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120B1 -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 Google Patents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120B1
KR102153120B1 KR1020190001323A KR20190001323A KR102153120B1 KR 102153120 B1 KR102153120 B1 KR 102153120B1 KR 1020190001323 A KR1020190001323 A KR 1020190001323A KR 20190001323 A KR20190001323 A KR 20190001323A KR 102153120 B1 KR102153120 B1 KR 10215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aterial
felt
substrate
base material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151A (ko
Inventor
유인철
양기은
Original Assignee
유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철 filed Critical 유인철
Priority to KR102019000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발열효과를 가짐으로써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내피의 표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더 포함하되,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는, 제1기재;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제1기재와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기재 및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Heat generating clothing provided with carbon material felt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발열효과를 가짐으로써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열의류는 겨울철 체온을 보존하기 위해 열을 발산하면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막기 위해 비싼 순모 등과 같이 두꺼운 성질을 지닌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발열의류는 상당한 중량감을 갖는 의류로 제조될 수 밖에 없어 높은 활동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의 착용자나, 그러한 성격의 직업을 가진 착용자에게는 착용이 용이하지 않아 활동성이 현저히 나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발열의류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경찰 공무원이나 군인, 환경미화원 등 추운 실외에서 장시간 근무할 때나, 겨울철 실외 스포츠를 즐길 때 활동성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겨울철 의류로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보온감을 부여하기에 부족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해 보기 위하여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패드(등록번호: 20-0262730)'에서는 일면이 코팅제(12)로 특수코팅된 외피직물지(11)에 덮개직물지(13)를 같은 형상의 일정크기로 나란히 마주보게 포개고, 그사이에 끝단부에 노출된 각각의 동선(3a)이 전선(23)에 연결 부착된 면상발열체(3)를 복수 개로 내장시킨 상태에서 유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재봉하며, 외피직물지(11) 가장자리 일정부위에 탈부착수단(4)을 구비한 발열패드를 사용자가 의류의 원하는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한복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발열패드를 의류에 부착시키면 외피직물지(11)의 일면에 특수코팅되어 있던 코팅제(12)가 일부 탈락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는 면상발열체(3)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짐에 따라 발열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열효과를 안정적으로 지속시켜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의류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730호, 2002.01.18.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우수한 발열효과를 가짐으로써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표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는, 제1기재;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가 부착됨으로써, 전원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소재 펠트는, 탄소를 1,5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는 한 쌍의 기재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탄소소재 펠트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전도율이 좋아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발열의류의 수납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온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필요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내장된 발열팩을 발열의류로부터 분리시켜 발열기능이 해제된 일반 의류로도 착용 가능하므로 제품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의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팩.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5는 접착제없이 제조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가 부착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의류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발열의류에 있어서, 발열의류의 내부쪽에 위치한 내피의 표면에 형성된 수납공간(A)에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내장된 발열팩(B)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발열의류의 내피 표면에 별도의 수납공간(A)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수납공간(A)에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열된 발열팩(B)이 수납된 후, 수납공간(A)을 개폐하는 개폐부재(z)로 수납공간(A)을 폐쇄하여 수납공간(A)으로부터 발열팩(B)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예컨대, 개폐부재(z)로는 지퍼일 수 있으며, 벨크로와 같은 다양한 개폐부재(z)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발열팩(B)에 내장된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는 각각의 연결라인(20)에 의해 하나의 전원연결단자(30)로 귀결되고, 전원연결단자(30)는 케이블(40)과 연결되며, 케이블(40)과 수납주머니에 수납된 배터리(60)의 사이에 설치된 컨트롤러(50)를 착용자 조작에 의해 ON 또는 OFF함에 따라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발열 또는 발열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단, 배터리(60)는 발열의류의 내피에 형성된 별도의 수납주머니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용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2차 전지(예컨대,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배터리(60)에 배터리(60)의 방전 가능한 전원의 잔량을 표시하는 전원표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발열의류의 한 예로 조끼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조끼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점퍼, 경량 패딩 등 다양한 일반 의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등 부분에 수납공간(A)을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가슴, 복부, 옆구리 등과 같이 발열이 필요한 부분에 수납공간(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팩(B)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의류에 구비된 수납공간(A)에 수납되는 발열팩(B)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배치된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단,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도시된 형상으로만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도 배치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특징인 내피 표면에 형성된 수납공간(A)에 배치 및 수납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재(100)와,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컨트롤러(50)를 ON시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200)를 포함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제1기재(110)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프레스(510) 및 제2기재(120)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가 탄소소재 펠트(200) 방향으로 열과 압력을 가했을 때, 상측에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제1요철(P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1요철(P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탄소소재 펠트(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제2요철(P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요철 형상의 입체적인 무늬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제1기재(110), 제1기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120),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200)를 포함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가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도 3과는 달리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된 제1기재(110) 및 상부에 위치된 제2기재(120)에 열과 압력을 가했을 때, 탄소소재 펠트(200) 상부에만 요철 형상의 제1요철(P1)이 형성됨으로써,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부에만 입체적인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특이점이 있다.
이는 상부프레스(520)의 내면에만 연질(soft)의 실리콘패드(522)를 부착하고, 하부프레스(510)의 내면에는 실리콘패드(522)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열과 압력을 서로 달리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4의 경우도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처럼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특징은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2기재(120)를 배치한 후,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다음, 열융착 방식으로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가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2기재(120)를 배치한다. (S1)
즉 제1기재(110)와,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1기재(110)와 대응되게 나란한 방향으로 제2기재(120)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50)를 ON시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준비한다.
여기서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된 열이 탄소소재 펠트(200)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이유는, 추후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에 일정한 온도 및 압력을 가하여 열융착시키는 과정을 거칠 때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호 접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일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시 탄소소재 펠트(200)로 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은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성질이 있으므로 내구성을 요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하부에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의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는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3의 경우에는, 추후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면 제1기재(110) 하부에 배치된 하부프레스(510) 및 제2기재(120) 상부에 배치된 상부프레스(520)가 탄소소재 펠트(200) 방향으로 열과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소소재 펠트(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요철(P1) 및 제2요철(P2)의 입체적인 무늬 형성이 가능하다.
도 4 역시, 도 3처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하부에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의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4는 도 3과는 다른 방식으로, 하부프레스(510) 및 상부프레스(520)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연질(soft)의 실리콘패드(522)가 부착되고(본 발명의 도 4에서는 상부프레스(520)의 내면에 실리콘패드(522) 부착), 하부프레스(510)의 내면에는 실리콘패드(522)가 부착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부프레스(520) 내면에 부착된 연질의 실리콘패드(522)로 인해 요철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면 제2기재(120)만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상측 면을 따라 제1요철(P1)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후, 열융착 방식으로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가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한다. (S2)
말하자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위치된 탄소소재 펠트(20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면서 이탈을 방지하고, 탄소소재 펠트(200)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둘러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로 인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사이의 탄소소재 펠트(200)는 열융착만으로 강성을 지닌 성질을 지님으로써, 일정 두께를 유지하여 물성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둘러싸 탄소소재 펠트(200)가 고립된 상태로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짐으로써 히터(heat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열융착은 제1기재(110)의 표면과 제2기재(120)의 표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일련의 공정으로써, 130~170℃ 조건 하에서 5~20초 동안 30~70㎏/㎠의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30℃ 미만이거나 5초 미만이거나 30㎏/㎠ 미만일 때는 제1기재(11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 계면과, 제1기재(11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에 대응되도록 제2기재(12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 계면의 상호 접착을 견고하게 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호 접착시켜줄 힘이 부족하여 접착 저하가 초래됨으로 인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된 탄소소재 펠트(200)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의 외부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170℃를 초과하는 조건이나 20초를 초과하거나 70㎏/㎠를 초과하는 조건 하에서 열융착을 하게 되면 너무 높은 온도와 너무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접착층(300)을 이루는 접착제가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면서 기재들의 표면이 끈적끈적해져 제품성이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을 효율적으로 달성되도록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탄소소재 펠트(200)는 탄소를 1,5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파이트의 경우 열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인체친화적이어서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에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은,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를 통하여 열융착에 의한 상호 접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기재(110)의 내면 및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상호간 이격되는 붕 뜬 공간(S)이 생기지 않고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추후 도 5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하겠다.
특히 종래 면상발열체의 경우 인쇄타입으로 제조되어 발열장치를 입체적인 형태로 만들 수 없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열융착에 의해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입체적인 여러 형태로 만듦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수요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2기재(120)는 사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상측면을 따라 굴곡진 제1요철(P1)을 이루고, 제1기재(110)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하측면을 따라 제1요철(P1)에 대응되게 굴곡진 제2요철(P2)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는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하면에 그대로 접착되고 제2기재(120)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상측면을 따라 굴곡진 제1요철(P1)을 이룸에 따라 입체적인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300)이 형성됨으로써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상호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단 접착제는 필름 형태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를 상호 접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접착제없이 제조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재(100')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후, 도 3 및 도 4와는 달리 제1기재(110')의 내면 및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융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를 열융착하게 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간에는 접착이 이루어지긴 하나, 탄소소재 펠트(200')가 인접하게 위치한 곳에는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붕 뜬 공간(S)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함에 따라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 또한 현저히 저하되기 마련이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층(300)을 형성한 후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가 부착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10)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가 부착된 형상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본 발명의 도 6에서는 제1기재(110)의 표면에 단열재(400)를 부착하였다).
이러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가 부착됨으로써, 컨트롤러(50)를 ON시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필요시,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를 부착함으로써, 열의 전달방향을 한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열재(400)가 발열의류의 외피쪽에 배치되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열이 발열의류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발열의류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수납공간
B: 발열팩
P1: 제1요철
P2: 제2요철
S: 붕 뜬 공간
z: 개폐부재
10: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20: 연결라인
30: 전원연결단자
40: 케이블
50: 컨트롤러
60: 배터리
100: 기재
110: 제1기재
120: 제2기재
200: 탄소소재 펠트
300: 접착층
400: 단열재
500: 열프레스
510: 하부프레스
520: 상부프레스
522: 실리콘패드

Claims (5)

  1.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표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는,
    제1기재;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되,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가 부착됨으로써, 전원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는,
    탄소를 1,5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KR1020190001323A 2019-01-04 2019-01-04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KR10215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23A KR102153120B1 (ko) 2019-01-04 2019-01-04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323A KR102153120B1 (ko) 2019-01-04 2019-01-04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151A KR20200085151A (ko) 2020-07-14
KR102153120B1 true KR102153120B1 (ko) 2020-09-07

Family

ID=7152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323A KR102153120B1 (ko) 2019-01-04 2019-01-04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53A (ja) * 2001-09-27 2003-07-11 Bai Wei Wu 柔軟なグラファイトフェルト発熱体及び赤外線放射方法
KR101754924B1 (ko) 2016-04-11 2017-08-09 주식회사 이에스에너지 가요성 탄소발열패드의 제조방법
KR101865825B1 (ko) * 2017-09-27 2018-06-0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30Y1 (ko) 2001-10-04 2002-03-20 안병주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패드
KR20110053864A (ko) * 2009-11-16 2011-05-24 김수호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53A (ja) * 2001-09-27 2003-07-11 Bai Wei Wu 柔軟なグラファイトフェルト発熱体及び赤外線放射方法
KR101754924B1 (ko) 2016-04-11 2017-08-09 주식회사 이에스에너지 가요성 탄소발열패드의 제조방법
KR101865825B1 (ko) * 2017-09-27 2018-06-0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151A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548B1 (ko) 그라파이트 복합재 및 열적 관리 시스템
CN104488098B (zh) 分布式热电加热和冷却的医疗、上层、无线宠物和自动化生产
US6979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ody heating and cooling garments
KR101540477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의복
US4665301A (en) Heated insert for boots
US20220013704A1 (en)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s
US20070006356A1 (en) Heat retaining wetsuit
KR101602042B1 (ko) 에어가 충진된 온열 매트리스
US6727469B1 (en) Heated booty
TW201412178A (zh) 電熱(地)毯之發熱裝置及其製造方法與發熱系統
KR102153120B1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가 구비된 발열의류
KR101546870B1 (ko) 전기, 온수용 매트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US20070006365A1 (en) Heat retaining wetsuit
KR200433631Y1 (ko) 에어 매트리스
TWI604834B (zh) 發熱膜
CN209807205U (zh) 一种可恒温保暖的绝缘电力工作服
KR102096076B1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발열 신발
US11737914B2 (en) Thermal treatment devices
KR20200085149A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이용한 발열매트
KR101962937B1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129223A (en) Electric heating pad
TWM491313U (zh) 保暖衣構造
KR200320681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보온주머니
CN213713611U (zh) 分离式散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