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335B1 -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335B1
KR102149335B1 KR1020180113937A KR20180113937A KR102149335B1 KR 102149335 B1 KR102149335 B1 KR 102149335B1 KR 1020180113937 A KR1020180113937 A KR 1020180113937A KR 20180113937 A KR20180113937 A KR 20180113937A KR 102149335 B1 KR102149335 B1 KR 10214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tension
bridge girder
sm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4308A (en
Inventor
심낙훈
Original Assignee
심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낙훈 filed Critical 심낙훈
Priority to KR102018011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335B1/en
Publication of KR2020003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6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위에서 교량 거더가 형성되고 양생되도록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100), 베이스 주변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베이스의 폭방향 양 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놓이며 탈착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 강관(210)과 강관 중 하나로부터 베이스 하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로 연결된 횡방향 연결재(220)를 포함하는 반력프레임, 반력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긴장재(600)의 일 단부가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블럭(400), 반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긴장재의 타 단부가 정착되며 반력 프레임과 이격 거리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긴장블럭(300)을 구비하며, 강관은 직경이 작은 소강관, 직경이 큰 대강관, 소강관과 대강관 사이에서 이들 강관을 이격시킨 채 고정되도록 하는 이격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소강관과 대강관 사이 공간 및 소강관 내부는 빈공간인 다중 강관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텐션 방식으로 교량 거더와 같은 대형 프리스트레스트 부재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제작대의 구성 부분들의 기계적 강성을 긴장재의 긴장력을 견딜 정도로 유지하면서도 구성 부분들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제작대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base 100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the bridge girder is formed and cured from above, as a frame installed around the base, placed in a form extending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installed to be detachable steel pipes 210 And a reaction frame including a transverse connector 220 connected to the othe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om one of the steel pipes, a fixing block 400 installed so that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600 is fixedly fixed at one end of the reaction frame, reaction force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and the tension block 300 is formed so as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ction force frame, and the steel pipe is a small steel pipe with a small diameter, a large steel pipe with a large diameter, a small steel pipe and a large steel pipe A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is disclosed, which is made of a spaced fixing member that allows these steel pipes to be fix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and the inside of the small steel pipe are empty sp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stiffness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fabrication table used when manufacturing a large prestressed member such as a bridge girder by the pretension method to withstand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Assembly and disassembly can be facilitated.

Description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본 발명은 교량 구조를 이루는 거더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거더 제작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조립, 해체가 용이하고 시설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 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프리텐션형 교량 거더 제작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fabrication table that can be used to manufacture a girder constituting a bridg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a pre-tension type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because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reduce the burden of facility costs. It is about the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Prestressed Concrete Method)은 콘크리트 부재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따라서 프리텐션 방식(Pretension Method)과 포스트텐션 방식(Post-tension Method)으로 구분된다.The prestressed concrete method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s the pretension method and the post-ten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tressing method that introduces compressive stress into the concrete member. It is divided into.

프리텐션 방식 부재는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며, 건설현장에 주요한 부재로 사용된다.Pre-tension member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factories and transported to the site, and are used as major members in construction sites.

도 1은 이러한 종래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부재 제작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mber manufacturing diagra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e-tension method.

여기서는 베드(20) 위에서 긴장재(30)의 한 끝을 고정단 정착판(40)에 결속시키고 다른 끝은 가동단 정착판(50)에 결속시킨 후 가동단의 잭(Jack, 60)을 작동시켜 긴장재(30))를 긴장시킨다. 긴장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몰드(10)를 조립한다. 몰드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한 후 콘크리트가 굳어서 충분한 강도에 달하게 되면 결속을 서서히 풀어서 콘크리트 부재에 프리스트레스가 작용되도록 한다.Here, on the bed 20,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30 is bound to the fixed end fixing plate 40, and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movable end fixing plate 50, and then the jack of the movable end is operated. Tension material (30) to tension. Assemble the mold 10 to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old and cured, when the concrete hardens and reaches sufficient strength, the bond is gradually released and the prestress is applied to the concrete member.

도 1은 베드 위에 단일 몰드를 형성한 단일 몰드방식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여러 개의 몰드를 직렬로 배치하고 동시에 프리스트레스가 작용되도록 복수의 부재를 만드는 롱 라인 방식도 프리텐션 방식의 일 종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FIG. 1 mainly describes a single mold method in which a single mold is formed on a bed, a long line method in which multiple molds are arranged in series and a plurality of members are simultaneously applied so that prestress is applied can also be made as a kind of pretension method. .

이에 비해, 주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포스트텐션 방식은 교량의 거더, 건축보 부재 또는 긴 슬래브 부재와 같은 부재를 건설현장 주위에서 제작한 후, 긴장재를 후발적으로 결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한다.In contrast, the post-tension method, which is mainly applied in the field, is produced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of members such as a girder of a bridge, a building beam member, or a long slab member, and then the tension member is laterally combined so that the prestress acts.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을 비교하면, 우선, 포스트텐션 방식은 구조체에 미리 긴장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덕트를 형성하여 그 안에 긴장재를 삽입하고, 긴장재의 텐션을 통해 구조체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덕트 형성을 위한 쉬스관과 긴장재의 정착장치 및 쉬스관 내의 그라우팅밀크 등의 자재가 필요하며, 이를 설치 및 시공하기 위한 인력비용이 추가로 필요하다.When comparing the pre-tension method and the post-tension method, first of all, the post-ten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duct is formed so that the tensio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structure in advance,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therein, and a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structure through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For this reason, materials such as a sheath pipe for duct formation, a fixing device for tension members, and grouting milk in the sheath pipe are required, and additional manpower costs are required to install and construct them.

이에 반해 프리텐션 방식은 정착장치(정착대) 위에 긴장잭을 이용하여 미리 긴장재를 당겨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소요강도를 얻어 후에 정착장치를 해제하여 구조체에 압축응력을 도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tension method uses a tension jack on the fixing device (fixing table) to pull and fix the tension member in advance, then pour concrete to obtain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then release the fixing device to introduce compressive stress to the structure.

그러므로, 프리텐션 방식의 구조체에는 정착장치가 필요 없고, 콘크리트와 긴장재의 부착에 의해 구조체에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쉬스관과 밀크그라우팅의 자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를 설치 및 시공하기 위한 인력비용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pretension type structure does not require a fixing device, and since the compressive stress acts on the structure due to the adhesion of the concrete and the tension member, the sheath tube and the milk grouting material are not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manpower cost for installing and constructing it.

그리고, 포스트텐션 방식은 긴장재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더의 몸체 일부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정착구역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정착구역의 집중하중의 분산을 위해 콘크리트의 단면이 커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st-tension method uses a tension member fixing device to fix it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gird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concentrated load acts on the fixing area and cracks occur.In order to distribute the concentrated load in the fixing area,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is increased. It has a drawback.

그러나, 프리텐션방식은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기 때문에 긴장블럭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단면이나 정착구역의 균열발생이 없다.However, in the pre-tension method, because pre-stress is introduced by the adhesion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 concrete, there is no crack in the concrete section or the fixing area for forming the tension block.

또한, 포스트텐션방식이 쉬스관과 긴장재에 의해 발생하는 곡률마찰, 파상마찰이 발생하지만, 프리텐션방식은 쉬스관이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구조체에 도입되는 유효 압축응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tension method generates curvature and corrugation friction caused by the sheath tube and the tension member, but the pre-tension method does not have to consider the friction force due to the structure without the sheath tube, and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ss introduced into the structure Can increase.

이와 같이 프리텐션 방식은 포스트텐션 방식에 비해 상당히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프리텐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프리텐션 방식의 부재는 운반이 가능한 길이와 중량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제약이 매우 많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tension method has many advantages over the post tension method, but there are not many cases in which the actual pretension method is used. The reason is that the pre-tension-type member manufactured in the factory has many limitations because the length and weight that can be transported must be considered.

따라서 공장에서 제작되는 대형구조물은 프리텐션 방식에 의해 부재가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철근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세그멘트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이들을 조립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다.Therefore, large structures manufactured in factories are not manufactured by the pretension method, but are manufactured by reinforced concrete precast segments, and in the field, a method of assembling them by post-tension method to complete the structure has been widely used.

길이 및 중량이 매우 큰 교량부재의 거더, 건축보 부재 또는 장지간의 슬래브 부재는 단위 중량이 매우 큰 콘크리트가 주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작하는 프리텐션 방식의 부재로 만들기는 어려웠다.It was difficult to make a pretensioned member manufactured in a factory for the girder of the bridge member, the construction beam member, or the slab member between the poles of a very large length and weight, because concrete with a very large unit weight is the main component.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텐션 방식으로 부재 등을 현장에서 제작하는 방식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프리텐션 방식의 제작을 위해서는 반력대, 반력 지주, 압축배드 등의 고가의 프리텐션 제작장치 및 설비가 필요하여 현장에서 프리텐션 방식을 적용하기가 어려웠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manufacturing members and the like in the field using a pre-tension method was consider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pply the pre-tension method in the field because expensive pre-tension manufacturing equipment and facilities such as a reaction arm, a reaction arm, and a compression bed wer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pre-tension method.

또한, 현장에서 프리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부재를 제작한 후, 상기 부재를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옮기는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부재 제작 후에 긴장재를 절단 등의 방식으로 고정을 해재시켜 부재를 인양하고 부근에 적치한 후, 다시 긴장재와 몰드를 설치하는 방식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인양 및 적치를 위한 크레인이 부재 제작기간 동안 계속해서 현장에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 상주에 따른 관리 및 운용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dop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to which prestress is applied by a pre-tension method in the field, and then lifting the member with a crane or the like, the member is lifted by removing the fixing by cutting the tension member after the member is manufactured. After stacking in the vicinity,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and the mold is repeated. In this case, the crane for lifting and stacking must remain on the site continuously during the period of member manufacturing, so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s according to the equipment residency are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y is poor due to consump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942호에는 이런 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0942 discloses a technology for alleviating this problem.

여기서는 현장에서 부재를 프리텐션 방식으로 설치할 때 고가의 프리텐션 제작장치 및 설비는 위치가 고정되고, 부재를 인양하여 옮기는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프리텐션 제작장치 및 설비를 조립 해체가 용이한 형태로 만들고 부재는 양생될 때까지 위치를 유지하고, 프리텐션 제작장치 및 설비의 대부분을 위치를 바꾸어가면서 인접 위치에 계속적으로 부재를 만들고, 양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Here, when installing members in the pretension method on site, the position of the expensive pretension manufacturing device and equipment is fixed, and instead of using the method of lifting and moving the member, the pretension manufacturing device and equipment are made in a form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member maintains its position until it is cured, and the pretension manufacturing device and most of the equipment are changed in position, and the member is continuously made and cured in an adjacent position.

그러나, 이런 방식에서도 부재에 포함될 긴장재의 텐션을 견디기 위해 긴장재가 긴장된 채 놓이는 프레임은 기계적으로 강한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이런 요구 때문에 프레임에서 긴장재의 긴장력을 주로 감당하게 되는 부분은 강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서 강관 내부에 압축에 강한 콘크리트를 부어 채운 충전콘크리트강관을 사용하고 있다. However, even in this way, the frame in which the tension member is placed in tension to withstand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to be included in the member must be manufactured to withstand the strong force mechanically, and because of this demand, the part that mainly handles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in the frame is only a steel pipe. Because it is not enough, filled concrete steel pipes filled with concrete that are resistant to compression are used inside the steel pipe.

그런데, 대형 구조물이 되기 쉬운 교량 거더를 이런 현장 프리텐션 방식으로 만들 경우, 비록 프리텐션 방식 부재 제작 장치 및 설비를 조립 방식으로 만든다고 하여도 충전콘크리트강관의 길이와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분과의 결합, 설치, 해체, 이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고, 작업도 어려움이 커져 이전 방식과 비교할 때에도 별다른 이점이 없는 것처럼 생각될 수 있다.However, if a bridge girder, which tends to be a large structure, is made with this on-site pre-tension method, the length and weight of the filled concrete steel pipe are considerable, even if the pre-tension member manufacturing device and equipment are made by the assembly method. Combining, installing, disassembling, and transporting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and the work is also difficult, so it may seem that there is no advantage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또한, 여기서 제시된 제작대는 거더의 긴장재를 고정하는 반력프레임 및 블럭들의 조립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인접 위치에 연속으로 거더를 제작하기 쉽게 만드는 구성은 있지만, 반력프레임과 긴장재가 결속되는 블럭들 사이의 안정적 상호 고정이 명확히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fabrication table presented here facilitates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reaction frame and blocks that fix the tension member of the girder,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girder continuously at the adjacent location, but it is stable between the blocks to which the reaction frame and the tension member are bound. There was a problem that mutual fixation was not clearly secu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94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094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908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908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710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710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대의 문제점을 보완, 해결할 수 있는 프레텐션 방식 부재 제작장치 및 설비, 특히 교량 거더 제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tension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quipment, in particular, a bridge girder manufacturing table, capable of supplemen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of a manufacturing table for manufacturing a pre-tension type prestressing memb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현장 제작에 적합하도록 경량화가 가능하고, 조립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프리스트레스트 부재를 위한 긴장재 설치에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교량 거더 제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that can be lightened so as to be suitable for on-site fabrication,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nd can have sufficient support for installing tension members for prestressed members.

본 발명은 추가적 일 측면에서 반력프레임 및 블럭들의 조립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인접 위치에 연속으로 거더를 제작하기 쉽게 만드는 동시에 거더가 놓이는 베이스와 반력프레임 및 블럭들 사이의 안정적 상호 고정이 명확히 확보되는 교량 거더 제작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additional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assembly and disassembly of reaction frames and blocks,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girders continuously at adjacent locations, and at the same time, a bridge in which stable mutual fixation between the base on which the girder is placed, the reaction frame and blocks is clearly secured. It aims to provide a girder production t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는,The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위에서 교량 거더가 형성되고 양생되도록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100),The base 100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the bridge girder is formed and cured from above,

상기 베이스 주변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 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놓이며 탈착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 강관(210)과 상기 강관 중 하나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로 연결된 횡방향 연결재(220)를 포함하는 반력프레임,A frame installed around the base, placed in a form extending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from one of the steel pipes 210 and the steel pipes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othe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ase Reaction frame including the transverse connecting member 220,

상기 반력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긴장재(600)의 일 단부가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블럭(400),A fixing block 400 installed so that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600 is fixedly fixed to one end of the reaction force frame,

상기 반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상기 긴장재의 타 단부가 정착되며 상기 반력 프레임과 이격 거리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긴장블럭(300)을 구비하며,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eaction force frame and includes a tension block 300 formed to be able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ction force frame,

상기 강관은 직경이 작은 소강관, 직경이 큰 대강관, 소강관과 대강관 사이에서 이들 강관을 이격시킨 채 고정되도록 하는 이격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강관 내부 공간을 채우는 충진재는 가지지 않아 소강관과 대강관 사이 공간 및 소강관 내부는 빈공간인 다중 강관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pipe is made of a small steel pipe with a small diameter, a large steel pipe with a large diameter, and a spaced fixing member that allows these steel pipes to be fixed while being spaced apart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and does not have a filler filling the inner space of the steel pipe. The space between the steel pipes and the inside of the small steel pipe are characterized by being multiple steel pipes that are empty spaces.

본 발명에서 다중 강관은 통상 이중 강관일 것이나, 셋 이상의 서로 다른 직경의 강관을 구비한 다중 강관이 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eel pipe will usually be a double steel pipe, but may be a multi-steel pipe having three or more steel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본 발명의 다중강관에서 소강관과 대강관 사이를 이격시킨 채 고정되도록 하는 이격고정부재는 소강관의 외면에 설치되는 플랜지형 부재가 될 수 있다.In the multi-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d fixing member to be fixed while being spaced apart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may be a flange-shaped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steel pipe.

이때, 소강관과 대강관의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형 부재의 내측 및 외측단은 여기에 닿는 소강관이나 대강관의 내측면과 용접, 볼트너트 등 결합부재 기타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고 양단에는 소강관과 대강관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플랜지 결합을 통해 회전을 방지하며 상호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mutual rotation of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flange-type member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mall steel pipe or large steel pipe that touches it by welding, bolt nuts, or other means of coupling members, and both ends. To prevent rotation through flange coupling by installing flanges on small steel pipes and large steel pipes, mutual coupling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서 다중강관의 양 단부는 강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감재로 마감된 것일 수 있고, 마감재는 강관 전체를 커버하지는 못해도 대강관과 소강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폐하면서 마감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multi-steel pipe may be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so that foreign substances do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and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made to close while shielding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large steel pipe and the small steel pipe even though the finishing material does not cover the entire steel pipe. .

본 발명에서 반력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긴장블럭이 이격 거리 조절가능하게 형성되기 위해 긴장블럭과 반력프레임 사이에는 잭(jack)과 같은 이격 거리 조절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on distance adjustment member such as a jack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ension block and the reaction frame so that the tension block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action force frame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s adjustable.

본 발명에서 추가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와 반력프레임 사이의 상호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an additional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mutual fixing device between the base and the reaction force frame.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텐션 방식으로 교량 거더와 같은 대형 프리스트레스트 부재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제작대의 구성 부분들의 기계적 강성을 긴장재의 긴장력을 견딜 정도로 유지하면서도 구성 부분들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nstituent parts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stiffness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production table used when manufacturing a large prestressed member such as a bridge girder by the pre-tension method to withstand the tension of the tension member.

따라서, 제작대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형 프리스트레스트 부재의 제작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현장에 적용할 때에도 작업의 위험성을 낮추고 중량 인용장비의 사용 필요성을 낮출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manufacturing table,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a large prestressed member, reducing the risk of work even when applied to the field, and lowering the need for use of heavy duty equipment.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반력프레임 및 블럭들의 조립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인접 위치에 연속으로 거더를 제작하기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거더가 놓이는 베이스와 반력프레임 및 블럭들 사이의 안정적 상호 고정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reaction frame and blocks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 girder continuously at an adjacent location, and at the same time, a stable mutual fixation between the base on which the girder is placed, the reaction frame and blocks can be secured. .

도1은 기존의 프리텐션 방식 프리스트레스트 부재 제작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작대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텐션 방식 프리스트레스트 교량 거더 제작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이중 강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중 강관, 유압잭 및 긴장블럭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 개략적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를 이용하여 인접 위치에 새로운 교량 거더 제작을 위해 기존 교량 거더 제작대를 해채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manufacturing table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concept of manufacturing a pre-tension type prestress memb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tension type prestressed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ouble steel pip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artial,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ouble steel pipe, a hydraulic jack, and a tens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dismantling an existing bridge girder manufacturing table for manufacturing a new bridge girder at an adjacent location using a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manufactur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텐션 방식 프리스트레스트 교량 거더 제작대를 나타낸다. 교량 거더 제작대(A)는 개략적으로 볼 때 베이스(100), 반력프레임, 긴장블럭(300), 고정블럭(400), 유압잭(500) 및 긴장재(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2 shows a pre-tension type prestressed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A) is schematically provided with a base 100, a reaction frame, a tension block 300, a fixed block 400, a hydraulic jack 500, and a tension member 600.

베이스(100)는 PSC(prestressed concrete) 교량 거더(700)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800)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도록 하기 위한 바닥판이라 할 수 있고, 거푸집은 PSC 교량 거더 제작용 강재거푸집으로서 베이스 상면에 거푸집을 지지하는 거푸집지지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base 100 can be said to be a floor plate to allow concrete (C) to be poured into the formwork by allowing the formwork 800 for manufacturing the PSC (prestressed concrete) bridge girder 700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ormwork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formwork support that supports the formwor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s a steel formwork for manufacturing PSC bridge girders.

베이스(100)는 소정의 면적과 길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앵커블럭과 같은 영구적 고정 부재는 설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현장에서 지반을 터파기하여 잘 다지고, 모래, 자갈 또는 석분 등의 재료를 포설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시키고, 그 위에 철판 또는 합판 등을 설치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base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length, and thickness, and a permanent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lock is not installed. Such a base 100 can be prepared by digging the ground at the site and compacting it well, forming a material such as sand, gravel, or stone powd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stalling an iron plate or plywood thereon.

베이스(100) 상면에는 PSC 교량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800)이 설치되고 거푸집 내부에는 필요한 철근조립체(미도시)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거푸집 내부에는 긴장재(600)가 종방향으로 미리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프리텐션 방식은 긴장재(600)를 미리 긴장시킨 다음에 거푸집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므로 긴장재를 미리 긴장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단이 반력프레임, 긴장블럭(300), 고정블럭(400) 및 유압잭(500)이다.A form 800 for manufacturing a PSC bridge gird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and a necessary reinforcing bar assembly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formwork. At this time, the tension member 600 is arranged in adv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ormwork. In the pre-tension method, since concrete (C)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fter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600 in advance, a means for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must be installed. These means include the reaction frame, the tension block 300, and the fixing block 400 ) And a hydraulic jack 500.

먼저, 반력프레임은 프리텐션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킬 때 가해지는 긴장력을 지지하는 구조체인데 이러한 반력프레임은 수백 톤 이상의 긴장력을 지지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First, the reaction frame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tension applied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by the pre-tension method. This reaction frame has to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ally stable form because it must support a tension force of several hundred tons or more.

이러한 반력프레임은 이중 강관(210)과 횡방향연결재(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중 강관(210)은 일정한 직경을 가진 외부 강관 혹은 대강관(212) 내부에 내부 강관 혹은 소강관(211)을 배치하되 서로 이격된 채로 고정되도록 이격고정부재(213)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This reaction frame is made of a double steel pipe 210 and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The double steel pipe 210 is formed by disposing an inner steel pipe or a small steel pipe 211 inside an outer steel pipe or large steel pipe 212 having a constant diameter, but installing a spaced fixing member 213 so as to be fix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통상 하중을 견디도록 이루어진 대형 구조체의 강관이나 이중강관이 압축력을 견디도록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함에 비해 본 발명의 이중강관은 기계적 강력을 유지하되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을 우선시하므로 이격고정부재 외에 이들 외부 강관과 내부 강관 사이 공간은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Compared to a steel pipe or a double steel pipe of a large structure made to withstand a load, which is filled with concrete inside to withstand the compressive force, the double steel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mechanical strength but prioritizes minimizing the weight. The space between the and the inner steel pipe should be kept empty.

이때, 이중 강관의 이격고정부재(213)로는 플랜지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플랜지 부재는 이중 강관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중 강관과 유압잭의 안정적 결속을 이루도록 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lange member may be used as the spacer fixing member 213 of the double steel pipe, and the flange member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double steel pipe and may be used to achieve a stable coupling between the double steel pipe and the hydraulic jack.

도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중 강관의 일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런 구조에서 내부의 소강관(211)에는 그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고정부재(213)의 하나로서 플랜지형 부재가 용접이나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로 단단히 고정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소강관(211)은 외부의 대강관(212)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플랜지형 부재 외경은 대강관의 내경과 같거나 미세한 틈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double steel pi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tructure, a flange-shaped member as one of the fixing members 213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mall steel pipe 211 is securely fixed by welding or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nut. In this state, the small steel pipe 211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large steel pipe 212. For this purpose,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shaped member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arge steel pipe or has a fine gap.

소강관(211) 양 단부에 결합된 플랜지(213')에는 긴장재를 고정시킬 블럭들과의 결합이나 유압잭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The flanges 213 ′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mall steel pipe 211 are formed with bolt holes 215 for coupling with blocks to fix the tension member or coupling with hydraulic jacks.

소강관(211)이 삽입된 뒤 플랜지형 부재와 대강관(212)이 접하는 위치는 계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가 되고, 이 위치에 대해 용접이나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 체결을 이용하여 대강관(212)과 플랜지형 부재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고정을 위해 대강관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결합용 홀이 형성되어 용접이나 결합부재를 이용한 체결에 이용될 수 있다. After the small steel pipe 211 is inserted,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flange-shaped member and the large steel pipe 212 is a predetermined position by calculation, and for this position, a large steel pipe ( 212) and the flanged member can be firmly fixed. In this case, a coupling hole for assisting the fixing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eel pipe for fixing, so that it can be used for welding or fastening using a coupling member.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소강관의 양 단부와 대강관의 양 단부에 공히 플랜지가 설치되어 이중 강관 양 단부에서 이들 플랜지를 볼트 너트 등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것에 의해 소강관과 대강관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here, flang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mall steel pipe and both ends of the large steel pipe, and these flanges are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double steel pipe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thereby combining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It is also possible to let.

소강관(211)과 대강관(212)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이러한 이중 강관(210)은 제작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100) 측방에 세팅된다. 또한, 이중 강관(210)은 그 일부가 베이스판(120)의 상면에 놓인 상태로 클램프 형태의 스틸튜브밴드(230)를 이용하여 감싸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스틸튜브밴드(230)의 평평하게 형성된 양 단부에는 볼트관통홀이 설치되고, 베이스판(120)에 매입되어 일부가 돌출된 앵커볼트(110)가 볼트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스틸튜브밴드(230)를 놓은 후에 체결너트와 같은 탈착이 가능한 고정구로 스틸튜브밴드를 고정시키게 된다. 앵커볼트(110)는 베이스판(120) 아래로도 돌출되어 베이스판이 놓이는 지반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se double steel pipes 210 made by combining the small steel pipe 211 and the large steel pipe 2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orming a production table and are set on the side of the base 100. In addition, the double steel pipe 210 is fixed in a state wrapped using a steel tube band 230 in the form of a clamp while a part thereof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To this end, bolt through hol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eel tube band 230 that are formed flat, and the anchor bolts 110 embedded in the base plate 120 and partially protruding are pass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230), the steel tube band is fixed with a removable fastener such as a fastening nut. The anchor bolt 110 may also protrude below the base plate 120 so as to be in a stable fixed state to some extent on the ground on which the base plate is placed.

따라서 이중 강관(210)은 베이스판(12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도 긴장재에 긴장력 도입시 긴장력에 의하여 이중 강관의 좌굴이 발생하는 등의 위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the double steel pipe 21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plat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position instability such as buckling of the double steel pipe due to the tension force when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member.

이들의 상호 체결을 더욱 보완하기 위하여 베이스 양측의 이중 강관(210)을 서로 연결해주는 횡방향연결재(220)가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횡방향연결재(220)로는 강관 또는 철골이 이용될 수 있고, 가령 H형 철골이 이용될 수 있다. 횡방향연결재는 이중 강관(210)의 외주면이나 이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연결강재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further complement their mutual fastening, a transverse connector 220 for connecting the double steel pipes 210 on both sides of the base to each other may be prepared. As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a steel pipe or steel frame may be used, for example, an H-type steel frame may be used. The transverse connect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uble steel pipe 210 or the connecting steel at least partial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런 경우, 횡방향연결재(220)의 양 단부에는 마감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마감판을 관통하는 체결볼트를 이중 강관(210)에 별도로 설치된 연결강재의 마감판에 설치된 체결너트에 체결되도록 하여 횡방향연결재(220)를 이중 강관(21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횡방향연결재(220)도 이중 강관(2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d plat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and the fastening bolts penetrating the end plate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installed on the end plate of the connecting steel separately installed in the double steel pipe 210 Th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double steel pipe 210 so as to be detachable. Thereby,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may also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double steel pipe 210.

횡방향연결재(220)는 여기서 베이스(100)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로써 베이스(100)와 이중 강관(210)과 횡방향연결재(220)는 서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The transverse connector 220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0, whereby the base 100, the double steel pipe 210, and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are constrain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from each other. .

여기서 베이스(100)는 횡방향연결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블럭아웃 공간을 가지며, 이러한 블럭아웃 공간은 다양한 횡방향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횡방향연결재(220)의 설치 개수에 맞추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ase 100 has a block-out space at the bottom so that the lateral connector 220 can be inserted, and this block-out space can be formed in various lateral hole shapes,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lateral connector 220 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a number of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반력프레임이 설치된 상태에서 양 단에는 각각 긴장블럭(300)과 고정블럭(400)이 설치된다. 긴장블럭(300)은 일 단부가 고정블럭(400)에 고정된 긴장재(600)가 긴장 후 정착되는 블럭이며, 고정블럭(400)은 긴장재의 일 단부가 고정 정착되는 블럭이다. 여기서 양 블럭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이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reaction force frame is installed, a tension block 300 and a fixing block 4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The tension block 300 is a block in which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600 fixed to the fixing block 400 is settled after tension, and the fixing block 400 is a block in which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and fixed. Here, by making both blocks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한편으로 고정블럭(400)에 긴장재(600)가 고정 정착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긴장블럭(300)의 정착판에 정착되도록 하고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긴장블럭(300)과 이중 강관(210)의 타 단부 사이에는 유압잭(500)이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member 600 is fixedly fixed to the fixing block 400, the other end is settled on the fixing plate of the tension block 300 and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member. For this purpose, the tension block 300 and the double steel pipe A hydraulic jack 500 is mounted between the other ends of the 210.

도4 및 도5는 유압잭(500)과 긴장블럭(300), 유압잭과 이중 강관(210)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적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4 and 5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for showing the form in which the hydraulic jack 500 and the tension block 300, the hydraulic jack and the double steel pipe 210 are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유압잭(500)은 실린더 부분이 이중 강관(210)의 단부면에 결속되도록 하고, 실린더 부분에서 연장되는 피스톤 부분이 긴장블럭(300)에 결속되도록 하여, 피스톤 부분이 종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그 일부가 고정블럭(300)에 고정 정착된 긴장재(600)가 긴장되도록 한다.Here, the hydraulic jack 500 allows the cylinder part to be bound to the end surface of the double steel pipe 210, and the piston part extending from the cylinder part is bound to the tension block 300, so that the piston part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600 fixed to the fixing block 300 is to be tensioned.

보다 상세히 보면, 긴장블럭(300)과 유압잭(500)의 피스톤 부분 사이에는 ㄷ 자 형태의 지지블럭(360)이 설치되고, 지지블럭(360) 후면에는 볼트홈(361)이 형성되며, 지지블럭(360)의 ㄷ 자형태의 개방된 부분에는 긴장블럭(300)이 끼워지고, 유압잭(500)의 피스톤 부분 단부에는 지지블럭(360)과 넓게 맞닿으며 볼트홈(361) 대응 부위에 볼트구멍(525')을 가지는 제1결속판(520)이 있어서 결속볼트(525)를 볼트구멍(525')을 통과시켜 볼트홈(361)에 체결시키면 유압잭(500)과 지지블럭(360), 지지블럭(360)과 긴장블럭(300) 사이의 결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more detail, a U-shaped support block 360 is installed between the tension block 300 and the piston part of the hydraulic jack 500, and a bolt groove 361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block 360, and the support block A tension block 300 is fitted in the open part of the c-shaped shape of 360, and the piston part end of the hydraulic jack 500 is in wide contact with the support block 360, and a bolt hole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olt groove 361 ( 525'), and when the binding bolt 525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525' and fastened to the bolt groove 361, the hydraulic jack 500, the support block 360, and the support block Bonding between 360 and the tension block 300 can be made stably.

유압잭(500)의 실린더 부분의 단부에는 이중 강관(210)의 단부와 넓게 맞닿으며 이중 강관 단부의 플랜지(213')의 볼트홀(2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구멍(515')을 가지는 제2결속판(510)이 있어서 결속볼트(515)를 볼트구멍(515')을 통과시켜 플랜지(213')의 볼트홀(215)과 체결하면 플랜지(213')의 볼트홀(215)이 너트홀의 역할을 하면서 유압잭(500)의 피스톤 부분과 이중 강관(2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The end of the cylinder portion of the hydraulic jack 500 is in wid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double steel pipe 210 and has a bolt hole 51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215 of the flange 213' at the end of the double steel pipe. 2.When there is a fastening plate 510, the fastening bolt 515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515' and fastened with the bolt hole 215 of the flange 213', the bolt hole 215 of the flange 213' is While serving as a hole, the piston part of the hydraulic jack 500 and the double steel pipe 210 are stably fixed.

명확히 도시되지 않지만 고정블럭(400)과 이중 강관(210) 다른 단부 사이의 고정을 위해서도 이들 사이에 ㄷ 자 형태의 지지블럭이 설치되고, 지지블럭 후면에는 볼트홈이 형성되며, 지지블럭의 ㄷ 자형태의 개방된 부분에는 고정블럭(400)이 끼워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중 강관 다른 단부의 플랜지의 일부 볼트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블럭 후면의 볼트홈이 오도록 하고, 이들 사이에는 턴버클과 같은 원리로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양측에 모두 수형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매개로 이들 이중 강관과 지지블럭을 결합시켜 이중 강관과 지지블럭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a c-shaped support block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block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double steel pipe 210, and a bolt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c-shaped support block is The fixed block 400 is fitt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shape. The bolt groove at the rear of the support block i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some bolt holes of the flange at the other end of the double steel pipe, and between them, through a bolt with male threads on both sides so that both sides can be fastened on the same principle as a turnbuckle. By combining these double steel pipes and the support blocks,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double steel pipes and the support blocks.

이로써, 한편으로 긴장블럭(300)과 유압잭(500)과 반력프레임 사이의 상호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고정블럭(400)과 반력프레임 사이의 상호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유압잭(500)을 가동시켜 긴장재(600)에 긴장력을 도입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by, on the one hand, the tension block 300 and the hydraulic jack 500 and the reaction frame can be fixed to each other stably, and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block 400 and the reaction frame are fixed to each other stably, and the hydraulic jack (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even when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member 600 by operating 500).

긴장재(600)는 베이스(100) 상면에 설치된 거푸집(800)을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게 되면 PSC 교량 거더(700)가 제작될 수 있다. PSC 교량 거더(700)가 제작되면 긴장재(600)를 커팅하여 긴장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교량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게 된다.The tension member 600 passes through the formwork 8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In this state, if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cure, the PSC bridge girder 700 can be manufactured. When the PSC bridge girder 700 is manufactured, the tension member 600 is cut to allow the prestress to be introduced into the bridge gird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member.

이때 커팅은 긴장재(600)의 절단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통상의 방법과 같이 커플러로 연결된 긴장재를 서로 분리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utting may mean cutting of the tension member 600, but a method of separating the tension member connected by a coupler from each other, as in a conventional method, may be used.

본 실시예의 교량 거더 제작대(A)는 PSC 교량 거더(700)가 제작 완료되면 별도로 인양장치로 인양하여 적치하는 것이 아니라 PSC 교량 거더(700)를 베이스(100)에 완성된 상태로 두고, 조립된 반력프레임, 긴장블럭(300), 고정블럭(400), 유압잭(500)을 해체하고, 이들을 다시 완성된 PSC 교량 거더(700) 측방의 별개의 베이스에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PSC bridge girder 700 is manufactured, the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A) of this embodiment is not separately lifted and stacked with a lifting device, but the PSC bridge girder 700 is left in a completed state on the base 100, and assembled. The reaction frame, the tension block 300, the fixed block 400, the hydraulic jack 500 can be dismantled, and these can be continuously installed on a separate base on the side of the completed PSC bridge girder 700.

이런 경우, PSC 교량 거더(700)를 인양 및 적치하는 크레인과 같은 대형 인양장치를 상주시키지 않고, 조립된 반력프레임, 긴장블럭(300), 고정블럭(400), 유압잭(50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현장에 통상 상주하고 있는 백호우(back hoe)나 지게차를 이용함으로서, PSC 교량 거더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ssembled reaction force frame, tension block 300, fixed block 400, and hydraulic jack 500 can be moved without a large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that lifts and stacks the PSC bridge girder 700. In addition, by using a backhoe or a forklift that normally resides on the sit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SC bridge girder can be reduced.

따라서, 종래에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 현장에 PSC 구조체를 제작하는 동안 대형 인양장치를 상주해야 함으로서 발생하는 비용을 본 발명은 이동식 프리텐션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절감할 수 있고, 이동식 프리텐션장치를 조립 및 해체에 의하여 이동시켜 가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 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retension method, the cost incurred by having to reside on a large lifting device while manufacturing a PSC structure on the site can be reduced by using a mobile pretension device, and assembling a mobile pretension device and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installed while being moved by disassembly.

도6은 이러한 연속적 교량 거더 제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tinuous bridge girder manufacturing method.

이상에서 설명된 이동식 교량 거더 제작대(A)에 의하여 PSC 교량 거더(700)가 제작되면, 그 바로 옆쪽에 별도의 베이스를 설치하고, 도 2와 같은 PSC 교량 거더 제작을 위해 사용된 긴장블럭(300), 고정블럭(400), 유압잭(500)를 분해 혹은 해체하고, 베이스(100) 측방에 설치된 2개의 이중 강관(210) 중 최외곽측에 설치된 이중 강관(210) 1개를 해체하게 된다.When the PSC bridge girder 700 is manufactured by the movable bridge girder manufacturing table (A) described above, a separate base is installed right next to it, and a tension block used for manufacturing the PSC bridge girder as shown in FIG. 300), the fixing block 400, the hydraulic jack 500 is disassembled or disassembled, and one of the two double steel pipes 21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ase 100 is dismantled. .

이를 위해 앞서 살펴본 클램프 형태의 스틸튜브밴드(230)를 베이스판(120)으로부터 해체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양 측 이중 강관(210)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횡방향연결재(220)도 이때 함께 해체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clamp-type steel tube band 230 described above is dismantled from the base plate 120, and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connecting the double steel pipes 210 on both sides is also dismantled at this time. .

남아있는 이중 강관(210)은 그대로 두고 백호우와 같은 현장 상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해체한 이중 강관(210)을 측방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베이스(100)에서 이격시키고, 새로 설치된 베이스의 한쪽으로 옮겨 스틸튜브밴드(230)를 이용하여 새로 고정된 베이스판(120)에 측방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The remaining double steel pipe 210 is left as it is, and the dismantled double steel pipe 210 is moved to the side by using a field-resident lifting device such as a backhoe, separated from the original base 100, and moved to one side of the newly installed base.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newly fixed base plate 120 using the tube band 230.

물론, 이때 앞서 함께 해체된 횡방향연결재(220)도 이동시켜 새로운 베이스 하부에 형성된 횡방향홀을 통해 원래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하나의 이중 강관과 체결되도록 하고, 그 다음에 이 횡방향연결재(220)의 다른 쪽에 이동된 이중 강관을 체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중 강관은 하부가 연결강재로 감싸지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연결재(222)를 이중 강관과 체결시킨다는 의미는 정확하게는 원래 자리를 유지한 이중 강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던 연결강재의 새로운 베이스쪽 마감판에 횡방향연결재의 한 마감판이 접하도록 맞대고 체결볼트를 체결한다는 것이다. Of course, at this time, the transverse connector 220, which was previously dismantled together, is also moved so that it is fastened with one double steel pipe that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a transverse hole formed under the new base, and then this transverse connector ( 220) to the other side of the moved double steel pip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ower part of the double steel pipe is wrapped and fixed with the connection steel, the meaning of fastening the transverse connection member 222 with the double steel pipe is a new connection steel that has been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uble steel pipe that retained its original position. It means that one end plate of the transverse connector is in contact with the end plate on the base side, and the fastening bolt is fastened.

이후의 새로운 교량 거더 제작대의 제작방법은 앞서 최초의 교량 거더 제작대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최초 교량 거더 제작대에서 분리시킨 고정블럭(400), 긴장블럭(300), 유압잭(500)과, 새로운 긴장재(600) 및 거푸집(800)을 새로운 베이스 주변 및 새로운 베이스 위쪽에 설치하게 된다.The method of fabricating a new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in the future can proce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That is, the fixed block 400, the tension block 300, the hydraulic jack 500, and the new tension member 600 and the formwork 800 separated from the first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are installed around the new base and above the new base. .

교량 거대 제작대가 완비되면 거푸집에는 콘크리크를 타설하여 긴장재를 내포하는 새로운 교량 거더가 제작되도록 한다.When the large bridge fabrication platform is complet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make a new bridge girder containing the tension member.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mbodiments, but this has been illustratively describ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implement various changes or application exampl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or application example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베이스 110: 앵커볼트
120: 베이스판
210: 이중 강관 211: 소강관
212: 대강관 213: 이격고정부재
213':프랜지 215: 볼트홀
220: 횡방향연결재 230: 스틸튜브밴드
300: 긴장블럭 360: 지지블럭
361: 볼트홈 400: 고정블럭
500: 유압잭 510: 제2 결속판
515', 525': 볼트구멍 520: 제1 결속판
600: 긴장재 700: 교량 거더
800: 거푸집
100: base 110: anchor bolt
120: base plate
210: double steel pipe 211: small steel pipe
212: Grand Hall 213: Separated fixed government materials
213': flange 215: bolt hole
220: transverse connector 230: steel tube band
300: tension block 360: support block
361: bolt groove 400: fixing block
500: hydraulic jack 510: second binding plate
515', 525': bolt hole 520: first binding plate
600: tension member 700: bridge girder
800: formwork

Claims (6)

위에서 교량 거더가 형성되고 양생되도록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 주변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 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놓이며 탈착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 강관(210)과 상기 강관 중 하나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로 연결된 횡방향 연결재(220)를 포함하는 반력프레임,
상기 반력프레임의 종방향 일 측에 긴장재(600)의 일 단부가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블럭(400),
상기 반력프레임의 종방향 타 측에 상기 긴장재의 타 단부가 정착되며 상기 반력프레임과 이격 거리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긴장블럭(300)을 구비하며,
상기 강관(210)은 직경이 큰 대강관(212), 상기 대강관에 삽입되고 직경이 작은 소강관(211), 상기 소강관을 상기 대강관 내부에서 이격시킨 채 고정되도록 하는 이격고정부재(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강관과 상기 대강관 사이 공간 및 상기 소강관 내부는 빈공간인 다중 강관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base 100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the bridge girder is formed and cured from above,
A frame installed around the base, placed in a form extending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from one of the steel pipes 210 and the steel pipes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the othe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ase Reaction frame including the transverse connecting member 220,
A fixing block 400 installed so that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600 is fixedly fix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ction frame,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ction forc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tension block 300 installed to be able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ction force frame,
The steel pipe 210 is a large steel pipe 212 having a large diameter, a small steel pipe 211 inserted into the large steel pipe and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spaced fixing member 213 for fixing the small steel pi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large steel pipe. ), and the space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and the inside of the small steel pipe is a multi-steel pipe which is an empty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강관에서 상기 소강관과 상기 대강관 사이를 이격시킨 채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이격고정부재는 상기 소강관의 외면에 설치되는 플랜지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ultiple steel pipe, the spacing fixing member to be fixed while being spaced apart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is a flange-type membe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steel pi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강관과 상기 대강관의 상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형 부재의 내측 및 외측단은 상기 소강관 외면 및 상기 대강관 내측면과 용접되거나, 결합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method of claim 2,
In order to prevent mutual rotation of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flange-shaped member are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arge steel pipe, or are fixed by a coupling member.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강관에 있어서 상기 소강관 양단 및 상기 대강관 양단에는 각각 플랜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소강관과 상기 대강관 사이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호결합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In the multi-steel pipe, flang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mall steel pipe and both ends of the large steel pipe, and mutual coupling is performed while preventing rotation between the small steel pipe and the large steel pipe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flanges.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production tabl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강관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반력프레임의 상기 다중 강관과 상기 긴장블럭 사이에는 이격 거리 조절을 위해 잭(Jack)이 구비되고,
상기 잭의 다중 강관측 단부는 상기 볼트구멍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강관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lang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mall steel pipe, and bolt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A jack is provided between the multi-steel pipe of the reaction frame and the tension block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A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fabrication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jack on the side of the multiple steel pipe is fixed to one end of the multiple steel pipe using the bolt hole and the coup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프레임과 상기 긴장블럭 사이에는 이격 거리 조절을 위해 잭(Jack)이 구비되고,
상기 긴장블럭과 상기 잭 사이에는 ㄷ 자형 지지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블럭의 개방단으로 상기 긴장블럭이 끼워지고, 상기 잭의 일 측 단부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블럭에 고정되고,
상기 잭의 다른 측 단부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강관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방식 교량 거더 제작대.
The method of claim 1,
A jack is provided between the reaction frame and the tension block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A c-shaped support block is provided between the tension block and the jack so that the tension block is fitted into the open end of the support block, and one end of the jack is fixed to the support block using a coupl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jack is a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manufactur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one end of the multiple steel pipes using a coupling member.
KR1020180113937A 2018-09-21 2018-09-21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KR102149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37A KR102149335B1 (en) 2018-09-21 2018-09-21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37A KR102149335B1 (en) 2018-09-21 2018-09-21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08A KR20200034308A (en) 2020-03-31
KR102149335B1 true KR102149335B1 (en) 2020-08-28

Family

ID=7000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937A KR102149335B1 (en) 2018-09-21 2018-09-21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3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654A (en) 2022-07-15 2024-01-24 (주)범우피씨 Portable tensioning production post using compress member of multiple-steel pipe ty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824A (en) 1999-07-02 2001-01-16 Murase Kogyo Kk Prestressing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ing
JP2004346630A (en) 2003-05-22 2004-12-09 Haratekku:Kk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KR101080942B1 (en) * 2011-05-31 2011-11-08 (주)홍지디씨에스 Portable pretension making apparatus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73335B1 (en) 2016-08-18 2018-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Concret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05B1 (en) 2012-10-30 2014-10-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ubmerged tunnel modu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concrete filled column with double steel
KR101819081B1 (en) 2017-04-10 2018-01-16 (주)리튼브릿지 Truss girder with double steel pipe upp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9824A (en) 1999-07-02 2001-01-16 Murase Kogyo Kk Prestressing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ing
JP2004346630A (en) 2003-05-22 2004-12-09 Haratekku:Kk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KR101080942B1 (en) * 2011-05-31 2011-11-08 (주)홍지디씨에스 Portable pretension making apparatus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73335B1 (en) 2016-08-18 2018-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Concrete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654A (en) 2022-07-15 2024-01-24 (주)범우피씨 Portable tensioning production post using compress member of multiple-steel pip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08A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942B1 (en) Portable pretension making apparatus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23757B1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045929B1 (en) Pro-environment prestressed long span light-weight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CN212200750U (en) Assembled building frame structure combination braced system
JP593789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ox girder bridge
JP4528042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ox girder bridge
CN110656566A (en) Assembled combined box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98822B1 (en)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KR100343960B1 (en) Steel concrete structure
KR102149335B1 (en) apparatus for making pretension type bridge girder
JP2006009449A (en) Truss panel girder and precast truss panel
KR10152775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bridge
KR100937252B1 (en)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7414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plex composite beem by divisional method
KR100865133B1 (en) A fixing device, a pre-fabricating forms for concrete-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035027B2 (en) Bridge girder structure and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KR2013009070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1028372B1 (en) Construction for connection of the truss assembled deck plates
KR101850498B1 (en) Composite part of steel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art
KR20100108927A (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r manufactured girder of composition style p.s.c form that have half section slab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for bridge by using the upper method
KR20100076124A (en) Prestressed steel pip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5389B1 (en) Light weight precast beam with void implementing archi mechanism
KR100730018B1 (e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N219690843U (en) Concrete prefabricated slab superposed floor structure
KR102256091B1 (en) Psc girder fabricated using pre-tensioning stand apparatus for curved tendon and fabricate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