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0'의 에지데이터를 갖는 화소들에 대해서는 그 이전까지의 합산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한다. 예컨대 도 7에서와 같이, 제3 프레임(F3)에서 로고(30)가 사라져서 'P1' 내지 'P16'의 화소들이 에지로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P1' 내지 'P16'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제2 에지맵에 포함된 '2'의 합산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시킨다. 따라서, 제3 프레임(F3)까지의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제3 에지맵(M3)의 'A'영역은 도 8과 같이 나타난다.
< 합산데이터를 카운트하여 추정 로고 화소 검출 : S205, S207 >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S203 단계에서와 같이 에지데이터를 누적하는 동시에 프레임메모리(10)에 저장되는 화소들의 합산데이터를 임계치와 비교한다. 실시 예와 같이, 에지 화소에 대한 에지데이터가 '1'로 부여될 경우에,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1'의 에지데이터를 카운트함으로써 합산데이터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합산데이터와 임계치를 비교한 결과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화소는 추정 로고 화소로 간주된다.
그리고 만약, 합산데이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에지데이터 합산부(120)는 S201 및 S203 단계를 반복한다.
< 노이즈 검출 및 제거 : S209 >
S205 단계에서 에지데이터 합산부(120)가 카운트한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였다고 판별할 경우에, 노이즈 검출부(130)는 추정 로고 화소가 노이즈 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서 노이즈 검출부(130)는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지맵을 미디언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수 개 또는 수십 개의 연속적인 화소들을 임펄스성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거할 수 있다.
< 로고 검출 : S211 >
S207 단계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추정 로고 화소들은 로고의 에지라고 간주된다. 이후에 로고 검출부(140)는 경계 영역 내의 실질적인 로고 영역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서 로고 검출부(140)는 스캔-라인 폴리곤 필 알고리즘(Scan-Line Polygon Fill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은 로고 검출부(140)의 실시 예를 모식화한 도면으로서, 'k' 스캔라인까지의 로고 검출을 수행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로고 검출부(140)는 스캔라인이 화소들을 지나칠 때, 로고의 에지 화소들과 교차하는 지점을 검출하고, 에지 화소들 간의 내부를 채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로고 검출부(140)는 에지 화소 간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화소들을 채움으로써 로고(30)를 검출한다.
< 영상 보정 : S213 >
S209 단계를 거쳐서 실질적인 로고 영역이 검출되면, 영상 보정부(150)는 영상프레임에서 해당 로고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휘도를 낮추는 보정을 수행한다. 즉, S207 단계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S209 단계에서 로고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은 에지맵을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영상 보정부(150)는 에지 검출부(110)가 전송받는 영상프레임에 대하여 영상 보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에지 검출부(110)가 제공받은 제i 프레임의 에지데이터를 누적한 결과의 제i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S207 및 S209 단계가 진행되었다면, 영상 보정부(150)는 제i 프레임에 대해서 로고 영역 화소 내의 영상을 보정한다.
이때 영상 보정부(150)는 로고 영역 화소 내의 휘도를 낮추는 영상 보정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30 : 로고 112 : 에지마스크

Claims (9)

  1.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속적인 영상프레임에서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에 존재하는 에지 화소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화소들에 대해서 다른 화소들과 구분되는 에지데이터를 부여하는 제1 단계;
    각각의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에지데이터를 동일한 화소 위치별로 순차적으로 누적함으로써 각각의 화소들에 대해서 누적된 에지데이터인 합산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프레임들의 모든 화소들에 대한 상기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에지맵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에지맵에서 상기 합산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합산데이터를 갖는 화소를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된 화소들의 휘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로고 영역의 화소들에 대한 영상을 보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단계는 연속적으로 제공받는 제1 내지 제n 영상프레임에 대한 에지맵을 생성하기 위해서(이때, n은 3 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1 영상프레임의 각 화소들의 에지데이터를 제1 합산데이터로 간주하여 제1 에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에지맵에 상기 제2 영상프레임의 에지데이터를 합산하여 제2 합산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에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n-1) 에지맵에 상기 제n 영상프레임의 에지데이터를 합산하여 제n 에지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제i 에지맵의 임의의 화소의 에지데이터가 '1'일 경우에는, 제(i-1) 에지맵의 해당 화소의 합산데이터에 에지데이터를 합산하고(이때, i는 2 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i 에지맵의 임의의 화소의 에지데이터가 '0'일 경우에는, 상기 제(i-1) 에지맵의 해당 화소의 합산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에지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프레임 내의 모든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에지를 검출하되, 상기 에지마스크의 중심 화소의 휘도가 인접하는 화소의 휘도와 휘도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에지마스크 중심 화소를 에지 화소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i 에지맵에서 임의의 화소의 제i 합산데이터가 6000~8400 범위에서 설정되는 상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화소를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로고 영역이라고 판단한 화소들 중에서 노이즈 화소를 검출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노이즈 화소로 검출된 화소에 대해서, 상기 노이즈 화소의 합산데이터를 '0'으로 초기화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에지맵에서 검출한 상기 로고 영역의 화소들의 휘도를 40~60%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KR1020130139810A 2013-11-18 2013-11-18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KR10215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10A KR102153393B1 (ko) 2013-11-18 2013-11-18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10A KR102153393B1 (ko) 2013-11-18 2013-11-18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26A KR20150057026A (ko) 2015-05-28
KR102153393B1 true KR102153393B1 (ko) 2020-09-08

Family

ID=5339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810A KR102153393B1 (ko) 2013-11-18 2013-11-18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29B1 (ko) * 2015-09-25 2021-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로고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552299B1 (ko) 2018-08-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1626073B2 (en) * 2019-09-24 2023-04-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afterimage compens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59B1 (ko) 2010-05-31 2011-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 에지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1203790A (ja) 2010-03-24 2011-10-13 Kddi Corp 画像照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337A (ko) * 2006-01-18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영역 판단장치 및 에지영역 판단방법
KR101193549B1 (ko) * 2010-02-12 2012-10-22 주식회사 케이티 티브이 프로그램의 에피소드 자동분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3790A (ja) 2010-03-24 2011-10-13 Kddi Corp 画像照合装置
KR101051459B1 (ko) 2010-05-31 2011-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 에지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동물체 변위평가를 위한 에지맵 생성,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7(2), 2009.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26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995B2 (en) Flare detection and mitigation in panoramic images
KR1021051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347540A1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87048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3631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using a plurality of chroma-key colors
US108109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of display device
JP2008085753A5 (ko)
US2008026024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610461B2 (en) Video compression stream
JP2013142775A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53393B1 (ko) 동영상의 실시간 로고 검출방법
US100339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verse tone mapping
JP6103649B2 (ja) 複数のレベルの中間閾値ビットマップを用いた、hdr画像処理におけるゴーストアーティファクトの検出および除去方法
US8830257B2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JP2009140307A (ja) 人物検出装置
KR20140075802A (ko) 이미지 내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동적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080098861A (ko) 저장된 영상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3232880A (ja) イメージ処理装置及びイメージ処理方法
KR20110088884A (ko) 촬영 방법 및 장치와 그 기록 매체
JPWO2010064319A1 (ja) 映像表示制御装置、映像表示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00634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41581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전자기기
KR20040063567A (ko) Pdp 모듈을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의 잔상 방지 방법
US20100073528A1 (en) Method of generating a gain of an image frame
US2023036059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burn-in prevention based on stationary pixel and luminanc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