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80B1 -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 Google Patents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80B1
KR102152180B1 KR1020190064497A KR20190064497A KR102152180B1 KR 102152180 B1 KR102152180 B1 KR 102152180B1 KR 1020190064497 A KR1020190064497 A KR 1020190064497A KR 20190064497 A KR20190064497 A KR 20190064497A KR 102152180 B1 KR102152180 B1 KR 10215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tilt
dielectric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남
유홍일
장인석
박철근
조성철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서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서뷰
Priority to KR102019006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개시된 안테나는 의도하는 방향으로의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Dielectric Lens Antenna Enabling Beam Tilt}
본 발명은 유전체 렌즈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5G 통신이 개시되었으며, 5G는 기존의 4G 통신과 비교하여 20GHz 이상의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은 저주파 대역에 비해 매우 큰 감쇠 특성을 보이고 장애물에 의한 신호의 소실이 매우 큰 특성이 있다.
5G 대역에서는 매우 큰 용량의 IoT 데이터, 360도 영상 데이터, VR 데이터 및 다양한 종류의 빅 데이터를 이동통신 망을 통해 지원하며, 이러한 이유로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을 이용한 통신은 필수적이다.
위와 같은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에서의 큰 감쇠 특성으로 인해 밀리미터 웨이브용 안테나는 높은 지향성을 요구하며,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에서 요구되는 지향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유전체 렌즈 안테나가 사용된다.
유전체 렌즈 안테나는 안테나 방사체의 상부에 유전체 렌즈를 설치하여 안테나 빔의 지향성을 높이는 안테나이다.
유전체 렌즈 안테나는 향상된 지향성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지향성의 향상은 통신 가능 영역의 축소를 의미한다. 안테나의 설치 위치에 따라 목표하는 영역 또는 목표하는 장치로 적절한 신호를 제공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빔 틸트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전체 렌즈 안테나는 배열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이상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배열 구조는 다수의 안테나를 요구하기에 단일 유전체 안테나로는 적절한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하는 방향으로의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전체 렌즈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열 구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전체 렌즈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렌즈의 단면은 일측면에 경사 구조가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 렌즈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 구조이다.
상기 제1 렌즈의 상부에는 3D 렌즈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각도와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각도는 동일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단 고정부, 상기 상단 고정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특정 방향으로 틸트된 빔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은 상기 특정 방향과 연관하여 일치하도록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회전된다.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회전된다.
상기 방사체는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하고,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전체 렌즈 안테나는 의도하는 방향으로의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단면도.
도 5는 3D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렌즈의 구조에 따른 빔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a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2 렌즈의 b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이 유전체 렌즈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정될 경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이 유전체 렌즈의 정면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설정될 경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렌즈 안테나 장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상부에 결합되는 3D 렌즈(11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유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00) 내부에는 방사 패치와 같은 RF 신호의 방사를 위한 엘리먼트가 내장된다.
하우징(100)은 원통 또는 원뿔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는 원통 형태의 하우징(1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다수의 섹션으로 구분되며 도 1에는 일례로 4개의 섹션으로 구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단 고정부(102), 제1 회전부(104), 제2 회전부(106) 및 하단 고정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고정부(102)에는 3D 렌즈(110)가 결합되며, 상단 고정부(102)에는 개구면(미도시)이 형성된다. 3D 렌즈(110)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 내부의 방사 패치로부터 방사되는 빔의 지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에는 3D 렌즈(110)가 상단 고정부(102)에 결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3D 렌즈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평면 렌즈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1 회전부(104)는 제1 회전부(104)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 고정부(102) 및 제1 회전부(10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회전부(10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제2 회전부(106)는 제2 회전부(106)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고정부(108)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의 독립적인 회전을 위해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 일례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의 회전은 안테나의 빔 틸트를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의 회전을 통해 빔 틸트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단 고정부(108)는 제2 회전부(106) 하부에 위치하며,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베이스로 기능하며 하단 고정부에는 개구면이 형성되지 않고 폐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절단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 내부에는 기판(200), 기판(200)상에 결합되는 방사 패치(210)가 구비된다. 기판(200) 및 방사 패치(210)는 방사체로서 기능한다. 기판(200) 및 방사 패치(210)는 하우징(100)의 바닥부에 위치한다.
기판(200)의 하부에는 접지면이 형성될 수 있으나 접지면의 형성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방사 패치(210)는 급전 신호를 제공받아 RF 신호를 방사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기판(200) 및 방사 패치(210)에 의해 방사체가 구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방사체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하단 고정부(108)의 하부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넥터와 방사 패치(210)가 결합되어 방사 패치(210)에 급전 신호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기판(200)에 단일의 방사 패치가 형성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방사 패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는 점 역시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N X N 배열 구조를 가지는 방사 패치가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방사 패치 각각으로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 제어를 통해서도 빔 틸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렌즈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빔 틸트와 다수의 방사 패치로 인해 이루어지는 빔 틸트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기판(200)의 상부에는 기판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가 설치된다. 제2 렌즈(310)는 제1 렌즈(3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렌즈(300)는 상부에 위치하는 3D 렌즈(110)와 밀착될 수도 있으며 3D 렌즈(110)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렌즈(300)는 하우징(100)의 제1 회전부(104)에 결합되고 제2 렌즈(310)는 하우징(100)의 제2 회전부(106)에 결합된다.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 역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의 절단 사시도 및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104)의 하부에는 제1 회전부(104)의 외주면을 따라 제1 회전부(104)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400)가 형성된다.
한편, 제2 회전부(106)에는 상기 제1 돌출부(40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돌출부(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410)가 형성된다. 제1 스토퍼(410)는 제1 돌출부(400)의 이탈을 방지할 뿐 결합되지는 아니하고, 제1 회전부(104)는 상단 고정부(102)와도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아니하므로 제1 회전부(104)는 상단 고정부(102) 및 제2 회전부(10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2 회전부(106)의 하부에는 제2 회전부(106)의 내주면을 따라 제2 회전부(106)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420)가 형성된다.
한편, 하단 고정부(108)에는 상기 제2 돌출부(420)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430)가 형성된다 제2 스토퍼(320)는 제2 돌출부(420)의 이탈을 방지할 뿐 결합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제2 회전부(106)는 제1 회전부(104) 및 하단 고정부(108)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하우징(100)은 상단 고정부(102), 제1 회전부(104), 제2 회전부(106) 및 하단 고정부(108)가 별도의 몸체부로 형성되고 돌출부 및 스토퍼를 인용하여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는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회전 구조가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의 독립적 회전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기 전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연구된 빔 틸트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3D 렌즈 하부에 위치하는 렌즈의 구조에 따른 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렌즈로 원판 형태의 평면 렌즈(단면이 직사각형인 구조)가 사용될 경우의 빔 방향을 나타난 도면이고, (b)는 렌즈로 단면이 직각 삼각형인 구조의 렌즈가 사용될 경우의 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원판 형태의 평면 렌즈가 사용될 경우, 빔 방향은 3D 렌즈에 대해 수직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도 5의 (b)와 같이 단면이 경사 구조를 가지는 렌즈가 사용될 경우 렌즈의 경사 방향과 연관되어 빔이 틸트된다. 빔 방향은 경사 방향에 대해 수직에 근접한 방향으로 틸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5의 (b)와 같은 빔 틸트 구조에 대한 연구 결과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제1 렌즈 및 제2 렌즈 구조를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의 a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2 렌즈의 b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렌즈(300)는 특정 방향에서의 단면이 일측면에 경사가 형성된 사다리꼴인 구조를 가진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렌즈(310)는 특정 방향에서의 단면이 직각 삼각형인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렌즈(300)에 형성되는 경사 각도와 제2 렌즈(310)에 형성되는 경사 각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9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회전을 통해 안테나 장치의 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틸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빔 방향이 3D 렌즈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조절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이 유전체 렌즈의 정면을 향하도록 설정될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렌즈(300)의 경사 방향과 제2 렌즈(310)의 경사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가 배치되도록 제1 회전부(104) 및 제2 회전부(106)가 회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300)와 제2 렌즈에 형성된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될 경우 경사로 인한 빔 틸트 방향이 서로 상쇄되면서 방사 패치(210)의 빔 방향이 3D 렌즈(110)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게 된고 특정 방향으로의 빔 틸트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빔이 유전체 렌즈의 정면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틸트되도록 설정될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빔 방향이 좌측으로 틸트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의도하는 틸트 방향에 기초하여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의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를 회전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빔이 틸트되도록 빔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경우,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의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도록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가 배치된다. 동일한 원리에 따라 우측으로 빔이 틸트되도록 빔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경우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의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도록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가 배치된다.
물론,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향 및 하향 틸트 빔의 형성도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회전을 통해 가능하다는 점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요구되는 지향성에 따라 제1 렌즈(300) 및 제2 렌즈(310)의 기판(200)으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위에서는 제2 렌즈(310)가 평면 관점에서 반원 형상을 가지면서 측부에 경사 구조가 형상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렌즈가 평면 관점에서 반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는 평면 관점에서 특정 각도(일례로, 90도, 60도)를 가지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2 렌즈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렌즈는 둘 이상일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보다 다양한 방향에 대한 빔 틸트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둘 이상의 제2 렌즈(310)가 사용될 경우 제2 렌즈(310)는 평면 관점에서 반원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편, 최상단에 구비되는 3D 렌즈(110)에는 배열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금속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다수의 금속 패턴 역시 빔 틸트 기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제1 렌즈(300)에는 유전율의 차이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홈은 빔 틸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이격되어 상기 방사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렌즈 단면의 일측면은 경사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단면은 일측면에 경사 구조가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 렌즈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상부에는 3D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각도와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 고정부, 상기 상단 고정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특정 방향으로 틸트된 빔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은 상기 특정 방향과 연관하여 일치하도록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과 상기 제2 렌즈 경사 구조의 경사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개수는 둘 이상이며 평면 관점에서 특정 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64497A 2019-05-31 2019-05-31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KR10215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97A KR102152180B1 (ko) 2019-05-31 2019-05-31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97A KR102152180B1 (ko) 2019-05-31 2019-05-31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80B1 true KR102152180B1 (ko) 2020-09-04

Family

ID=7247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97A KR102152180B1 (ko) 2019-05-31 2019-05-31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18A (ja) * 1997-06-13 1999-01-06 Fujitsu Ltd アンテナ素子を内蔵する半導体モジュール
US20070285327A1 (en) * 2006-06-13 2007-12-13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Low-profile lens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steering of aperture antennas
KR20110060404A (ko) *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320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센서뷰 고 이득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18A (ja) * 1997-06-13 1999-01-06 Fujitsu Ltd アンテナ素子を内蔵する半導体モジュール
US20070285327A1 (en) * 2006-06-13 2007-12-13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Low-profile lens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steering of aperture antennas
KR20110060404A (ko) * 2009-11-30 201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320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센서뷰 고 이득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585B1 (ko) 스위칭된 기생 엘리먼트들을 갖는 조향 가능한 빔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빔 조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184056B1 (en) Radial constrained lens
US20060007041A1 (en) Null-fill antenna, omni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N105659434A (zh) 带透镜基站天线
JP2001284951A (ja) 有限アース面を有するパッチ・アンテナ
KR102026081B1 (ko) 고 이득 안테나
JP6896883B2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
US20220173504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arrays with both mechanical uptilt and electronic downtilt
CN114008861A (zh) 球面龙勃透镜增强的紧凑型多波束天线
JP2002325010A (ja) Lanアンテナおよびその反射器
JPH09246847A (ja) 単線スパイラルアンテナ
JP5650409B2 (ja) トリプレート型平面アンテナ
EP0678930B1 (en) Broadband omnidirectional microwave antenna
KR102152180B1 (ko) 빔 틸트가 가능한 유전체 렌즈 안테나
WO2018096307A1 (en) A frequency scanned array antenna
US20220216619A1 (en) Base station antenna including fabrey-perot cavities
KR102158099B1 (ko) 빔 틸트 기능을 제공하는 반사 안테나 장치
KR102398347B1 (ko) 양호한 격리도 특성을 가지는 다중 대역 기지국 안테나
KR101593416B1 (ko) 커플링 엘리먼트를 이용하는 안테나
US6169525B1 (en) High-performance sectored antenna system using low profile broadband feed devices
US10448263B2 (en) Long range beamforming and stee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links
KR102607436B1 (ko) 밀리미터파 안테나
KR102018778B1 (ko) 평면 렌즈를 이용한 고 이득 안테나
CN115836443A (zh) 用于全向和扇区天线的环形梯度折射率透镜
JP3170551B2 (ja) マイクロ波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