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28B1 -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28B1
KR102148628B1 KR1020200034650A KR20200034650A KR102148628B1 KR 102148628 B1 KR102148628 B1 KR 102148628B1 KR 1020200034650 A KR1020200034650 A KR 1020200034650A KR 20200034650 A KR20200034650 A KR 20200034650A KR 102148628 B1 KR102148628 B1 KR 10214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plate
hole
coupl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3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배열부(4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배열부(400)의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결합부재(300) 및 브라켓(5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배열부(400)의 슬라이딩 결합 시, 배열부(400)가 마찰되는 부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탄성수단(200)으로 구성되어,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고, 송배전 케이블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배열부를 베이스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결합 시, 상기 배열부의 무게로 인해 배열부와 마찰력을 저감시켜서 상기 배열부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훼손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Transmission / distribution cable arrangement device for electric power tools having rotationally-coupled coupling members for easy partial replacement}
본 발명은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구성들이 분리구조를 통해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배열되는 케이블의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209239호(특) 지중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공동구 내부에 상기 공동구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수용하는 다수의 케이블장착유닛과;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을 설정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장착유닛들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823311호(특)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고정샤프트가 형성되어 전력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며 구성되되,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외주를 감싸며 내주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주와 치합되고, 양측에 상기 고정샤프트와 다른 방향으로 각각 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의 회전으로 승,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승, 하강부와, 상부에 힌지구조로 이루어져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가 구성되고, 하부 일측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동부와,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축부와, 상기 인입홈과 회전축부의 사이에 구성되되, 일측에 상기 인입홈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와 회전축부를 서로 당김시키는 한 쌍의 제1탄성부재로 구성되는 작동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유동부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어 당김성질을 갖는 제2탄성부재; 로 구성되는 내진구조와 위치가변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일부 구성들이 분리 구조를 갖고 있으나, 제작 및 설치가 매우 복잡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전력구의 바닥부에 안착 되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열부를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배열부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수단과 결합부재 및 브라켓을 구성하여서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결합시키되, 상기 배열부의 슬라이딩 결합 시 상호간의 마찰을 방지하고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를 통해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전력구용 배열장치에 있어서, 전력구의 바닥부에 체결되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홀(110)과, 상기 홀(110)의 상부에 상기 홀(110)과 연장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홈부(120)와, 상기 각각의 홈(110) 사이에 형성되되 내주에 나사산(131)이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홈(130)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홈부(120)에 끼움되어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1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안착부재(220)과, 상기 안착부재(220)의 내부에 안착 구성되되 외측이 상기 안착부재(220)의 상측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롤러(230)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홈(110)에 구성되는 탄성수단(200); 반원호 형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제1,2결합부재(310, 320)가 상호 결합 구성되어 상기 체결홈(130)에 체결 구성되되, 외주 상측에 외주 하측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돌출테(311, 32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30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개방홀(303)이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부(313)와 내삽부(323)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며, 외주에 상기 체결홈(130)의 나사산(131)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315, 325)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는 결합홀(317, 32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17, 327)에 결합되어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고정하는 볼트(307)가 구성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하부에 홈(110)과 마주하는 부분이 돌출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부(410)와, 상기 슬라이드부(41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홀(420)과,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케이블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30)가 형성되는 배열부(400);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결합부재(300)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5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301)와 개방홀(303)의 경계부분에는 고정턱(305)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500)은, 외형이 상기 슬라이드홀(420)과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510)와, 상기 제1브라켓부(51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2브라켓부(520)와,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01)에 위치되되 상측이 상기 고정턱(305)에 걸림되는 걸림턱(531)이 형성되는 제3브라켓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에 형성되는 각각의 나사산(315, 325)은,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제1나사산(315a, 325a)이 형성되고,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제2나사산(315b, 325b)이 형성되며, 외주 중앙부에는 나사산(315, 325)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홀(317, 327)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에 의하면,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회전 및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여 일부 구성품의 파손 또는 훼손 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고, 송배전 케이블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배열부를 베이스플레이트와 슬라이딩 결합 시, 상기 배열부의 무게로 인해 배열부와 마찰력을 저감시켜서 상기 배열부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훼손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베이스플레이트와 배열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결합부재와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구성들이 분리구조를 통해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배열되는 케이블의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는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100), 탄성수단(200), 결합부재(300), 배열부(400), 브라켓(500)으로 대분구성된다.
①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도 1, 2, 3, 4 ,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구의 바닥부에 체결 구성되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홀(110)과, 상기 홀(110)의 상부에 상기 홀(110)과 연장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홈부(120)와, 상기 각각의 홈(110) 사이에 형성되되 내주에 나사산(131)이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상기 전력구와의 체결을 위하여 별도의 외측에 별도의 홀을 형성하여서 전력구와 체결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홀을 도시하진 않았고,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홀(110)은 일정간격 이격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하기될 배열부(400)의 슬라이드부(410)가 상기 홀(110)에 인입되며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한 인입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홀(11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홈부(1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120)의 경우 하기될 탄성수단(200)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되는 각각의 홀(110) 상에 일정가격 이격되며 상기 홀(110)과 연장되는 홈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120)에 탄성부재(210), 안착부재(220), 롤러(230)로 구성된 탄성수단(200)이 끼움될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홀(110)과 홀(110) 사이에는 도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홈(130)은 하기될 결합부재(300)가 회전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체결홈(130)은 너트 역할을 수행하게 상기 결합부재(300)가 볼트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상호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재(300)가 회전결합을 위하 상기 체결홈(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130)은, 도 2 또는 도 4를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4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0) 및 브라켓(500)을 통해 배열부(400)를 고정할 시, 견고한 고정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4개로 도시하였지만,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②탄성수단(200)
상기 탄성수단(200)은,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20)에 끼움되어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1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안착부재(220)과, 상기 안착부재(220)의 내부에 안착 구성되되 외측이 상기 안착부재(220)의 상측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롤러(230)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홈(110)에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10)는 상기 홈부(120)의 첫 번째로 삽입 구성되여 상기 홈부(12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상부로 안착되는 안착부재(220)를 밀림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10)가 밀림성질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목적으로는, 상기 롤러(230)의 상부에 배열부(400)의 슬라이드부(410) 하단부가 안착되며 상기 배열부(400)의 무게로 인해 롤러(230)의 하부로 그 힘이 눌려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230)와 슬라이드부(410)의 하단부와 그 마찰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질 경우 상기 롤러(230) 또는 슬라이드부(410)의 훼손 및 파손을 초래할 수가 없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210)의 구성으로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가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롤러(230)의 마모를 최소화 시켜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안착부재(220)는 상기 홈부(120)에 삽입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롤러(230)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재(220)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롤러(230)의 회전을 위해 상기 롤러(230)의 축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홀이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은 상기 롤러(230)의 전체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230)는 통상의 롤러로써, 상기 도 5 안착부재(220)에 끼워지되, 그 끝단에 배열부(400)의 슬라이드부(410)가 슬라이딩 되지 전에는 외주가 상기 홈부(120)의 상측보다 더 높게 위치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부(410)가 슬라이딩 된 후에는 상기 슬라이드부(410)에 의해 눌려져 롤러(230)의 외주가 홈부(12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230)는 최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0)에 의해 상부로 밀림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410)와 마찰이 일어나면서 슬라이드부(410)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마찰력을 저감시켜 마모 또한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안착부재(220)에 안착되게 되며, 완전한 고정이 아닌 안착되는 구성으로써, 손쉽게 상기 안착부재(220)와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자칫 파손, 훼손 등이 발생할 경우 상기 롤러(230)만 분리시켜 교체할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롤러(230)가 다수개로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배열부(400)의 슬라이드부(410)의 길이와 유연하게 대응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410)의 하부를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③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로써, 도 5, 6,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호 형태로 분할되는 제1,2결합부재(310, 320)가 상호 결합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홈(130)에 체결 구성되되, 외주 상측에 외주 하측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돌출테(311, 32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30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개방홀(303)이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부(313)와 내삽부(323)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며, 외주에 상기 체결홈(130)의 나사산(131)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315, 325)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는 결합홀(317, 32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17, 327)에 결합되어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고정하는 볼트(307)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형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고정턱(305), 돌출테(311, 321), 나사산(315, 325), 결합홀(317, 327)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결합부재(310)에는 돌출부(313),가 별도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재(320)에는 내삽부(323)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가 결합 시 상기 돌출부(313)이 내삽부(323)에 삽입되어 끼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313)와 내삽부(323)의 구성을 통해, 제1,2결합부재(310, 320)를 볼트(307)을 통해 결합 시 각각의 결합홀(317, 327)이 수평선상으로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게 볼트(307)로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결합할 수가 있게 되고, 상기 돌출부(313)와 내삽부(323)은 제1,2결합부재(310, 320)의 상호 대응하는 내측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가 있고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내측 상, 하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의 결합을 통해 결합된 결합부재(300)는 그 내부에 별도의 공간부(301)가 형성되게 되고, 상부로는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는 개방홀(303)이 형성되되, 상기 개방홀(303)은 상기 공간부(301)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303)의 위치되는 브라켓(500)의 중앙부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500)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부분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301)와 개방홀(303)의 경계부분에는 고정턱(305)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500)의 일 부분이 걸림되게 되어 결합부재(30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게 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500)의 제3브라켓부(530)의 상측이 걸림되게 되어 브라켓(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에 형성되는 각각의 나사산(315, 325)은,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제1나사산(315a, 325a)이 형성되고,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제2나사산(315b, 325b)이 형성되며, 외주 중앙부에는 나사산(315, 325)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홀(317, 327)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한 구조를 통해 가공 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산(315, 325)와 결합되는 체결홈(130)의 나사산(131)은 체결홈(130)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테(311, 321)는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결합하여 체결홈(130)에 체결 시, 별도의 기타 공구 또는 사용자들이 손으로 잡고 회전시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둘레의 외형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결합하여 결합부재(300)를 형성하기 전에 하기될 브라켓(500)의 일부분이 상기 공간부(301)와 개방홀(303)에 위치시킨 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307)는 통상의 볼트로써, 상기 체결홀(317, 327)에 회전 결합됨으로써 제1,2결합부재(310, 320)를 하나로 결합하여 결합부재(3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볼트(307)의 머리부분의 타측방향에 고정을 위한 너트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부호없음)
④배열부(400)
상기 배열부(4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하부에 홈(110)과 마주하는 부분이 돌출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부(410)와, 상기 슬라이드부(41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홀(420)과,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케이블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410)는 도 1, 2, 3, 5,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부(4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그 외형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홈(11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되고, 상기 슬라이딩 시 하단부는 탄성수단(200)의 롤러(230)와 맞닿아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홀(420)의 경우 하기될 브라켓(500)의 상부부분(제1브라켓부(510))이 끼워져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500)의 상부부분(제1브라켓부(5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브라켓부(510)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430)는 본 발명의 목적의 일부인 송배전 케이블을 배열하기 위해 안착시키는 구성으로써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열부(400)의 상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430)의 는 상기 배열부(400)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열되는 송배전 케이블의 하부 일부분을 지지토록 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⑤브라켓(500)
상기 브라켓(500)은, 도 3, 5, 6,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결합부재(300)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500)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홈(130)이 4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체결홈(130)에 체결되는 결합부재(300)도 4개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결합부재(300)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라켓(500) 또한 4개로 형성됨으로써, 두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500)은, 도 8, 9,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상기 슬라이드홀(420)과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510)과, 상기 제1브라켓부(51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2브라켓부(520)와,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01)에 위치되되 상측이 상기 고정턱(305)에 걸림되는 걸림턱(531)이 형성되는 제3브라켓부(530)로 구성되도록 하여, 브라켓(500)의 각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 상기 결합부재(300)의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부분 상, 하부로 유동이 가능한데 이러한 유동이 되는 목적으로 상기 배열부(400)와 슬라이딩 결합 시, 편리한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100 : 베이스플레이트
110 : 홀 120 : 홈부
130 : 체결홈 131 : 나사산
200 : 탄성수단
210 : 탄성부재 220 : 안착부재 230 : 롤러
300 : 결합부재 301 : 공간부 303 : 개방홀
305 : 고정턱 307 : 볼트
310 : 제1결합부재 311 : 돌출테 313 : 돌출부
315 : 나사산 315a : 제1나사산 315b : 제2나사산
317 : 결합홀
320 : 제2결합부재 321 : 돌출테 323 : 내삽부
325 : 나사산 325a : 제1나사산 325b : 제2나사산
327 : 결합홀
400 : 배열부
410 : 슬라이드부 420 : 슬라이드홀 430 : 안착부
500 : 브라켓
510 : 제1브라켓부 520 : 제2브라켓부 530 : 제3브라켓부

Claims (3)

  1.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전력구용 배열장치에 있어서,
    전력구의 바닥부에 체결되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홀(110)과, 상기 홀(110)의 상부에 상기 홀(110)과 연장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각각의 홈부(120)와, 상기 각각의 홈(110) 사이에 형성되되 내주에 나사산(131)이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홈(130)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홈부(120)에 끼움되어 밀림성질을 갖는 탄성부재(21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부에 안착 구성되는 안착부재(220)과, 상기 안착부재(220)의 내부에 안착 구성되되 외측이 상기 안착부재(220)의 상측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롤러(230)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홈(110)에 구성되는 탄성수단(200);
    반원호 형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제1,2결합부재(310, 320)가 상호 결합 구성되어 상기 체결홈(130)에 체결 구성되되, 외주 상측에 외주 하측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돌출테(311, 32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301)가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30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개방홀(303)이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부(313)와 내삽부(323)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끼움 구성되며, 외주에 상기 체결홈(130)의 나사산(131)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315, 325)이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공간부(301)와 연장되는 결합홀(317, 32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17, 327)에 결합되어 제1,2결합부재(310, 320)를 고정하는 볼트(307)가 구성되는 결합부재(3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하부에 홈(110)과 마주하는 부분이 돌출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부(410)와, 상기 슬라이드부(41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홀(420)과,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케이블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30)가 형성되는 배열부(400);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결합부재(300)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브라켓(500); 으로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301)와 개방홀(303)의 경계부분에는 고정턱(305)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500)은,
    외형이 상기 슬라이드홀(420)과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홀(4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브라켓부(510)와,
    상기 제1브라켓부(51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홈(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제2브라켓부(520)와,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2브라켓부(52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01)에 위치되되 상측이 상기 고정턱(305)에 걸림되는 걸림턱(531)이 형성되는 제3브라켓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재(310, 320)에 형성되는 각각의 나사산(315, 325)은,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제1나사산(315a, 325a)이 형성되고, 외주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제2나사산(315b, 325b)이 형성되며, 외주 중앙부에는 나사산(315, 325)이 형성되지 않고 결합홀(317, 3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20200034650A 2020-03-20 2020-03-20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214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50A KR102148628B1 (ko) 2020-03-20 2020-03-20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50A KR102148628B1 (ko) 2020-03-20 2020-03-20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628B1 true KR102148628B1 (ko) 2020-08-28

Family

ID=7229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650A KR102148628B1 (ko) 2020-03-20 2020-03-20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811A (ko) * 2007-07-04 2009-01-09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공가 설비용 케이블 결합체
KR101367430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2005696B1 (ko) * 2019-03-21 2019-07-30 홍기곤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811A (ko) * 2007-07-04 2009-01-09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공가 설비용 케이블 결합체
KR101367430B1 (ko) * 2013-10-25 2014-02-26 (주)성화이엔지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2005696B1 (ko) * 2019-03-21 2019-07-30 홍기곤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9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120083753A (ko) 케이블 안내 장치
CN106099683A (zh) 一种新型电力保护柜
KR102148628B1 (ko)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한 회전결합식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CN113904293B (zh) 一种电力工程安装用线缆固定装置
CN210103125U (zh) 一种适用于电力施工的可调节放线架
KR102148630B1 (ko)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CN218449399U (zh) 便于调节的电缆支撑架
CN211606973U (zh) 一种开放式机柜立架
KR102183225B1 (ko) 회전과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거치대
KR101767624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100030854A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CN104929465A (zh) 便捷式调节轻重型移门滑轮
KR102148629B1 (ko)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N113681491A (zh) 一种市政燃气管道对接施工装置
CN102561742B (zh) 一种导向机构及使用该导向机构的升降舞台
CN220930538U (zh) 弹簧支吊架安装装置
CN213774799U (zh) 一种电力安全防护围栏
CN218242587U (zh) 一种可调式接地线柜
CN219034759U (zh) 一种隧道型钢拱架立架快速支撑及定位装置
CN209104598U (zh) 便于维修的配电柜
CN214590310U (zh) 一种易于安装的电缆桥架用抗震支架
CN211086721U (zh) 一种光纤配线架
CN214754547U (zh) 一种光伏连接器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