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634B1 -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 Google Patents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634B1
KR102149634B1 KR1020200054207A KR20200054207A KR102149634B1 KR 102149634 B1 KR102149634 B1 KR 102149634B1 KR 1020200054207 A KR1020200054207 A KR 1020200054207A KR 20200054207 A KR20200054207 A KR 20200054207A KR 102149634 B1 KR102149634 B1 KR 10214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upled
elastic member
brake ro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부와 결합되는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하 관통하여 수직 축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부재가 수평회전 가능하며,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통하여 일정 거리 상하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봉;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TRAVEL BAG WITH BRAKE SYSTEM}
본 발명은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에 관한 것이다.
바퀴들이 달린 여행 가방에 제동 장치가 구비되면 여행 가방을 정지 상태로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둘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9-0002055에는 "스토퍼가 내장된 여행용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9-0002055에 개시된 "스토퍼가 내장된 여행용 캐리어"는 바퀴들에 직접적인 제동이 가해지지 않고 스토퍼가 지면에 접촉할 때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여행 가방의 무게에 의해 제동 조작 및 제동 효과가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퀴에 직접적인 제동이 가해질 수 있는 여행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여행 가방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부와 결합되는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하 관통하여 수직 축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부재가 수평회전 가능하며,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통하여 일정 거리 상하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봉;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되는 바퀴; 상기 브레이크 봉과 결합되는 가동 부재; 상기 브레이크 봉을 상방향으로 복귀시켜줄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제 1 탄성 부재; 버튼 결합 부재와 버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버튼 조립체; 상부가 상기 버튼 부재와 결합되는 누름봉; 상기 누름봉이 상기 가동 부재를 간접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결합 부재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는 누름버튼과 젖힘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젖힘버튼은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젖힘버튼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립체가 제 3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젖힘버튼이 일정 각도 위로 젖혀지거나 또는 그와 같이 위로 젖혀진 상기 젖힘버튼이 상기 연결부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또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고,
상기 버튼 부재가 일정 거리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 결합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젖힘버튼이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고, 또한 상기 누름봉이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누름봉이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를 간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봉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에 접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젖힘버튼을 위로 젖히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버튼 부재 및 상기 누름봉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봉이 상방향으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봉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여행 가방에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여행 가방에서, 상기 몸체는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러기지, 그리고 골프백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은 바퀴에 직접적인 제동이 가해짐으로써, 제동을 위한 조작을 할 때 가방의 무게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제동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여행 가방에 포함된 캐스터 바퀴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B)는 상부 부재 위에 일정 길이의 가이드 튜브가 부착되거나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C)는 브레이크 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가이트 튜브 내측 및 수직 축 관통 구멍에 브레이크 봉이 일정 깊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한쪽의 바퀴 지지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브레이크 봉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여행 가방에 포함된 버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버튼 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튼 조립체에 포함된 버튼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버튼 조립체에 포함된 버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도 8의 (A)의 버튼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여행 가방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제 2 탄성 부재 하우징의 일부가 절단되어 제거되고, 그 내측에 제 2 탄성 부재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누름봉이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됨으로써 제 2 탄성부재가 다소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8의 여행 가방에서 젖힘버튼이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는 또 다른 구조의 버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버튼 부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버튼 결합 부재 대신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와 구조의 버튼 결합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 1 탄성 부재들이 압축 스프링으로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1의 여행 가방에서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가동 부재 등이 몸체의 전면부에 의해 가려지고, 누름버튼과 젖힘버튼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여행 가방에서 젖힘버튼이 위로 다소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 또는 "결합되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거나 집접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거나 간접 결합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도면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거나 또는 이해를 돕기 위해 그 부분에 대해 정상적인 비율보다 다소 과장되어 표시되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여행 가방" 이라 함은, 예를 들어, 가방, 러기지(luggage), 숫케이스(suitcase), 트렁크(trunk), 트롤리 백(trolley bag), 핸드 트럭(hand truck), 핸드 카트(hand cart), 그리고 골프 백(golf bag) 중에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앞쪽으로", "뒤쪽으로", "위로", "아래로", "상", "하", "좌", "우", "전면", "후면", "상면", "저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명확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100)의 사시도 이다.
여행 가방(100)의 몸체(4)는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러기지, 그리고 골프백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행 가방(100)의 몸체(4)에는 한 개 이상의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 10B)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4)에는 핸들바 가이드 지지대(13)가 결합될 수 있다. 핸들바 가이드 지지대(13)에는 한 개 이상의 핸들바 홀더(12A, 12B)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 10B)가 핸들바 홀더(12A, 12B)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행 가방(100)의 몸체(4)에는 한 개 이상의 핸들 익스텐더(3A, 3B)가 일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익스텐더(3A, 3B)가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 10B)의 내측을 통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한 개 이상의 핸들 익스텐더(3A, 3B)의 상부에 핸들(1)이 부착될 수 있다.
핸들(1)은 핸들 버튼(2)을 가질 수 있으며, 핸들 버튼(2)의 조작에 의해 핸들 익스텐더(3A, 3B)가 빼올려진 높낮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의 여행 가방(100)에서는 핸들(1) 및 핸들 익스텐더(3A, 3B)가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몸체(4)의 저면부에는 복수의 바퀴(24A, 24B, 24C)가 결합된다.
도 2의 (A)는 도 1의 여행 가방(100)에 포함된 캐스터 바퀴 조립체(27A)를 나타낸 것이다.
캐스터 바퀴 조립체(27A)는 상부부재(20A), 바퀴 지지대(22A, 22B)를 포함하는 하부부재(21A), 그리고 바퀴 지지대(22A, 22B)와 결합되는 바퀴(24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하부부재(21A)가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수평회전 가능하게 상부부재(20A)와 결합된다.
상부부재(20A)와 하부부재(21A)를 상하 관통하여 수직 축 관통 구멍(26)이 형성된다. (수직 축 관통 구멍(26)을 중심으로 하부부재(21A)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상부부재(20A)와 결합된다.)
바퀴(24A)가 바퀴 축(2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부재(20A)가 몸체(4)의 저면부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캐스터 바퀴 조립체(27A)가 몸체(4)의 저면부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B)에서처럼 상부부재(20A)의 위에 일정 길이의 가이드 튜브(19A)가 부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축 관통 구멍(26) 및 가이드 튜브(19A)의 내측이 상하 관통된다.
도 2의 (C)는 도 2의 (A)의 수직 축 관통 구멍(26)에 삽입되어 일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도 2의 (B)의 가이드 튜브(19A)의 내측 및 수직 축 관통 구멍(26)에 삽입되어 일정 거리 상하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봉(17A)의 사시도 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B)의 가이드 튜브(19A)의 내측 및 수직 축 관통 구멍(26)의 내측에 도 2의 (C)의 브레이크 봉(17A)이 일정 깊이 삽입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서 바퀴 지지대(22A)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접하지 않고,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바퀴(24A)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가 되면 바퀴(24A)가 바퀴 축(25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A)와 (B)에서 브레이크 봉(17A)이 하방향으로 다소 이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바퀴(24A)에 접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처럼 브레이크 봉(17A)이 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바퀴(24A)에 접하고 바퀴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 마찰력에 의해 바퀴(24A)가 바퀴 축(25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제동이 걸리게 된다.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고무 또는 우레탄 등 미끄럼 방지 물질(20)을 포함하거나 코팅 되면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가 바퀴(24A)에 압력을 가할 때 마찰력이 더욱 향상되어 제동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도면상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부재(21A)의 수평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부부재(21A)와 상부부재(20A) 사이에 베어링들이 결합되게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행 가방(100)은 브레이크 봉(17A)과 브레이크 봉(17B)이 가동 부재(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여행 가방(100)은 도 4에서처럼 하방향으로 이동된 브레이크 봉(17A)과 브레이크 봉(17B)을 상방향으로 복귀시켜줄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적용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5A, 15B)에 의해 가동 부재(16)가 상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가동 부재(16)와 핸들바 가이드 지지대(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인장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몸체(4)에 설치되는 위치와 설치되는 방식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의 여행 가방(100)은 제 1 탄성 부재(15A, 15B)에 의해 가동 부재(16) 및 브레이크 봉(17A, 17B)이 상방향으로 당겨져 이동됨으로써 도 3에서처럼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와 브레이크 봉(17B)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바퀴(24B)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됨으로써, 바퀴(24A)와 바퀴(24B)가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도 5의 (A)는 도 1의 여행 가방(100)에 포함된 버튼 조립체(5)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버튼 조립체(5)에서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버튼 조립체(5)는 도 6의 버튼 결합 부재(30)와 도 7의 버튼 부재(34)를 포함한다.
도 6의 버튼 결합 부재(30)는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홀더 구멍(31A, 31B), 슬라이드 홈(32A, 32B), 그리고 걸림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3A)는, 예를 들어, 홈 또는 슬롯(slot) 또는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튼 조립체(5)가 몸체(4)에 결합될 수 있다. (버튼 결합 부재(30)가 몸체(4)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홀더 구멍(31A)에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가 삽입되고,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홀더 구멍(31B)에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B)가 삽입됨으로써, 버튼 결합 부재(30)가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와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B)에 결합될 수 있다.
버튼 결합 부재(30)가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A)와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10B)에 결합되는 방식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의 (A)의 버튼 부재(34)는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을 포함한다.
젖힘버튼(7)이 걸림돌기(9)를 갖는다.
걸림돌기(9)가 걸림돌기 지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연결부(3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B)에서처럼 젖힘버튼(7)을 위로 젖히면 연결부(36)가 탄력적으로 다소 굽혀짐으로써 젖힘버튼(7)이 일정 각도 위로 젖혀질 수 있고, 젖힘버튼(7)을 놓으면 연결부(36)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도 7의 (A)에서처럼 젖힘버튼(7)이 복귀될 수 있다.
슬라이드 홈 삽입부(35A)와 슬라이드 홈 삽입부(35B)가 슬라이드 홈(32A)과 슬라이드 홈(32B)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버튼 부재(34)가 도 5의 (A)와 (B)에서처럼 일정 거리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게 버튼 결합 부재(30)와 결합될 수 있다.
버튼 부재(34)가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을 포함하므로써 버튼 부재(34)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함께 상하이동하게 된다.
도 5의 (A)에서처럼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5의 (B)에서처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와 접하거나 또는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에 걸리게 된다. (걸림돌기(9)가 홈 또는 슬롯 또는 구멍의 형상으로 된 걸림부(33A)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와 접하거나 또는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에 걸리게 된다.)
도 5의 (B)에서처럼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7의 (B)에서처럼 젖힘버튼(7)이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젖혀지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로부터 분리된다. (걸림돌기(9)가 홈 또는 슬롯 또는 구멍의 형상으로 된 걸림부(33A)의 내측으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로부터 분리된다.)
여행 가방(100)에 포함된 누름봉(11)의 상부가 버튼 부재(34)에 결합되거나 연결된다.
누름봉(11)이 슬리브(14, sleeve)의 내측을 통하여 일정 거리 상하 이동 가능하다.
가동 부재(16)에 제 2 탄성 부재 하우징(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캐스터 바퀴 조립체(27A)와 캐스터 바퀴 조립체(27B)에 각각 결합된 브레이크 봉(17A)과 브레이크 봉(17B)을 연결하는 가동 부재(16), 그리고 누름봉(11)을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가동 부재(16)에 형성된 제 2 탄성 부재 하우징(18)의 일부가 절단되어 제거되고, 그 내측에 제 2 탄성 부재(37)가 위치하고 있으며, 누름봉(11)의 상부의 일부가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누름봉(11)이 가동 부재(16)를 간접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제 2 탄성 부재(37)가 적용된다. (누름봉(11)이 제 2 탄성 부재(37)에 의해 가동 부재(16)를 간접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누름봉(11)이 하방향으로 다소 이동됨으로써 누름봉(11)의 하단부가 제 2 탄성 부재(37)를 눌러줌으로써, 제 2 탄성 부재(37)가 다소 압축되고, 가동 부재(16)가 하방향으로 다소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여행 가방(100)에서 도 8의 여행 가방(100)처럼 누름버튼(6)을 눌러 하방향으로 다소 이동시키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에 일정 깊이 삽입됨으로써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와 접하거나 또는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에 걸리게 되고, 도 10에서처럼 누름봉(11)이 하방향으로 다소 이동됨에 따라 누름봉(11)의 하단부가 제 2 탄성 부재 하우징(18) 내에 위치한 제 2 탄성 부재(37)를 눌러줌으로써 누름봉(11)의 하단부가 가동 부재(16)를 간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가동 부재(16)가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와 브레이크 봉(17B)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바퀴(24B)에 각각 접하여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바퀴(24A)와 바퀴(24B)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도 8에서처럼 가동 부재(16)가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면 인장 스프링으로 된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일정 길이 늘어나게 된다.
누름봉(11)이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봉(11)의 하단부에 의해 가동 부재(16)가 눌려질 때, 제 1 탄성 부재(15A, 15B)가 늘어나고 또한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와 브레이크 봉(17B)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바퀴(24B)에 접한 후에 제 2 탄성 부재(37)가 압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의 여행 가방(100)에서 도 11에서처럼 젖힘버튼(7)을 위로 젖히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A) 밖으로 빠져나옴으로써 도 1의 여행 가방(100)처럼 버튼 부재(34) 및 누름봉(11)이 상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고, 가동 부재(16)가 제 1 탄성 부재(15A, 15B)에 의해 상방향으로 복귀됨에 따라 브레이크 봉(17A)과 브레이크 봉(17B)이 상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와 브레이크 봉(17B)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바퀴(24B)로부터 분리되어, 바퀴(24A)와 바퀴(24B)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도 12는 버튼 부재(34)에 도 7의 연결부(36) 대신에 제 3 탄성 부재(38)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탄성 부재(38)는 토션 스프링으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의 (A)에서 젖힘버튼(7)을 위로 젖히면 도 12의 (B)에서처럼 젖힘버튼 회전 축(39)을 중심으로 젖힘버튼(7)이 일정 각도 위로 젖혀질 수 있다.
도 12의 (B)에서처럼 젖힘버튼(7)을 위로 젖힌 상태에서 젖힘버튼(7)을 놓으면 제 3 탄성 부재(38)의 복원력에 의해 도 12의 (A)에서처럼 젖힘버튼(7)이 복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버튼 결합 부재(30) 대신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와 구조의 버튼 결합 부재(3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버튼 결합 부재(30)는 걸림부(33B)가 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걸림부(33B)가 돌기 형상 대신에 턱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과 같은 버튼 결합 부재(30)에 도 7의 (A) 또는 도 12의 (A)와 같은 버튼 부재(34)가 도 5에서처럼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겹합된 상태에서 도 5의 (B)에서처럼 누름버튼(6)과 젖힘버튼(7)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B)에 걸림으로써 걸림돌기(9)와 걸림부(33B)가 접하거나, 또는 그와 같이 걸림돌기(9)와 걸림부(33B)가 접한 상태에서 도 7의 (B) 또는 12의(B)에서처럼 젖힘버튼(7)이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젖혀지면 걸림돌기(9)가 걸림부(33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행 가방(100)은 하방향으로 이동된 브레이크 봉(17A, 17B)을 상방향으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인장스프링으로 된 제 1 탄성 부재들(15A, 15B) 대신에 도 14에서처럼 압축 스프링으로 된 제 1 탄성 부재들(40A, 40B)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가이드 튜브(19A)와 가동 부재(16)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 된 제 1 탄성 부재(40A)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 1 탄성 부재(40A)의 내측에 브레이크 봉(17A)이 위치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가이드 튜브(19B)와 가동 부재(16) 사이에 압축 스프링으로 된 제 1 탄성 부재(40B)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 1 탄성 부재(40B)의 내측에 브레이크 봉(17B)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 누름봉(11)을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시키면 가동 부재(16)가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탄성 부재들(40A, 40B)이 다소 압축되고, 누름봉(11)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하방향으로 이동되었던 가동 부재(16)가 제 1 탄성 부재들(40A, 40B)에 의해 밀려 상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4에서 누름봉(11)이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누름봉(11)의 하단부에 의해 가동 부재(16)가 눌려질 때, 제 1 탄성 부재(40A, 40B)가 압축되고 또한 브레이크 봉(17A)의 하단부와 브레이크 봉(17B)의 하단부가 바퀴(24A)와 바퀴(24B)에 접한 후에 제 2 탄성 부재(37)가 압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는 도 1의 여행 가방(100)에서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가동 부재 등이 몸체(4)의 전면부에 의해 가려지고, 누름버튼과 젖힘버튼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여행 가방에서 젖힘버튼(7)이 위로 다소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핸들
2: 핸들 버튼
3A, 3B: 핸들 익스텐더
4: 몸체
5: 버튼 조립체
6: 누름버튼
7: 젖힘버튼
8: 걸림돌기 지지부
9: 걸림돌기
10A, 10B: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11: 누름봉
12A, 12B: 핸들바 홀더
13: 핸들바 가이드 지지대
14: 슬리브
15A, 15B: 제 1 탄성 부재
16: 가동 부재
17A, 17B: 브레이크 봉
18: 제 2 탄성 부재 하우징
19A, 19B: 가이드 튜브
20A: 상부부재
21A: 하부부재
22A, 22B; 23A, 23B: 바퀴 지지대
24A, 24B, 24C: 바퀴
25A: 바퀴 축
26: 수직 축 관통 구멍
27A: 캐스터 바퀴 조립체
30: 버튼 결합 부재
31A, 31B: 핸들 익스텐더 가이드 홀더 구멍
32A, 32B: 슬라이드 홈
33A, 33B: 걸림부
34: 버튼 부재
35A, 35B: 슬라이드 홈 삽입부
36: 연결부
37: 제 2 탄성 부재
38: 제 3 탄성 부재
39: 젖힘버튼 회전 축
40A, 40B: 제 1 탄성 부재
100: 여행 가방

Claims (3)

  1.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부와 결합되는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상하 관통하여 수직 축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부재가 수평회전 가능하며, 상기 수직 축 관통 구멍을 통하여 일정 거리 상하이동 가능한 브레이크 봉;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되는 바퀴;
    상기 브레이크 봉과 결합되는 가동 부재;
    상기 브레이크 봉을 상방향으로 복귀시켜줄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제 1 탄성 부재;
    버튼 결합 부재와 버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버튼 조립체;
    상부가 상기 버튼 부재와 결합되는 누름봉;
    상기 누름봉이 상기 가동 부재를 간접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결합 부재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는 누름버튼과 젖힘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젖힘버튼은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젖힘버튼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립체가 제 3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젖힘버튼이 일정 각도 위로 젖혀지거나 또는 그와 같이 위로 젖혀진 상기 젖힘버튼이 상기 연결부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또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고,
    상기 버튼 부재가 일정 거리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 결합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젖힘버튼이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고, 또한 상기 누름봉이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상기 누름봉이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를 간접적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봉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에 접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젖힘버튼을 위로 젖히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버튼 부재 및 상기 누름봉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봉이 상방향으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봉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여행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된 여행 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가방, 숫케이스, 트렁크, 러기지, 그리고 골프백 중에 어느
    하나인 여행 가방.







KR1020200054207A 2020-02-27 2020-05-07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KR102149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3963 2020-02-27
KR1020200023963 2020-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634B1 true KR102149634B1 (ko) 2020-08-28

Family

ID=7229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07A KR102149634B1 (ko) 2020-02-27 2020-05-07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6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21510U (zh) * 2015-12-14 2016-06-22 上海电机学院 一种具有制动装置的拉杆箱
CN206333500U (zh) * 2016-12-21 2017-07-18 王绪茂 一种带有制动机构的行李箱
CN107788648A (zh) * 2017-12-12 2018-03-13 绍兴市积成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防滑功能的行李箱
JP2018079027A (ja) *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日乃本錠前 操作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キャスターの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21510U (zh) * 2015-12-14 2016-06-22 上海电机学院 一种具有制动装置的拉杆箱
JP2018079027A (ja) *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日乃本錠前 操作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キャスターのブレーキ装置
CN206333500U (zh) * 2016-12-21 2017-07-18 王绪茂 一种带有制动机构的行李箱
CN107788648A (zh) * 2017-12-12 2018-03-13 绍兴市积成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防滑功能的行李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409B1 (en) Wheeled luggage and associated devices
AU2015260086B2 (en) Carrier having foldable wheels
US5343988A (en) Suitcase or similar container with wheel brake
JP5175329B2 (ja) 移動装置
US20190291766A1 (en) Cart with wheel that is easily lockable and unlockable
US20180257727A1 (en) Foldable three-wheeled scooter
JP2012135435A (ja) バッグ類の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US20190135371A1 (en) Folding mechanism, scooter using the same, folding and locking methods thereof
US20080174081A1 (en) Pushcart
EP1059859A1 (en) Improvements in wheeled luggage and associated devices
KR102149634B1 (ko)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KR20220023410A (ko) 제동 장치를 갖는 바퀴 가방
US8622415B2 (en) Convertible transport apparatus
GB2428190A (en) Locking mechanism for castor
KR20210136248A (ko)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US20210403068A1 (en) Rod rotation apparatus
JP2004223093A (ja) 引き手付きバッグおよびストッパ兼用引き手装置
KR20220051282A (ko)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KR20210137347A (ko)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KR20140102453A (ko) 바퀴가방
CN107161200B (zh) 婴幼儿手推车
JP3180150U (ja) ロッドブレーキ式キャスターロック構造
CN209064167U (zh) 儿童推车
JP6066181B2 (ja) 固定装置、移動装置用の固定装置、移動装置
CN107351887B (zh) 一种折叠式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