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807B1 -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807B1
KR102149807B1 KR1020187033578A KR20187033578A KR102149807B1 KR 102149807 B1 KR102149807 B1 KR 102149807B1 KR 1020187033578 A KR1020187033578 A KR 1020187033578A KR 20187033578 A KR20187033578 A KR 20187033578A KR 102149807 B1 KR102149807 B1 KR 10214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sub
plung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952A (ko
Inventor
요시유키 쿠메
히사시 아사노
타카시 사카모토
마사하루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8013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valve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27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8Suction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Abstract

부품 갯수의 삭감 및 그에 수반하는 비용 다운과, 제어성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제공한다.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 장치(40)와 부 밸브체(17)의 사이에 푸시 로드(46)가 개재되고, 부 밸브체(17)를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함과 함께 푸시 로드(46)를 통하여 벨로우즈 장치(40)를 감압실(45)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부 밸브체(17)와 푸시 로드(46)의 사이에, 그 부 밸브체(17)와 그 푸시 로드(46)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플런저 스프링(가세 부재)(47)이 개장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본 발명은, 카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카 에어컨용 압축기로서, 도 10에 간략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판식 가변용량형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사판식 가변용량형 압축기(100)는, 차량탑재 엔진에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1), 이 회전축(101)에 부착된 사판(102), 이 사판(102)이 배치된 크랭크실(104), 상기 사판(102)에 의해 왕복운동하게 되는 피스톤(105), 이 피스톤(105)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실(106),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실(107),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기내 도피통로(고정 오리피스)(108) 등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사용되는 제어밸브(1')는, 압축기(100)의 토출실(106)로부터 토출 압력(Pd)이 도입됨과 함께, 그 토출 압력(Pd)을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조압(調壓)함에 의해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기본 구성으로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연통하는 Ps 도입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1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1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도출구가 마련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밸브봉)와, 그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구로 도 10에서 부호 11'로 나타나는 밸브부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등을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밸브(1')에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 스테이터 및 흡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면,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플런저에 추종하도록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100)로부터 Ps 도입구를 통하여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입출실로부터 플런저와 그 외주에 배치된 안내 파이프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등을 통하여 감압실에 도입되고, 감압 응동 부재(예를 들면 벨로우즈 장치)는 감압실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세력)가 밸브체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구에 대해 밸브체의 밸브체부가 승강하여 밸브부(11')의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솔레노이드부에 의한 플런저의 흡인력과, 감압 응동 부재의 신축 변위에 의한 가세력(신축력)과,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 및 밸브폐쇄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하, 크랭크실 압력(Pc) 또는 단지 압력(Pc)이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대해, 예를 들면, 압축기 기동시에 있어서 토출 용량이 커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 통상제어시에 있어서 압축기의 운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내지 저감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 도 11A, B에 간략 도시되는 바와 같은 개량형의 사판식 가변용량형 압축기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개량형의 사판식 가변용량형 압축기(200)는, 그것에 사용되는 제어밸브에서의 밸브체(밸브봉)를 주 밸브체와 부 밸브체로 구성하고, 그 주 밸브체 내에 밸브내 도피통로(16')를 마련한 것으로, 그 제어밸브(2')는, 기본적으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200)의 흡입실(107)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2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2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 밸브체와, 그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내 도피통로(16')가 상기 주 밸브체 내에 마련됨과 함께, 그 밸브내 도피통로(16')를 개폐하는 부 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최하강 위치로부터 상방향에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폐쇄한 채로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부 밸브체에 추종하도록 주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주 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더욱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16')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주 밸브체와 상기 밸브구로 도 11A, B에서 부호 11'로 나타나는 주밸브부가 구성되고,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로 부호 12'로 나타나는 부밸브부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 등을 참조).
이러한 구성의 제어밸브(2')에서는, 통상제어시(Pd→Pc 제어시)에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 스테이터 및 흡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면,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플런저와 일체로 부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 움직임에 추종하여, 주 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200)로부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입출실로부터 플런저의 가로 구멍 등을 통하여 감압실에 도입되고, 감압 응동 부재(예를 들면 벨로우즈 장치)는 감압실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이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세력)가 주 밸브체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구에 대해 주 밸브체의 주 밸브체부가 승강하여 주밸브부(11')의 밸브 개방도가 조정된다.
즉, 밸브 개방도는, 솔레노이드부에 의한 플런저의 흡인력과, 감압 응동 부재의 신축 변위에 의한 가세력(신축력)과,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 및 밸브폐쇄 스프링에 의한 가세력과, 주 밸브체에 작용하는 밸브개방 방향의 힘과 밸브폐쇄 방향의 힘에 의해 결정되고,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제어된다. 이 경우, 주 밸브체는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상향으로 가세되어 있음과 함께, 부밸브는 밸브개방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하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부밸브부(12')가 밸브폐쇄가 되고, 밸브내 도피통로(16')는 주 밸브체 내에서 차단되고,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통하여 크랭크실 압력(Pc)이 흡입실(107)에 도피되는 일은 없다.
그에 대해, 압축기 기동시에는, 솔레노이드부가 통전되어, 흡인자에 플런저가 끌어당겨지고, 이 플런저와 함께 부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이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여, 주 밸브체가 밸브폐쇄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주 밸브체의 주 밸브체부에 의해 밸브구가 폐쇄된 후, 더욱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부 밸브체가 밸브내 도피통로(16')를 개방하게 되고, 크랭크실 압력(Pc)이 기내 도피통로(108)와 밸브내 도피통로(16')의 2개의 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07)에 도피되게 된다(상세는, 하기 특허 문헌 2 등을 참조바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0-18528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3-13012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소재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2')에서는, 감압 응동 부재(벨로우즈 장치)를 구성하는 하스토퍼와 흡인자의 사이에, 당해 감압 응동 부재를 유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수축장착되고, 흡인자와 부밸브(플런저)와의 사이에, 부 밸브체 및 플런저를 유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이 수축장착되어 있고, 상기 감압 응동 부재와 부 밸브체체 및 플런저를 유지하기 위해, 2개의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합계의 스프링 길이가 필연적으로 길어지고, 예를 들면 부 밸브체(벨로우즈 하중과 플런저 흡인력을 전달시키는 부재)의 경사를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를 마련하는 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렵고, 제어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부품 갯수의 삭감 및 그에 수반하는 비용 다운과, 제어성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기본적으로,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의 흡입실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의 토출실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 밸브체와, 그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 및 흡인자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그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흡입실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내 도피통로가 상기 주 밸브체 내에 마련됨과 함께, 그 밸브내 도피통로를 개폐하는 부 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최하강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폐쇄한 채로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부밸브에 추종하도록 상기 주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주 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더욱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감압 응동 부재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푸시 로드가 개재되고, 상기 부 밸브체를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함과 함께 상기 푸시 로드를 통하여 상기 감압 응동 부재를 상기 감압실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푸시 로드의 사이에, 그 부 밸브체와 그 푸시 로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가 개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감압 응동 부재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상기 흡인자에 마련된 삽통구멍에 활주 자유롭게 내삽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가세 부재는, 상기 푸시 로드에서의 상기 삽통구멍에 활주하는 부분의 상기 부 밸브체측에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개장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가세 부재는, 원통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 및 상기 가세 부재는, 상기 부 밸브체 또는 상기 플런저에 마련된 오목구멍에 내삽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부 밸브체 또는 상기 플런저에 마련된 감삽구멍에 감입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부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에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플런저는 통형상을 가지며, 그 플런저에 상기 부 밸브체가 내삽 고정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가 별도부재로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가 일체 성형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부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와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자성재로 구성되는, 또는, 비자성재로 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흡인자의 하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과 상기 부 밸브체 및/또는 상기 플런저의 상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같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의하면, 감압 응동 부재와 부 밸브체의 사이에 푸시 로드가 개재되고, 부 밸브체를 밸브내 도피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함과 함께 푸시 로드를 통하여 감압 응동 부재를 감압실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부 밸브체와 푸시 로드의 사이에, 그 부 밸브체와 그 푸시 로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가 개장되어 있다. 즉, 부 밸브체와 푸시 로드의 사이에 개장된 하나의 가세 부재로 감압 응동 부재와 부 밸브체(플런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제품 비용을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가세 부재의 길이(예를 들면, 스프링 길이)를 단축하여, 제어성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는, 감압 응동 부재와 부 밸브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자에 마련된 삽통구멍에 활주 자유롭게 내삽되어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가 흡인자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제어성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가세 부재는, 상기 푸시 로드에서의 삽통구멍에 활주하는 부분의 부 밸브체측에 형성된 단차부와 부 밸브체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제어밸브의 외경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흡인자의 하면(플런저측의 대향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자로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과 상기 부 밸브체 및/또는 상기 플런저의 상면(흡인자측의 대향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자로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이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격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더한층의 소형화(특히,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코일 부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 : 개, 부밸브 : 폐 상태(통상제어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 : 폐, 부밸브 : 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의 주밸브 : 폐, 부밸브 : 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플런저 및 부 밸브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플런저 및 부 밸브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C는 도 4B의 상면도.
도 4D는 도 4B의 하면도.
도 4E는 도 4B의 U-U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A∼E에 도시되는 플런저 및 부 밸브체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4E와 같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 : 개, 부밸브 : 폐 상태(통상제어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 : 폐, 부밸브 : 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의 주밸브 : 폐, 부밸브 : 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된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된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9C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된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를 도시하는 하면도.
도 9D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된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9E는 도 9D의 V-V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F는 도 9A의 W-W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제1의 종래례에서의 압축기와 제어밸브 사이의 냉매 압력 유통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제2의 종래례에서의 압축기와 제어밸브 사이의 냉매 압력 유통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통상제어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B는 제2의 종래례에서의 압축기와 제어밸브 사이의 냉매 압력 유통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은 주밸브 : 개, 부밸브 : 폐 상태(통상제어시), 도 2는 주밸브 : 폐, 부밸브 : 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 도 3은 주밸브 : 폐, 부밸브 : 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 좌우, 전후 등의 위치, 방향을 나타내는 기술은, 설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면에 따라 편의상 붙여진 것이고, 실제로 압축기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위치, 방향을 가리킨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서, 부재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나 부재 사이의 격리 거리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또한, 제도상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각 구성 부재의 치수에 비하여 크게 또는 작게 그려져 있는 경우가 있다.
[제어밸브의 구성]
도시한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1)는, 밸브구(22)가 마련된 밸브본체(20)와, 밸브구(22)를 개폐하기 위한 주 밸브체(15)를 갖는 밸브체(10)와, 그 밸브체(10)(주 밸브체(15))를 밸브구 개폐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식 액추에이터(30)와,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식 액추에이터(30)는, 보빈(38), 그 보빈(38)에 외장된 통전 여자용의 코일(32), 코일(32)의 내주측에 배치된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의 하단부 외주(단차부)에 그 상단부가 용접에 의해 접합된 안내 파이프(35), 흡인자(34)의 하방에서 안내 파이프(35)의 내주측에 상하 방향으로 활주 자유롭게 배치된 유저(有底) 원통형상의 플런저(37), 상기 코일(32)에 외삽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60), 부착판(39)을 통하여 하우징(60)의 상측에 부착된 커넥터 헤드(31), 및, 하우징(60)의 하단부와 안내 파이프(35)의 하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을 밸브본체(2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2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원통형상의 스테이터(33)의 하부 내주에, 그 스테이터(33)의 내경보다 소경의 삽통구멍(34a)이 그 중앙에 (축선(O)에 따라) 형성된 원통형상의 흡인자(34)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헤드(31)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상의 장착홈)에, 실재로서의 O링(31A)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자식 액추에이터(30) 중의, 플런저(37)를 제외한, 코일(32),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솔레노이드부(30A)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33)의 상부에는, 단원주형의 고정자(65)가 압입 등에 의해 고착되고, 스테이터(33)의 내주측에서의 상기 고정자(65)와 흡인자(34)의 사이에는,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이 도입되는 감압실(45)이 형성되고, 이 감압실(45)에는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41), 역철자형상의 상스토퍼(42), 역요자형상의 하스토퍼(43), 및 압축 코일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지는 벨로우즈 장치(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로우즈 장치(40)의 하측에는, 추력 전달부재로서의 단(段)이 붙은 봉형상의 푸시 로드(46)가 축선(O)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푸시 로드(46)는, 상측부터, 상부 소경부(46d), 중간 몸통부(활주부)(46c), 하부 소경부(46b)를 가지며, 하스토퍼(43)의 오목부 내에는 상기 푸시 로드(46)의 상부 소경부(부 밸브체(17)측과는 반대측의 단부)(46d)가 감삽되어 지지되고, 흡인자(34)의 삽통구멍(34a)에 상기 푸시 로드(46)의 중간 몸통부(46c)가 활주 자유롭게 내삽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46)의 하부 소경부(46b)는, 후술하는 단면 오목형상의 부 밸브체(17)의 오목구멍(17b)에 내삽되고, 그 하단부(46a)가, 오목구멍(17b)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감삽구멍(17c)에 감입되어 있다.
플런저(37)에는, 상기 흡인자(34)의 삽통구멍(34a)과 개략 같은 지름의 세로로 길다란 오목구멍(17b)을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부 밸브체(17)가 압입 등에 의해 내삽 고정되어 있다. 이 부 밸브체(17)는, 그 상단부가 플런저(37)의 상단부와 위치맞춤되고(환언하면, 그 상단부가 플런저(37)의 상단부 내주에 위치 결정되고), 그 하단부가 플런저(37)의 저부와 간극을 갖는 상태로(후에 상세히 기술하지만,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가 약간의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간극을 갖는 상태로), 상기 플런저(37)에 내감되어 있다. 부 밸브체(17)의 오목구멍(17b)의 저부 중앙에는, 상기 푸시 로드(46)(의 하부 소경부(46b))의 하단부(46a)가 감삽되는 오목형상의 감삽구멍(1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시 로드(46)의 상부 소경부(46d)와 중간 몸통부(46c)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하향의 환형상의 단구면)와 부 밸브체(17)의 오목구멍(17b)의 저부(에서의 감삽구멍(17c) 주위의 상향의 면)(플런저(37))와의 사이에는, 상기 푸시 로드(46)의 하부 소경부(46b)에 외삽되도록 하여, 부 밸브체(17) 및 플런저(37)를 하방(밸브개방 방향)으로 가세하는 원통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스프링(밸브개방 스프링)(47)이 수축장착되어 있고, 당해 플런저 스프링(47)에 의해 부 밸브체(17)가 하방으로 가세된 상태로 당해 부 밸브체(17)와 플런저(37)가 함께 상하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플런저 스프링(47)(의 압축력)에 의해, 부 밸브체(17)가 후술하는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됨과 함께, 푸시 로드(46)를 통하여 상기 벨로우즈 장치(40)가 감압실(45) 내에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4A∼E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런저(37)의 저부에는, 그 중앙(축선(O)상)에, 플런저(37)의 내경보다 소경의 중앙구멍(37b)이 형성됨과 함께, 중앙으로부터 약간 편심한 위치에, 일부가 상기 중앙구멍(37b)에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플런저(37)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지름(환언하면, 중앙구멍(37b)보다 대경)의 삽입구멍(3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37c)은, 플런저(37)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깊이(상하 방향 깊이)까지 천공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37c)의 구멍 지름(플런저(37)의 내경, 부 밸브체(17)의 외경)은, 후술하는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보다 약간 대경으로 됨과 함께, 상기 중앙구멍(37b)의 구멍 지름은,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보다 약간 대경이면서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보다 약간 소경이 되고, 플런저(37)의 저부 상면에서의 상기 중앙구멍(37b)의 외주부분이,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를 괘지하기 위한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7)의 저부(의 상면)와 부 밸브체(17)의 하단부(평탄면)와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플런저(37)의 저부의 두께(상하 방향의 높이)는,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주 밸브체(15)는, 플런저(37)에 대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상세는 후술).
또한, 본 예에서는, 플런저(37)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D컷면(37d)이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37)(의 D컷면(37d))의 외주와 안내 파이프(35)의 사이에 간극(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D컷면(37d)에 대신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세로홈을 형성하여, 플런저(37)의 외주와 안내 파이프(35)의 사이에 간극(36)을 형성하여도 좋다.
밸브체(10)는, 종방향으로 나열하여(축선(O) 방향에 따라) 배치된 단이 붙은 축형상의 주 밸브체(15)와 전술한 부 밸브체(17)로 이루어져 있다.
하측에 배치된 주 밸브체(15)는, 비자성재로 제작되고, 아래로부터 차례로, 주 밸브체부(15a), 중간 소경부(15d), 비교적 길다란 감삽부(15e), 상부 소경부(15f), 및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로 되어 있고, 그 내부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밸브내 도피통로(16)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통 도피구멍(16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부(역립 원추대면부)가, 부 밸브체(17)의 하단부(부밸브부)(17a)가 접리하는 부밸브 시트부(23)로 되어 있다.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는, 상기 중앙구멍(37b)에 완만하게 내감되고,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는 상기 중앙구멍(37b)보다 대경(또한 플런저(37)의 내경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고, 플런저(37)가 주 밸브체(15)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중앙구멍(37b)의 외주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형상 괘지부(37k)에 의해 플랜지형상 계지부(15k)가 걸려서 빠짐방지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 밸브체(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밸브체(15)의 상측에서 상기 플런저(37)에 내삽 고정되어 있고, 그 외경(=플런저(37)의 내경)은, 상기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그 하단부(평탄면)가,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 연부인 부밸브 시트부(23)에 접리하여 밸브내 도피통로(16)를 개폐하는 부 밸브체부(17a)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부밸브 시트부(23)와 부 밸브체부(17a)로 부밸브부(12)가 구성된다.
이 부 밸브체(17)는,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플런저(37)와 같은 재질의 자성재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한, 플런저(37)와 다른 재질의 자성재로 구성하여도 좋지만, 플런저(37)와 다른 재질의, 환언하면, 다른 자성력을 갖는 자성재로 구성하면,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흡인력의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부 밸브체(17)는, 비자성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부 밸브체(17)는, 1부재(1부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밸브체(10)(주 밸브체(15) 및 부 밸브체(17))와 플런저(37)와의 조립에 즈음하여서는, 예를 들면, 부 밸브체(17)를 플런저(37)(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하고, 미리 밸브본체(20)(의 안내구멍(19))에 조립한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 및 상부 소경부(15f)를 플런저(37)의 삽입구멍(37c)에 아래로부터 삽입하고, 당해 주 밸브체(15)를 플런저(37)에 대해 횡이동시켜, 플런저(37)의 저부 중앙에 마련된 중앙구멍(37b)에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를 삽입하고, 부 밸브체(17)의 하측에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를 배치하면 좋다.
한편, 상기 밸브본체(20)는, 상부 중앙에 감합용의 오목구멍(20C)이 마련된 본체부재(20A)와, 상기 오목구멍(20C)에 압입 등에 의해 내삽 고정된 지지부재(20B)와의 2분할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재(20B)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SUS) 등의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오목구멍(20C)에 감삽되는 감삽부(24)의 상측에, 플런저(37)의 최하강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스토퍼부(24A)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삽부(24)는 단이 붙어서 형성되어 있고, 상측 대경부(24a)의 하측에, 그 상측 대경부(24a)보다 상하 방향 길이가 길다란 하측 소경부(24b)가 마련되고, 그 하측 소경부(24b)의 하단에, 본체부재(20A)의 오목구멍(20C)과 수용구멍(18)과의 사이의 단차부(단구면)에 당접하게 되는 플랜지형상 당접부(24c)가 외측을 향하여 비어져 나오도록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20B)의 중앙부에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주 밸브체(15)의 감삽부(15e)가 활주 자유롭게 감삽되는 안내구멍(19)이 형성되고, 이 안내구멍(19)의 하단부가 상기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구(22)(밸브 시트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 밸브체부(15a)와 밸브구(22)로 주밸브부(11)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B)는, 스테인리스 등의 고경도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그 비중도 높다.
본체부재(20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진유(眞鍮), 또는 수지 등의 스테인리스 등에 비하면 비교적 비중이 낮은 재료(즉, 비교적 경도가 낮은 재료)로 제작되고, 본체부재(20A)의 오목구멍(20C)에 지지부재(20B)(의 감삽부(24))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24A)의 외주에는,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의 입출실(28)이 형성됨과 함께, 그 입출실(28)의 외주측에 복수개의 Ps 입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Ps 입출구(27)로부터 입출실(28)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플런저(37)의 외주와 안내 파이프(35)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6)(본 예에서는, D컷면(37d)에 의해 형성된 간극) 등을 통하여 상기 감압실(45)에 도입된다.
또한, 본체부재(20A)에서의 오목구멍(20C)도 단이 붙어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0B)의 상측 대경부(24a)가 감삽되는 상측 대경구멍(20Ca)과 상기 하측 소경부(24b)가 감삽되는 하측 소경구멍(20Cb)으로 구성되고, 상측 대경부(24a)의 외주와 상측 대경구멍(20Ca)의 내주가 당접하고(환언하면, 상측 대경구멍(20Ca)에 상측 대경부(24a)가 감합(내접)하게 되고), 하측 소경부(24b)의 외주와 하측 소경구멍(20Cb)의 내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는 자세로, 본체부재(20A)의 오목구멍(20C)에 지지부재(20B)가 내삽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측 소경구멍(20Cb)의 저부 중앙에는,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를 수용하는 단이 뭍은 단이 붙은 수용구멍(18)이 연설되어 있다. 수용구멍(18)의 내주에 마련된 단차부와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의 하부 외주에 마련된 단차부(단구면)(15g)의 사이에는, 원추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밸브폐쇄 스프링(50)이 수축장착되고, 이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주 밸브체(15)(의 감삽부(15e)와 상부 소경부(15f)와의 단차부)가 플런저(37)(의 저부)에 꽉 눌린다.
또한, 수용구멍(18) 내(상기 지지부재(20B)의 밸브구(22)보다 하측 부분)가 밸브실(21)로 되어 있고, 상기 오목구멍(20C)에서의 하측 소경구멍(20Cb)에, 압축기(100)의 토출실(106)에 연통하는 Pd 도입구(25)가 복수개 개구하게 되고, 그 Pd 도입구(25)의 외주에 링형상의 필터 부재(25A)가 외장되고, 상기 감삽부(24)에서의 하측 소경부(24b)에, 상기 Pd 도입구(25)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가로 구멍(25s)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재(20A)의 하단부에는, 필터로서 기능하는 덮개형상 부재(48)가 계합·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덮개형상 부재(48)보다 상측이며 수용구멍(18)보다 하측이, 압축기(100)의 크랭크실(104)에 연통하는 Pc 입출실(입출구)(26)로 되어 있다. 이 Pc 입출실(입출구)(26)은, 밸브실(21)→밸브구(22)와 주 밸브체부(15a)의 사이의 간극→안내구멍(19)의 하부와 중간 소경부(15d)의 사이의 간극→하측 소경부(24b)의 가로 구멍(25s)→하측 소경부(24b)와 하측 소경구멍(20Cb)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상기 Pd 도입구(25)에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 밸브체(15)에 형성된 관통 도피구멍(16A), 플런저(37) 내에 마련된 중앙구멍(37b) 및 삽입구멍(37c), 입출실(28) 등으로,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을 Ps 입출구(27)를 통하여 압축기(100)의 흡입실(107)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내 도피통로(16)가 구성되고, 주 밸브체(15)의 관통 도피구멍(16A)의 상단 연부인 부밸브 시트부(23)에 부 밸브체(17)의 부 밸브체부(17a)가 접리함에 의해,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16)가 개폐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1)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37), 주 밸브체(15), 및 부 밸브체(17)가 최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플런저(37)의 최하단면이 스토퍼부(24A)에 당접, 주밸브부(11)는 전개(全開), 부밸브부(12)는 전폐)에서,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와 밸브구(22)(밸브 시트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격리 거리가 제1 리프트량(Lv)이 되고,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와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와의 격리 거리는 소정량(La)이 되고, 상기 플런저(37)의 최대 리프트량(제2 리프트량)(Lp)(플런저(37)의 최하강 위치로부터 최상승 위치까지의 리프트량)은, 제1 리프트량(Lv)+소정량(La)으로 되어 있다.
[제어밸브의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제어밸브(1)의 동작을 개략 설명한다.
통상제어시(Pd→Pc 제어시)에는, 플런저(37)(및 부 밸브체(17))의 리프트량은, 최대라도 상기 제1 리프트량(Lv) 강이 되고, 압축기 기동시(Pc→Ps 제어시)에는, 플런저(37)(및 부 밸브체(17))의 리프트량은, 상기 제2 리프트량(Lp)이 된다.
즉, 통상제어시(Pd→Pc 제어시)에는, 코일(32), 스테이터(33) 및 흡인자(34) 등으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부(30A)가 통전 여자되면, 흡인자(34)에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가 함께 (상방향으로) 끌어당겨지고, 이 움직임에 추종하여,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주 밸브체(15)가 상방(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100)로부터 Ps 입출구(27)에 도입된 흡입 압력(Ps)은, 입출실(28)로부터 플런저(37)의 외주와 안내 파이프(35)의 사이의 간극(36) 등을 통하여 감압실(45)에 도입되고, 벨로우즈 장치(40)(내부는 진공압)은 감압실(45)의 압력(흡입 압력(Ps))에 응하여 신축 변위(흡입 압력(Ps)가 높으면 수축, 낮으면 신장)하고, 그 변위가 푸시 로드(46)가나 부 밸브체(17) 등을 통하여 주 밸브체(15)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밸브 개방도(밸브구(22)와 주 밸브체부(15a)와의 격리 거리)가 조정되어, 그 밸브 개방도에 응하여,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조정된다. 이에 수반하여, 압축기(100)의 사판(102)의 경사각도 및 피스톤(105)의 스트로크가 조정되어, 토출 용량이 증감된다.
이 경우, 주 밸브체(15)는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상향으로 가세되어 있음과 함께, 부 밸브체(17)는 밸브개방 스프링(47)의 가세력에 의해 항상 하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부 밸브체부(17a)는 부밸브 시트부(23)에 꽉 눌려진 상태(부밸브부(12)가 밸브폐쇄)가 되고, 밸브내 도피통로(16)는 주 밸브체(15) 내에서 차단되어 있다. 그때문에,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통하여 크랭크실 압력(Pc)이 흡입실(107)에 도피되는 일은 없다.
그에 대해, 압축기 기동시에는, 솔레노이드부(30A)가 통전 여자되어, 흡인자(34)에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가 함께 (상방향으로) 끌어당겨지고, 이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여 주 밸브체(15)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에 의해 밸브구(22)가 폐쇄된 후, 또한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부 밸브체(17)가 밸브내 도피통로(16)를 개방하게 되고, 크랭크실(104)의 압력(Pc)이 기내 도피통로(108)와 밸브내 도피통로(16)의 2개의 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07)로 도피된다.
상세하게는, 플런저(37)(및 부 밸브체(17))의 상방향 이동량이 제1 리프트량(Lv)에 달할 때까지는, 주 밸브체(15)가 밸브폐쇄 스프링(50)의 가세력에 의해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의 상방향 이동에 추종하도록 밸브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방향 이동량이 상기 제1 리프트량(Lv)에 달하면, 주 밸브체(15)의 주 밸브체부(15a)에 의해 밸브구(22)가 폐쇄되고(도 2에 도시하는 상태), 이 주밸브부(11)의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또한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가 상기 소정량(La)만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에 도시하는 상태). 환언하면,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의 상방향 이동량이 상기 제1 리프트량(Lv)에 달한 후,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가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에 계지될 때까지의 소정량(La)분만큼 부 밸브체(17)가 플런저(37)와 함께 흡인자(34)측으로 끌어당겨지다(제1 리프트량(Lv)+소정량(La)=제2 리프트량(Lp)). 이 경우, 주 밸브체(15)는 밸브폐쇄 상태 그대로 부동이기 때문에, 부 밸브체(17)의 부 밸브체부(17a)는, 부밸브 시트부(23)로부터 소정량(La)만큼 리프트하게 되고, 이에 의해 밸브내 도피통로(16)가 개방된다. 플런저(37)의 내플랜지형상 괘지부(37k)가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에 계지되면, 솔레노이드부(30A)가 흡인력을 발생하여도,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는 그 이상 끌어올려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 밸브체(17)의 상단부가 플런저(37)의 상단부와 위치맞춤된 상태에서 부 밸브체(17)가 플런저(37)에 내삽 고정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 밸브체(17)의 상단부의 위치를 플런저(37)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해 변경함에 의해,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흡인력의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1)에서는, 감압 응동 부재로서의 벨로우즈 장치(40)와 부 밸브체(17)의 사이에 푸시 로드(46)가 개재되고, 부 밸브체(17)를 밸브내 도피통로(1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함과 함께 푸시 로드(46)를 통하여 벨로우즈 장치(40)를 감압실(45)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부 밸브체(17)와 푸시 로드(46)의 사이에, 그 부 밸브체(17)와 그 푸시 로드(46)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플런저 스프링(가세 부재)(47)이 개장되어 있다. 즉, 부 밸브체(17)와 푸시 로드(46)의 사이에 개장된 하나의 가세 부재로 벨로우즈 장치(40)와 부 밸브체(17)(플런저(37))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제품 비용을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런저 스프링(47)의 길이를 단축하여, 제어성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46)(의 중간 몸통부(46c))는, 벨로우즈 장치(40)와 부 밸브체(17)의 사이에 배치된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흡인자(34)에 마련된 삽통구멍(34a)에 활주 자유롭게 내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푸시 로드(46)가 흡인자(34)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제어성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플런저 스프링(47)은, 상기 푸시 로드(46)에서의 삽통구멍(34a)에 활주하는 부분(중간 몸통부(46c))의 부 밸브체(17)측에 형성된 단차부와 부 밸브체(17)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제어밸브(1)의 외경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흡인자(34)의 하면(삽통구멍(34a) 이외의 부분)(플런저(37)측의 대향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자로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과 상기 부 밸브체(17) 및 상기 플런저(37)의 상면(구체적으로는, 부 밸브체(17)의 상면과 플런저(37)의 상면을 합친 면)(흡인자(34)측의 대향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자로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이 거의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격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흡인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더한층의 소형화(특히, 전자식 액추에이터(30)의 코일(32) 부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6∼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주밸브 : 개, 부밸브 : 폐 상태(통상제어시), 도 7은 주밸브 : 폐, 부밸브 : 폐 상태(압축기 기동 이행시), 도 8은 주밸브 : 폐, 부밸브 : 개의 상태(압축기 기동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밸브(1)에 대해, 기본적으로, 플런저(37) 및 부 밸브체(17)의 구성만이 상위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기한 상위점만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1)에서는, 플런저(37)와 부 밸브체(17)가 별도부재(별개의 부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2)에서는, 플런저(37)와 부 밸브체(17)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이하, 종합하여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라고 한다). 즉, 여기서는, 부 밸브체(17)는, 플런저(37)와 같은 재질의 자성재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도 9A∼F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의 하부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중앙구멍(37b)이 형성됨과 함께, 그 중앙구멍(37b)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상기 중앙구멍(37b)의 구멍 지름과 개략 같은 폭의 슬릿(37s)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구멍(37b) 및 슬릿(37s)의 상측에, 그 중앙구멍(37b) 및 슬릿(37s)에 겹쳐지도록, 평면시로 개략 반원형의 절입(37t)이 (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입(37t)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슬릿(37s) 및 중앙구멍(37b)의 (상하 방향의)높이는,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고, 주 밸브체(15)는, 플런저(37)에 대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릿(37s)의 (횡방향의) 폭은,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주 밸브체(15)의 상부 소경부(15f)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됨과 함께,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밸브체(10)(주 밸브체(15))와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와의 조립에 즈음하여서는, 예를 들면, 미리 밸브본체(20)(의 안내구멍(19))에 조립한 주 밸브체(15)의 플랜지형상 계지부(15k) 및 상부 소경부(15f)가 각각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의 절입(37t) 및 슬릿(37s)에 삽입되도록, 당해 주 밸브체(15)를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에 대해 횡이동시켜,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37A)의 하부 중앙에 마련된 중앙구멍(37b)에 상부 소경부(15f)를 삽입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제2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2)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어밸브(1)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플런저(37)와 부 밸브체(17)가 일부품(일체 성형품)으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제품 비용을 더욱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제1 실시 형태)
2 :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제2 실시 형태)
10 : 밸브체 11 : 주밸브부
12 : 부밸브부 15 : 주 밸브체
15a : 주 밸브체부 15k : 플랜지형상 계지부
16 : 밸브내 도피통로 17 : 부 밸브체
17a : 부 밸브체부 17b : 오목구멍
17c : 감삽구멍 18 : 수용구멍
19 : 안내구멍 20 : 밸브본체
20A : 본체부재 20B : 지지부재
20C : 오목구멍 21 : 밸브실
22 : 밸브구 23 : 부밸브 시트부
24 : 감삽부 24A : 스토퍼부
25 : Pd 도입구 26 : Pc 입출구
27 : Ps 입출구 28 : 입출실
30 : 전자식 액추에이터 30A : 솔레노이드부
32 : 코일 33 : 스테이터
34 : 흡인자 34a : 삽통구멍
35 : 안내 파이프 37 : 플런저
37A : 부 밸브체 붙음 플런저(제2 실시 형태)
37b : 중앙구멍 37c : 삽입구멍
37k : 내플랜지형상 괘지부 37s : 슬릿(제2 실시 형태)
37t : 절입(제2 실시 형태) 40 : 벨로우즈 장치(감압 응동 부재)
45 : 감압실 46 : 푸시 로드
46a : 푸시 로드의 하단부 46b : 하부 소경부
46c : 중간 몸통부 46d : 상부 소경부
47 : 플런저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가세 부재)
50 : 밸브폐쇄 스프링 Lv : 제1 리프트량
La : 소정량 Lp : 제2 리프트량

Claims (12)

  1. 밸브구가 마련된 밸브실 및 압축기의 흡입실에 연통하는 Ps 입출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구보다 상류측에 압축기의 토출실에 연통하는 Pd 도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밸브구보다 하류측에 상기 압축기의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Pc 입출구가 마련된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기 위한 주 밸브체와, 해당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플런저 및 흡인자를 갖는 전자식 액추에이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흡입 압력(Ps)이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도입되는 감압실과, 해당 감압실의 압력에 응하여 상기 주 밸브체를 밸브구 개폐 방향으로 가세하는 감압 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실의 압력(Pc)을 상기 Ps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의 흡입실에 도피시키기 위한 밸브내 도피통로가 상기 주 밸브체 내에 마련됨과 함께, 해당 밸브내 도피통로를 개폐하는 부 밸브체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최하강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폐쇄한 채로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부밸브에 추종하도록 상기 주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주 밸브체에 의해 상기 밸브구가 폐쇄된 후, 또한 상기 플런저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상기 부 밸브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부 밸브체가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감압 응동 부재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푸시 로드가 개재되고, 상기 부 밸브체를 상기 밸브내 도피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함과 함께 상기 푸시 로드를 통하여 상기 감압 응동 부재를 상기 감압실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푸시 로드의 사이에, 해당 부 밸브체와 해당 푸시 로드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가 개장되어 있고,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감압 응동 부재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자식 액추에이터의 상기 흡인자에 마련된 삽통구멍에 활주 자유롭게 내삽되어 있고,
    상기 가세 부재는, 상기 푸시 로드에서의 상기 삽통구멍에 활주하는 부분의 상기 부 밸브체측에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부 밸브체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 부재는, 원통형상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및 상기 가세 부재는, 상기 부 밸브체 또는 상기 플런저에 마련된 오목구멍에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부 밸브체 또는 상기 플런저에 마련된 감삽구멍에 감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통형상을 가지며, 해당 플런저에 상기 부 밸브체가 내삽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가 별도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와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자성재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비자성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자의 하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과 상기 부 밸브체 또는 상기 플런저의 상면의 수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33578A 2016-06-28 2017-04-20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2149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7841A JP6647156B2 (ja) 2016-06-28 2016-06-28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JP-P-2016-127841 2016-06-28
PCT/JP2017/015860 WO2018003252A1 (ja) 2016-06-28 2017-04-20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952A KR20180135952A (ko) 2018-12-21
KR102149807B1 true KR102149807B1 (ko) 2020-08-31

Family

ID=6078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78A KR102149807B1 (ko) 2016-06-28 2017-04-20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010466A1 (ko)
EP (1) EP3477169B1 (ko)
JP (1) JP6647156B2 (ko)
KR (1) KR102149807B1 (ko)
CN (1) CN109416132B (ko)
MX (1) MX2018014957A (ko)
WO (1) WO2018003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9075B2 (ja) * 2018-01-22 2022-09-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KR102352195B1 (ko) * 2018-02-27 2022-01-17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JP7055768B2 (ja) * 2019-04-12 2022-04-1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US11300219B2 (en) * 2020-07-28 2022-04-12 Mahle International Gmbh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6914A (ja) * 2011-05-30 2012-12-13 You-Tech Solution Co Ltd 可変容量圧縮機の電子制御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5055A (ja) * 1999-12-09 2001-06-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制御弁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
JP5553514B2 (ja) 2009-02-10 2014-07-16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5878703B2 (ja) * 2010-09-06 2016-03-08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13130126A (ja) 2011-12-21 2013-07-04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6914A (ja) * 2011-05-30 2012-12-13 You-Tech Solution Co Ltd 可変容量圧縮機の電子制御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47156B2 (ja) 2020-02-14
US20210010466A1 (en) 2021-01-14
EP3477169A1 (en) 2019-05-01
JP2018003878A (ja) 2018-01-11
EP3477169B1 (en) 2020-10-21
CN109416132A (zh) 2019-03-01
KR20180135952A (ko) 2018-12-21
EP3477169A4 (en) 2019-11-27
WO2018003252A1 (ja) 2018-01-04
MX2018014957A (es) 2019-04-25
CN109416132B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692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102149807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JP6383720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5878703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09477592B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JP2022025056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1711054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2090333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6355617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09416035B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WO2020084941A1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WO2019146388A1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757074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2101307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조립 방법
CN111699319A (zh) 可变容量型压缩机用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