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89B1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489B1 KR102151489B1 KR1020190143895A KR20190143895A KR102151489B1 KR 102151489 B1 KR102151489 B1 KR 102151489B1 KR 1020190143895 A KR1020190143895 A KR 1020190143895A KR 20190143895 A KR20190143895 A KR 20190143895A KR 102151489 B1 KR102151489 B1 KR 102151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virtual reality
- heart rate
- treasure
- cont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6995 brain heal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532 heart rat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8173 post-traumatic stre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6096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4264 Letharg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140 Sleep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802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22 morbid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59 moto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6 pa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61B5/047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145—Board games concerning treasure-hunting, fishing, hunt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ultimedia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시스템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의 수행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가 수행하는 보물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HMD모듈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수치 | 등급 | 운동목표강도 |
BMI < 23 | 정상 | 75% |
23 < BMI <25 | 과체중 | 70% |
25 < BMI <30 | 비만 | 65% |
30 < BMI < 35 | 고도비만 | 60% |
35 < BMI | 초고도비만 | 55% |
Claims (8)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 및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 및 활동형 피드백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 및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측정모듈을 포함하는 센서부; 사용자가 장애물을 피하며 보물찾기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도출하는 VR시스템부; 및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장애물을 피하며 숨겨진 보물을 찾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는,
보물의 개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장애물을 피하며 보물을 찾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실행단계;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보물찾기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고, 가상현실 상에서의 기설정된 사용자의 동작능력을 변동시키는 피드백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 혹은 기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종료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키, 몸무게 및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목표심박수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과거에 상기 보물찾기를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행한 동안에,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측정된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평균심박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심박수 및 상기 평균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목표운동량 충족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운동량 충족여부에 따른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제공되는 보물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심박수는,
상기 심박 및 상기 나이에 기초하여 도출된 여유심박수 및 상기 키 및 상기 몸무게에 따른 BMI수치에 기초하여 도출된 운동목표강도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피드백단계는,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가상현실공간을 나타내는 지도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심박의 편차가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도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변동시키고,
상기 지도이미지는,
상기 숨겨진 보물의 좌표 및 상기 사용자의 좌표를 표시하는 그래픽요소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피드백단계는,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 및 상기 심박의 편차에 기초하여 보물을 뛰어넘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점프높이를 변동시키고,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한 집중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심박의 편차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점프높이산출식;에 기초하여 상기 점프높이가 결정되는, 가상현실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물찾기컨텐츠실행부는,
상기 보물을 가상현실 컨텐츠 실행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형태로 제공하여 숨겨진 보물의 좌표에 기초하여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보물의 좌표 및 사용자의 좌표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소리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고,
보물이 숨겨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실행화면에 사용자의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디스플레이하고,
가상현실공간에서의 상기 보물의 좌표 및 상기 사용자의 좌표는 X, Y 및 Z축 방향의 3차원 좌표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생성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된 상기 장애물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Z축 방향의 좌표를 변동시켜 상기 오브젝트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보물이 획득되는 경우, 다음 보물의 좌표를 랜덤으로 설정하여 생성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 및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 및 활동형 피드백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으로서,
상기 구현방법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및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는 심박측정단계을 포함하는 센서단계; 사용자가 장애물을 피하며 보물찾기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도출하는 VR시스템단계; 및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VR시스템단계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HMD모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을 수신하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HMD모듈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장애물을 피하며 숨겨진 보물을 찾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보물찾기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물찾기컨텐츠실행단계는,
보물의 개수를 설정하는 설정단계;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장애물을 피하며 보물을 찾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컨텐츠를 실행하는 실행단계;
상기 뇌파 및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보물찾기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고, 가상현실 상에서의 기설정된 사용자의 동작능력을 변동시키는 피드백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 혹은 기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키, 몸무게 및 나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정보 및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목표심박수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과거에 상기 보물찾기를 수행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행한 동안에,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측정된 상기 심박에 기초하여 평균심박수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심박수 및 상기 평균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목표운동량 충족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운동량 충족여부에 따른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에 제공되는 보물의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심박수는,
상기 심박 및 상기 나이에 기초하여 도출된 여유심박수 및 상기 키 및 상기 몸무게에 따른 BMI수치에 기초하여 도출된 운동목표강도에 기초하여 도출되고,
상기 피드백단계는,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경우, 가상현실공간을 나타내는 지도이미지를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심박의 편차가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도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변동시키고,
상기 지도이미지는,
상기 숨겨진 보물의 좌표 및 상기 사용자의 좌표를 표시하는 그래픽요소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피드백단계는,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된 집중도 및 상기 심박의 편차에 기초하여 보물을 뛰어넘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점프높이를 변동시키고,
상기 뇌파에 기초하여 도출한 집중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심박의 편차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점프높이산출식;에 기초하여 상기 점프높이가 결정되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현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895A KR102151489B1 (ko) | 2019-11-12 | 2019-11-12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895A KR102151489B1 (ko) | 2019-11-12 | 2019-11-12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489B1 true KR102151489B1 (ko) | 2020-09-03 |
Family
ID=7246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895A Active KR102151489B1 (ko) | 2019-11-12 | 2019-11-12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48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8761A (ko) * | 2014-04-15 | 2015-10-23 |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 사용자 운동량을 관리하고 운동량 목표 달성을 유도하는 런닝머신 시스템 |
KR101647815B1 (ko) * | 2015-12-21 | 2016-08-11 | (주)헬스원 | 트레드밀 및 운동 기구 시스템 |
KR20180041089A (ko) * | 2015-03-12 | 2018-04-23 | 아킬리 인터랙티브 랩스 인크. |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프로세서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JP2019042352A (ja) * | 2017-09-06 | 2019-03-22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
KR102023024B1 (ko) * | 2018-11-09 | 2019-11-04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
-
2019
- 2019-11-12 KR KR1020190143895A patent/KR1021514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8761A (ko) * | 2014-04-15 | 2015-10-23 |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 사용자 운동량을 관리하고 운동량 목표 달성을 유도하는 런닝머신 시스템 |
KR20180041089A (ko) * | 2015-03-12 | 2018-04-23 | 아킬리 인터랙티브 랩스 인크. | 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프로세서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KR101647815B1 (ko) * | 2015-12-21 | 2016-08-11 | (주)헬스원 | 트레드밀 및 운동 기구 시스템 |
JP2019042352A (ja) * | 2017-09-06 | 2019-03-22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
KR102023024B1 (ko) * | 2018-11-09 | 2019-11-04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494B1 (ko) | 사용자의 활동을 통한 뇌 건강 및 신체건강을 위한 활동형 피드백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
KR102023024B1 (ko) |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 |
KR102021848B1 (ko) |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 |
CN110022768B (zh) | 与生理组件联接的认知平台 | |
CN113948212B (zh) | 认知功能调控系统和调控方法 | |
JP7125390B2 (ja) | バイオマーカーまたは他のタイプのマーカーとして構成される認知プラットフォーム | |
US8062129B2 (en) | Physiological user interface for a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 | |
EP2296535B1 (en) | Method and system of obtaining a desired state in a subject | |
KR102425479B1 (ko) | 사용자의 정보로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치료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KR101901261B1 (ko) |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 |
US1053770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restorative value of a nap | |
WO201916231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a user based on a sleep architecture model | |
CN105935289A (zh) | 可穿戴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2120112B1 (ko) | 인공지능에 기반한 외사시환자 재활훈련 가상현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 |
KR101719546B1 (ko) | 뇌파 및 심전도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감정인식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 |
Hwang et al. | Electrical, vibrational, and cooling stimuli-based redirected walking: Comparison of various vestibular stimulation-based redirected walking systems | |
KR102429627B1 (ko) |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 |
WO2019028268A1 (en) | EVALUATION OF POSTURAL BALANCING IN VIRTUAL OR INCREASED REALITY | |
KR20230040093A (ko) |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 |
KR101033195B1 (ko) | 이완 효과 제공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장치 | |
KR102151492B1 (ko) | 사용자의 집중을 통한 뇌 건강을 위한 몰입형 피드백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
Szegletes et al. | The design of a biofeedback framework for dynamic difficulty adjustment in games | |
Liu et al. | Lullaland: A Multisensory Virtual Reality Experience to Reduce Stress | |
KR102151489B1 (ko) | 사용자의 집중 및 활동을 통한 뇌 건강과 신체 건강을 위한 몰입형·활동형 가상현실 시스템 및 구현방법 | |
Luo et al. | Exploring the Effects of Sensory Conflicts on Cognitive Fatigue in VR Remapp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