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416B1 -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416B1
KR102152416B1 KR1020190143918A KR20190143918A KR102152416B1 KR 102152416 B1 KR102152416 B1 KR 102152416B1 KR 1020190143918 A KR1020190143918 A KR 1020190143918A KR 20190143918 A KR20190143918 A KR 20190143918A KR 102152416 B1 KR102152416 B1 KR 10215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vil defense
information
education
training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욱
Original Assignee
(주)콘텐츠펙토리상상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콘텐츠펙토리상상역 filed Critical (주)콘텐츠펙토리상상역
Priority to KR102019014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26Multi-level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교육 일시, 교육 장소, 교육 내용, 훈련장 주소, 입실용 QR 코드 및 퇴실용 QR 코드를 포함하는 민방위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발신하는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입실 정보를 수신하는 입실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퇴실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METHOD OF CIVIL DEFENSE TRAINING}
본 발명은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민방위 교육이란 적의 무력 침공이나 자연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일련의 조직적인 민간 방위 활동을 말한다.
즉, 민방위 교육은 전쟁, 테러 등 국가 비상사태 대처를 위한 민방위 훈련과, 실제 사태에 적용될 수 있는 방재기술 습득 훈련, 생활 주변의 안전사고대응 능력 배양을 위한 생활 민방위훈련 확대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민방위 교육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남자라면 누구나 일정기간동안 이수하여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32252호(2006.12.21)는 사용자 단말의 메뉴 조회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연간/월간 민방위 교육일정 세부 정보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민방위 교육일정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 단말의 메뉴 조회를 통하여 해당 지역의 연간/월간 민방위 교육 일정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수 있도록 하는 민방위 교육일정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지역/날짜를 조회하여 스케쥴에 맞춰 민방위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0567호(2007.05.15)는 예비군 교육이나 사내 교육등 사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에 관계되어 교육자원 관리 및 교육진행 관리의 업무를 온라인 상에서 통합 관리해 주고, 특히, 사내의 여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또는 그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에 관계된 업무가 온라인화 되어 통합되므로 사내의 여러 교육에 관련된 업무의 리드 타임(lead time)이 최소화된다. 결국 각 사원들의 일반 책임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민방위 관리 시스템은 예비군 교육이나 민방위 교육이나 사원 교육 등 사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 관계 업무를 온라인 상에서 통합 처리해 주는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민방위 교육 출결을 관리할 수 있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교육 일시, 교육 장소, 교육 내용, 훈련장 주소, 입실용 QR 코드 및 퇴실용 QR 코드를 포함하는 민방위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발신하는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입실 정보를 수신하는 입실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퇴실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입실용 QR 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실용 QR 코드에 대응되는 제1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1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퇴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퇴실용 QR 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퇴실용 QR 코드에 대응되는 제2 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2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상기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입력받은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대해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는 셀 카운트 적합판단, 데이터 타입 적합판단, 특수기호 변환 적합판단 및 중복 데이터 유무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전자 통지서를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입실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입실용 QR 코드를 입력 받는 경우, QR 코드 스캐너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입실용 QR 코드를 스캐닝 하고, 스캐닝된 상기 입실용 QR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1 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입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는 시간이 상기 제1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입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GPS 값이 설정 지역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퇴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퇴실용 QR 코드를 입력 받는 경우, QR 코드 스캐너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퇴실용 QR 코드를 스캐닝 하고, 스캐닝된 상기 입실용 QR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2 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퇴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는 시간이 상기 제2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퇴실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GPS 값이 설정 지역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사이버 교육 서버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발신하는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상기 사이버 교육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 민방위 교육 영상을 송신하는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의 송신이 종료된 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발신하는 제3 숫자 코드 발신 단계; 및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3 숫자 코드를 입력 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상기 사이버 교육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는 로그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는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중,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적어도 한번의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민방위 교육 출결 관리 시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출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훈련 방법은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 전자 통지서 발신단계(S20),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 본인 인증 단계(S40),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 입실 정보 수신 단계(S60) 및 퇴실 정보 수신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는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는 외부 서버로부터 복수의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는 국가 행정 지자체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민방위 교육 대원 서버는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에 저장된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국가 행정 지자체에 저장된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는 엑셀 파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민방위 교육 대원의 이름, 나이, 주소, 모바일 기기 연락처, 민방위 교육 연차, 교육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는 민방위 교육 대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는 오류 검사 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류 검사 단계(S11)는 입력 받은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대해 오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 검사 단계(S11)에서 엑셀 파일 형식으로 입력된 민방위 교육 대원의 정보 중 셀 카운트 적합판단, 데이터 타입 적합판단, 특수기호 변환 적합판단 및 중복 데이터 유무판단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S20)는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는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에서 저장된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을 선별할 수 있으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통지서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통지서를 발신할 수 있다.
전자 통지서 발신 후에,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는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인 확인 정보는 예를 들어, 이름, 생년월일, 모바일 기기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인 확인 정보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본인 인증 단계(S40)에서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에서 수신된 본인 확인 정보와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S20)에서 전자 통지서를 발송한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는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에서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로 민방위 교육 관련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민방위 교육 관련 정보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교육 일시, 교육 장소, 교육 내용, 훈련장 주소, 입실용 QR 코드 및 퇴실용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입실 정보를 수신하는 입실 정보 수신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입실 정보 수신 단계(S60)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 및 출결 서버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출결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 부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입실용 QR 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실 정보 수신 단계(S60)에서 입실용 QR 코드를 입력 받는 경우에, 입실 정보 수신 단계(S60)는 QR 코드 스캐너를 통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입실용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입실용 QR 코드를 디코딩하여 제1 고유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출결 서버는 입력된 입실용 QR 코드에 대응되는 제1 고유번호를 추출한 후, 제1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서버 내의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유 번호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일련 번호 및 임의할당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결 서버는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고,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서버 내의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숫자 코드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모바일 기기에 입력한 숫자 코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은 외부 매체로 부터 제1 숫자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출결 서버는 제1 숫자 코드 정보가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는 시간이 제1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1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초과 후에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10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숫자 코드 정보가 생성된 후 10분 이내에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는 경우에만 출결 서버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결 서버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GPS 값이 설정 지역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출결 서버는 제1 숫자 코드가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에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되고 모바일 기기의 GPS 값이 설정지역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퇴실 정보 수신 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다. 퇴실 정보 수신 단계(S70)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 및 출결 서버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출결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 부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퇴실용 QR 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퇴실 정보 수신 단계(S70)에서 퇴실용 QR 코드를 입력 받는 경우에, 퇴실 정보 수신 단계(S70)는 QR 코드 스캐너를 통해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퇴실용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입실용 QR 코드를 디코딩하여 제2 고유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출결 서버는 입력된 퇴실용 QR 코드에 대응되는 제2 고유번호를 추출한 후, 제2 고유 번호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서버 내의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유 번호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일련 번호 및 임의할당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결 서버는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고,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서버 내의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 숫자 코드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모바일 기기에 입력한 숫자 코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은 외부 매체로 부터 제2 숫자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출결 서버는 제2 숫자 코드 정보가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에 입력되는 시간이 제2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숫자 코드가 생성된지 소정의 시간 초과 후에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출결 서버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GPS 값이 설정 지역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출결 서버는 제2 숫자 코드가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에 소정 시간 이내에 입력되고 모바일 기기의 GPS 값이 설정지역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은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 전자 통지서 발신단계(S20),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 본인 인증 단계(S40),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S60'), 제3 숫자 코드 발신단계(S70') 및 출결 데이터 저장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방위 교육 방법에서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S10), 전자 통지서 발신단계(S20),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S30) 및 본인 인증 단계(S4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민방위 교육방법에서, 본인 인증 단계(S40)가 수행된 후에,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는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S50)에서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사이버 교육 서버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은 모바일 기기로 수신된 사이버 교육 서버에 접속 후 로그인할 수 있다.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사이버 교육 서버에 로그인하면,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S60')는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연차에 대응하는 교육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교육 영상 송신 서버는 교육 영상 송신 중,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적어도 한번의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육 영상 송신서버는 교육 영상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상에 교육진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명령을 발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육 진행 신호 입력창을 발신할 수 있으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모바일 기기상에 표시된 해당 교육 진행 신호 입력 창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한 교육 영상 송신서버는 해당 정보를 교육 진행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교육 진행 입력창을 발신한 후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다고 판단된 경우, 교육 영상 송신 서버는 교육 진행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교육 영상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이 종료된 후 제3 숫자 코드 발신 단계(S70')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숫자 코드 발신 단계(S70')는 교육 영상 송신 서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발신된 제3 숫자 코드 정보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출결 데이터 저장 단계(S80')가 수행될 수 있다. 출결 데이터 저장 단계(S80')는 모바일로부터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고, 제3 숫자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S10: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 저장 단계
S20: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S30: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S40: 본인 인증 단계
S50, S50':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S60: 입실 정보 수신 단계
S60':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
S70: 퇴실 정부 수신 단계
S70': 제3 숫자 코드 발신 단계
S80': 출결 데이터 저장 단계

Claims (14)

  1.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 및 출결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외부 서버로부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교육 일시, 교육 장소, 교육 내용, 훈련장 주소, 입실용 QR 코드 및 퇴실용 QR 코드를 포함하는 민방위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발신하는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상기 출결 서버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입실 정보를 수신하는 입실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출결 서버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퇴실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대해 셀 카운트 적합판단, 데이터 타입 적합판단, 특수기호 변환 적합판단 및 중복 데이터 유무 판단 모두를 검사하는 오류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되는 시간이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가 생성된지 10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퇴실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되는 시간이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가 생성된지 10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숫자 코드 정보 및 상기 제2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GPS 신호 값이 기 설정된 지역 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상기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상기 국가 행정 지자체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이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서버 및 출결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저장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외부 서버로부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민방위 교육대원 정보 저장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민방위 교육 대원 정보에 기초하여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모바일 기기로 전자 통지서를 발신하는 전자 통지서 발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전자 통지서와 연결된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본인 확인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본인 인증 단계;
    상기 전자 통지서 발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사이버 교육 서버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발신하는 민방위 정보 발신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사이버 교육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로 민방위 교육 영상을 송신하는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의 송신이 종료된 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발신하는 제3 숫자 코드 발신 단계; 및
    상기 출결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3 숫자 코드 정보를 입력 받은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교육 대상 민방위 대원의 정보를 출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출결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단계는,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 중 교육 진행 신호 입력창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교육 진행 신호 입력창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적어도 한번의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교육 진행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민방위 교육 영상 송신을 중단하는,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43918A 2019-11-12 2019-11-12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KR10215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18A KR102152416B1 (ko) 2019-11-12 2019-11-12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18A KR102152416B1 (ko) 2019-11-12 2019-11-12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416B1 true KR102152416B1 (ko) 2020-09-04

Family

ID=7247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18A KR102152416B1 (ko) 2019-11-12 2019-11-12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039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인터넷을 통한 적극적 학습유도시스템
KR101470382B1 (ko) * 2014-04-24 2014-12-08 (주) 보우테크 출결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60145384A (ko) * 2015-06-10 2016-12-20 클래스베리 주식회사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1916A (ko) * 2015-11-03 2017-05-12 주식회사 다날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6789B1 (ko) * 2018-08-22 2019-03-07 주식회사 한국공교육원 민방위 사이버 교육 일정 알림 및 출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039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지식과미래 인터넷을 통한 적극적 학습유도시스템
KR101470382B1 (ko) * 2014-04-24 2014-12-08 (주) 보우테크 출결 관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60145384A (ko) * 2015-06-10 2016-12-20 클래스베리 주식회사 출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1916A (ko) * 2015-11-03 2017-05-12 주식회사 다날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6789B1 (ko) * 2018-08-22 2019-03-07 주식회사 한국공교육원 민방위 사이버 교육 일정 알림 및 출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8483B2 (en) Automated attendance tracking and event notification
US20110221565A1 (en) Dynamic access control in response to flexible rules
US20050273330A1 (en) Anti-terrorism communications systems and devices
US20140333412A1 (en)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Pertiwi et al. People with disabilities as key actors in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US20130325704A1 (en)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s for event credentialing
US8995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ountability by interlinking electronic identities for access control and tracking of personnel during an incident or at an emergency scene
US20040066276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reporting system
US20070088553A1 (en) Synthesized interoperable communications
CN103380430A (zh) 身份验证系统和方法
EP3098775A1 (en)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method
US10841748B2 (en) Evacuation tracking
CN110598887A (zh) 就业培训管理方法及相关装置
KR101488932B1 (ko) 인턴쉽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50133055A (ko)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한 출결 관리 방법
Piza et al. Situational factors and police use of force across micro‐time intervals: A video systematic social observation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KR102152416B1 (ko) 교육 일정을 전자고지하고 효율적인 출결관리가 가능한 사이버 민방위 교육 방법
US865943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nitoring and updating security personnel information
KR10172097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출석체크방법
Kuczyńska-Zonik The Influence of New Technologies on the Election Process in Lithuania
Kuligowski et al. Alerting under imminent threat: Guidance on alerts issued by outdoor siren and short message alerting systems
Darby et al. Challenges to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management of employee risk in the humanitarian aid and security sectors
KR20240048067A (ko) 디지털 민방위 교육 시스템
Heilmann et al. THE USE OF INFORMAL NETWORKS TO RESOLVE LOGISTICS-RELATED ISSUES IN HUMANITARIAN ASSISTANCE/DISASTER RESPONSE: A CONTENT ANALYSIS PERSPECTIVE.
Topolskiy et al. Automated attendance system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