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780B1 -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 Google Patents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0780B1 KR101620780B1 KR1020150003387A KR20150003387A KR101620780B1 KR 101620780 B1 KR101620780 B1 KR 101620780B1 KR 1020150003387 A KR1020150003387 A KR 1020150003387A KR 20150003387 A KR20150003387 A KR 20150003387A KR 101620780 B1 KR101620780 B1 KR 101620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flip
- flip cover
- smartphone
- exter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31 expec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 A45C2011/00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이 가능한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등의 카드를 여러장 수납시에 커버가 스마트폰과 불룩해지는 배부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ip-type smartphone protective cover capable of being ho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flip type cover capable of preventing a folding phenomenon that is caused when the cover of a transportation card, a credit card, And relates to a smartphone protective cover.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손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수시로 사용하기 때문에 간혹 부딪히게 되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smartphones are often used by most users while they are in their hands, so they are occasionally encountered and occasionally dropped and damaged by external impacts.
이에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보호커버를 장착하여 외부충격에 대한 스마트폰의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사용자들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의 보호커버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하고 있으며, 한 경제연구소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연간 1~2회 가량 보호커버를 교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herefore, users ar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protective covers to protect the smartphone against external shocks. The users are using various protective covers of various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their taste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it is reported that the protective cover is replaced about once or twice a year.
이러한 보호커버는 단순보호형태, 범퍼(bumper)형태, 플립(flip)형태, 카드수납형태, 투명창형태 또는 이들이 복합된 형태 등등 갈수록 다양한 종류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카드수납이 가능한 플립형태의 보호커버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Such protective cov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more various types such as a simple protection type, a bumper type, a flip type, a card retention type, a transparent window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ip type In the case of a protective cover.
통상 카드수납이 가능한 플립형태의 보호커버는 크게 스마트폰과 결합을 이루는 고정커버부 및 스마트폰의 액정부분을 덮는 플립커버부로 구성되며, 플립커버부에 카드수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flip-type protective cover, which is usually capable of storing cards, is largely composed of a fixed cover portion that engages with a smartphone and a flip cover portion that covers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smartphone. The flip cover por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ard.
그러나, 종래의 카드수납이 가능한 플립형태의 보호커버는 카드를 여러장 수납하게되면 배부름현상, 즉 플립커버부 안쪽면과 스마트폰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불룩하게 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cards are stored in a flip-type protective cov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ventional c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lding phenomenon,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lip cover and the smartphone do not completely close and bulge up .
이와 같은 배부름현상은 스마트폰 휴대시 플립커버부가 전체적으로 스마트폰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까지도 파생시키게 된다.
Such a folding phenomenon also leads to the problem that the flip cover part is not firmly adhered to the smartphone as a whole when the smartphone is carried.
본 발명과 대비가능한 선행기술문헌으로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9938호 '스마트폰 보호용 플립커버'를 참고할 수 있다.
As a prior art document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can be made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9938 'Flip Cover for Smartphone Prote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카드수납이 가능한 플립형태의 보호커버에서 제반되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카드수납시 배부름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플립커버가 항상 스마트폰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flip-type protective covers that can accommodate a conventional card. In particular, the flip cover is always in contact with a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technical problem of providing a double flip type smartphone protection cov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는 고정커버, 스마트폰의 액정부분을 덮는 외부플립커버, 및 상기 고정커버와 외부플립커버를 연결하면서 절첩가능한 제1절첩부로 이루어지는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xed cover for detachably attaching to a smartphone, an outer flip cover covering a liquid crystal portion of a smart phone, A flip-type smartphone protection cover comprising a folded portion,
상기 외부플립커버나 제1절첩부 또는 그 사이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내부플립커버를 포함구성하고,And an inner flip co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flip cover or the first folding portion or between them,
상기 내부플립커버는 안쪽면은 스마트폰과 밀착되고, 바깥면은 상기 외부플립커버와 맞닿으면서 그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The inner flip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smartphone and th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flip cover to form a storage space therebetween.
이상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내·외부플립커버의 사이 수납공간에 카드를 수납이 가능함은 물론 힘살판의 두께를 조절하여 여러장의 카드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내·외부플립커버 간에 자력으로 고정이 가능하여 덜렁거리지 않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플립커버가 스마트폰의 액정부분과 항상 밀착될 수 있으므로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solu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card in a storage space between inner and outer flip covers, and also to easi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cards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force resilient plate, So that the flip cover can always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emboss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expected effect is indeed an advantageous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의 평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부플립커버의 측면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플립커버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플립커버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에 카드를 수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절첩부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참고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ouble flip smartphone protective cover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ar state of a double flip smartphon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ner and outer flip cov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external flip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inner flip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in which a card is housed in a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econd fol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되는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ual flip type
본 발명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10)의 가장 큰 구성의 특징은 수납공간(51)을 갖는 외부플립커버(30)와 고정커버(20) 사이에 별도의 내부플립커버(50)를 갖는 것인데, 이는 종래 플립형태의 보호커버에서 발생되었던 고정커버부와 플립커버부 간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여러장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double flip smartphone
구체적으로는,Specifically,
스마트폰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는 고정커버(20), 스마트폰의 액정부분을 덮는 외부플립커버(30), 및 상기 고정커버(20)와 외부플립커버(30)를 연결하면서 절첩가능한 제1절첩부(40)로 이루어지는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있어서,(30) for covering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a foldable cover (30) for connecting the fixed cover (20) and the outer flip cover (30) A flip-type smartphone protective cover comprising a folded portion (40)
상기 외부플립커버(30) 또는 제1절첩부(40)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내부플립커버(50)를 포함구성하되,And an inner flip cover (5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flip cover (30) or the first folding section (40)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안쪽면은 스마트폰과 밀착되고, 바깥면은 상기 외부플립커버(30)와 맞닿으면서 그 사이에 수납공간(31, 5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The
상기 고정커버(20)는 스마트폰이 결합되는 곳으로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 및 형태가 달라지는 것인데, 스마트폰의 리어커버 형태로 제작되어 스마트폰 본래의 리어커버 대신 결합되어 슬립화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고무나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스마트폰의 뒷면에서부터 앞면테두리까지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범퍼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xed
이러한 고정커버(20)는 생산성을 고려하였을때 사출방법에 의해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상기 외부플립커버(30)는 상기 고정커버(20)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고정커버(20)와의 사이에는 제1절첩부(40)를 구비하여 외부플립커버(30)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The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플립커버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외부플립커버(30)는 일정 형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힘살판(32) 및 상기 힘살판(32)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접착결합되는 외피(33)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외부플립커버의 외피(33)중 바깥쪽에 위치한 외부플립-바깥외피(33b)는 상기 고정커버(20)의 바깥면에까지 연장형성되어 고정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상기 외부플립커버의 힘살판(32) 중앙부를 일정크기와 일정깊이만큼 절삭가공하여 함몰부를 형성시키게 되면 함몰부에 수납공간(31)이 마련되어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카드를 수납가능하게 되며, 힘살판(32)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절삭가공되는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31)이 깊어지게 되어 결국에는 보다 많은 카드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외부플립커버의 외피(33)중 안쪽에 위치한 외부플립-안쪽외피(33a)에는 카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입구(34)를 형성한다. 카드를 절개입구(34)를 통해 집어넣게 되면 외부플립-안쪽외피(33a)과 힘살판(32) 사이의 수납공간(31)에 수납가능하게 되는데, 외피(33)를 접착시에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에는 외부플립-안쪽외피(33a)와 힘살판(32) 간의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At this time, an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스마트폰의 액정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플립커버(30)나 제1절첩부(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고정커버(20)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절첩부(40)가 위치하게 되어 내부플립커버(50)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The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플립커버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일정 형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힘살(52)판 및 상기 힘살판(52)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접착결합되는 외피(53)로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상기 내부플립커버의 외피(53)중 안쪽에 위치한 내부플립-안쪽외피(53a)는 상기 고정커버(20)의 바깥면에까지 연장형성되어 고정커버(20)에 고정접착되어있음을 알 수 있는데, 내부플립-바깥외피(53b)를 고정커버(20)의 바깥면에까지 연장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flip-
즉, 상기 내부플립커버의 외피(53)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커버(20)의 바깥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플립-바깥외피(33b)와 함께 고정커버(20)에 접착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any one of the
상기 내부플립커버의 힘살판(52) 중앙부를 일정크기와 일정깊이만큼 절삭가공하여 함몰부를 형성시키게 되면 함몰부에 수납공간(51)이 마련되어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카드를 수납가능하게 되며, 힘살판(52)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절삭가공되는 깊이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51)이 깊어지게 되어 결국에는 보다 많은 카드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내부플립커버의 외피(53)중 바깥쪽에 위치한 내부플립-바깥외피(53b)에는 카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입구(54)를 형성한다. 카드를 절개입구(54)를 통해 집어넣게 되면 내부플립-바깥외피(53b)와 힘살판(52) 사이의 수납공간(51)에 수납가능하게 되는데, 외피(53)를 접착시에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에는 내부플립-바깥외피(53b)와 힘살판(52) 간의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At this time, an
또한,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상기 제1절첩부(40)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절첩가능하도록 제2절첩부(55)를 구성시킨 것도 특징인데, 힘살판(52)의 일부를 세로로 절단하여 분리시킨다음 분리된 양측을 상호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외피(53)를 접착함으로써 상호 일정거리 이격시킨 부분에 제2절첩부(55)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The
이러한 제2절첩부(55)는 두가지의 편리한 용도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인데,This
그 하나의 편리한 용도는 제2절첩부(55)를 절개입구(54)의 바로 앞쪽에 형성하게 되면, 카드를 꺼낼시에 제2절첩부(55)를 꺽거나 접게 되면(도 6의 굵은 점선 부분) 얇은 카드라고 하더라도 두 손가락으로 쉽게 집을 수 있으므로 꺼내기가 용이할 수 있으며(도 7 참조), One convenient use is to form the
다른 하나의 편리한 용도는 액정이 드러나도록 내부플립커버(50)를 일정각도로 젖힌상태에서 제2절첩부(55)를 일정각도 꺽어서 바닥과 평행하게 놓게되면, 스마트폰의 거치대 용도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Another convenient use is that the
또한, 상기 외부플립커버(30) 및 내부플립커버(5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자석(38, 58)을 구비하여 상호 간에 자력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특징이다.(도 4 및 도 5 참조)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내부플립커버(50)의 일면에는 거울(59)을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외부플립커버(30, 50)의 사이 수납공간(31, 51)에 카드를 수납이 가능함은 물론 수납공간의 깊이 조절도 용이하여 여러장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내·외부플립커버(30, 50) 간에 자석(38, 58)으로 고정이 가능하여 덜렁거리지 않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플립커버(50)가 스마트폰의 액정부분과 항상 밀착될 수 있으므로 배부름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a card can be stored in the
10 :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20 : 고정커버
30 : 외부플립커버 31 : 수납공간
32 : 힘살판 33 : 외피
33a : 외부플립-안쪽외피 33b : 외부플립-바깥외피
34 : 절개입구 38 : 자석
40 : 제1절첩부 50 : 내부플립커버
51 : 수납공간 52 : 힘살판
53 : 외피 53a : 내부플립-안쪽외피
53b : 내부플립-바깥외피 54 : 절개입구
55 : 제2절첩부 58 : 자석
59 : 거울10: Double flip type smartphone protective cover 20: Fixed cover
30: outer flip cover 31: storage space
32: Force Salman 33: The envelope
33a: outer flip-
34: incision opening 38: magnet
40: Section 1 Attachment 50: Inner Flip Cover
51: storage space 52: force rescue
53:
53b: Inner flip-out envelope 54: incision opening
55: SECOND BAND APPARATUS 58: MAGNET
59: Mirror
Claims (7)
상기 외부플립커버(30) 또는 제1절첩부(40)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내부플립커버(50)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안쪽면은 스마트폰과 밀착되고, 바깥면은 상기 외부플립커버(30)와 맞닿으면서 그 사이에 수납공간(31, 5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플립커버(30) 및 내부플립커버(50)는 일정 형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힘살판(32, 52); 및 상기 힘살판(32, 52)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접착결합되는 외피(33, 53);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외부플립커버의 외피(33)중, 외부플립-바깥외피(33b)는 상기 고정커버(20)의 바깥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내부플립커버의 외피(53)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커버(20)의 바깥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플립-바깥외피(33b)와 함께 고정커버(20)에 고정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수납공간(31, 51)은, 상기 힘살판(32, 52)의 중앙부를 일정크기와 일정깊이만큼 절삭가공하여 형성되며, 힘살판(32, 52)의 두께에 따른 절삭가공의 깊이에 따라 수납공간(31, 51)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외부플립커버(30) 및 내부플립커버(5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8, 58)을 각각 구비하여 상호 간에 자력에 의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내부플립커버(50)는 일부분이 절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30) for covering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a foldable cover (30) for connecting the fixed cover (20) and the outer flip cover (30) A flip-type smartphone protective cover comprising a folded portion (40)
And an inner flip cover (50)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flip cover (30) or the first folding section (40)
The inner flip cover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martphone and its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flip cover 30 so that the storage spaces 31 and 51 are formed therebetween,
The outer flip cover 30 and the inner flip cover 50 may include force plates 32 and 52 for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And a shell (33, 53) which is internally received and adhesively bonded to each other while receiving the force plate (32, 52)
Outer flip-shell 33b of outer flip cover 33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fixed cover 20, and one of outer shells 53 of inner flip cover is fixed to the fixed cover 20, (20) and fixedly bonded to the fixed cover (20) together with the outer flip-outer cover (33b)
The storage spaces 31 and 51 are formed by cut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force plate 32 and 52 by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depth and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of the cutting proces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orce plate 32 and 52.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orage spaces 31 and 51,
The outer flip cover 30 and the inner flip cover 50 are provided with magnets 38 and 58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by magnetic fo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flip cover (50) is constructed such that a portion thereof is foldable. ≪ RTI ID = 0.0 >
상기 내부플립커버(50)의 일면에는 거울(59)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irror (59)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flip cover (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387A KR101620780B1 (en) | 2015-01-09 | 2015-01-09 |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387A KR101620780B1 (en) | 2015-01-09 | 2015-01-09 |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0780B1 true KR101620780B1 (en) | 2016-05-13 |
Family
ID=5602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3387A KR101620780B1 (en) | 2015-01-09 | 2015-01-09 |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07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19380B2 (en) | 2017-09-05 | 2020-10-27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of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2015
- 2015-01-09 KR KR1020150003387A patent/KR101620780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19380B2 (en) | 2017-09-05 | 2020-10-27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of portab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1310Y1 (en) |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 |
US20150065206A1 (en) | Locking Rim Cell Phone Case | |
KR101422194B1 (en) | Protection Case for Mobile Terminal | |
US20160072933A1 (en) |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 |
US20140091689A1 (en) |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 |
US20140116898A1 (en) |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 |
KR102423199B1 (en) | Foldable Cell Phone Case Having Card Storage Structure | |
KR101461004B1 (en) |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 |
KR101386340B1 (en) |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0473708Y1 (en) |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 |
JP6090302B2 (en) | Protective case | |
KR101483146B1 (en) | multi-function case for mobile phone | |
KR101620780B1 (en) | Dual flip type protective cover smartphones | |
KR200474129Y1 (en) |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phone | |
KR101591302B1 (en) |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 |
KR101323375B1 (en) | Flip typ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1480872B1 (en) | Mobile Phone Case With Folding Type Cover | |
KR101392058B1 (en) | A cellular phone case | |
KR200478502Y1 (en) | Hand phone protection case for camera protection | |
KR200472573Y1 (en) |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 |
KR200477958Y1 (en) |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 |
KR200487743Y1 (en) | Versatile storage case | |
KR20150059430A (en) | Smartphone store with a purse | |
KR20210028913A (en) | Phone case | |
KR200472574Y1 (en) |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