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81B1 -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81B1
KR102151381B1 KR1020200073204A KR20200073204A KR102151381B1 KR 102151381 B1 KR102151381 B1 KR 102151381B1 KR 1020200073204 A KR1020200073204 A KR 1020200073204A KR 20200073204 A KR20200073204 A KR 20200073204A KR 102151381 B1 KR102151381 B1 KR 10215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fishing
opening hole
floating structur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근
Original Assignee
넥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은, 바다나 저수지에 설치되어 물고기를 낚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낚시가 가능한 부유구조물로서, 일부가 수상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제1 플로트 및 상기 제1 플로트와 연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제1 플로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직경이 서로 다르게 관통된 제2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와 제2 플로트는 적어도 일면이 접촉된 형태를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기본 단위가 다수 결합된 형태로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FLOATING STRUCTURES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면을 형성하는 제1 플로트와 가변구멍이 형성된 제2 플로트가 결합되어 낚시가 가능한 수상 낚시터를 제공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다나 저수지와 같은 수상 위에 부유구조물을 설치하여 이용자가 보행 가능하도록 설치하거나 수상 위의 낚시터를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수상부유구조물이 활용되고 있다.
다만, 수상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 물이 얼어붙는 겨울철에는 얼음을 깨고 낚시를 하거나 낚시를 포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상부유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물 위에서 직접 얼음을 파고 빙상 낚시를 즐기기도 하지만, 얼음을 파다가 주변 얼음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나 빙상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다수의 빙상 낚시용 장비를 챙겨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다만, 최근 들어 겨울철에도 얼음낚시를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이 얼지 않아서 얇게 얼어있는 얼음 위를 지나가다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며 얼음낚시를 하기 위한 겨울철 낚시 축제를 진행하는 것에도 안전사고 위험에 대한 경각심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플로트에 형성되는 홀에 발이 빠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빙상 낚시를 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빙상 낚시용 장비를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면서, 최근 온난화로 인해 안전한 두께 수준으로 얼음이 얼지 않아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관련 선행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8135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수상에 설치가 가능하며, 가변구멍이 형성되는 제2 플로트를 통해 낚시가 가능하고, 가변구멍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부를 마련하여 제2 플로트에 형성되는 홀에 발이 빠져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준부의 단면형상과 상부 및 하부 개구홀의 단면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제2 플로트의 강성 및 물고기의 요동으로 인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은, 바다나 저수지에 설치되어 물고기를 낚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낚시가 가능한 부유구조물로서, 일부가 수상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제1 플로트 및 상기 제1 플로트와 연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제1 플로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직경이 서로 다르게 관통된 제2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와 제2 플로트는 적어도 일면이 접촉된 형태를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기본 단위가 다수 결합된 형태로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플로트는,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개구홀,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하부 개구홀 및 상기 상부 개구홀과 상기 하부 개구홀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직경이 가변된 가변구멍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변구멍은, 상하방향을 따라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된 가상의 기준부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 개구홀에서 상기 기준부를 향해 둘레가 좁아지는 하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구간은, 하단부의 직경과 상기 기준부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구멍은, 상기 기준부에서 상기 상부 개구홀을 따라 둘레가 커지는 상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구간은, 하단부의 직경과 상기 기준부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이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구간과 상기 하부구간은 상기 기준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플로트는, 상기 상부 개구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 개구홀에 삽입되는 본체부재,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가변구멍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경이 가변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수지, 바다 등의 수상 어디에서든지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어디에나 수상 낚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덮개부를 이용하여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변구멍을 통해 내부가 외부로부터 일부 단열되기 때문에 물이 얼어 붙는 겨울철에도 내부가 얼지 않아 빙상 낚시를 하는 것과 같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얼음이 얼지 않더라도 안전하게 수상낚시를 하거나 얼음낚시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기준부의 가변구멍 단면형상이 타원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2 플로트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기준부의 단면형상으로 인해 물고기가 요통치는 범위를 제한하여 물고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제2 플로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X축과 Y축에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X축 단면과 Y 축단면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하부 개구홀과 중심부의 Z축 방향에서 바라본 가변구멍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은 일부가 수상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제1 플로트(100)와 상기 제1 플로트(100)와 연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제1 플로트(100)와 동일한 높이의 편면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해 직경이 서로 다르게 관통되는 제2 플로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로트(100) 및 상기 제2 플로트(200)는 적어도 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기본단위로 하여 상기 기본단위가 다수 결합된 형태로 부유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플로트(100)와 상기 제2 플로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일 방향을 향해 배열되어 인접한 위치는 서로 다른 플로트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 플로트(200)와 상기 제1 플로트(100)가 일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도록 배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방향을 X축으로 할 경우, X 방향으로 제1 플로트(100)가 배열된 열과 제2 플로트(200)가 배열된 열이 생기도록 상기 기본 단위를 나열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제시된 상기 제1 플토트(100)와 상기 제2 플로트(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제2 플로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X축과 Y축에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X축 단면과 Y 축단면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하부 개구홀과 중심부의 Z축 방향에서 바라본 가변구멍을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의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플로트(20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플로트(200)는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개구홀(220)과 상기 하부면 상기 상부 개구홀(2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개구홀(240),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하부 개구홀(240)을 향해 직경이 가변되며 관통하는 가변구명(260) 및 상기 제2 플로트(200)의 외부를 구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280)를 포함하며, 인접한 상기 제1 플로트(100) 또는 상기 제2 플로트(200)와 연결되기 위한 제2 결합부(28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부(282)는 상기 몸체(280)에서 측면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로트(100)에서 상기 제2 플로트(200)의 상기 제2 결합부(282)와 대응되도록 또 다른 상기 제1 결합부(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제1 플로트(100)와 상기 제2 플로트(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결합부(282)와 상기 제1 결합부(102)는 서로 겹치도록 상기 제1 플로트(100) 또는 상기 제2 플로트(200)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1 결합부(102)와 상기 제2 결합부(282)를 결합시켜 상기 제1 플로트(100)와 상기 제2 플로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가변구멍(260)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플로트(200)를 X축과 Y축에서 자른 단면을 바탕으로 상기 가변구멍(260)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구멍(260)은 상하방향, 즉, Z축 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부(S)를 향해 상기 하부 개구홀(240)에서 둘레가 좁아지며 형성되는 하부구간(262) 및 상기 기준부(S)에서 상기 상부 개구홀(220)을 향해 둘레가 커지는 상부구간(2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부(S)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하부구간(262)과 상기 상부구간(264)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구간(262)의 경우는 상기 몸체(280)가 물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상에서 일부 물에 잠긴 상태로 있는 건현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단면과 Y축 단면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으며, X축으로 자른 단면을 Y축에서 바라본 모양은 중심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Y축에서 자른 단면을 X축에서 바라본 모양은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하부 개구홀(240)을 향해 Y에서 바라본 단면보다 직경의 변화율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80)를 Y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X축에서 바라보면, 상기 가변구멍(260)은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하부 개구홀(240)을 향해 직경이 완만하게 가변되면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경의 변화율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하부영역(262) 및 상기 상부영역(264)의 단면형상이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동일과 유사의 표현은 상기 기준부(S)가 상기 상부 개구홀(220)과 상기 하부 개구홀(240)의 거리를 기준으로 중심에 형성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기준부(S)의 위치는 상기 하부영역(262)과 상기 상부영역(264)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위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 플로트(200)의 균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영역(262)의 높이와 상기 상부영역(26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280)를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Y축에서 바라보면, 상기 가변구멍(260)은 상기 기준부(S)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기준부(S) 또는 상기 하부 개구홀(240)에서 상기 기준부(S)를 향해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X축 단면형상과 Y축 단면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Y축의 단면형상과 같은 가변구멍(260)을 형성한 경우 발생하는 상기 제2 플로트(200)의 강성이 부족하거나 상기 건현영역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X축의 단면형상을 Y축과는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X축의 단면형상은 상기 하부 개구홀(240)에서 상기 기준부(S)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며 연장되고, 상기 기준부(S)에서 상기 상부 개구홀(220)을 향해 직경이 넓어지면서 연장되며, Y축 단면형상은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하부 개구홀(240)을 향해 직경이 X축 단면형상보다 변화율이 낮도록 형성되어 완만하게 관통되기 때문에 상기 기준부(S)의 단면형상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상기 기준부(S)는 높이를 가지지 않는 기준점으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상기 기준부(S)는 상기 상부영역(264) 및 상기 하부영역(262) 외에도 상기 하부영역(262)에서 상기 상부영역(264)으로 이어지면서 동일한 둘레를 가지도록 연통되는 중부영역이 형설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개구홀(220)과 상기 기준부(S)의 단면형상을 Z축에서 바라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개구홀(220)의 단면형상은 원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기준부(S)의 단면형상은 일 방향의 직경은 상기 상부 개구홀(220)의 단면형상과 유사한 R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R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R보다 짧은 r로 형성되어 타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가변구멍(260)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준부(S)의 중심축과 수직한 단면을 Z축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2 플로트(200)의 상하방향 중 임의의 어느 한 점에서 상기 하부면과 평행하도록 자른 상기 가변구멍(260)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단면형상에서 둘레의 한 점을 이어 형성되는 제1 직선의 길이와 상기 제1 직선과 수직한 제2 직선의 길이가 앞서 제시한 R, r와 같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부(S)의 단면형상은 직경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변구명(26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상기 제2 플로트(200)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서 상기 하부 개구홀(240)을 향해 낚시를 하면서 물고기를 낚는 경우, 상기 물고기가 상기 하부 개구홀(240)에서 상기 상부 개구홀(220)로 낚아 올려지면서 부딪힘으로 인해서 상기 가변구멍(260)의 내측과 충돌하여 상기 물고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고기가 좌우로 요동치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가변구멍(260)이 상기 물고기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플로트(2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플로트(200)는 상기 상부 개구홀(220)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개구홀(2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80)의 본체부재(284)는 상기 상부 개구홀(2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개구홀(220)에 형상에 따라 대응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재(284)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280)의 상기 상부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86) 및 상기 연결부재(284)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8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재(284)는 외부와 단열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겨울철에 상기 가변구멍(260) 내부의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여 겨울철에 별도의 빙상 낚시 장비 없이 빙상 낚시를 즐기는 듯한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280)는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제2 플로트(200)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개구홀(220)을 통해 보행자의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284)는 상기 제2 플로트(200)를 이용하여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부에 상기 낚시대를 거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본체부재(284)의 상부에 상기 낚시대를 거치하여 편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86)의 경우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마모와 손상에 강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합금을 통해 무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288)의 경우는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어 다리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일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는 부재를 통해서 상기 제2 플로트(200)의 상기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S: 기준부
100: 제1 플로트
200: 제2 플로트
220: 상부 개구홀
240: 하부 개구홀
260: 가변구멍
262: 하부영역 264: 상부영역
280: 본체
282: 제2 결합부
284: 본채부재 286: 연결부재 288: 고정부재

Claims (10)

  1. 바다나 저수지에 설치되어 물고기를 낚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낚시가 가능한 부유구조물로서,
    일부가 수상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제1 플로트; 및
    상기 제1 플로트와 연결되어 상부면이 상기 제1 플로트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직경이 서로 다르게 관통된 제2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와 제2 플로트는 적어도 일면이 접촉된 형태를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기본 단위가 다수 결합된 형태로 부유되되,
    상기 제2 플로트는,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부 개구홀, 상기 하부면에 형성된 하부 개구홀 및 상기 상부 개구홀과 상기 하부 개구홀을 연결하며 상하방향으로 직경이 가변된 가변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구멍은, 상하방향을 따라 중심에 형성된 가상의 기준부를 향해 상기 하부 개구홀에서 둘레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하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간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하부구간의 중심축과 수직한 단면의 둘레에서 마주보는 점을 이은 제1 직선의 길이와 상기 제1 직선에 수직인 제2 직선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멍은,
    상기 기준부에서 상기 상부 개구홀을 따라 둘레가 커지는 상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간과 상기 하부구간은 상기 기준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트는,
    상기 상부 개구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 개구홀에 삽입되는 본체부재;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가변구멍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경이 가변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트 및 상기 제2 플로트는 서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겹쳐지면서 상기 제1 플로트와 상기 제2 플로트는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KR1020200073204A 2020-06-16 2020-06-16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KR10215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04A KR102151381B1 (ko) 2020-06-16 2020-06-16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04A KR102151381B1 (ko) 2020-06-16 2020-06-16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381B1 true KR102151381B1 (ko) 2020-09-03

Family

ID=7245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04A KR102151381B1 (ko) 2020-06-16 2020-06-16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209A (en) * 1984-01-06 1986-11-25 Loffler Victor R Portable multi-hull watercraft kit
KR20010031618A (ko) * 1997-10-30 2001-04-16 추후보정 중앙 운반 풀
KR101604946B1 (ko) * 2015-01-02 2016-03-21 신호근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루기 위한 태양광 모듈 고정용 플로트 및 보행 플로트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209A (en) * 1984-01-06 1986-11-25 Loffler Victor R Portable multi-hull watercraft kit
KR20010031618A (ko) * 1997-10-30 2001-04-16 추후보정 중앙 운반 풀
KR101604946B1 (ko) * 2015-01-02 2016-03-21 신호근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루기 위한 태양광 모듈 고정용 플로트 및 보행 플로트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381B1 (ko) 낚시가 가능한 수상부유구조물
CN104203741B (zh) 船舶
CN109183850B (zh) 一种海上隧道
KR20090129001A (ko) 부유식 교량 구조
US2262974A (en) Artificial bait
US20170361904A1 (en) Bionic high holding power anchor
RU2447655C2 (ru) Балансирный поплавок "журавль"
US5595016A (en) Motion resistant freeline bobber
US7612535B2 (en) Charge indicator
RU2083103C1 (ru) Поплавок
EP3543404B1 (en) Road stud
CN205653727U (zh) 公路护栏
RU2201376C2 (ru) Централь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выборки
KR19990022812U (ko) 케미라이트장착용중통낚시찌.
RU2447656C2 (ru) Балансирный поплавок "журавль ii"
JPS6112487A (ja) 氷海用船舶
TWI727502B (zh) 水中照明燈
JP2019050806A (ja)
JPH08862Y2 (ja) 魚釣用立うき
CN220816418U (zh) 一种挖泥船钢丝绳水面保护装置
CN218443558U (zh) 一种水上电子雷管传爆装置
AU2018100016A4 (en) A running rail post ground fixing connector
KR880001663Y1 (ko) 안강망용 닻
CN207156846U (zh) 一种轻质易装配的汽车后桥壳
JP2018200176A (ja) 水面距離測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