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82B1 -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82B1
KR102148682B1 KR1020190046415A KR20190046415A KR102148682B1 KR 102148682 B1 KR102148682 B1 KR 102148682B1 KR 1020190046415 A KR1020190046415 A KR 1020190046415A KR 20190046415 A KR20190046415 A KR 20190046415A KR 102148682 B1 KR102148682 B1 KR 10214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display device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KR102019004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which i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n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having one or two out-folding-related fold-inducing shafts on a foldable body, is rotated or folded based on a protective case shaft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related fold-inducing shafts to protect an out-f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reduces interference with a user′s hand in a gripped state, and maintains an inclined state by using the protective case applied in the unfolded state.

Description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아웃폴딩 관련 접힘 발생 축을 1개 또는 2개 갖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완전 접힘 상태시 아웃폴딩 원주면을 보호하고 펼침 수행시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보호케이스의 보호케이스 축이 일치하지 않도록 적용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n out-folding video display device having one or two out-folding-related folding generation axes, and protects the user's hand and prote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folding when fully folded and maintains the grip state when performing unfolding. It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applied so that the axis of the protective case does not coincide.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시 둘레 형상이 변경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보호케이스들이 제시되었다.(대한민국 출원특허: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 미국 등록특허 10,064,298 B2)Various protective cases that can be applied to a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whose circumferential shape changes when switching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s have been proposed. (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15-0109280, 10-2016-0098862, 10-2016-0138950, U.S. Patent 10,064,298 B2)

그러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의 보호케이스들은 접힘 또는 펼침 상태시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손이 보호케이스의 회전 축 또는 펼침 축에 위치되어 걸리적거림이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e above protective cas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a user's hand maintaining a grip state in a folded or unfolded state may be positioned on the rotating shaft or the spreading shaft of the protective case, causing jamm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아웃폴딩 관련 접힘 발생 축 2개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중앙 부분의 폴더블 몸체에 적용된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First, it is intended to enable the application of the protective case to the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foldable body in the center while the two out-folding-related folding generation axes maintain a certain distance.

둘째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시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손이 보호케이스의 회전 축 또는 펼침 축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8Second, when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or unfolded, the user's hand that maintains the grip stat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axis or the expansion axis of the protective case.

셋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적용된 보호케이스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거치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Third, it is intended that the protective case applied when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open state can self-maintain the inclined mounting state of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넷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 전환의 경우에도 보호케이스의 투과창 또는 관통구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Fourth, in the case of switching between the unfolded image display device in the open state and the folded state, it is intended that the transmission window or the through hole of the protective case can maintain the same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제 1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의 중앙부분인 제2몸체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가 간격을 이루며 적용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folding folding in which the out-folding-related folding is performed on a second body, which is a central part of a foldable body to which a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A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applied with the generation axis 1 and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2 at intervals,

제2몸체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를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2를 선택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econd body, which is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applied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to the area outside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out-folding-folding axis 2,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formed along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by rotating or folding about the axis of the in-protection case And a first cover selectively covering and protec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제1커버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 및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2를 덮어주는 원주면2 커버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ver is a first cover fixing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by applying one end of the first cover to a region outside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 As a free end part of the first cover, a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that is extended or assembled to the first cover fixing part to cover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first As the free end of the cover, the display surface parallel to the axis 1 is extended or assembled at the end of the cover part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that is extended or assembled at the end of the cover part of the display surface parallel to axis 2 as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Consists of including wings.

원주면1 커버 날개 및 원주면2 커버 날개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 및 원주면2를 감싸며 원주면1 및 원주면2에 자체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 및 원주면2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It has a feature of being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side or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제 1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1몸체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를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3몸체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3몸체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otectiv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covers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of the first body, which is the outer end of the fold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And a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2 of the third body, which is an out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2.

제1몸체 둘레면 커버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1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1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1 where the out-folding occurs,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has a plate shape. The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which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perpendicular to the axis 1 It consists of including.

제3몸체 둘레면 커버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제3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제3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ird body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2 of the out-folding occurrence, and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dy forms a plate shape. The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tha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ird body perpendicular to the axis 2 It consists of including.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1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가 형성되고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3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3가 형성된다.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cover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folde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from the third body folde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the extended protrusion 1 is formed and the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cover cover 2 An extended protrusion 3 is formed that protrudes toward the body screen display surface.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시 연장 돌출부1의 일면과 연장 돌출부3의 일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고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 flat unfolded state,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rotrusion 1 and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rotrusion 3 form the same plane, and the foldable body in a flat state is maintained in a state rai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1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이 형성되고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3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2가 형성된다.Out-folding of the low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first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and the out-folding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first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when the first body is folded and unfolded. Out-folding folding occurs Shaft end cover shape 1 is formed to cover and protect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shaft 1, and out-folding of the cover of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is formed. Out-folding of the surface cover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2, the out-folding occurs when the third body is folded and unfolded. A shaft end cover shape 2 is formed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2. .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제1몸체 및 제3몸체에 고정을 위한 1개 이상의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다.One or more fixing through holes for fixing to the first body and the third body of 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the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ormed.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제 2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몸체를 이루고 반대편은 제2몸체를 이루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forms a first body and the other side forms a first body with respect to an out-folding occurrence axis 1 in which out-folding-related folding is performed on a foldable body to which a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A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forming a second body,

보호케이스는 제2몸체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1을 선택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otective case is applied in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ich is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econd body, with one end part fixed or detachable, causing out-folding to fold the protective case axis perpendicular to axis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ver that selectively covers and protects a second body display surface that is rotated or folded based on a planar state,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1 that is a curved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formed along the axis 1 of out-folding and folding. .

제1커버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 및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ver is a first cover fixing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by applying one end of the first cover to a region outside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 As a free end part of the first cover, a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and a first cover that extends or assembles the first cover fixing part to cover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s the free end of the cover, the display surface parallel to the axis 1 is extended or assembled at the end of the cover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when the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is folded. It consists of including.

원주면1 커버 날개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감싸며 원주면1에 자체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wraps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is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so that it can be fixed and un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 2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2몸체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2몸체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평행한 상태로 마주보는 제1몸체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otectiv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over of a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econd body perpendicular to an out-folding generation axis 1 and a first body facing the out-folding generation axis 1 in a parallel st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2몸체 둘레면 커버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2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되는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2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2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되지 않는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2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body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1 of the out-of-folding occurrence,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has a plate shape. Including a second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in a plate shape and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not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body perpendicular to the cover and out-folding occurrence axis 1 Is composed.

제2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2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2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1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 둘레면 커버 연장부가 형성된다.The second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second upper circumferential cover protrude from the second body fold,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formed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extension is formed.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제1몸체 둘레면 커버의 일면과 제2몸체 둘레면 커버 연장부 일면은 동일 평면을 유지하고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unfolded state,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and 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extension unit remain flat, and the foldable body in a flat state is maintain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It has a feature to let you know.

제2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2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2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이 형성된다.Out-folding of the cover on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and the out-folding of the cover o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ody occurs when the second body is folded and unfolded. The shaft end cover shape 1 is formed to cover and protect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where the out-folding occurs.

제2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 및 제2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에는 제2몸체에 고정을 위한 1개 이상의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어있다.The second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and the second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through-hole for fixing to the second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보호케이스의 적용이 곤란한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에 보호케이스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Firs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otective case to a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whe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rotective case.

둘째,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그립 상태를 유지하기위해 사용자의 손이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을 마주보는 모서리에 보호케이스의 회전 축 또는 펼침 축이 위치되지 않고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일측 폴더블 몸체의 모서리에 보호케이스의 회전 축 또는 펼침 축을 적용함으로 인해 그립 상태인 손과 보호케이스가 간섭되지 않아 보호케이스의 적용상태에서도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롭다.Second, in order to maintain the grip state of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the rotation axis or the expansion axis of the protective case is not located at the edge facing the out-folding-folding occurrence axis, where the user's hand is normally located, but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folding occurrence axis. The out-folding video display device can be folded and unfolded freely even when the protective case is applied as the gripped hand and the protective case do not interfer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otating shaft or the spreading shaft of the protective case to the edge of the foldable body on one side.

셋째, 별도의 경사면 거치도구 없이도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된 보호케이스가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ird, the protective case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can maintain the inclined mounting state of the 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without a separate inclined surface mounting tool.

넷째,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에 수직인 일측 폴더블 몸체의 모서리에 보호케이스의 회전 축 또는 펼침 축을 적용함으로 인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 전환의 경우에도 보호케이스의 투과창 또는 관통구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Fourth, by applying the rotation axis or the expansion axis of the protective case to the edge of the foldable body on one sid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occurrence of out-folding, the transmission window or penetration of the protective case even in the case of switching between the expanded and folded states of the foldable video display. I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sphere can maintain the same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도 1은 폴더블 몸체의 중앙 부분에 2개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이 간격을 유지하며 적용되있는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접힘 상태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2는 폴더블 몸체에 단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이 적용되고 접힘 상태시 일측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이 반대편 폴더블 몸체의 돌출 부분에 의해 수납 보호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접힘 상태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밑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완전 접힘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및 SECTION CUT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가 화면표시면의 반대편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후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SECTION CUT D-D 및 도 7의 SECTION CUT E-E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1은 제 1실시예가 적용된 도 4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간섭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펼침 수행의 용이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가 적용된 도 7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를 이용한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완전 접힘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가 화면표시면의 반대편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SECTION CUT H-H, SECTION CUT I-I 및 도 16의 SECTION CUT J-J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9는 제 2실시예가 적용된 도 13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간섭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펼침 수행의 용이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0은 제 2실시예가 적용된 도 16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를 이용한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fully folded state of a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applied with two out-folding fold generation axes maintained at an interval in the center of a foldable body,
FIG. 2 is a complete view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in which a singl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is applied to the foldable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foldable body is received and protec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posite foldable body when folded. It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olded state,
3 is a front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S. 1 and 2,
4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in a fully folded state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and SECTION CUT CC of FIG. 4,
6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4,
7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in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6;
Figure 8 is a rear view of Figure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CUT DD of FIG. 6 and the SECTION CUT EE of FIG. 7,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ase of performing spreading using a finger without interference of a protective case in the fully folded state of FIG. 4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inclined state can be maintained using the first cover in the fully unfolded state of FIG. 7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13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in a fully folded state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CUT FF and SECTION CUT GG of FIG. 13,
15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ully expanded state of FIG. 13;
16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in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15;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ECTION CUT HH, SECTION CUT II and SECTION CUT JJ of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1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ase of performing spreading using a finger without interference of a protective case in the fully folded state of FIG. 13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clined state using the first cover in the fully expanded state of FIG. 16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이하 제시되는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는 폴더블 몸체(20)의 중앙 부분에 2개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 12)이 간격을 유지하며 적용되있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또는 폴더블 몸체(20)에 단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이 적용되고 접힘 상태시 일측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이 반대편 폴더블 몸체의 돌출 부분에 의해 수납 보호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이며 기존 제시된 아웃폴딩 영상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ors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presented below is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r folder in which two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es 11 and 12 are applied at a central part of the foldable body 20 while maintaining an interval.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that a singl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shaft 11 is applied to the body 20 and in the folded s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foldable body is received and protec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posite foldable body. It i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nd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out-folding imaging device.

도 1은 폴더블 몸체의 중앙 부분에 2개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이 간격을 유지하며 적용되있는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접힘 상태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2는 폴더블 몸체에 단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이 적용되고 접힘 상태시 일측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이 반대편 폴더블 몸체의 돌출 부분에 의해 수납 보호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접힘 상태에 대한 사시도, 정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및 밑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fully folded state of a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applied with two out-folding fold generation axes maintained at an interval in the center of a foldable body, FIG. 2 is a complete view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in which a singl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is applied to the foldable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foldable body is received and protec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posite foldable body when folded. It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olded state, and FIG. 3 is a front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S. 1 and 2.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더블 아웃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0)는 폴더블 몸체(20)의 중앙 부분에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적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10 capable of double-out-folding has an out-folding-folding axis 1 (11) and an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2 at the center of the foldable body 20. (12) applies with a certain interval.

도 1의 사시도 및 후면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는 완전 접힘 상태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평행한 폴더블 몸체의 양측 끝단 모서리는 상호 간섭없이 펼침 작동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를 제외한 폴더블 몸체(20)의 베젤 부분이 좁은 특징을 보여준다.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and rear view of Fig. 1, the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has both sides of the foldable body parallel to the axis 1 (11) and out-folding generation axis 2 (12)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fully folded. The end edge maintains a gap that can be opened and operated without mutual interference, and the bezel portion of the foldable body 20 except for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narrow.

이러한 더블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의 특징으로 인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또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반대편의 폴더블 몸체 모서리에 고정되거나 탈부착 적용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와 폴더블 몸체(20)의 바깥 둘레면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적용이 어렵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ble-out-folding imag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60 and flexible display device 60 are fixed or detachably applied to the edge of the foldable body opposite the axis 1 (11) where the out-folding occurs or the axis 2 (12) where the out-folding occurs. It is difficult to apply a protective case that prot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20.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일측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이 반대편 폴더블 몸체의 돌출 부분에 의해 수납 보호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마주보는 폴더블 몸체의 얇은 부분 바깥 둘레면이 돌출 부분에 의해 수납 보호되며 간섭없이 펼침될 수 있도록 좁은 간격이 유지되고 베젤 또한 좁은 특징을 갖는다.2 and 3, in th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foldable body is stored and protec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posite foldable body, the out-folding folding occurrence axis 1 (1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n portion of the foldable body facing each other is received and protected by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narrow gap is maintained so that it can be unfolded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bezel also has a narrow feature.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 2의 폴더블 영상장치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마주 보는 폴더블 몸체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거나 탈부착 적용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와 폴더블 몸체(20)의 바깥 둘레면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적용이 어렵다.Due to this feature, the display device 60 and the foldable body 20 are flexible by being fixed or detachably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facing the axis 1 (11) of the foldable image device of FIG. 2. It is difficult to apply a protective case that prot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

도 1과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상기의 보호케이스 적용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또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을 마주보는 어느 한?U의 바깥 둘레면에 보호케이스를 고정 적용하는 경우 폴더블 몸체의 접힘 또는 펼침 전환시 발생하는 원주면 부분의 둘레 변화에 의해 보호케이스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가 보호케이스에 적용되었는 경우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를 통해 표시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 부분이 펼침 상태 전환에 따라 가려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spite of the difficulty in applying the protective case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f FIGS. 1 and 2, any one facing the out-folding and folding-producing shaft 1 (11) or the out-folding and folding-producing shaft 2 (12)? When the protective case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osition of the unfixed part of the protective case may be changed due to the change i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occurs when the foldable body is folded or unfolded. When the sphere 130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case, a problem in that the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displayed through the transmission window or the through hole 130 may be hidden due to the transition to the unfolded state may occur.

또한 도 1부터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그립하는 경우를 예측해보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또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을 마주보는 어느 한?U의 바깥 둘레면을 그립하는 상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predicting a case where the user grips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which one faces the axis 1 (11) where the out-folding occurs or the axis 2 (12) where the out-folding occurs?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while gripp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U.

이러한 그립 조건하에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또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을 마주보는 어느 한?U의 바깥 둘레면에 보호케이스의 일측이 고정되고 회전 또는 접힘되는 경우 회전 또는 접힘되는 보호케이스 부분이 그립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간섭을 일으켜 걸리적 거림을 발생 시킬 수 있다.Under such a grip conditi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case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U and rotates or folds when one facing the shaft 1 (11) or the shaft 2 (12) where the out-folding occurs. The part of the protective case that is used may interfere with the user's hand that maintains the grip state, resulting in jamming.

상기에 언급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보호케이스 적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 제시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below to solve the problem of applying a protective case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mentioned above.

도 4는 도 1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완전 접힘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및 SECTION CUT C-C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가 화면표시면의 반대편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후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SECTION CUT D-D 및 도 7의 SECTION CUT E-E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1은 제 1실시예가 적용된 도 4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간섭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펼침 수행의 용이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가 적용된 도 7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를 이용한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fully folded state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and FIG. 5 is a section cut AA and a section cut of FIG. BB and SECTION CUT CC are cross-sectional views, FIG. 6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4, and FIG. 7 is a screen display of the first cover in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IG. 8 is a rear view of FIG. 7,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CUT DD of FIG. 6 and the SECTION CUT EE of FIG. 7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ase of performing spreading using a finger without interference of a protective case in a fully folded state of FIG. 4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and FIG. 12 is a first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clined state using the first cover in the fully open state of FIG. 7 applied.

도 4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제 1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20)의 중앙부분인 제2몸체(40)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가 간격을 이루며 적용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이다.As shown in FIGS. 4 to 12,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body (the central part of the foldable body 20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applied). 40) is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1 (11) and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2 (12), in which the folding-related folding is performed, form an interval.

폴더블 몸체(20)는 이하의 서술을 위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을 기준으로 영역별 구분하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반대편 끝단 부분인 제1몸체(30),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를 기준으로 반대편 끝단 부분이며 제1몸체(30)의 반대편인 제3몸체(50)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사이의 중앙 부분을 이루는 제2몸체(40)로 구성된다.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oldable body 20 is divided by region based on the axis 1 (11) where the out-folding occurs and the axis 2 (12) where the out-folding occurs.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body 30, which is the opposite end, and the third body 50, which is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body 30, and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shaft 1 ( It consists of a second body 40 forming a central portion between 11) and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shaft 2 (12).

도 4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제2몸체(40)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102)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곡면인 원주면1(6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를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곡면인 원주면2(62)를 선택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to 12, the protectiv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which is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applied to the second body 40. The end part is applied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so that the out-folding and folding occurs axis 1 (11) and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2 (12) are rotated or folded based on the protective case axis (102) perpendicular to the plane state. 2 Along the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formed along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and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2 (12). It includes a first cover 100 that selectively covers and prote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to be formed.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제1커버(100)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밖의 영역에 제1커버(100)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102)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101),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101)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103),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103)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6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110) 및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103)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2(62)를 덮어주는 원주면2 커버 날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0, in the first cov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cover 100 is applied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to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1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that functions as the protective case shaft 102 for the free end portion of the cover 100, and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as a free end part of the first cover 100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extended or assembled,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that covers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s a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100 is folded out of f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that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103 parallel to the generation axis 1 (11)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110) and the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100), which is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by extension formation or assembly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parallel to the axis 2 (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wings 120 that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in the folded state.

도 5의 SECTION CUT A-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면1 커버 날개(110) 및 원주면2 커버 날개(120)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61) 및 원주면2(62)를 감싸며 원주면1(61) 및 원주면2(62)에 자체 걸림 고정 및 걸림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61) 및 원주면2(62)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탄성판, 형상기억 구성품)를 내부 또는 일측 바깥면에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SECTION CUT AA of FIG. 5,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blade 11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blade 120 ar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and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elastic member (elastic plate, which is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and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side) so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can be self-locked and unlocked. The shape memory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the inner or one outer surface,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원주면1 커버 날개(110) 및 원주면2 커버 날개(120)의 탄성력은 접힘 상태시 사용자가 그립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도 원주면1(61) 및 원주면2(62)를 감싸며 걸림될 수 있으며 펼침 상태 전환시 탄성력에 의해 화면표시면 커버부(103)가 자중과 함께 제1커버 고정부(101)의 회전 저항을 이기고 들뜨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elastic for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11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wing 120 may be jammed while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62) even when the user is not gripping in the fold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overcomes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together with its own weight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unfolded state is switched and does not lift.

도 4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20)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1몸체(30)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를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20)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3몸체(50)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3몸체 둘레면 커버(400) 및 제2몸체(40)의 일측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2몸체 둘레면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12, the protectiv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out-folding of the first body 30, which is the outer end of the foldable body 20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generation shaft 1 (11), the outer end of the foldable body 20 based on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shaft 2 (12). 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2 (12), and 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at one side of the second body 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300 around the body.

제 1실시예에서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제1몸체(30)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101)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200a)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제1몸체(30)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101)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를 포함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includes the first cover fixing portion 101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facing the first body 30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30 that ar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ed side and form a plate-shaped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a) and the first body 30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axis 1 (11)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pplied side and includes a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forming a plate shape.

제 1실시예에서 제2몸체 둘레면 커버(300)는 제2몸체(40)의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101)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고 제1커버 고정부(101)의 끝단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또는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제1커버 고정 힌지 형상(302)을 포함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300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body 40, and forms a plate shape. It includes a first cover fixing hinge shape 302 capable of fixing or detaching the end of the cover fixing part 101 in a rotatable state.

제 1실시예에서 제3몸체 둘레면 커버(400)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수직인 제3몸체(50)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101)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400a)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수직인 제3몸체(50)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101)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를 포함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 includes the first cover fixing portion 101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facing the third body 50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axis 2 (1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ird body 50 that ar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applied side and form a plate-shaped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a and the third body 50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axis 2 (12) I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is applied and includes a third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forming a plate shape.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200a)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1몸체 접힘면(32)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202)가 형성된다.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a and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have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from the first body folding surface 32 opposite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applied. In the folded state, an extension protrusion 1 202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is formed.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400a)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3몸체 접힘면(52)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3(402)가 형성된다.The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a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have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from the third body folded surface 52 opposite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applied. In the folded state, an extended protrusion 3 402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is formed.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의 연장 돌출부1(202)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의 연장 돌출부3(402)에는 접힘 상태시 제2몸체 둘레면 커버(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의 반대편 부분은 연장 돌출 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4, the extended protrusion 1 202 of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and the extended protrusion 3 402 of the third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have a second body circumference in the folded state. The opposite side of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shaft 1 (11) and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shaft 2 (12) so as to accommodate the surface cover 300 does not extend and protrude.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시 연장 돌출부1(202)의 일면과 연장 돌출부3(402)의 일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고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20)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부양 공간 확보를 통해 방열기능 향상, 후면 스피커의 공명 개선, 후면 카메라 손상 방지 및 회전 변경되어 위치된 제1커버(100)의 수납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In the unfolded stat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rotrusion 1 (202) and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rotrusion 3 (402) form the same plane, and the foldable body 20 in a flat state is rais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space and improves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mproves the resonance of the rear speaker, prevents damage to the rear camera, and secures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cover 100 positioned by rotational change through securing such a buoyancy space.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200a)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1몸체(30)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203)이 형성된다.Out-folding of 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a)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haft 1 (11) and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A shaft end cover shape 1 (203) is formed in the portion to cover and protect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11) when the first body (30) is switched to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400a)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3몸체(50)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2(403)가 형성된다.Out-folding of the third body's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a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haft 2 (12) and the third body's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is out-folded and folded at the end of the shaft 2 (12). A shaft end cover shape 2 (403) is formed in the portion to cover and protect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2 (12) when the third body (50) is switched to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축 끝단 덮개형상1(203) 및 축 끝단 덮개형상2(403)가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 끝단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20)의 반원형 원주면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상태로 덮어 보호하므로 접힘 상태에서의 축 방향 낙하 발생에도 낙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shaft end cover shape 1 (203) and the shaft end cover shape 2 (403) are out-folded and folded out-folded, and out-folded and folded, axis 1 (11) and out-folded are folded. (12) Since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20 formed at the end is covered and protected in a state that blocks it from the outside, damage due to a drop impact can be prevented even when an axial drop occurs in a folded state.

제 1실시예에서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200a),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400a)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에는 제1몸체(30)의 바깥 둘레면인 제1몸체 둘레면(33) 및 제3몸체(50)의 바깥 둘레면인 제3몸체 둘레면(53)에 고정을 위한 1개 이상의 고정 관통구(201, 401)가 형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a),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the third lower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a)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One or more fixing through holes 201 for fixing to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33, which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0, and 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53, which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50 , 401) is formed.

제2몸체 둘레면 커버(300)에는 제2몸체(40)의 바깥 둘레면인 제2몸체 둘레면(43)에 고정을 위한 1개 이상의 고정 관통구(301)가 형성된다.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300 is formed with one or more fixing through holes 301 for fixing to 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43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40.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200b)의 연장 돌출부1(202)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400b)의 연장 돌출부3(402)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위치되는 일면인 펼침력 작용면1(204) 및 펼침력 작용면2(404)가 손톱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 밀림을 통해 그립 상태에서 펼침 작용력을 전달받아 제1몸체(30) 또는 제3몸체(50)의 펼침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4 and 11, a foldable image is displayed on the extended protrusion 1 202 of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b and the extended protrusion 3 402 of the third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400b. When the device is in a folded state, the unfolding force action surface 1 (204) and the unfolding force action surface 2 (404), which are one side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41, are in a gripped state by pushing the user's finger without using a fingernail. It has a feature of easily performing the unfolding rotation of the first body 30 or the third body 50 by receiving the unfolding force from the.

도 1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제1커버(100)를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회전이동시켜 경사면을 유지하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first cover 100 is rotated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ully unfold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maintained,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tilted. State maintenance becomes possible.

도 12와 달리 제1몸체(30) 또는 제3몸체(50) 어느 하나만의 부분 펼침 상태에서도 도 12와 같은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Unlike FIG. 12,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clined state as in FIG. 12 even in the partially unfolded state of either the first body 30 or the third body 50.

도 4, 도 6 및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커버(100)가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12)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102)을 갖으며 제2몸체 둘레면(43)에 적용되는 특징을 갖음으로 인해 폴더블 몸체(20)의 중앙 대칭 축을 기준으로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의 위치(X1)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면표시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한 영상정보가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를 통해 동일한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As shown in FIGS. 4, 6 and 8, the first cover 100 has a protective case axis 102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and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2 (12).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 applied to 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43, the position (X1) of the transmission window or the through hole 130 can be kept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ymmetry axis of the foldable body 2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n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surface can be viewed at the same location.

도 13은 도 2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완전 접힘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SECTION CUT F-F 및 SECTION CUT G-G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가 화면표시면의 반대편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밑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SECTION CUT H-H, SECTION CUT I-I 및 도 16의 SECTION CUT J-J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9는 제 2실시예가 적용된 도 13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보호케이스의 간섭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펼침 수행의 용이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0은 제 2실시예가 적용된 도 16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제1커버를 이용한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13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fully folded state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2, and FIG. 14 is a SECTION CUT FF and SECTION CUT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GG, FIG. 15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13, and FIG. 16 is a first cover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in the fully flat unfolded state of FIG. It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oved state,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CUT HH, SECTION CUT II and the SECTION CUT JJ of FIG. 16, and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FIG. 1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ase of performing expansion using a finger without interference of a protective case in the fully folded state of FIG. 13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and FIG. 20 is a first in the fully expanded state of FIG. 16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inclined state using a cover.

도 13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에 대한 제 2실시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20)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몸체(30)를 이루고 반대편은 제2몸체(40)를 이루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이다.13 to 2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related folding is performed on the foldable body 20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applied.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one side forming the first body 30 and the other side forming the second body 40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도 13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제2몸체(40)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102)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41)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곡면인 원주면1(61)을 선택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3 to 20, the protectiv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one side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which is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applied to the second body 40. Out-folding occurs as the end portion is applied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and is rotated or folded based on the protective case axis 102 perpendicular to the axis 1 (11) and out with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41 in a flat state. The first cover 100 selectively covers and protects the curved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formed along the folding-folding axis 1 (11).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제1커버(100)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밖의 영역에 제1커버(100)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102)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101),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101)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41)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103) 및 제1커버(100)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103)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6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8, the first cover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applies one end of the first cover 100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to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41. 1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that functions as the protective case shaft 102 for the free end portion of the cover 100, and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as a free end part of the first cover 100 As a free end portion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and the first cover 100 that is applied by extension formation or assembly to cover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cover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when the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is folded by forming or assembling an extension to the end of the display surface cover 103 that is parallel to the out-folding folding axis 1 (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1 cover wing (110).

도 14의 SECTION CUT F-F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원주면1 커버 날개(110)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61)을 감싸며 원주면1(61)에 자체 걸림 고정 및 걸림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61)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탄성판, 형상기억 구성품)를 내부 또는 일측 바깥면에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section cut FF of Fig. 14,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110 surround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self-locks and locks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The elastic member (elastic plate, shape memory component)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to be released may be included in the inner or one outer surface,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원주면1 커버 날개(110)의 탄성력은 접힘 상태시 사용자가 그립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도 원주면1(61)을 감싸며 걸림될 수 있으며 펼침 상태 전환시 탄성력에 의해 화면표시면 커버부(103)가 자중과 함께 제1커버 고정부(101)의 지지력을 이기고 들뜨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elastic for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110 may be caught while enclos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61) even when the user is not gripping in the folded state, and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when switching to the unfolded state. It is desirable to overcome the support force of the first cover fixing part 101 together with its own weight and not be lifted.

도 13, 도 14 및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보호케이스는 제1몸체 화면표시면(31) 측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측이 개방된 상태로 제1몸체(30)의 바깥 둘레면인 제1몸체 둘레면(33)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에는 제1몸체 둘레면(33)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210)이 형성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3, 14 and 18, the protectiv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first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screen display surface 31 side and the out-folding folding axis 1 (11) side are open.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fixed to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33, which i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30), and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33 is included in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A locking jaw 210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 부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1몸체 접힘면(32)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202)가 형성된다.Out-folding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11) from the first body folding surface (32) opposite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applied. In the folded state, an extension protrusion 1 202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is formed.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지지면을 공유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의 일면과 연장 돌출부1(202) 일면은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20)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부양 공간 확보를 통해 방열기능 향상, 후면 스피커의 공명 개선, 후면 카메라 손상 방지 및 회전 변경되어 위치된 제1커버(100)의 수납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unfolded state, one side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and one side of the extended protrusion 1 (202) that share a support surface are in a flat state, and the foldable body 20 is rais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it is maintained,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torage space for the first cover 100 located b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mproving the resonance of the rear speaker, preventing damage to the rear camera, and changing the rotation through securing such a space for support.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20)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20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8, the out-folding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11). 1 (11) The shaft end cover shape 1 (203) is formed to cover and protect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축 끝단 덮개형상1(203)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형성되는 폴더블 몸체(20)의 반원형 원주면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상태로 덮어 보호하므로 접힘 상태에서의 축 방향 낙하 발생에도 낙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shaft end cover shape 1 (203) is out-folded and folded, and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20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11) is external. Since it is covered and protected in a state that blocks and blocks, damage due to a drop impact can be prevented even when an axial fall occurs in a folded state.

축 끝단 덮개 형상1(203)의 내측 면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제1몸체(30)와 제2몸체(40)의 바깥 둘레면이 걸림턱(2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면의 일부분에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On the inner side of the shaft end cover shape 1 (203),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30 and the second body 40 are not interfered by the locking projection 210 when the foldable body is folded and unfolded. It has a characteristic of forming a plan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210 is not formed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도 13부터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화면표시면 커버부(103)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60)의 평면 부분 정보 확인을 위한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13 to 20,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103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a transparent window or a through hole 130 for checking information on a plane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60 is formed.

도 13 및 도 1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 둘레면 커버(200)의 연장 돌출부1(202)가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인해 사용자가 제2몸체(40)를 접힘 해제시 힌지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되어 튀어나온 제2몸체(40) 둘레면을 손가락을 이용해 용이하게 펼침 수행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13 and 19, the extended protrusion 1 (202)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0 is formed only at the end of the out-folding and folding shaft 1 (11). When the second body 40 is unfold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40, which is rotated and protrud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hinge, can be easily unfolded using a finger.

도 2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제1커버(100)를 제2몸체 화면표시면(41) 측으로 회전이동시켜 경사면을 유지하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0, when the first cover 100 is rotated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4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ully unfold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maintained,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tilted. State maintenance becomes possible.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커버(100)가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11)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102)을 갖으며 제2몸체 둘레면(43)에 적용되는 특징을 갖음으로 인해 제2몸체(30)의 일측 끝단으로 부터 화면표시면 커버부(103)의 일측 끝단 위치(X3)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면표시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포함한 영상정보가 투과창 또는 관통구(130)를 통해 동일한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14 and 17, the first cover 100 has a protective case axis 102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11) and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43 Due to the presence of, the position (X3) of one end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103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30 can be kept constant, through which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surface Has a feature that can be seen at the same loc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window or through hole 130.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1: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12: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20: 폴더블 몸체
30: 제1몸체 31: 제1몸체 화면표시면
32: 제1몸체 접힘면 33: 제1몸체 둘레면
40: 제2몸체 41 제2몸체 화면표시면
42: 제2몸체 접힘면 43: 제2몸체 둘레면
50: 제3몸체 51: 제3몸체 화면표시면
52: 제3몸체 접힘면 53: 제3몸체 둘레면
60: 유연성있는 표시장치 61: 원주면1
62: 원주면2 100: 제1커버
101: 제1커버 고정부 102: 보호케이스 축
103: 화면표시면 커버부 110: 원주면1 커버 날개
120: 원주면2 커버 날개 130: 투과창 또는 관통구
140: 제1커버 고정 수단 200: 제1몸체 둘레면 커버
201: 고정 관통구 202: 연장 돌출부1
203: 축 끝단 덮개형상1 204: 펼침력 작용면1
205: 조작버튼 관통구 206: 지문인식센서 관통구
210: 걸림턱 300: 제2몸체 둘레면 커버
301: 고정 관통구 302: 제1커버 고정 힌지 형상
400: 제3몸체 둘레면 커버 401: 고정 관통구
402: 연장 돌출부3 4 03: 축 끝단 덮개형상2
404: 펼침력 작용면2
References to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0: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11: out-folding folding axis 1
12: out-folding folding axis 2 20: foldable body
30: first body 31: first body screen display surface
32: first body folded surface 33: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40: second body 41 second body screen display
42: second body folded surface 43: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50: third body 51: thir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52: third body folded surface 53: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60: flexible display device 61: circumferential surface 1
62: circumferential surface 2 100: first cover
101: first cover fixing portion 102: protective case shaft
103: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ortion 110: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120: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wing 130: transmission window or through hole
140: first cover fixing means 200: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201: fixed through hole 202: extended protrusion 1
203: Shaft end cover shape 1 204: Unfolding force acting surface 1
205: operation button through hole 206: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rough hole
210: locking jaw 300: secon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301: fixing through hole 302: first cover fixing hinge shape
400: third body circumferential cover 401: fixing through hole
402: extension protrusion 3 4 03: shaft end cover shape 2
404: unfolding force action surface 2

Claims (16)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의 중앙부분인 제2몸체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가 간격을 이루며 적용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보호케이스는 제2몸체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1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를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2를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상기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며, 상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면1 및 원주면2는 상기 제1커버의 탄성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시, 상기 제1커버 고정부의 축 기능 및 상기 제1커버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회전이동되어 경사면이 유지되면 상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pplied to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where the axis 1 and the axis 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which the second body, which is the central part of the foldable body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performs out-folding-related folding. As a protective case,
The protective case is applied in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ich is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econd body, with one end part fixed or detachable, resulting in out-folding and folding axis 1 and out-folding folding axis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by rotating or folding about the axis of the protective case perpendicular to 2,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out-folding folding axis 2, which are curved surface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med along the axis 1 And a first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ich is a curved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med along the line,
The first cover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is fixed or detachable to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and functions as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It includes a first cover fixing por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are cover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over,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 flat unfolded state, the first cover is rotated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by the axial function of the first cover fixing part and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over to maintain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n inclined state,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maintained.
제 1항에 있어서
제1커버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 및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2를 덮어주는 원주면2 커버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ver is a first cover fixing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by applying one end of the first cover to a region outside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
A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extending or assembling applied to the first cover fixing part as a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s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out-folding occurs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that cover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in the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by extending or assembling it to the end of the display surface cover part parallel to the axis 1 wing; And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that is extended or assembled at the end of the cover part of the display surface parallel to axis 2 as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g.
제 2항에 있어서
원주면1 커버 날개 및 원주면2 커버 날개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 및 원주면2를 감싸며 원주면1 및 원주면2에 자체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 및 원주면2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are self-fixed and un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nd circumferential surface 2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haracteristic of being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2 or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제 1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스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1몸체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를 기준으로 폴더블 몸체의 바깥측 끝단 부분인 제3몸체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3몸체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ve case includes: a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1 of the first body, which is an out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1; And
A folder comprising: a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2 of the third body, which is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foldable body with respect to the out-folding-folding generation axis 2; Protective case for video display devices.
제 4항에 있어서
제1몸체 둘레면 커버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1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제1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고
제3몸체 둘레면 커버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제3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반대편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에 수직인 제3몸체의 마주보는 바깥 둘레면들 중 제1커버 고정부가 적용된 측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며 판상 형태를 이루는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body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1 of the out-folding occurrence,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has a plate shape. Circumferential cover; And
Including; a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ortion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at face the first body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1 and forms a plate shape; and
The third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art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ird body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s 2 of the out-folding occurrence, and the lower part of the third body forms a plate shape. Circumferential cover; And
Including; a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cover that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to which the first cover fixing portion is applied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ird body perpendicular to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2 and forming a plate shape.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1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가 형성되고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3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3;가 형성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시 연장 돌출부1의 일면과 연장 돌출부3의 일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고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cover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folde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extending protrusion 1 is formed; and
The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cover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cover protrude from the third body folde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The extended protrusion 3 is formed; and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 flat unfolded state, one side of the extended protrusion 1 and one side of the extended protrusion 3 form the same plane, and a foldable image that maintains the foldable body in a flat state in a state rais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Protective case for display devices.
제 5항에 있어서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1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이 형성되고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제3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2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2;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Out-folding of the low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first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and the out-folding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first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when the first body is folded and unfolded. The shaft end cover shape 1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is formed.
Out-folding of the low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third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2 and the out-folding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cover of the third body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2 when the third body is folded and unfolded.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of forming a shaft end cover shape 2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2 where the out-folding occurs.
제 5항에 있어서
제1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 제3몸체 하부 둘레면 커버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에는 제1몸체 및 제3몸체에 고정을 위한 1개 이상의 고정 관통구;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the first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the third body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and the third body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include: at least one fixing through hole for fixing to the first and third bodies;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that is formed.
제 6항에 있어서
제1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연장 돌출부1 및 제3몸체 상부 둘레면 커버의 연장 돌출부3에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위치되는 일면인 펼침력 작용면1 및 펼침력 작용면2가 사용자의 펼침 작용력을 전달받아 제1몸체(30) 또는 제3몸체(50)의 펼침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extended protrusion 1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of the first body and the protrusion 3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body cover the unfolding force action surface 1, which is one surface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feature that the unfolding force action surface 2 receives the unfolding action force of the user and facilitates the unfolding and rotation of the first body 30 or the third body 50.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폴더블 몸체에 아웃폴딩 관련 접힘이 수행되는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기준으로 일측은 제1몸체를 이루고 반대편은 제2몸체를 이루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보호케이스로서,
보호케이스는 제2몸체에 적용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화면표시면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어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수직인 보호케이스 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는 접힘되어 평면 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을 따라 형성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곡면인 원주면1을 덮어 보호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상기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되며, 상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면1은 상기 제1커버의 탄성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평면 펼침 상태시, 상기 제1커버 고정부의 축 기능 및 상기 제1커버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회전이동되어 경사면이 유지되면 상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 protective case applied to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with one side forming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side forming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axis 1 where the folding-related folding is performed on the foldable body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as,
The protective case is applied in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ich is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ed to the second body, with one end part fixed or detachable, causing out-folding to fold the protective case axis perpendicular to the axis 1. And a first cover that is rotated or folded on the basis of the second body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and a first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med along the out-folding and folding generation axis 1, and
The first cover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is fixed or detachable to an area outside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and functions as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It includes a first cover fixing por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is cover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over,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 flat unfolded state, the first cover is rotated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by the axial function of the first cover fixing part and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over to maintain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an inclined state, the protective cas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maintained.
제 10항에 있어서
제1커버는 제2몸체 화면표시면 밖의 영역에 제1커버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적용시키며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에 대한 보호케이스 축 기능을 수행하는 제1커버 고정부;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제1커버 고정부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평면상태인 제2몸체 화면표시면을 덮어주는 화면표시면 커버부; 및
제1커버의 자유단 부분으로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에 평행한 화면표시면 커버부의 끝단 부분에 연장 형성 또는 조립 적용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덮어주는 원주면1 커버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ver is a first cover fixing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protective case axis for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by applying one end of the first cover to a region outside the screen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 a fixed or detachable state ;
A screen display surface cover part extending or assembling applied to the first cover fixing part as a fre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in a flat stat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As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out-folding occurs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that cover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in the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by extending or assembling it to the end of the display surface cover part parallel to the axis 1 A protective case of a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wing.
제 11항에 있어서
원주면1 커버 날개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시 원주면1을 감싸며 원주면1에 자체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도록 원주면1 측을 향하여 감기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적인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cover wing cover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is woun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so that it can be self-fixed and un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 A protective case for a foldable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 10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스는 제1몸체 화면표시면 측과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측이 개방된 상태로 제1몸체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몸체 둘레면 커버에는 제1몸체의 바깥 둘레면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ective case includes a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with the first body screen display side and the out-folding folding generation axis 1 side open.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has a locking jaw for fix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제 13항에 있어서
제1몸체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 부분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적용된 면의 반대편 면인 제1몸체 접힘면으로부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상태시 제2몸체 화면표시면 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1;가 형성되며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펼침 상태시 지지면을 공유하는 제1몸체 둘레면 커버의 일면과 연장 돌출부1 일면은 평면 상태인 폴더블 몸체를 지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부양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Out-folding of the cover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second body screen display surface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folded from the first body folding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applied, at the end of shaft 1 The extending protrusion 1 is formed; and
When the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unfolded state,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cover that shares the support surface and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rotrusion 1 is a folder that maintains a flat state of the foldable body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support surface. Protective case for video display devices.
제 13항에 있어서
제1몸체 둘레면 커버의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아웃폴딩 접힘 발생 축1 끝단에 형성되는 반원형 원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축 끝단 덮개형상1;이 형성되고
축 끝단 덮개 형상1의 내측 면에는 폴더블 몸체의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시 제2몸체의 바깥 둘레면이 걸림턱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일부분에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을 이루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Out-folding of the first body circumferential cover occurs at the end of the shaft 1, when the foldable body is folded and unfolded, out-folding occurs. The shape of the shaft end cover covers and protects the semi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haft 1 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haft end cover shape 1, the foldable has a feature of forming a plane in which the locking jaws are not formed in a part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not interfered by the locking jaws when the foldable body is switched to the unfolded state. Protective case for video display devices.
제 11항에 있어서 화면표시면 커버부에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평면 부분 정보 확인을 위한 투과창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The protective case of claim 11, wherein a transparent window or a through hole for confirming information on a flat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formed in the screen display cover part.
KR1020190046415A 2019-04-21 2019-04-21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148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15A KR102148682B1 (en) 2019-04-21 2019-04-21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415A KR102148682B1 (en) 2019-04-21 2019-04-21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67A Division KR20200123394A (en) 2020-08-20 2020-08-20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682B1 true KR102148682B1 (en) 2020-08-31

Family

ID=7223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415A KR102148682B1 (en) 2019-04-21 2019-04-21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01A (en) * 2015-06-30 2017-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1837570B1 (en)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Case for Out-Folding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Panel
KR200486746Y1 (en) * 2015-12-10 2018-06-27 신학수 Smart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optical pannel
KR20190039394A (en) * 2019-03-24 2019-04-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otection Case for an In and Out Fold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01A (en) * 2015-06-30 2017-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0486746Y1 (en) * 2015-12-10 2018-06-27 신학수 Smart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optical pannel
KR101837570B1 (en) * 2017-01-25 2018-03-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Case for Out-Folding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Panel
KR20190039394A (en) * 2019-03-24 2019-04-1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otection Case for an In and Out Foldabl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047B1 (en) Case for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06662744B (en) Compact folding structure for head mounted equipment
JP2004507779A (en) Foldable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2006301B1 (en) Protection Case for an In and Out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148682B1 (en)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46022B1 (en) Fold case with rotating side cover
JPH08340565A (en) Selective call radio receiver with protection cover
US9625950B1 (en) Protective cover for convertible laptop and tablet
KR101837570B1 (en) Case for Out-Folding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Panel
KR20200123394A (en) Protection Cas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JP2003239942A (en) Hinge structure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US10933514B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hand when gripping objects
WO2016194381A1 (en) Cosmetic container
KR20200114958A (en) Protection Case for an In and Out Foldable Display Device
EP1458168B1 (en) Structure to prevent scraping damage to foldable portable electric device when upper and lower units thereof are in contact
KR102108908B1 (en) Protection Cas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KR200479865Y1 (en) Mobile Phone Case including Card Storage Part
KR102448048B1 (en) Protection Case with a Hinge Cover
KR20200075183A (en) Protection Cas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JP2010098658A (en)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10364B1 (en) Swivel hinge and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4228299A (en) Mobile terminal device
TWI389654B (en) Small container
KR102544188B1 (en)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foldable hinge coupling structure
KR101620780B1 (en)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