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37B1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cut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037B1 KR102149037B1 KR1020200041343A KR20200041343A KR102149037B1 KR 102149037 B1 KR102149037 B1 KR 102149037B1 KR 1020200041343 A KR1020200041343 A KR 1020200041343A KR 20200041343 A KR20200041343 A KR 20200041343A KR 102149037 B1 KR102149037 B1 KR 102149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art
- driven
- spaced apart
- pressing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형상의 자재를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절단하여 원하는 길이의 가공품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자동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u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ut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and precisely cutting a material of a specific shape to obtain a processed product of a desired length.
일반적인 수동 절단 방식의 경우, 그 절단 대상물을 원하는 규격으로 절단하기 위해서 정밀한 치수 측정과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즉, 정밀한 가공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력도, 컨디션 등에 따라 이러한 가공의 정확성은 더욱 현저하게 차이가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인 대량 반복 가공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개별 작업으로는 어느 정도 한계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설령 기계적인 절단 수단을 운용함에 있어 비교적 대형화된 절단 수단의 운용으로 인하여 따라오는 작업 소음, 충격, 동작음 등으로 인하여 작업현장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general manual cutting method, precise measurement of dimensions and manual work of an operator are required in order to cut the object to be cut to a desired standar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precise processing may be deteriorated, and the accuracy of such processing may be more marked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condition, etc. In addition, even in continuous mass repetitive process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some extent by the individ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addition, when operating the mechanical cutting mea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at the work site is deteriorated due to the operation noise, impact, motion noise, etc. that follow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latively large-sized cutting means.
따라서, 작업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양질의 절단이 적용된 가공품을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a processed product to which good quality cutting is applied while securing workability and stability.
본 발명은 특정 형상의 자재를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절단하여 원하는 길이의 가공품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자동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utting device capable of stably and precisely cutting a material of a specific shape to obtain a processed product having a desired length.
본 발명은, 자동 절단 장치로서, 거치되는 자재(2)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장방형 구조체인 거치이송유닛(1); 및 상기 거치이송유닛(1)을 통해 상기 자재(2)를 투입받으며 투입된 상기 자재(2)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유닛(3)을 포함하는 자동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n automatic cutting device, the mounting transfer unit (1), which is a rectangular structure that transfers the material (2) to be mounted forward; And a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 규격으로 대상물을 정확하게 절단하여 규격에 알맞은 가공품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물을 대량 반복적으로 자동 절단 가공하여 대량 생산 가공에 적합한 가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물의 V자 형상 또는 ㄴ자형상인 경우 이에 대하여 더욱 안정적인 이송, 절단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 수단의 운용에 있어 단수로 구비되는 절단 수단 자체의 동작음과 외부 충격, 가공 대상물 거치, 이송, 기타 취급에 의한 충격과 진동을 억제하여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공 작업 현장의 작업 여건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ocessed product suitable for the standard by accurately cutting the object with a uniform standar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rocessing mean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processing by automatically cutting and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objects repeated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shape or a b-shape of the object,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stable transfer and cutting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means,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precise and effective processing by suppressing the operating sound and external impact of the cutting means itself, which is provided in stages, the impact and vibration caused by mounting and trans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other handl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it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절단장치의 자재가 절단되어 배출되는 측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7에 따른 가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showing the side from which the material is cut and discharged of the automatic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절단장치의 자재가 절단되어 배출되는 측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7에 따른 가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자동절단장치로서, 거치되는 자재(2)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장방형 구조체인 거치이송유닛(1); 및 상기 거치이송유닛(1)을 통해 상기 자재(2)를 투입받으며 투입된 상기 자재(2)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유닛(3)을 포함한다. 상기 자재(2)는 상부를 바라보는 횡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이며, 상기 커팅유닛(3)에는 상기 자재(2)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홀딩바(3a)가 구비되어, 상기 자재(2)의 커팅시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자동절단장치는, 상기 거치이송유닛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제2 연장다리부(110b)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에 구비되는 취급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취급모듈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가 안착되는 제1 몸체부(211)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1 몸체부(211)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부(21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구동체(212)를 포함하는 제1 취급모듈(210)과,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가 안착되는 제2 몸체부(221)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몸체부(221)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부(22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구동체(222)를 포함하는 제2 취급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취급모듈(210)의 상기 제1 몸체부(211)는, 중앙부에 해당되는 제1-1 몸체부(211a)와, 상기 제1-1 몸체부(211a)와 일측부에 해당되는 제1-2 몸체부(211b)와, 상기 제1-1 몸체부(211a)와 타측부에 해당되는 제1-3 몸체부(211c)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몸체부(211a)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접촉되며, 일정범위로 유동되는 제1 접촉부(211a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접촉부(211a1)는, 상기 본체부(110)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수직방향 회전되어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를 전진 또는 후퇴 시키도록 동작되는 제1 동작모드로 구동되며, 상기 제2 취급모듈(220)의 상기 제2 몸체부(221)는, 중앙부에 해당되는 제2-1 몸체부(221a)와, 상기 제2-1 몸체부(221a)와 일측부에 해당되는 제2-2 몸체부(221b)와, 상기 제2-1 몸체부(221a)와 타측부에 해당되는 제2-3 몸체부(221c)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몸체부(221a)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에서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와 접촉되며, 일정범위로 유동되는 제2 접촉부(221a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접촉부(221a1)는, 상기 본체부(110)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몸체부(221a)에서 수직방향 회전되어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를 전진 또는 후퇴 시키도록 동작되는 제1 동작모드로 구동된다.
상기 제1-1 몸체부(211a)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제1 접촉부(211a1)의 양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의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수직방향 회전 가능 한 제1-1 가변유동체(211a2)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몸체부(221a)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에서 제2 접촉부(221a1)의 양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의 유동이 원활해지도록 수직방향 회전 가능한 제2-1 가변유동체(221a2) 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가변유동체(211a2)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일정범위로 출몰하여 진퇴 또는 승하강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변유동체(221a2)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에서 일정범위로 출몰하여 진퇴 또는 승하강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2 몸체부(211b)와 상기 제1-3 몸체부(211c)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1-1 몸체부(211a)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1 가변유동체(211a2)와 상기 제1-2 가변유동체(211a3)는,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되어, 소정의 토오크로 자동회전 되거나, 또는 수동회전으로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의 유동을 보조하며, 상기 제2-2 몸체부(221b)와 상기 제2-3 몸체부(221c)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2-1 몸체부(221a)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1 가변유동체(221a1)와 상기 제2-2 가변유동체(221a3)는,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되어, 소정의 토오크로 자동회전 되거나, 또는 수동회전으로 상기 제2 연장
상기 제1-1 몸체부(211a)는,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1 가압체(211a4)와, 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2 가압체(211a5)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가압체(211a4)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1-2 몸체부(211b)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2 가압체(211a5)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1-3 몸체부(211c)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1 몸체부(221a)는,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1 가압체(221a4)와, 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2 가압체(221a5)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압체(221a4)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2-2 몸체부(221b)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되도록 구동되며,상기 제2-2 가압체(221a5)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2-3 몸체부(221c)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 취급모듈(210)과 상기 제2 취급모듈(220)이 일체로 거치되는 연동형 거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형 거치모듈은, 중앙의 구동몸체부(370)와, 상기 구동몸체부(37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간에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연동몸체부(320)와, 상기 구동몸체부(370)의 타측에서 수평방향간에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연동몸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몸체부(320)는, 상기 구동몸체부(370)와 직접 연동되는 제1-1 구조체(321)와, 상기 제1-1 구조체(3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취급모듈(210)의 상기 제1-1 몸체부(211a)가 안착되며, 상기 제1-1 몸체부(211a)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가압편(322)이 구비되되, 상기 제1 가압편(322)은 상기 제1-1 가압체(211a4)와 상기 제1-2 가압체(211a5) 사이에서 각각 파지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인 제1-2 구조체(3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연동몸체부(330)는, 상기 구동몸체부(370)와 직접 연동되는 제2-1 구조체(331)와, 상기 제2-1 구조체(3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취급모듈(220)의 상기 제2-1 몸체부(221a)가 안착되며, 상기 제2-1 몸체부(221a)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가압편(332)이 구비되되, 상기 제2 가압편(332)은 상기 제2-1 가압체(221a4)와 상기 제2-2 가압체(221a5)를 통해 각각 파지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인 제1-2 구조체(3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동몸체부(320)는, 상기 제1-1 구조체(321) 상부에 한 쌍의 제1 고정암(321a)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압편(322)을 가압 고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고정암(321a)은 수직방향 회전유동되는 제1 마찰접촉체(321b)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압편(322)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마찰접촉체(321b)는 상기 제1 가압편(322)과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회전유동되되,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각 제1 마찰접촉체(321b)는 상호 간에 반대되는 수직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 가압편(322)을 고정한다.
상기 제2 연동몸체부(330)는, 상기 제2-1 구조체(331) 상부에 한 쌍의 제2 고정암(331a)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압편(332)을 가압 고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고정암(331a)은 수직방향 회전유동되는 제2 접촉체(331b)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압편(332)과 접촉되며, 상기 제1 마찰접촉체(321b)는 상기 제2 가압편(332)과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회전유동되되,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각 제2 접촉체(331b)는 상호 간에 반대되는 수직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 가압편(332)을 고정한다.
상기 제1 연동몸체부(320)와 상기 제1 취급모듈(210) 및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제1 결속체(34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체(341)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를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체(341)들의 상호 대향면에는 제1 센서부(34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센서부(342)는, 상기 제1 결속체(341) 상호간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간의 어긋나 이탈된 정도를 감지하여 제1 어긋남 정보값과, 상기 제1 결속체 상호간의 근접 또는 이격 정도를 감지하여 제1 이격 정보값을 생성하여 외부 모니터링 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2 연동몸체부(330)와 상기 제2 취급모듈(220) 및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제2 결속체(3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결속체(351)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를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체(351)들의 상호 대향면에는 제2 센서부(35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센서부(352)는, 상기 제2 결속체(351) 상호간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간의 어긋나 이탈된 정도를 감지하여 제2 어긋남 정보값과, 상기 제2 결속체 상호간의 근접 또는 이격 정도를 감지하여 제21 이격 정보값을 생성하여 외부 모니터링 수단으로 송신한다.
상기 구동몸체부(370)는, 소정의 구동본체(371)와, 일측으로 상기 제1 연동바(361)가 고정되며 타측으로 상기 구동본체(371)에서 전후유동되는 일측유동체(371)와, 일측으로 상기 제2 연동바(362)가 고정되며 타측으로 상기 구동본체(371)에서 전후유동되는 타측유동체(3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211a1)와 상기 제2 접촉부(221a1)는, 상부에 각기 제1 체결돌출부와 제2 체결돌출부가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의 하부에 기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접촉부(211a1)와 상기 제2 접촉부(221a1)는, 상호간에 이격되거나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유동되어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에 대한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 are views showing an automatic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showing the side from which the material is cut and discharged of the automatic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7. 1 to 11, as an automatic cutting device, the
The automatic cutting device includes a predetermined first extended
The
The first contact part 211a1 is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1-1
The 2-1
The 1-1
The 1-21
The 1-1
The
The second interlocking
The first interlocking
The second interlocking
A first
The second
The driving body part 370 includes a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 자재
2 : 거치이송유닛
3 : 커팅유닛
3a : 홀딩바
110a : 연장다리부1: material
2: Stationary transfer unit
3: cutting unit
3a: holding bar
110a: extension leg
Claims (2)
거치되는 자재(2)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장방형 구조체인 거치이송유닛(1); 및 상기 거치이송유닛(1)을 통해 상기 자재(2)를 투입받으며 투입된 상기 자재(2)를 일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유닛(3)을 포함하되,
상기 자재(2)는 상부를 바라보는 횡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이며,
상기 커팅유닛(3)에는 상기 자재(2)의 상부를 눌러 고정하는 홀딩바(3a)가 구비되어, 상기 자재(2)의 커팅시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자동절단장치는,
상기 거치이송유닛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제2 연장다리부(110b)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에 구비되는 취급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취급모듈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가 안착되는 제1 몸체부(211)와,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1 몸체부(211)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부(21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제1 구동체(212)를 포함하는 제1 취급모듈(210)과,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가 안착되는 제2 몸체부(221)와,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제2 몸체부(221)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부(22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제2 구동체(222)를 포함하는 제2 취급모듈(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취급모듈(210)의 상기 제1 몸체부(211)는,
중앙부에 해당되는 제1-1 몸체부(211a)와,
상기 제1-1 몸체부(211a)와 일측부에 해당되는 제1-2 몸체부(211b)와,
상기 제1-1 몸체부(211a)와 타측부에 해당되는 제1-3 몸체부(211c)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몸체부(211a)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와 접촉되며, 일정범위로 유동되는 제1 접촉부(211a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취급모듈(220)의 상기 제2 몸체부(221)는,
중앙부에 해당되는 제2-1 몸체부(221a)와,
상기 제2-1 몸체부(221a)와 일측부에 해당되는 제2-2 몸체부(221b)와,
상기 제2-1 몸체부(221a)와 타측부에 해당되는 제2-3 몸체부(221c)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몸체부(221a)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에서 상기 제2 연장다리부(110b)와 접촉되며, 일정범위로 유동되는 제2 접촉부(221a1)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몸체부(211b)와 상기 제1-3 몸체부(211c)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구동되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1-1 몸체부(211a)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 동작모드는 상기 제1 접촉부(211a1)가 상기 제1-1 몸체부(211a)에서 수직방향 회전되어 상기 제1 연장다리부(110a)를 전진 또는 후퇴 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이며,
상기 제2-2 몸체부(221b)와 상기 제2-3 몸체부(221c)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 동작모드 시, 상기 제2-1 몸체부(221a)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1-1 몸체부(211a)는,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1 가압체(211a4)와,
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2 가압체(211a5)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가압체(211a4)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1-2 몸체부(211b)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 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1-2 가압체(211a5)는 상기 제1-1 몸체부(21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1-3 몸체부(211c)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 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1 몸체부(221a)는,
일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1 가압체(221a4)와,
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2 가압체(221a5)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압체(221a4)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2-2 몸체부(221b)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 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2 가압체(221a5)는 상기 제2-1 몸체부(221a)측으로 가압 접촉된 상기 제2-3 몸체부(221c)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구동되거나, 반대편으로 이격되어 릴리즈 되도록 구동되는 자동절단장치.As an automatic cutting device,
A mounting transfer unit 1 which is a rectangular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material 2 to be mounted forward; And a cutting unit (3) for receiving the material (2) through the stationary transfer unit (1) and cutting the input material (2) in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material 2 has a v-shaped cross-sectional shape facing the top,
The cutting unit (3) is provided with a holding bar (3a) for pressing and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2), to prevent flow when cutting the material (2),
The automatic cutting device,
I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first extension leg portion 110a and a second extension leg portion 110b provided under the mounting and transfer unit, and the first extension leg portion 110a and the second extension leg portion 110b It further includes a handling module that is,
The handling module includes a first body part 211 on which the first extended leg part 110a is seated,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so as to sandwich the first extended leg portion (110a), a pair of first to press the first body portion 211 inward. 1 a first handling module 210 including a driving body 212,
A second body portion 221 on which the second extended leg portion 110b is seated,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1 so as to sandwich the second extended leg portion 110b, a pair of second body to press the second body portion 221 inward. It includes a second handling module 220 including a driving body 222,
The first body portion 211 of the first handling module 210,
The 1-1 body part 211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art, and
The 1-1 body part 211a and the 1-2 body part 211b corresponding to one side part,
The 1-1 body part 211a and the 1-3 body part 211c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part are provided,
The 1-1 body part 211a,
A first contact portion 211a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xtended leg portion 110a from the 1-1 body portion 211a and flows in a predetermined range is provided,
The second body portion 221 of the second handling module 220,
A 2-1 body portion (221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and
The 2-1 body part (221a) and the 2-2 body part (221b) corresponding to one side,
The 2-1 body portion (221a) and the 2-3 body portion (221c)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is provided,
The 2-1 body portion (221a),
A second contact portion (221a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ded leg portion (110b) in the 2-1 body portion (221a) and flows in a predetermined range is provided,
The 1-21 body part 211b and the 1-3 body part 211c are driven to be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the 1-1 body part 211a, an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1- 1 It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part 211a,
The first operation mode is operated so that the first contact part 211a1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1-1 body part 211a to advance or retreat the first extended leg part 110a ,
The 2-2 body part 221b and the 2-3 body part 221c are driven to be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the 2-1 body part 221a, an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second -1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221a),
The 1-1 body part 211a,
On one side, a pair of the 1-1 pressing bodies 211a4 facing each other,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pair of 1-2 pressing bodies 211a5 facing each other,
The 1-1 pressing body 211a4 is driven to pressurize with the 1-2 body part 211b pressed against the 1-1 body part 211a side therebetween, or to be releas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side. Driven,
The 1-2 press body 211a5 is driven to pressurize with the 1-3 body part 211c pressed against the 1-1 body part 211a side, or to be releas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side. Driven,
The 2-1 body portion (221a),
On one side, a pair of 2-1 pressing bodies 221a4 facing each other,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pair of 2-2 pressing bodies (221a5) facing each other,
The 2-1 pressing body 221a4 is driven to pressurize through the 2-2 body part 221b in contact with the 2-1 body part 221a side, or to be releas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side. Driven,
The 2-2 pressing body 221a5 is driven to pressurize with the 2-3 body part 221c pressed against the 2-1 body part 221a side, or to be releas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side. Automatic cutting device driv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43A KR102149037B1 (en) | 2020-04-06 | 2020-04-06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43A KR102149037B1 (en) | 2020-04-06 | 2020-04-06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9037B1 true KR102149037B1 (en) | 2020-08-28 |
Family
ID=7229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343A KR102149037B1 (en) | 2020-04-06 | 2020-04-06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03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3051B1 (en) | 1998-08-31 | 2001-03-02 | 이계철 | Optical Cable Slot Unit Cutter |
KR101844793B1 (en) * | 2016-10-28 | 2018-04-03 | 정대일 | Mock marble cutting device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343A patent/KR1021490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3051B1 (en) | 1998-08-31 | 2001-03-02 | 이계철 | Optical Cable Slot Unit Cutter |
KR101844793B1 (en) * | 2016-10-28 | 2018-04-03 | 정대일 | Mock marble cut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98159B2 (en) | Adjustable shuttle stop apparatus | |
KR9100082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cutting resistance in bandsaw machines | |
KR100970782B1 (en) | Column moving type vertical and horizontal cutting machine using saw | |
KR20170081540A (en) | Multifunctional pipe slice device | |
SE437628B (en) | Device for detecting deviations from the band saw blade in a horizontal band saw machine | |
KR102149037B1 (en)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 |
KR101377183B1 (en) | Lm rail cutting machine | |
KR20160050281A (en) | wood processing device | |
JP4721220B2 (en) |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ed plate | |
KR20110092032A (en) | Metal bar processing equipment | |
JP7194995B2 (en) | double end tenoner | |
JPS59169795A (en) | cutter device | |
EP1897667A1 (en) | Working machine | |
US2438361A (en) | Belt splicing device | |
EP0395816A3 (en) | Die cutters | |
CN114393241B (en) | Cutting device | |
CN106624726B (en) | Machinery contraposition assembling device and its contraposition assemble method | |
CN211332288U (en) | Fixture for machining fixing part | |
CN114734391B (en) | Cambered surface lens synchronous positioning equipment | |
CN220690722U (en) | Material hardness detecting instrument | |
CN211220382U (en) | Marking clamp for cutting plate | |
JP2003251603A (en) | Work reversing device of vertical-type traveling circular sawing machine | |
JP2566889Y2 (en) | Cutting piece conveying device in cutting machine | |
JP2563041B2 (en) | Taper forming machine | |
JP3264943B2 (en) | Material remov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