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67B1 -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67B1
KR102153267B1 KR1020200086266A KR20200086266A KR102153267B1 KR 102153267 B1 KR102153267 B1 KR 102153267B1 KR 1020200086266 A KR1020200086266 A KR 1020200086266A KR 20200086266 A KR20200086266 A KR 20200086266A KR 102153267 B1 KR102153267 B1 KR 102153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rea
information
screen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277A (ko
Inventor
김동환
조성훈
위경훈
김형중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machining or material parameters, pocket machining
    • G05B19/40938Too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공구관리 메뉴(11)와 공정 설정 메뉴(12)를 포함한 메인 메뉴가 나열되는 메인 메뉴 영역(10);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공구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공작기계에 탑재된 공구들의 리스트가 출력되는 상세 정보 영역(30);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소재의 가공 상태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40); 및 새로운 공구를 선택하여 추가하기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51)이 나열되는 기능 선택 영역(5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상기 공구관리 메뉴(11)가 선택되면, 상기 기능 선택 아이콘(51)에는 "새 공구 항목 등록"이 나타나고, 상기 새 공구 항목 등록을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51)이 선택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가공 방법에 따라 공구 목록이 문자,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구 데이터 베이스(52)가 출력됨으로써, 새 공구 항목이 등록된다.

Description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MONITOR DISPLAY METHOD OF NUMERICAL CONTROL COMPOSITE MACHINE AND TOOLS SE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를 제어하는 운용 화면에서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공구를 관리하고, 공정관리, 공구선정, 절삭조건 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는 운용프로그램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재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가공한다. 프로그램에는 공정관리, 공구선정, 절삭조건 등을 프로그래밍 하여 입력하여야 함으로써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요구되는 시대에 접어들면서, 복잡한 프로그래밍의 절차를 생략하고, 수치제어 복합가공기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가공대상물의 형상 및 가공조건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 복잡한 프로그래밍의 절차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가 알려져 있다.
종래에 알려진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는 사용자가 입력한 형상 정보와 NC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공구에 관해서는 공구 경로 생성을 위해서 일부 공구 형상에 관련된 극히 제한된 정보만 사용자가 정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는 공구 정보가 제한된 것으로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또한, 가공을 위한 절삭 조건의 경우, 공정의 종류 및 소재와 공구의 종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나, 종래의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는 대부분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고 있고, 수동으로 입력한 정보는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즉, 종래의 자동 프로그래밍 도구는 공구 선정할 때에 고려해야 할 소재정보나 공구 형상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해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를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수행할 때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정보 예컨대, 가공 형상의 정의, 가공 시뮬레이션, NC 프로그램 생성, 공구관리 기능, 공구추천 기능, 절삭조건 추천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탑재된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대화형 프로그램을 통하여 화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더욱 쉽고 효율적으로 공구를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가공공정과 사용소재에 적합한 공구를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공구 및 소재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절삭조건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공구관리 메뉴와 공정 설정 메뉴를 포함한 메인 메뉴가 나열되는 메인 메뉴 영역; 상기 메인 메뉴 영역에서 공구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공작기계에 탑재된 공구들의 리스트가 출력되는 상세 정보 영역; 상기 메인 메뉴 영역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소재의 가공 상태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 및 새로운 공구를 선택하여 추가하기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이 나열되는 기능 선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메뉴 영역에서 상기 공구관리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기능 선택 아이콘에는 "새 공구 항목 등록"이 나타나고, 상기 새 공구 항목 등록을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에는 가공 방법에 따라 공구 목록이 문자,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구 데이터베이스가 출력됨으로써, 새 공구 항목이 등록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은, 가공소재의 재질, 크기의 기본 정보를 화면으로 입력받는 공통 설정 단계;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이 선삭가공, 홀가공, 센터홀가공 및, 나사가공 중에 어느 하나의 가공 인지를 화면으로 입력받거나 또는 공정작업을 하던 중에 새로운 단위공정을 화면 상에 추가하는 단위 공정 추가 단계;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필요한 수치 정보를 화면 상에서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가공 형상에 관한 정보를 화면으로 입력받는 가공 형상 단계;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적합한 공구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공구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공구를 화면으로 입력 받는 선택 공정에 대한 공구 선택 단계: 상기 가공소재의 재질, 크기의 기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한 공구가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적합한 지를 검증하는 가공 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을 검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한 공구 보다 상기 가공소재에 더 적합한 공구를 추천하기 위한 가공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 상기 가공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에서 검증되어 추천된 공구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받기 위한 공구 추천 목록 표시 단계; 및 상기 가공 소재를 가공하도록 짜인 화면에서 공정을 추가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 추가 확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에서 더 적합한 공구가 추천되면, 가공 방법에 따라 공구 목록이 문자,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구 데이터베이스가 출력됨으로써, 새 공구 항목이 등록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운용 화면은 대화형 프로그램으로서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NC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공구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구 정보를 시스템이 활용하여 최적의 공구 선정 및 절삭 조건을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에 의존하였던 공구의 선택이나 절삭 조건의 선정이 시스템에서 최적을 추천 값을 제공함으로써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양질을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사용자 편의성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의 증대 및 가공 신뢰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의해 공구가 추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은, 크게 2가지의 주요기능을 포함한다.
첫째,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공구 관리 기능 및 인터페이스이다.
둘째,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공물 형상 및 소재, 공정에 따른 자동 공구 추천 기능과 추천된 공구 정보 및 가공물의 소재, 가공 공정에 따른 자동 절삭 조건 추천 기능이다.
운용 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로컬 제어기, 원격지 컴퓨터, 이동형 단말기, 이동식 저장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로컬 제어기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한쪽에 배치된 것으로, 수치제어 복합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원격지 컴퓨터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를 원격지에서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형 단말기는 예를 들면, 태블릿 PC, 스마트 폰, 노트북일 수 있다.
이동식 저장장치는 USB메모리, 메모리 카드, 외장 하드디스크, 디스켓 등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수행하고, 그 프로그래밍 데이터를 상술한 다양한 형태로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용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 이동형 단말기의 화면, 제어기의 화면 등일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화상은 하나의 예시로서, 단말기의 크기와 가로세로 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용 화면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에는 메인 메뉴 영역(10)과 서브 메뉴 영역(20)과 상세 정보 영역(30)과 미리 보기 영역(40)과 기능 선택 영역(50)을 포함한다.
메인 메뉴 영역(10)에는 화면 관리, 공통 설정, 공정리스트, 공정설정(12), 시뮬레이션, 공구관리(11), 파라미터 관리 등을 포함한다.
서브 메뉴 영역(20)은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서브 메뉴가 탭 타이틀(tab title) 형태로 표시된다.
상세 정보 영역(30)은 서브 메뉴 영역(20)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메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미리 보기 영역(40)은 소망하는 가공 형상과 가공이 수행되는 시뮬레이션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 선택 영역(50)은 부가 기능을 선택하거나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기능 선택 아이콘(51)이 배치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서 첫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째기능은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공구 관리 기능 및 인터페이스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공구 관리 메뉴(11)를 선택하면, 서브 메뉴 영역(20)과 기능 선택 영역(50)에서 공구 관리에 관련한 기능이 나타난다.
서브 메뉴 영역(20)은 공구 관리에 관련된 탭 타이틀(tab title)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탭 타이틀은 툴 데이터일 수 있다.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이미 탑재된 공구 데이터베이스가 출력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한 레코드 데이터(31)를 선택하면, 해당 레코드 데이터(31)에 대한 상세한 부가 정보가 부가 정보 영역(32)에서 출력된다.
즉, 현재 선택한 공구는 어떠한 사양이고,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절삭인서트는 어떠한 형상인지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공구를 등록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기능 선택 영역(50)에서 특정한 기능 선택 아이콘(51)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면, 기능 선택 아이콘(51)은 "새로운 공구 항목 등록"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새 공구 항목 등록"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선택 아이콘(51)을 선택하면, 공구 데이터베이스(52)가 상세 정보 영역(30)의 일부에 나타난다. 여기서, "새 공구"의 용어는 하나의 예로서 "신규 공구"등으로 용어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용어로써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을 밝힌다.
공구 데이터베이스(52)에는 가공 방법이 정렬되고, 각 가공방법에 가공을 수행하도록 하는 공구의 종류가 문자와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잡한 명령어를 익히지 않고도 자신이 소망하는 공구를 쉽게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게 된다.
특정한 공구를 선택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공구의 특성을 입력할 수 있는 창으로 전환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메뉴 영역(20)에는 제1 공구 탭 타이틀(53)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절삭정보, 보정 정보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제1 공구 탭 타이틀(53)은 "기본 정보"일 수 있고, 기본 정보의 탭 타이틀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공구 정보 영역(54)과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55)이 출력된다.
공구 정보 영역(54)에는 공구에 대한 상세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고,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영역(55)에는 선택된 공구의 형상을 이미지로 표시하고, 파라미터를 입력할 때에 입력 중인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값이 어느 위치의 값인지를 알 수 있도록 이미지로 표시한다.
따라서 기계적인 용어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표시되는 이미지 영상을 참조하여 정확한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메뉴 영역(20)에서 제2 공구 탭 타이틀(531)을 선택할 수 있고, 제2 공구 탭 타이틀(531)은 "절삭정보"일 수 있다. 절삭정보에는 예를 들면, 가공속도, 절입량 등의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용 화면은 새로운 공구를 추가시키거나 이미 등록된 공구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운용 화면은 대화형 프로그램으로 운용됨으로써 새로운 공구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편리하며, 새로운 가공공정이 추가되거나 특정한 가공공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정 적합한 공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서 둘째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둘째 기능은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공물 형상 및 소재, 공정에 따른 자동 공구 추천 기능과 추천된 공구 정보 및 가공물의 소재, 가공 공정에 따른 자동 절삭 조건 추천 기능이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공정 설정 메뉴(12)를 선택한다. 공정 설정 메뉴(12)를 선택하면, 공정이 수행되는 각각의 공정이 나타난다. 각 공정 중에 특정한 공정 레코드(121)를 선택하면, 서브 메뉴 영역(20)은 탭 타이틀에 공정 탭 타이틀(122)이 나타난다. 공정 탭 타이틀(122)은 일례로서 "가공조건"일 수 있다.
공정 탭 타이틀(122)이 선택되면 상세 정보영역(30)에 공정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과 공구 정보 제시 영역(123)과 예시 영역(124)이 표시된다.
상세 공정 파라미터 값을 입력하면, 그 공정에 적합한 공구의 추천되고, 추천된 공구의 사양이 파라미터 값으로 공구 정보 제시 영역(123)에 표시된다. 또한, 해당 공구의 이미지 정보가 예시 영역(124)에 표시된다.
이로써, 가공 공정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적합한 절삭공구가 추천되는 것이다.
특히 예시 영역(124)에는 가공 공정이 연상되는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선삭 가공이 추천되었다면, 원통형 소재가 회전하는 형상으로 제시되고 소재의 회전속도와 가공거리, 직경 크기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공구가 추천되는 알고리즘은 첨부도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의한 자동 공구 추천 및 공정 추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첨부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에 의해 공구가 추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법에 의해 공구가 추천되는 과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공통 설정단계(S10);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예컨대, 소재의 재질, 크기 등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단위공정 추가 단계(S20);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일반 선삭인지, 홈 가공인지, 센터 홀 가공인지, 나사가공인지 등을 입력 받는다. 이 단계는 최초로 공정설계를 하는 경우는 단위공정 선택단계가 되고, 공정작업을 하던 중에 새로운 단위공정을 추가하는 경우는 단위공정 추가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가공 형상 단계(S30); 어떠한 형상으로 가공할 것인지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특정 가공에 필요한 수치정보 들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선삭 가공의 경우는 내경가공, 외경가공 또는 단면가공 중 하나의 가공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내경가공의 경우는 공작물 반지름의 정보도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일반선삭 가공의 경우는 홈 깊이, 홈 폭 및 공작물 반지름 등의 수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센터홀 가공의 경우는 홀 깊이, 홀직경, 피치, 나사형상 및 공작물 반지름 등의 수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 공정에 대한 공구 선택 단계(S40); 단위 공정 추가 단계(S20)에서 입력된 가공 공정에 적합한 공구를 출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공구를 선택 받는다.
가공 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S50); 일반선삭, 홈가공, 센터홀가공 또는 나사가공 등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공정이 단위 공정 추가 단계(S60)에서 선택되었다. 또한, 공통 설정단계(S10)에서 소재의 재질 및 크기 등의 기본적인 소재의 정보를 입력 받았다. 소재의 재질별 적합한 공구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작기계의 메모리나 하드웨어에 저장해 놓았다가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소재의 재질에 적합한 공구를 사용자에게 추천해 주게 된다. 또한 가공 형상 단계(S30)에서 입력된 가공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된 공정에 적합한 공구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사용자가 공구 리스트 중 최적의 공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소재의 재질정보와 가공 형상에 관련된 가공정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공구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공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일반선삭 가공", "홈 가공", "센터 홀 가공", "나사 가공" 중에 적합한 공구리스트가 선정되게 된다.
이를 첨부도면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선삭" 가공의 경우(S51), 황삭 및 정삭 공정에 따라 사용 가능한 공구가 선정되면, 일반 선삭 내경 공정의 경우, 공구형상과 내경 직경에 따른 형상 제약을 통해 공구가 선정된다. 공작물(소재)의 반지름을 지름으로 환산하고, 가능 가능한 최소 내경을 검증한다.
"홈 가공"의 경우(S52), 홈 깊이 및 폭의 형상에 따라 공구가 선정되며, 홈 내경 공정의 경우, 공구형상과 내경 직경에 따른 형상 제약을 통해 공구가 선정된다.
"센터 홀 가공"의 경우(S53), 홀 깊이 및 직경에 따라 공구가 선정된다. 탭 공정의 경우 피치 정보도 공구 선정 기준에 포함된다.
"나사 가공"의 경우(S54), 가공 도면에 명시된 나사의 형상과 피치에 따라 공구가 선정되며, 나사 내경 공정의 경우, 공구형상과 내경 직경에 따른 형상 제약을 통해 공구가 선정된다.
만약, 상술한 각 검증과정에서 검증에 실패하면 화면에 오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여, 관련 파라미터 값의 변경을 유도한다.
공구 추천 목록 표시 단계(S60); 상기 가공 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S50)에서 단수 또는 복수의 공구가 적합하다고 검증되면, 해당 공구 목록을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공구의 선택이 완료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정과 공구, 소재의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최적 절삭 조건이 추천된다. 사용자는 작업 환경, 기계의 상태에 따라 절삭 조건을 수정할 수 있고, 수정된 절삭 조건 정보는 공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되어 이후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때에 저장된 값을 화면에 출력한다.
공정 추가 확인 단계(S70); 소재를 가공하도록 짜인 화면에서 공정을 추가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새로운 공정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위공정 추가 단계(S20)로 되돌아간다. 새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면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정을 사용자가 추가할 때에,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공정에 가장 적합한 공구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추천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은,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공구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구 정보를 시스템이 활용하여 최적의 공구 선정 및 절삭 조건을 추천할 수 있다.
특히, 효율적이고 정확한 가공을 위해서는 공구 및 절삭 조건의 선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이를 위해서는 공구 전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축적된 공구 데이터베이스의 공구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공구 선정 및 절삭 조건 입력을 자동화함으로써 가공 정밀도 및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편의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에 의존하였던 공구의 선택이나 절삭 조건의 선정이 시스템에서 최적을 추천 값을 제공함으로써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양질을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은, 사용자 편의성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의 증대 및 가공 신뢰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은, 대화형 프로그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NC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 메뉴 영역 11: 공구관리 메뉴
12: 공정설정 메뉴 121: 공정 레코드
122: 공정 탭 타이틀 123: 공구 정보 제시 영역
124: 예시 영역 125: 절삭 조건 제시 영역
20: 서브 메뉴 영역 30: 상세 정보 영역
31: 레코드 데이터 32: 부가 정보 영역
40: 미리 보기 영역 50: 기능 선택 영역
51: 기능 선택 아이콘 52: 공구 데이터베이스
53, 531: 제1, 제2 공구 탭 타이틀 54: 공구 정보 영역
55: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

Claims (11)

  1. 공구관리 메뉴(11)와 공정 설정 메뉴(12)를 포함한 메인 메뉴가 나열되는 메인 메뉴 영역(10);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공구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공작기계에 탑재된 공구들의 리스트가 출력되는 상세 정보 영역(30);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소재의 가공 상태를 표시하는 미리보기 영역(40); 및
    새로운 공구를 선택하여 추가하기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51)이 나열되는 기능 선택 영역(5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상기 공구관리 메뉴(11)가 선택되면, 상기 기능 선택 아이콘(51)에는 "새 공구 항목 등록"이 나타나고,
    상기 새 공구 항목 등록을 위한 기능 선택 아이콘(51)이 선택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가공 방법에 따라 공구 목록이 문자,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구 데이터베이스(52)가 출력됨으로써, 새 공구 항목이 등록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데이터베이스(52)에서 특정한 공구를 선택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공구 정보 영역(54)과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55)이 출력되며;
    상기 공구 정보 영역(54)에서 공구의 파라미터 값을 입력 받으며;
    상기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55)에는 해당 공구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데이터베이스(52)에서 특정한 공구를 선택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공구 정보 영역(54)과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55)이 출력되며;
    상기 공구 정보 영역(54)에는 신규로 등록될 공구의 절삭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기본 공구 이미지 표시 영역(55)에는 해당 공구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메뉴 영역(10)에서 상기 공정설정 메뉴(12)가 선택되면, 상기 상세 정보 영역(30)에는 공정 파라미터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영역과 공구 정보 제시 영역(123)과 예시 영역(124)이 표시되며;
    상기 공정 파라미터 값이 입력되면, 그에 적합한 공구가 공구 정보 제시 영역(123)에 추천되고, 예시 영역(124)에는 공구의 이미지 정보가 출력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한 공구가 복수인 경우에는 공구의 목록을 출력하고, 소망하는 공구를 선택받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파라미터 값이 입력되면, 상기 예시영역(124)에 적합한 가공 공정이 연상되는 이미지로서 출력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7. 가공소재의 재질, 크기의 기본 정보를 화면으로 입력받는 공통 설정 단계;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이 선삭가공, 홀가공, 센터홀가공 및, 나사가공 중에 어느 하나의 가공 인지를 화면으로 입력받거나 또는 공정작업을 하던 중에 새로운 단위공정을 화면 상에 추가하는 단위 공정 추가 단계;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필요한 수치 정보를 화면 상에서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수치 정보에 근거하여 가공 형상에 관한 정보를 화면으로 입력받는 가공 형상 단계;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적합한 공구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공구 중에서 선택된 특정한 공구를 화면으로 입력 받는 선택 공정에 대한 공구 선택 단계:
    상기 가공소재의 재질, 크기의 기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한 공구가 상기 선택 또는 추가된 단위 공정에 적합한 지를 검증하는 가공 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을 검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한 공구 보다 상기 가공소재에 더 적합한 공구를 추천하기 위한 가공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
    상기 가공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에서 검증되어 추천된 공구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받기 위한 공구 추천 목록 표시 단계; 및
    상기 가공 소재를 가공하도록 짜인 화면에서 공정을 추가할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공정 추가 확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 적합성 검증 단계에서 더 적합한 공구가 추천되면, 가공 방법에 따라 공구 목록이 문자, 기호,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구 데이터베이스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더 적합한 공구가 새 공구 항목으로 등록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삭 가공방법이 선택되면, 내경 가공일 때 내경 가공에 간섭이 생기지 않는 공구를 추천하고, 내경 가공이 아니면 황삭 및 정삭에 적합한 공구들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공작기계의 메모리에 내장된 가공 재질에 따른 추천공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에 적합한 공구들을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상기 가공소재에 대한 공구 적합성을 검증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홀가공에 적합한 공구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홀 깊이, 홀 직경, 홀 깊이, 피치, 나사형상 및 공작물 반지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터홀 가공 방법에 적합한 공구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 가공에 적합한 공구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홀 깊이, 홀 직경, 홀 깊이, 피치, 나사형상 및 공작물 반지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센터홀 가공 방법에 적합한 공구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공구선정 방법.


KR1020200086266A 2020-07-13 2020-07-13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KR10215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66A KR102153267B1 (ko) 2020-07-13 2020-07-13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266A KR102153267B1 (ko) 2020-07-13 2020-07-13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398A Division KR20140084448A (ko) 2012-12-26 2012-12-26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운용 프로그램 및 공구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277A KR20200092277A (ko) 2020-08-03
KR102153267B1 true KR102153267B1 (ko) 2020-09-07

Family

ID=7204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266A KR102153267B1 (ko) 2020-07-13 2020-07-13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37B1 (ko) * 2022-10-31 2023-06-20 채상민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추천 및 세팅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335A (ja) 2000-11-30 2002-06-11 Toyoda Mach Works Ltd 工具交換機能付工作機械用数値制御装置の操作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5610A (ja) * 1984-10-27 1986-05-23 Citizen Watch Co Ltd 数値制御工作機械の自動プログラミング装置
KR20050031043A (ko) * 2003-09-27 2005-04-01 주식회사 삼호기계 시엔시 공작기계의 직접 제어방법 및 이에 대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335A (ja) 2000-11-30 2002-06-11 Toyoda Mach Works Ltd 工具交換機能付工作機械用数値制御装置の操作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37B1 (ko) * 2022-10-31 2023-06-20 채상민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추천 및 세팅하는 방법
WO2024096233A1 (ko) * 2022-10-31 2024-05-10 채상민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추천 및 세팅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277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4448A (ko)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운용 프로그램 및 공구선정 방법
US7949422B1 (en) Machine tool control system
JP5925976B1 (ja) 加工プログラム編集支援装置
KR102086167B1 (ko) 공작 기계용 비쥬얼 정보를 이용한 터렛 공구 관리 방법
US20080109722A1 (en) Direct presentation of help information relative to selectable menu items in a computer controlled display interface
EP3176660B1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ssistance device
EP3171266B1 (en) User interface widget modeling and placement
KR100918350B1 (ko)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및 프로그램 실행 장치
KR102153267B1 (ko)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구선정 방법
KR20120085420A (ko)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200272126A1 (en) Screen creation device and screen creation system
EP2485105B1 (en) Devi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storage device storing device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EP0745927B1 (en) Method of and editing system for setting tool button
US9523970B2 (en) Field devi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at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proximity
US20100083110A1 (en)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multiple touch display navigation capabilities
WO1989006004A1 (en) Method of inputting part profile
US56086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the task of retrieving and accessing a segment of a numerical control (NC) program
KR102357029B1 (ko)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대화형 프로그램에서 복합 공정 등록 장치 및 방법
US7016745B1 (en) NC programming and predetermined practices integration
JP200508480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7752344B2 (en) Parameter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parameterizing electrical devices
TW201537315A (zh) 系統構築支援裝置、方法,及記錄媒體
CN117501239A (zh) 画面生成装置、画面生成系统以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KR101896081B1 (ko) Hmi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 장치
US20230333534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