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015B1 -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015B1
KR102152015B1 KR1020180124726A KR20180124726A KR102152015B1 KR 102152015 B1 KR102152015 B1 KR 102152015B1 KR 1020180124726 A KR1020180124726 A KR 1020180124726A KR 20180124726 A KR20180124726 A KR 20180124726A KR 102152015 B1 KR102152015 B1 KR 10215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nnection
peripheral device
sled system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849A (ko
Inventor
이한진
유변수
임준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이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2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015B1/ko
Priority to US16/424,847 priority patent/US10659580B2/en
Publication of KR2020004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주변 장치를 모바일 기기에 물리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및/또는 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가 단순한 통신기기 또는 미디어 장치 이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이동 단말기에 연결 가능한 특수 목적의 주변 장치를 사용하여 추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변 장치를 이동 단말기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전자적인 연결과 물리적인 연결이 병행되어야 하는데, 이동 단말기의 구동 환경(시스템, OS)이 상이하다는 문제 외에도, 이동 단말기의 크기나 형태 등 외관상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형태가 다른 각각의 이동 단말기를 주변 장치에 고정하는 것이 다소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주변 장치에 연결하여 이를 사용하고자 하더라도,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이 필요하며, 주변 장치에 연결하는 이동 단말기를 한 가지 형태의 제품으로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를 주변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 각기 대응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뿐더러, 범용적인 부착 수단을 제작하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크기나 형태에 따른 외관 형상에 맞게 조절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주변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에는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전자적인 연결이 필요한데, 주변 장치와 이동 단말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 등의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무선 접속 방식에 의한 연결만으로는 주변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유지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다시 말해서, 주변 장치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직접적으로 외부 전원을 연결하거나, 상시 충전 등을 통해 전력량을 유지해야 하는데, 주변 장치의 충전과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주변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각각에 전원을 연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주변 장치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충전 작업을 수행하고자 주변 장치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별도의 충전부를 기기에 일체의 형태로 구비하더라도, 여러 가지 충전 타입(충전 단자의 형태가 상이하므로)으로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단말기의 충전 타입에 대응하여 충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OS를 채용한 스마트폰의 경우 주변장치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USB OTG(On-The-Go)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바코드 스캐너와 같은 주변 장치와 연결될 때 USB 호스트로서 동작되고 연결되는 주변 장치는 USB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게 되어 양자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스마트 폰이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충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제품별로 크기가 상이함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 단자의 위치(높이)가 달라 주변 장치의 충전부에 연결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자 위치에 대한 위치 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충전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며, 충전 케이블을 주변 장치의 내부에 위치시키더라도 충전 케이블의 위치조정 동작의 반복 수행에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케이블이 유동됨으로써 단선의 위험성이 잔존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383407 B1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슬레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가 바코드 리더와 마그네틱 카드 리더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들과 쉽고 편리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및 전자적 방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가 주변 장치와 연결될 때 모바일 장치가 충전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주변 장치를 모바일 기기에 물리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 유닛의 접속부는 접속회로용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주변 장치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주변 장치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주변 장치와 상호간에 접촉되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에 삽입되는 접속헤드를 가진 커넥터 플러그와, 상기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자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여 다른 형태의 접속헤드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접속회로용 기판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의 높이에 대응하여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 작동에 대해 상기 접속회로용 기판과 커넥터 하우징 간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유동되는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접속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이 연결되어 상기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력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전력공급부는 무선 충전모듈, 충전크래들용 접속핀, 보조 배터리 단자, 또는 USB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주변 장치는 소형 바코드 리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MSR), 집적회로(IC) 카드 리더, 주변 장치 트리거, 또는 RFID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가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장착될 때 USB 클라이언트 모드 또는 USB 호스트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제어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지 않을 때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되고 모바일 기기가 장착될 때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장착될 때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가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가 충전중일 때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가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주변 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주변 장치와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마운트 유닛을 구비하는데, 여기에서, 주변 장치와 마운트 유닛 간의 결합 구조와, 마운트 유닛과 보호 케이스 간의 각각의 결합 구조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제공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분해 또는 분리가 필요한 경우엔 단순히 나사를 풀러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마운트 유닛과 보호 케이스의 결합에 의한 주변 장치로의 결합 구조로 인해, 일반적인 보호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크기나 형태와 무관하도록 특정 기기에 국한되지 않고서 주변 장치와의 결합이 가능하여 상당한 호환성을 가진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는 모바일 기기의 고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케이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통상의 보호 케이스에 마운트 유닛(200)의 기기 결합부(220)와 대응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작업만으로 마운트 유닛(200) 및 주변 장치(100)와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기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해야하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작 및 결합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는 모바일 기기와 주변 장치 각각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마운트 유닛에 구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와 주변 장치의 유선 접속을 허용하게 되는데, 이때 모바일 기기와의 유선 접속을 마그네틱 방식으로 인해 교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의 종류에 상관 없이 요구되는 단자 형태와 대응하는 커넥터 플러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와의 호환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모바일 기기와 호환될 수 있도록, 마운트 유닛에는, 모바일 기기의 외관 크기에 따라 상이한 높낮이를 갖도록 위치되는 접속포트와 대응되어 연결할 수 있도록 승강식으로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 구비함에 따라, 접속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플러그의 높이가 다르게 위치되더라도 달라진 높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기와의 호환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주변 장치와 모바일 기기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별도의 충전 크래들 연결을 통한 외부 공급에 의한 전원 충전, 외부 보조배터리 사용에 의한 전원 공급 및 충전, 또는 무선충전모듈에 의한 무선 충전 등이 가능하도록 각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마운트 유닛의 접속부에 의해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외부 연결만으로 두 기기 모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구조적인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스레드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USB 호스트 모드와 USB 클라이언트 모드를 지원함에 따라, USB 호스트 모드만을 지원하는 PC 뿐만 아니라 USB 클라이언트 모드만을 지원하는 모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 클라이언트 모드로 연결됨에 따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의 통신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주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보호 케이스에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접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OTG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가 접속될 때 OTG 동작과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1a는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사시도이고, 도 1b는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10)에 연결되는 주변 장치(100)와, 주변 장치(100)를 모바일 기기(10)와 연결하기 위한 마운트 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주변 장치(100)는 마운트 유닛(200)을 통해 모바일 기기(1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거나 접속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장치들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주변 장치(100)는 휴대용 바코드 판독기, MSR, 충전대, IC 카드리더, 주변장치 트리거, RFID 태그 판독기, 생물측정 검증 모듈, 및/또는 멀티-트레드(multi-threat) 모니터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들 중 모든 형태의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는 휴대용 바코드 판독기가 도시되었다. 다양한 변형, 변경, 부가 및 치환이 이 설명으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통상적으로, 모바일 기기(10)로는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 PDA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모바일 기기(10)는 유선 방식으로 접속되거나, 대안적으로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주변 장치(100)에 무선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주변 장치(100)가 모바일 기기(10)에 결합되어 접속됨에 따라 상호운용성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주변 장치(100)에는 마운트 유닛(200)에 결합되고, 마운트 유닛(200)에 모바일 기기(10)가 결합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장치(100)를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여 주변 장치(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변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로서 바코드 판독기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주변 장치(100)의 본체(101)에는 바코드 판독기의 작동을 위한 바코드 스캔부(102),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부(103), USB 외부연결부(104), 본체 내부에 제공되어 슬레드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장치(100)의 일측면(전면)에는 후술할 마운트 유닛(200)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주변 장치(100)는, 마운트 유닛(200)과 맞닿게 되는 일측면에 마운트 유닛(200)과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체결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장치(100)의 체결부(110)는 나사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한 나사 결합에 의해 마운트 유닛(20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주변 장치(100)를 마운트 유닛(200)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나사홈,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마운트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10)의 구성은 나사홈을 통한 나사 체결 방식 이외에도, 버튼식의 스냅 패스너로 구성되거나,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이탈하여 탈착 가능하게 잠금 고정되는 방식, 또는 후크와 루프 패스너에 의한 부착식 등과 같이 이들을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결합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100)는 후술할 마운트 유닛(200)의 제1 커넥터부(233)와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점부(120)를 포함한다. 접점부(120)는 본체(101)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부(233)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접점단자(121)를 포함하고, 이 접점단자(121)를 통해 제1 커넥터부(233)와 맞닿으며 연결됨으로써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 간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200)을 정면(a)과 배면(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마운트 유닛(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마운트 유닛(200)은 일측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10)를 주변 장치(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변 장치(100)와 접하는 일 면에는 주변 장치(100)에 결속될 수 있도록 장치결합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유닛(200)의 장치결합부(210)는, 마운트 유닛(200)이 주변 장치(100)에 나사 체결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주변 장치(100)의 체결부(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형상의 나사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장치결합부(210)를 통해 주변 장치(100)의 체결부(110)에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주변 장치(100)에 마운트 유닛(200)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장치결합부(210)는 주변 장치(100)의 체결부(110)가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다른 형태의 결합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엔, 이와 대응하여 상이한 결합 방식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운트 유닛(200)의 일측면에는 모바일 기기(10)가 결합되는바, 모바일 기기(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기결합부(220)를 더 포함한다. 부기기결합부(220)는 모바일 기기(10)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양한 고정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10)의 일반적인 보호케이스를 고정하여 모바일 기기(10)를 장치에 결속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도 1a, 도 1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200)은 보호 케이스(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기기결합부(22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운트 유닛(200)의 기기결합부(220)는 일 예시로서 전술한 장치결합부(210)와 같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바, 보호 케이스(300)에는 기기결합부(220)와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부재(301)에 의하여 관통공을 통해 기기결합부(220)에 결합됨에 따라 보호 케이스(300)가 마운트 유닛(20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 케이스(300)를 마운트 유닛(200)에 즉, 모바일 기기(10)를 마운트 유닛(200)에 장착하는 방식은 물리적인 결합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함을 밝힌다.
이때, 모바일 기기(10)는 일 예시로서 스마트폰용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보호 케이스(30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보호 케이스(300)를 마운트 유닛(200)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모바일 기기(10)를 마운트 유닛(20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10)를 마운트 유닛(200)에 장착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보호 케이스(300)에 체결을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여 단순히 나사 체결식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10)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보호 케이스(300)에 형성하는 관통공의 위치만을 마운트 유닛(200)의 기기결합부(220)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작업만으로 여러 종류 및 크기의 모바일 기기(10)에 대응하여 주변 장치(100)에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특히, 모바일 기기(10)를 주변 장치(100)에 직접 고정하는 구조가 아닌, 마운트 유닛(200)을 통한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의 결합 구조로 마련됨에 따라, 주변 장치(100)가 바코드 판독기가 아닌 IC 카드리더 등의 다른 형태로 제공되더라도, 모바일 기기(10)를 마운트 유닛(200)에 장착함에 따른 주변 장치(100)와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장치에 상관없이 결합 방식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200)은,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의 물리적인 결속 외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운트 유닛(200)의 접속부(230)는 주변 장치(100) 및 모바일 기기(10)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운트 유닛(200)에 구비되는 접속부(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유닛(200)의 접속부(230)는, 마운트 유닛(2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속회로기판(231)을 포함하고,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커넥터부(233) 및 제2 커넥터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부(233)는, 주변 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회로기판(231)의 후면에 형성되며, 마운트 유닛(200)에 장착되는 주변 장치(100)의 접점부(120)와 접점에 의해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접점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커넥터부(233)는 주변 장치(100)의 접점부(120)와 연결됨으로써 주변 장치(100)와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커넥터부(233)는 마운트 유닛(200)의 후면에 위치되어 접점부(120)와 접촉됨으로써 주변 장치(100)와 접속된다.
제2 커넥터부(235)는 모바일 기기(10)와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써, 접속회로기판(231)의 전면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10)의 접속포트(11)와 연결된다.
이에, 마운트 유닛(200)의 제1 커넥터부(233)는 주변 장치(100)와 접속되고, 제2 커넥터부(235)는 모바일 기기(10)와 접속되며, 각 커넥터부가 접속회로기판(231)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제2 커넥터부(235)가 접속포트(11)에 삽입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의 다양한 접속 형태를 갖는 접속포트(11)와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10)의 접속포트(11)의 형태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착탈식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부(2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의 접속포트(11)에 삽입되는 커넥터 플러그(236)와, 커넥터 플러그(236)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237)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플러그(236)는 모바일 기기(10)의 접속포트(11)에 삽입되는 커넥터헤드(236a)와, 커넥터 플러그(236)를 접속회로기판(23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핀(236b)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237)은 접속회로기판(231)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 플러그(236)를 수용하는 수용부(237a)가 일측에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수용부(237a)의 내측에는 커넥터 플러그(236)의 핀(236b)과 접속되는 핀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커넥터부(235)는 커넥터 플러그(236)와 커넥터 하우징(237)의 서로 접촉되는 면에 자석을 내장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커넥터 플러그(236)가 수용부(237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로 인해, 커넥터 플러그(236)의 커넥터헤드(236a)가 접속포트(11)에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237)의 수용부(237a)에 장착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커넥터부(235)는 자력식으로 탈부착되는 커넥터를 구비함에 따라 마운트 유닛(200)에 체결된 보호 케이스(300)에 모바일 기기(10)를 끼워 넣는 것 만으로도 제2 커넥터부(235)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커넥터 플러그(236)의 커넥터헤드(236a)를 각 타입별로, 즉 마이크로 5핀, 마이크로 8핀 또는 C타입 등의 헤드로 각각 교체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해당 기기와 대응하는 헤드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통상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형성된 접속포트의 위치는 대부분이 기기의 하측에 형성되긴 하나, 기기의 두께에 따라 그 형성 위치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제2 커넥터부(235)는 모바일 기기(10)에 형성된 접속포트(11)의 상이한 높낮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237)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제2 커넥터부(235)는 커넥터 하우징(237)이 접속회로기판(231)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승강 작동에 대해 접속회로기판(231)과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유선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23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제2 커넥터부(23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37)의 승강 작동을 위해서, 탄력적으로 커넥터 하우징(237)을 지지하도록 탄성부재(미도시)를 커넥터 하우징(237)의 하측에 구비하거나,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레일(미도시)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237)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케이블(238)은 일단이 커넥터 하우징(237)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속회로기판(231)에 연결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접속회로기판(2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커넥터 하우징(237)의 승강시 구부러지거나 길이가 조절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237)의 상하 유동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운트 유닛(200)은,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를 각각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를 물리적으로 결속함과 동시에, 단자를 통한 접촉을 통해 서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이들을 일체의 기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들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 기기(10)의 접속포트(11)에 커넥터 플러그(236)를 삽입한 상태로, 마운트 유닛(200)의 하단부, 즉 커넥터 하우징(237)의 설치 위치에 대해 대응하도록 기기를 하단부터 장착하게 되면, 자력에 의해서 커넥터 플러그(236)와 제2 커넥터부(235)의 커넥터 하우징(237)이 부착 연결된다. 이러한 자력에 의한 연결로 인해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가 마운트 유닛(200)을 통해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외부에서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충전 크래들(미도시)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마운트 유닛(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크래들에 연결되기 위한 크래들 접점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크래들 접점부(240)는 내부의 접속회로기판(231)과 연결됨으로써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에 각각의 충전 전류를 흘려보내도록 한다. 이때, 마운트 유닛(200)은 크래들 접점부(240)와 인접하게 거치홈(241)을 형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을 충전 크래들에 거치하여 충전할 시 안정적인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에 주변 장치(100)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모바일 기기(10)를 주변 장치(1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마운트 유닛(200)과, 보호 케이스(300)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유닛(200)에 주변 장치(100)와의 결합을 위한 장치 결합부(210), 및 모바일 기기(10)와의 결합을 위한 기기 결합부(220)를 각각 형성하고서, 이들 결합부를 통하여 주변 장치(100)와 마운트 유닛(200)을 결합하고 모바일 기기(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300)를 마운트 유닛(200)에 고정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주변 장치(100)와 마운트 유닛(200) 간의 결합 구조와, 마운트 유닛(200)과 보호 케이스(300) 간의 각각의 결합 구조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제공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분해 또는 분리가 필요한 경우엔 단순히 나사를 풀러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마운트 유닛(200)과 보호 케이스(300)의 결합에 의한 주변 장치(100)로의 결합 구조로 인해, 일반적인 보호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기라면 그 크기나 형태와 무관하도록 특정 기기에 국한되지 않고서 주변 장치(100)와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는 모바일 기기의 고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 대응하는 케이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통상의 보호 케이스에 마운트 유닛(200)의 기기 결합부(220)와 대응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작업만으로 마운트 유닛(200) 및 주변 장치(100)와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기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해야하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는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 각각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부(230)를 마운트 유닛(200)에 구비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와 주변 장치(100)의 유선 접속을 허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장치(100)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233)는 접점 접촉에 의한 간단한 접속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바일 기기(10)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부(235)의 경우, 모바일 기기(10)에 형성된 접속포트(11)의 종류와 상관없이 이와 대응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방식으로 커넥터 헤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그네틱 방식의 커넥팅 구조는,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구조로 인하여 마운트 유닛(200)에 고정된 보호 케이스(300)에 모바일 기기(10)를 삽입할 때 커넥터 플러그와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이 없도록 함으로써 연결 케이블이나 플러그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마그네틱 방식으로 인해 교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의 종류에 상관 없이 요구되는 단자 형태와 대응하는 커넥터 플러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와의 호환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모바일 기기(10)와 호환될 수 있도록, 마운트 유닛(200)은 모바일 기기(10)의 외관 크기에 따라 상이한 높낮이를 갖도록 위치되는 접속포트(11)와 대응되어 연결할 수 있도록 승강식으로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237)을 구비함에 따라, 접속포트(11)에 삽입되는 커넥터 플러그(236)의 높이가 다르게 위치되더라도 달라진 높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기와의 호환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은, 주변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10)의 전력 공급(전원 충전)을 위하여, 별도의 충전 크래들 연결을 통한 외부 공급에 의한 전원 충전, 외부 보조배터리 사용에 의한 전원 공급 및 충전, 또는 무선충전모듈에 의한 무선 충전 등이 가능하도록 각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마운트 유닛(200)의 접속부(230)에 의해 주변 장치(100) 및 모바일 기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나의 외부 연결만으로 두 개의 기기 모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구조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예시로서, 별도의 충전 크래들을 통한 외부에서의 충전시 주변 장치(100)나 이동 단말기()에 충전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지 않고서 마운트 유닛(200)의 크래들 접속핀()을 통한 접속만으로 양측 모두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때, 외부 보조배터리나 무선 충전모듈에 의한 전력 공급 또한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 시스템에서의 마운트부 또는 주변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부의 OTG 동작 모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드 시스템의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즉 슬레드 시스템이 턴온되면) 단계 S110에서와 같이 USB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로 시작된다. USB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에서는 PC, 랩탑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이 USB 호스트 모드로만 동작되는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단계 S120에서 슬레드 시스템의 제어부는 슬레드 시스템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10)이 장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는 S122로 이동하여 슬레드 시스템의 제어부는 슬레드 시스템을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게 한다. 만일 단계 S120에서 스마트폰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단계 S124에서와 같이 계속하여 USB 클라이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레드 시스템의 제어부와 스마트폰 사이의 통신 및 충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드 시스템에 전온이 공급되면, 슬레드 시스템의 제어부는 단계 S210에서 회로에 내장된 비휘발성 메모리(NVRAM)에 저장된 시스템 데이터 또는 부팅 데이터를 판독한다. 시스템 데이터를 로딩한 후 제어부는 단계 S211에서 먼저 슬레드 시스템이 OTG 모드에서 동작중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211에서 OTG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는 S221로 진행되는 반면 단계 S211에서 OTG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는 S212로 진행되어 슬레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단계 S212에서 블루통신 모드를 계속 유지하는 동시에 사용자로부터의 OTG 모드로의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단계 S211로 진행되지만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단계 S212로 돌아가 계속하여 블루투스 통신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단계 S211에서 슬레드 시스템이 OTG 모드(USB 클라이언트)에서 동작하는 하는 경우 제어부는 단계 S221에서와 같이 슬레드 시스템에 스마트폰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21에서 스마트폰이 슬레드 시스템에 접속된 경우에는 단계 S231로 진행되지만 스마트폰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12로 진행되어 슬레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단계 S231에서는, 스마트폰이 연결된 후 스마트폰이 OTG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31에서 연결된 스마트폰이 OTG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단계 S241로 진행되어 슬레드 시스템은 OTG 모드(USB 호스트)에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단계 S231에서 연결된 스마트폰이 OTG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12로 진행되어 슬레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단계S241에서 OTG 모드가 수행되고 제어부는 단계 S251에서 연결된 스마트 폰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데, 단계 S251에서 스마트 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26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52로 진행된다. 슬레드 시스템이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되고 스마트 폰은 USB 클라이언트로 동작되기 때문에 스마트 폰은 슬레드 시스템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충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단계 S251에서, 스마트 폰이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단계 S261에서는 슬레드 시스템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과 일시적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후 단계는 S271로 진행되어 스마트 폰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스마트 폰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단계는 S241로 복귀하여 스마트 폰은 USB 호스트 모드로 변경되는 반면, 단계 S271에서 스마트 폰이 충전이 완료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81로 진행되어 스마트 폰이 슬레드 시스템으로부터 계속 플러그되어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하게 된다. 단계 S281에서 스마트 폰이 계속 플러그된 상태이라면 단계는 단계 S271로 복귀되어 폰은 계속 충전되는 반면, 스마트 폰이 플러그드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는 단계 S261로 복귀하게 된다.
단계 S251에서 스마트 폰 충전을 시작하지 않는 경우 단계는 S252로 진행되고 단계 S252에서는 OTG 모드에서 블루투스 통신으로의 모드 변경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단계 S252에서 블루투스 통신 모드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는 S253으로 진행되어 블루투스 통신모드가 수행되는 반면, 단계 S252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53으로 진행되어 스마트 폰이 슬레드 시스템으로부터 언플러그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데 스마트 폰이 슬레드 시스템으로부터 언플러그드된 경우에는 단계 S261로 진행되고 플러그드된 경우에는 단계 S241로 진행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폰이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OTG모드에서 충전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폰을 충전하기 위해 슬레드 시스템이 USB 호스트로 스마트 폰이 USB 클라이언트로 변경되어 스마트 폰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고, 스마트 폰이 USB 클라이언트 모드인 경우에 스마트폰과 슬레드 시스템의 통신 방법을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변경함에 따라 스마트 폰을 충전하면서도 주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모바일 기기 100 : 주변 장치
200 : 마운트 유닛 210 : 장치 결합부
220 : 기기 결합부 230 : 접속부
300 : 보호 케이스

Claims (12)

  1. 주변 장치를 모바일 기기에 물리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트 유닛의 접속부는 접속회로용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주변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주변 장치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주변 장치와 상호간에 접촉되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에 삽입되는 접속헤드를 가진 커넥터 플러그와, 상기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플러그는 자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접속회로용 기판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접속포트의 높이에 대응하여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하 작동에 대해 상기 접속회로용 기판과 커넥터 하우징 간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유동되는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이 연결되어 상기 주변 장치 및 모바일 기기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전력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무선 충전모듈, 충전크래들용 접속핀, 보조 배터리 단자, 또는 USB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8.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소형 바코드 리더,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MSR), 집적회로(IC) 카드 리더, 주변 장치 트리거, 또는 RFID 태그 리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가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장착될 때 USB 클라이언트 모드 또는 USB 호스트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지 않을 때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되고 모바일 기기가 장착될 때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에 장착될 때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가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를 충전하도록 동작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가 충전중일 때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모바일 기기가 USB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USB 클라이언트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슬레드 시스템.
KR1020180124726A 2018-10-18 2018-10-18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KR10215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26A KR102152015B1 (ko) 2018-10-18 2018-10-18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US16/424,847 US10659580B2 (en) 2018-10-18 2019-05-29 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726A KR102152015B1 (ko) 2018-10-18 2018-10-18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49A KR20200043849A (ko) 2020-04-28
KR102152015B1 true KR102152015B1 (ko) 2020-09-04

Family

ID=7027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726A KR102152015B1 (ko) 2018-10-18 2018-10-18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59580B2 (ko)
KR (1) KR102152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6058A1 (en) * 2022-10-17 2024-04-25 Invensense, Inc. Asset management system and asset managemen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53B1 (ko) * 2012-02-27 2013-07-16 (주)대한특수금속 포터블 전자기기용 컨넥터 도킹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JP2017085855A (ja) *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伝送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336A (ko) 2006-12-18 2008-06-23 (주)블루버드 소프트 핸드폰 충전기로 충전 가능한 바코드 장치
US8346979B1 (en) 2011-07-06 2013-01-01 Koamtac, Inc.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US8832323B2 (en) 2011-07-06 2014-09-09 Koamtac, Inc.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2-04-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US9442526B2 (en) * 2012-05-04 2016-09-13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GB2514746B (en) * 2012-11-07 2016-01-27 Koamtac Inc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FR3025329A1 (fr) * 2014-08-28 2016-03-04 Prynt Coque pour systeme de telecommunication portable
FR3042059B1 (fr) * 2015-10-02 2017-12-15 Saad Skali Dispositif d'identification d'un objet comportant une etiquette
US10747266B2 (en) * 2016-03-24 2020-08-18 Razer (Asia-Pacific) Pte. Ltd.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253B1 (ko) * 2012-02-27 2013-07-16 (주)대한특수금속 포터블 전자기기용 컨넥터 도킹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JP2017085855A (ja) *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伝送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28118A1 (en) 2020-04-23
US10659580B2 (en) 2020-05-19
KR20200043849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0093A1 (en) Modular tablet case
KR101383407B1 (ko) 모바일 장치와 관련 주변 장치 간의 전자 페어링 및 물리적 협력을 위한 연결 슬레드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EP3858451B1 (en) Supporting device, charging device and controller system
US9757647B2 (en) Game controller
ES2963327T3 (es) Dispositivos de comunicación portátiles con funciones complementarias y métodos relacionados
EP1758353A2 (en) Wrist watch-type headset assembly
US11569686B2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external device
US20160072327A1 (en)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826079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device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s and casts for mobile devices
US20130077229A1 (en) Card reader having communicating function
KR101216145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GB2514746A (en)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KR102152015B1 (ko) 모바일 기기용 연결 슬레드 시스템
US201302628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ling method
CN203708303U (zh) 手机配件和手机套件
KR101245793B1 (ko) 컴퓨터 단자 및 상기 컴퓨터 단자의 연결이 가능한 키보드 장치
US7872872B2 (en) Card-based power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210100871A (ko) 무선 충전 코일 및 상기 코일을 포함한 전자 장치
KR100957692B1 (ko) 다중 젠더 및 다중 젠더를 통해 usb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3454521A (zh) 模块化眼戴设备腿
CN111428227B (zh) 一种支持读卡的智能密钥设备
CN220420060U (zh) 可拆卸的遥控模块、前置红外热像仪模组和双光瞄准镜
CN215646769U (zh) 一种手持终端
CN110942785A (zh) 短距高速传输无线储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