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845B1 -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845B1
KR102151845B1 KR1020180060609A KR20180060609A KR102151845B1 KR 102151845 B1 KR102151845 B1 KR 102151845B1 KR 1020180060609 A KR1020180060609 A KR 1020180060609A KR 20180060609 A KR20180060609 A KR 20180060609A KR 102151845 B1 KR102151845 B1 KR 10215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local
user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435A (ko
Inventor
최종명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3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와 특정 정보(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 등)를 입력하면,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에 검색을 요청하여, 획득한 검색 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은, 검색 사이트에 접속해 질의어를 입력해 지역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검색 사이트를 통해 질의어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해당되는 지역기관 서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지역기관 서버에 표준 API를 이용해 질의어를 전달하여 지역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지역기관 서버로부터 지역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표준 API를 통해 질의어에 따른 지역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질의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지역 정보를 표준 API를 통해 상기 검색 서버에 전송해 주는 지역기관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earching a local information us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와 특정 정보(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 등)를 입력하면,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에 검색을 요청하여, 획득한 검색 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PI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운영 체제에 어떤 처리를 위해서 호출할 수 있는 서브루틴 또는 함수의 집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API는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과 통신할 때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가지며, API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API는 함수의 호출에 의해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연결되어야 하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나 루틴을 가진다.
웹 포털에 대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현재 웹 2.0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회사가 무료로 제공해 주면, 사용자는 그 기능을 가져다 마치 레고블럭을 조립하듯이 자신의 프로그램에 조립해서 또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이트마다 다양한 웹포털 오픈 API 방식과 ID, 인증 관리 기능이 존재하고, 또한 통신사에서 웹포털 오픈 API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기능 제공이 필요하며, 통신사의 다른 응용 서비스와 쉽게 연계가 가능해야 한다.
한편, 사용자가 동네에 위치한 도서관에 보고자 하는 책의 소장 여부와 대출 가능 여부를 검색하려고 할 때, 현재의 방법은 동네에 위치한 시립도서관을 방문해서, 도서관에 설치된 특별한 컴퓨터나 도서관 웹 사이트를 방문해서 검색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도서관이나 도서관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네이버나 구글 등의 검색 엔진을 이용해서 검색하기도 한다.
그러나, 네이버나 구글 등의 포탈 검색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책이나 상품 등의 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예를 들어, 도서관에 소장된 책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책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만을 보여주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네이버나 구글 등의 포털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혹은 방문하려고 하는) 도서관의 도서 정보(예를 들어, 책의 위치, 대출 가능 여부 등)를 파악하고 싶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때, 지역 정보 시스템(예를 들어, 도서관의 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포털 검색 사이트(네이버 혹은 구글 등)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이 포털 검색 사이트와 협의된 API를 이용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301호(공개일 : 2017.01.02)
전술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와 특정 정보(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 등)를 입력하면,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에 검색을 요청하여, 획득한 검색 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전술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 검색어와 특정 정보(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 등)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에 검색을 요청하여, 획득한 검색 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은,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입력된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상기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며,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포털 검색 장치(사이트); 및 상기 협의된 API를 통해 상기 포털 검색 장치로부터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포털 검색 장치에 전송해 주는 지역 정보 시스템을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사이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및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포털 검색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는 지역검색 선택부;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모듈;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결정 데이터베이스;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여 이용하는 API 모듈; 및 상기 위치 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및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c)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는 단계; (f) 상기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g)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출원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지역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지역기관으로부터 해당 지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 포털 검색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지역의 정보에 대해, 해당 지역 기관의 API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지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털 검색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지역 정보를 먼저 확인하고 나중에 포털 사이트 자체에서 검색한 지역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정보에 대해, 해당 지역 기관의 API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지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 입력란과 지역검색 여부 결정을 위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시스템에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획득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포털에서 검색어에 따라 자체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 114), 포털 검색 장치(120) 및 지역 정보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 ~ 140)와 포털 검색 장치(12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고, 포털 검색 장치(120)와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표준 API를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이때, 포털 검색 장치(120)는 검색 포털 사이트를 통해 검색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검색 포털' 또는 '포털 검색 사이트' 등으로 지칭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 ~ 114)는 검색 포털(120)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검색 포털(120)에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기(110 ~ 114)와 검색 포털(120) 및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협정을 맺어 표준 API를 채용하여 운영하고, 검색 포털(120) 및 지역정보 시스템(130)은 각 표준 API를 통해 외부 장치가 접속해 공개된 정보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 ~ 114)와 검색 포털(120) 및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모두 동일한 표준 개방형 API를 준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10 ~ 114)는 핸드폰, 컴퓨터 등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위치 파악(GPS 모듈)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치(파악) 모듈이 없는 경우(일반 컴퓨터 등)에는 위치 정보를 별도의 키워드(예를 들어, 기관명 등) 혹은 지도에서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검색 포털(120)의 검색엔진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 ~ 114)는 모바일 기기, 태블릿 PC, 노트북 PC를 포함하고, 모바일 기기는 와이파이(Wi-Fi)와 와이브로(Wibro)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며, WCDMA와 LTE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할 수 있다.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입력된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며,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검색 포털(120)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네이버(Naver), 다음(Daum), 구글(Google) 등을 포함하는 포탈 검색 사이트를 통해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포털 검색 장치(120)는,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또는 확인)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입력받은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지역기관 결정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에 매칭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포털 검색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검색 기록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포털 검색 장치(120)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에 따라, 사용자가 이전에 이용한(예컨대, 검색한) 지역(또는 지역 정보 시스템)의 목록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지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어로서 첨성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첨성대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지역은, 예컨대, 경주가 될 수 있다.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협의된 API를 통해 포털 검색 장치(120)로부터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포털 검색 장치(120)에 전송해 준다.
또한,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API 모듈을 구비하며, API 모듈은 다음 표 1과 같이 기관 ID와 API 정보로 구성되며, API를 호출하기 위한 정보들을 갖고 있다. 이때, 구성이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기관 ID API 정보
A1 http://www.somelib.org/search?keyword
A2 http://www.somecafe.com/search?keyword
또한,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각 지역에 존재하는 기관의 정보 시스템이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 소식(News), 도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쇼핑몰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기능을 통해 상기 검색어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며,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포털 검색 장치(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포털(120)은, 검색부(210), 지역검색 선택부(220), 위치 모듈(230), 위치결정 데이터베이스(DB)(240), 제어부(250) 및 API 모듈(260)을 포함한다.
검색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검색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 입력란과 지역검색 여부 결정을 위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역검색 선택부(220)는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검색 여부 결정을 위한 아이콘이나 버튼(320)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한다.
위치 모듈(230)은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위치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이동통신사 기지국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LTE를 지원하는 주위의 무선 AP(Access Point)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위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위치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입력받은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가 포함된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검색 포털(120)에 대한 검색 기록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결정 DB(240)는 위치 정보에 대응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위치결정 DB(240)는 지역 기관 정보에 대해 다음 표 2와 같이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 기타 정보 등의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으며, 실시예에서 구성이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 기타 정보
A1 36.5 ~ 36.6 127.5 ~ 127.6 A 도서관 검색 키워드
A2 36.8 ~ 36.6 127.8 ~ 127.6 A 카페 검색 키워드
제어부(250)는 위치 모듈(230)을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제어부(250)는 GPS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도와 경도의 범위에 포함된 기관을 결정한다. 위도와 경도가 같은 기관이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세가지 방법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첫째로 모든 기관에 검색을 요청하고, 결과를 모두 포함시킨다. 둘째로 키워드에서 가장 유사한 기관을 선택해서 해당 기관에만 검색 요청을 보낸다. 셋째로 사용자가 여러 개 기관 중에서 원하는 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관에만 검색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10)는 원하는 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PI 모듈(260)은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320)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검색부(210)를 통해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320)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된 경우에, 위치 모듈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정보에 따른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검색 포털(120)에 요청한다(S410).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포털(120)에 접속한 후 검색 포털(120)로부터 제공된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로서, 예컨대, 홍길동을 입력하고, 특정 정보로서 목포 도서관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 기관을 설정한다(S420).
즉, 포털 검색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또는 입력받은 특정 정보(목포 도서관)를 이용하여, 검색 대상 지역을 목포시로 결정하고, 목포시에 있는 도서관 중 목포 시립 도서관을 선택하여 목포 시립 도서관의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것이다.
포털 검색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입력받은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지역기관 결정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에 매칭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게 된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협의된 API를 이용해 검색어 홍길동을 목포 시립 도서관의 지역 정보 시스템(130)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한다(S430).
이어, 목포 시립 도서관의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검색어 홍길동에 근거해 관련 정보를 검색한다(S440).
즉,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목포 시립 도서관에 홍길동이라는 책자가 몇 권이 있으며, 해당 책자가 어느 위치에 있으며, 이 외에 도서 대출 정보, 지은이, 출판사, 출판년도 등 책자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역 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후, 검색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포털 검색 장치(120)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입력받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면, 그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포털 검색 장치(120)는 특정 정보(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의 목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목록들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지역 정보 시스템이 선택하고, 검색어를 검색 포털(120)로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홍길동 책자에 관련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검색 포털(120)에 전송해 준다(S450).
이때, 검색 포털(120)은 검색어 홍길동을 검색 엔진에 입력하여 자체적으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한다(S460). 여기서, 검색 엔진을 통한 자체 검색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지역 정보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받은 지역정보 검색결과 또는 자체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전송해 준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포털(120)은,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털 검색 사이트, 예를 들면, 네이버(Naver) 사이트를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510).
즉, 검색 포털(120)에서 검색부(210)는 검색 엔진을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홍길동 검색어(keyword)와 특정 정보(목포 도서관)를 입력받는다.
또한, 검색 포털(120)은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역 검색 결정에 관한 아이콘이나 버튼(320)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한다(S520).
즉, 사용자는 지역 검색을 원할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키워드 입력란(310)의 옆에 있는 지역 검색 결정에 관한 아이콘(320)을 클릭함으로써, 홍길동 책자에 대해 목포시에 있는 도서관에서 검색하도록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때, 지역 검색 결정에 관한 아이콘(320)이 클릭되면,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지역 검색을 할 것인지, 아니면 입력한 특정 정보(목포 도서관)를 기준으로 지역 검색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선택에 의한 지역 정보 검색을 실행하게 된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특정 정보에 근거한 검색 대상 지역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530).
즉,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거해 지역 정보 검색인 것으로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검색 포털(120)은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이동통신사 기지국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LTE를 지원하는 주위의 무선 AP(Access Point)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검색 포털(120)은 상기 입력받은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역 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후, 검색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입력하면, 포털 검색 장치(120)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입력받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그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530은 단계 S51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한다(S540).
즉, 검색 포털(120)은, 키워드 입력란(310)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320)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된 경우에, 위치 모듈(230)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거나, 특정 정보에 따른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 검색 포털(120)은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API 모듈(260)을 통해 해당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한다(S550).
이어, 검색 포털(120)은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한다(S560).
따라서, 목포 시립 도서관(목포시 통합 도서관)의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검색어 홍길동에 근거해 소장 자료를 검색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 홍길동에 따른 검색 결과를 획득하고, 지역정보 검색결과로 검색 포털(120)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시스템에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를 획득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검색 포털(120)은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S570).
여기서, 지역정보 검색결과는 지역 정보 시스템(130)으로부터 획득한 지역정보 검색결과와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포털(120)에서 자체적으로 검색한 지역 정보를 포함하며, 이렇게 획득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포털에서 검색어에 따라 자체 검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포털(120)은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사용자가 선정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와 특정 정보(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GPS 정보,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 등)를 입력하면, 포털 검색 사이트에서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서 지역 정보 시스템에 검색을 요청하여, 획득한 검색 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기(600)와 지역 정보 시스템(700)을 포함한다. 도 1의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100)과 달리, 도 8의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1000)은 포털 검색 장치(120)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도 8의 사용자 단말기(600)는, 검색 포털(예컨대, 도 1의 포털 검색 장치(120))의 도움 없이,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해당 지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 단말기(110 ~ 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는 프로세서(610), 통신 모듈(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위치 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작동들을 제어한다. 즉,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작동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0)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하고, 실행된 운영 체제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600)의 메모리(6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앱 스토어 등)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600)로 다운로드되고, 사용자 단말기(600)의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600)를 이용(또는 제어)하여 특정 작동(예컨대, 데이터의 송수신 작동 또는 검색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또는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통신 모듈(620)은 사용자 단말기(6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62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정보 시스템(700)과 통신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와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표준 API를 이용하여 연동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위치 정보에 대응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6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 1의 위치결정 DB(240)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모듈(640)은 사용자 단말기(600)의 위치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위치 모듈(64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이동통신사 기지국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LTE를 지원하는 주위의 무선 AP(Access Point)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각 지역에 존재하는 기관의 정보 시스템이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 소식(News), 도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쇼핑몰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기능을 통해 상기 검색어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며,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기(60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협의된 API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600)로부터의 지역 정보 검색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와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협정을 맺어 표준 API를 채용하여 운영하고,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각 표준 API를 통해 외부 장치가 접속해 공개된 정보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600)와 지역 정보 시스템(700)은 모두 동일한 표준 개방형 API를 준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역 정보 시스템(130)은 API 모듈을 구비하며, API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표 1과 같이 기관 ID와 API 정보로 구성되며, API를 호출하기 위한 정보들을 갖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로부터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810).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에게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어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음성 또는 이미지로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600)는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특정 정보는 지역 정보 시스템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또는 지역 정보 시스템 기관명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특정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위치 모듈(64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는 검색어(및 특정 정보)를 입력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예컨대, 검색 버튼의 클릭 등) 지역 정보 검색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는 검색어(및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지역 검색 여부을 지시하는 선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지역 검색 결정에 관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600)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예컨대, 클릭(click) 또는 터치(touch))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지역 검색을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지역 정보 검색을 명시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600)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정보에 근거한 검색 대상 지역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820).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지역 정보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600)는 (예컨대, 위치 모듈(64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 단말기(60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역 검색을 할 것인지, 아니면 입력된 특정 정보(예, "목포 도서관")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역 검색을 할 것인지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상기 선택에 관련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근거한 지역 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600)가 위치 모듈(640)을 구비한 경우, 위치 모듈(64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된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에 근거한 지역 정보 검색이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600)가 위치 모듈(64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600)는 입력된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의 검색 기록, 위치 기록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 사용자가 이전에 이용한(예컨대, 검색한) 지역(또는 지역 정보 시스템)의 목록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지역(예컨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된)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지역 정보 시스템이 결정된 후, 검색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먼저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기(600)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입력받은 특정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면, 그 후,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입력된 특정 정보(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의 목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목록들을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600)의 사용자가 (예컨대, 클릭 또는 터치를 통해) 상기 목록으로부터 지역 정보 시스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고, 검색어를 사용자 단말기(600)로 입력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820은 단계 S81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한다(S830).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검색어(및 특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 위치 모듈(640)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단말기(60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거나, 입력된 특정 정보에 따른 위치 정보 또는 지역명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은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한다(S840).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해당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고,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목포 시립 도서관(목포시 통합 도서관)의 지역 정보 시스템은 검색어 홍길동에 근거해 소장 자료를 검색하여, 검색어 홍길동에 따른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는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한다(S850).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600)는 수신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기(600)에 포함된 출력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램프 등)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600)는 지역 정보 시스템(700)으로부터 획득한 지역정보 검색결과와 더불어, 별도의 검색 포털로부터 획득한 지역 정보(예컨대, 도 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600)(또는 애플리케이션)는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거나, 사용자가 선정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사용자 단말기(6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지역 정보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되고 저장 매체(예컨대, 데이터베이스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지역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110 ~ 114 : 사용자 단말기
120 : 포털 검색 장치 130 : 지역 정보 시스템
210 : 검색부 220 : 지역검색 선택부
230 : 위치 모듈 240 : 위치결정 DB
250 : 제어부 260 : API 모듈

Claims (16)

  1.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입력된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협의된 API를 이용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상기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며,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포털 검색 장치; 및
    상기 협의된 API를 통해 상기 포털 검색 장치로부터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받으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포털 검색 장치에 전송해 주는 지역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포털 검색 장치는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지역 기관 정보는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을 포함하는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 검색 장치는, 검색 엔진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입력받은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지역기관 결정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에 매칭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은, 각 지역에 존재하는 기관의 정보 시스템이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 소식(News), 도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쇼핑몰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 기능을 통해 상기 검색어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여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획득하며, 획득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포털 검색 장치에 제공해 주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포털 검색 장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고, 상기 포털 검색 장치와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API를 이용하여 연동하는,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5.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및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포털 검색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검색을 실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는 지역검색 선택부;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모듈;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위치결정 데이터베이스;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여 이용하는 API 모듈; 및
    상기 위치 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기관 정보는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을 포함하는 포털 검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이동통신사 기지국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LTE를 지원하는 주위의 무선 AP(Access Point)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포털 검색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입력받은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포털 검색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검색부를 통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포털 검색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위치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정보에 따른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포털 검색 장치.
  10.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및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c)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특정 정보에 근거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g)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지역 기관 정보는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을 포함하는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검색 엔진이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입력받은 특정 정보에 근거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 지역기관 결정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에 매칭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 이동통신사 기지국 신호, 또는 와이파이(Wi-Fi), LTE를 지원하는 주위의 무선 AP(Access Point)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키워드 입력란을 통해 상기 검색어와 특정 정보의 입력 시, 아이콘이나 버튼을 통해 지역 검색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위치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거나, 상기 특정 정보에 따른 위치 관련 텍스트나 지역명 관련 텍스트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결정된 지역에 존재하는 기관의 정보 시스템이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지역 소식(News), 도서 정보, 관광 정보, 식당(맛집) 정보, 행사(축제) 정보, 숙소(숙박) 정보, 운송 정보, 비즈니스 정보, 쇼핑몰 정보 중 검색 기능을 통해 상기 검색어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한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포털 검색 장치의 지역 정보 검색 방법.
  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검색 여부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에 근거해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호출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API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를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지역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결정된 지역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지역정보 검색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지역 기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지역 기관 정보는 기관 ID, 위도 범위, 경도 범위, 기관명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역 정보 시스템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사용된 지역 정보 시스템의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검색어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지역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정보는,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지역 정보 시스템의 기관명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80060609A 2017-05-30 2018-05-28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1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7 2017-05-30
KR20170067197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35A KR20180131435A (ko) 2018-12-10
KR102151845B1 true KR102151845B1 (ko) 2020-09-03

Family

ID=646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09A KR102151845B1 (ko) 2017-05-30 2018-05-28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8367B2 (ja) * 2019-04-03 2023-05-19 三菱電機株式会社 接続管理装置、接続管理システム、接続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83204B1 (ko) * 2020-04-23 2023-09-26 주식회사 콤피아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A3226589A1 (en) * 2021-07-21 2023-01-26 George Meyer Search tool for local information
KR102662437B1 (ko) * 2023-05-16 2024-05-07 주식회사 메타전스 Ocr 기반 관광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486A (ko) * 2000-03-03 2000-06-05 김하철 지역정보 검색전용 인터넷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0706945B1 (ko) * 2005-06-08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에 따른 이미지 패턴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20170000301A (ko) 2015-06-23 2017-01-02 (주)솔투로 인터넷 주소와 에이피아이 키를 이용한 검색 엔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35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680B2 (ja) 位置に基づく検索
KR102151845B1 (ko) 지역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71774B2 (en) Voice-based media searching
US10083694B2 (en) Method for offering suggestion during conversatio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9852462B2 (en)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KR101482694B1 (ko) 검색 질의들에서의 위치
US8069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obile web server based system
US95845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peripheral information, and location proxy server
US20110087685A1 (en) Location-based service middleware
US200502288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ographically based Web services
US9081860B2 (en) Integration of device location into search
US20140074871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gnizing Places
KR101995260B1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4519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US11526525B2 (en) Method for sorting and displaying data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187143A1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location-based zone management for computing systems
EP2706496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cognizing places in a text
JPH1139348A (ja) 現在位置検出機能付きインターネット端末装置および情報検索方法
CA2716655C (en) Simplified search with unified local data and freeform data lookup
US11562035B2 (en) Enhance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and documents with links to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US201100224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alerts on hotel deals
US883859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enquires by receving and processing user defined scopes first
KR101391588B1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1116381A1 (en) Rapid navig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KR20140145640A (ko) 다중 id를 이용한 공간 정보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