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351B1 -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351B1
KR102148351B1 KR1020190101688A KR20190101688A KR102148351B1 KR 102148351 B1 KR102148351 B1 KR 102148351B1 KR 1020190101688 A KR1020190101688 A KR 1020190101688A KR 20190101688 A KR20190101688 A KR 20190101688A KR 102148351 B1 KR102148351 B1 KR 10214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light
privacy protection
light emitting
prote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인
Priority to PH1202005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PH1202005026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일반촬영모드와 사생활보호모드 중 하나로 선택 구동되고, 렌즈부로 집광한 것을 처리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에 빛번짐을 유발하도록, 기준값 이상의 밝기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SURVEILLANCE CAMERA HAVING PRIVACY PRO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는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회로카메라)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폐쇄회로를 사용하므로 즉, 유무선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특정목적을 위해 특정인들만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감시카메라는 통신망을 이용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 망이나 셀룰러 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가정용 감시카메라에 이런 기능을 부가하면 모바일 기기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집안 사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문제는 이렇게 일반 가정이나 영업용 매장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의 통신망 또는 감시카메라 자체가 해킹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감시카메라의 사용자들은 감시카메라를 꺼놓은 상태에서도 누군가 나의 카메라를 해킹하여 나의 사생활 영상을 유출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갖게 된다. 이는 가정용이나 영업장용 감시카메라에 대한 불신을 야기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감시를 실시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일반촬영모드와 사생활보호모드 중 하나로 선택 구동되고, 렌즈부로 집광한 것을 처리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에 빛번짐을 유발하도록, 기준값 이상의 밝기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링(ring)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가 제공된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물은 아우터 링(outer ring); 및 상기 아우터 링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발광부가 부착되는 이너 링(inner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링은 상기 아우터 링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구조물은,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링;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의 상측에 부착되는 제2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 사용자는 해킹의 우려에서 해방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일발촬영모드와 사생활보호모드 중 하나로 선택 구동될 수 있다. 일반촬영모드는 일반적인 촬영 모드이며, 감시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은 일반적이고 정상적이다. 사생활보호모드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모드이며, 감시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은 빛번짐으로 왜곡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렌즈부(10) 및 발광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0)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광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렌즈(단위 렌즈(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한 개 이상씩 묶여 하나의 군을 이룰 수 있고, 렌즈부(10)는 복수의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렌즈의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고, 곡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렌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가장 바깥에 위치한 렌즈는 고정군에 속하거나, 보호용 글라스(glass)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광 또는 인공광 등이 피사체에 반사되어 렌즈부(10)로 입사할 수 있다. 상기 광은 렌즈부(10)의 일면(전면)(L)으로 입사되어 렌즈부(1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광은 이미지 센서와 같은 결상부에 도달할 수 있다. 결상부는 광에 대한 상을 맺으며, 특히 이미지 센서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부(10)의 후면에 렌즈부(10)와 대응되게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PCB)(P)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에는 이미지 센서 등의 감시 카메라 부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처리된 광은 최종적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a)는 감시 카메라가 일반촬영모드로 구동되는 경우로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은 정상적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부(100)는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에 빛번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발광부(100)는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광을 조사하며, 감시 카메라가 일반촬영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광을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부(100)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LED,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부품이라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다양한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부(100)는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고, 렌즈부(1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발광부(100)는 렌즈부(10)의 둘레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100)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100)는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직접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0)는 렌즈부(10)를 바라보도록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발광부(100)에 가이드(guide) 커버가 부착됨으로써 발광부(100)의 광 조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발광부(100)가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직접 조사하지 않고, 발광부(100)가 렌즈부(10)를 마주보지 않고, 발광부(100)는 렌즈부(10)의 화각(AV)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이 영상에 빛번짐 왜곡을 유발할 수 있다.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에 의해 영상이 빛번짐으로 왜곡되기만 한다면, 발광부(100)의 광 조사 방향은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발광부(100)가 유발하는 '빛번짐'은 영상의 소정의 영역에서 빛이 과도하게 밝게 빛남으로써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며, 플레어(flare) 현상, 블루밍(blooming) 현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빛번짐에 의하면, 획득되는 영상은 내용 식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빛번짐은 획득되는 영상 화면의 전체에 발생하거나, 영상 화면의 일부에 대해 발생할 수 있다. 빛번짐은 빛번짐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균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빛번짐은 영상 화면의 특정 지점에 집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번짐은 영상 화면의 중앙부에 집중되고 모서리 측으로 갈수록 그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또는, 영상 화면의 모서리 측에서의 빛번짐 강도가 가장 클 수 있다.
발광부(100)는 영상에 빛번짐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발광부(100)는 영상의 내용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밝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의 밝기는 '기준값' 이상일 수 있다. 광의 밝기는 광량, 광속, 조도, 휘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기준값은 이미지 센서의 성능, 발광부(100)의 개수, 발광부(100)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의 밝기가 세질수록, 영상의 내용을 식별할 수 없는 정도가 강해지는데, 기준값은 '육안으로 영상의 내용을 식별할 수 없는 경계 지점에서의 밝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의 밝기가 세질수록, 영상 화면에서의 빛번짐 영역이 커지는데, 기준값은 '빛번짐 영역이 전체 화면의 2/3이 되는 경계 지점에서의 밝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값은 이미지 센서가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광량에 대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값은 특정 수치(절대값)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부(10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발광부(100)를 온/오프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발광부(1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부(100) 중 발광하는 것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발광부(100)의 광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에는 백색광이 발광되도록 하고, 야간에는 청색광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부(100)가 작동하여 광이 조사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은 렌즈부(10) 측 또는 화각(AV) 측으로 조사되고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100)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발광부(100)가 중앙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00)에 의해 조사된 광은 렌즈부(10) 일면 상에서 밝에 빛나며(200) 이러한 빛남은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발광부(100)가 광을 조사하여, 획득된 영상에 빛번짐이 발생하였다. 빛번짐에 따라 영상이 식별 불가능하다. 즉, 도 3(b)는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로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은 왜곡된다.
감시 카메라의 사용자는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감시 카메라를 수동으로 끄는 대신 감시 카메라를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시켜 발광부(100)를 작동시킴으로써 영상을 의도적으로 왜곡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감시 카메라의 감시 영역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획득된 영상이 해킹되더라도, 영상이 충분히 빛번짐으로 왜곡되었으므로 사용자의 사생활은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렌즈부(10)의 일면(L) 상에서 밝게 빛나고 이 빛은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사용자는 감시 카메라의 모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감시 영역(거실 내부 등)을 벗어나 있는 경우, 감시 카메라를 일반촬영모드로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감시 카메라를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감시 카메라 렌즈부(10)에서 밝게 빛나는 빛을 통해 사생활보호모드 구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홀더(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홀더(2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20)는 렌즈부(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렌즈부(10)의 일면(L)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홀더(20)의 개구를 제1 개구라 칭하기로 한다.
홀더(20)는 인쇄회로기판(P) 상에 위치할 수 있고, 홀더(20) 내부에는 렌즈부(10) 외에 이미지 센서 등의 부품들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홀더(20)에는 발광부(100)가 부착될 수 있다.
홀더(20)는 렌즈부(10)의 일면(L)보다 돌출될 수 있다. 홀더(20)는 제1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홀더(20)의 상기 내측면(25)에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 둘레를 따라 홀더(20)에 결합되어,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홀더(20)의 내측면(25)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부(100)는 경사면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20)의 내측면(25)의 경사면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구의 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경사면은 감시 카메라의 화각보다 넓은 범위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발광부(100) 자체는 감시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는, 감시 카메라가 일반촬영모드일 때 발광부(100)가 불필요하게 촬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될 때는 발광부(100)가 조사하는 광이 감시 카메라의 화각 내로 들어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렌즈부(10), 홀더(20), 하우징(30) 및 발광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렌즈부(10)를 둘러싸면서 렌즈부(1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렌즈부(10)의 일면(L)을 노출시키는 개구(이하, '제2 개구'라 함)를 구비한다. 제2 개구는 제1 개구와 대응된다. 하우징(30)은 렌즈부(10) 및 홀더(20)를 둘러싸며, 렌즈부(10)와 홀더(20)를 보호할 수 있고, 내부에 렌즈부(10), 홀더(20), 인쇄회로기판(P), 배터리 등의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에는 발광부(100)가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렌즈부(10) 그리고 홀더(2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에는 렌즈부(10) 측으로 형성된 내측면(31)이 마련될 수 있고, 발광부(100)는 상기 내측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31)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내측면(31)의 경사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 둘레를 따라 하우징(30)에 마련되어,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우징(30)에는 적외선 조명부(35)가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조명부(35)는 적외선 영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적외선 조명부(35)는 야간 촬영 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30)에는 조도 센서가 마련되고 조도 센서가 감지하는 외부 조도가 낮은 경우 야간으로 인식하여 적외선 조명부(35)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우징(30)은 돔형상에 가까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하우징(30)은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의 폭(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제2 실시예에서 투명판(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G)은 하우징(30)의 제2 개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00)는 투명판(G)의 측면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투명판(G)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광을 조사하며, 발광부(100)의 광 조사에 따라 투명판(G)은 밝게 빛나거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0)가 백색광을 조사하면 투명판(G)는 밝게 빛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00)가 색상이 있는 광을 조사하면 투명판(G)는 해당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발광부(100)의 광 조사에 따라 투명판(G)은 변화하고,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은 변화한 투명판(G)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즉,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에는 백색 또는 특정 색상의 빛번짐이 유발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발광부(100)의 발광에 따라 빛 나는 투명판(G)을 도시한다. 투명판(G)은 유리, 플라스틱(아크릴 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렌즈부(10), 홀더(20), 하우징(30), 링(ring) 구조물(40) 및 발광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링 구조물(40)에 결합될 수 있다.
링 구조물(40)은 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측은 도 5를 기준으로 윗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감시 영역과 가까운 쪽을 의미할 수 있다.
링 구조물(40)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링 구조물(40)은 내외부 빛을 서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발광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링 구조물(40) 내부로만 조사되며, 링 구조물(40)에 의해 링 구조물(40) 외부로는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0)에 적외선 조명부(35)가 있는 경우, 링 구조물(40)은 적외선 영역의 광이 렌즈부(10)로 입사되지 않도록 적외선 광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다.
링 구조물(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렌즈부(10)를 노출시키는 개구(이하, '제3 개구'라 함)를 구비한다. 홀더(20)의 제1 개구, 하우징(30)의 제2 개구, 링 구조물(40)의 제3 개구는 서로 대응되며, 렌즈부(10) 일면(L)을 노출시킬 수 있다.
링 구조물(4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링 구조물(40)은 내열성 재질(내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는 렌즈부(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링 구조물(40)은 렌즈부(10) 측으로 형성된 내측면(45)을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는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에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 둘레를 따라 링 구조물(40)에 결합되어, 렌즈부(10)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에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부(100)는 경사면에 결합될 수 있다.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의 경사면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개구의 폭(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경사면은 감시 카메라의 화각보다 넓은 범위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발광부(100)가 감시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는, 감시 카메라가 일반촬영모드일 때 발광부(100)가 불필요하게 촬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이 경우에도 감시 카메라가 사생활보호모드인 경우에는 발광부(100)의 광이 화각 내로 들어간다.
또한,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은 렌즈부(1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발광부(100) 구동을 위한 전선은 링 구조물(40) 내부를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거나, 발광부(10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기판이 링 구조물(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투명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따른 감시 카메라에 투명커버(50)가 씌워지면 도 9에 따른 감시 카메라가 된다.
투명커버(50)는 하우징(30)을 커버하며, 렌즈부(10)를 포함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투명커버(50)는 링 구조물(40)과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링 구조물(40)의 단부는 압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투명커버(50)는 지지체(60)에 결합될 수 있고, 지지체(60)는 하우징(3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60)는 감시 카메라 설치 시 바닥, 벽,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서는 렌즈부(10)가 상측만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부(10)의 촬영 각도는 조절될 수 있고, 소정의 범위 내 다양한 각도로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시 카메라에는홀더(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 모터 등의 부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감시 카메라의 일반촬영모드 구동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b)는 감시 카메라의 사생활보호모드 구동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발광부(100)는 작동하지 않고, 광을 조사하지 않으며, 감시 카메라는 정상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발광부(100)는 발광하여 광이 렌즈부(10) 측 또는 감시 카메라의 화각 측으로 조사되며, 빛번짐으로 왜곡된 영상이 획득된다. 상기 발광부(100)의 광은 렌즈부(10) 일면(L) 상에서 밝게 나타날 수 있고(200), 사용자는 밝게 빛나는 것(200)을 통해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광부(100)는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에 결합되되, 발광부(100)는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에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발광부(100)는 감시 카메라의 일반촬영모드 촬영에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발광부(100)가 링 구조물(40)에 완전히 매립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발광부(100)의 일부만 링 구조물(40)에 매립되고, 나머지는 링 구조물(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 경사면이 도 8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링 구조물(40)의 내측면(45) 경사면이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링 구조물(40) 제3 개구의 폭(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로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링 구조물(40)이 감시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나도록 링 구조물(40)의 제3 개구가 큰 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광부(100)가 렌즈부(10)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렌즈부(10)를 완전히 바라보도록 마련될 수있다. 예를 들어, 링 구조물(40)에 홈이 형성되고, 발광부(100)는 상기 홈에 부착되며, 발광부(100)는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로 보이는 발광부(100)의 광이 외부로 직접 조사되지 않으므로 발광부(100) 광에 따른 사용자의 눈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서, 링 구조물(40)은 동심원을 이루는 복수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 구조물(40)은 아우터 링(outer ring)(40A) 및 이너 링(inner ring)(40B)을 포함하고, 링 형상의 반사판(4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링(40A)은 링 구조물(40)에서 가장 외부에 설치되며, 완충 역할을 하도록 스폰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링(40A)은 링 구조물(40)에서 가로 폭과 세로 폭이 가장 클 수 있다. 한편, 아우터 링(40A)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하지 않고, 렌즈부(1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링(40B)은 아우터 링(40A)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이너 링(40B)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링(40B)에는 발광부(100) 구동을 위한 기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이너 링(40B) 자체가 발광부 구동을 위한 기판일 수 있다. 이러한 기판은 휘어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링(40B)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부(100)는 이너 링(40B)의 내측면의 경사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링(40B)의 경사면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개구의 폭(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로 커질 수 있다.
반사판(40C)은 이너 링(40B)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판(40C)은 이너 링(40B)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반사판(40C)은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40C)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발광부(100)는 반사판(40C)의 구멍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반사판(40C)의 내측면은 이너 링(40B)의 내측면과 동일한 경사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는 링 구조물(40A, 40B, 40C)이 하우징(3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너 링(40B)의 경사면이 렌즈부(10)를 바라보도록 형성되지만, 이너 링(40B)은 감시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 16에는 투명커버(50) 및 지지체(60)가 더 결합된 감시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으며, 투명커버(50) 및 지지체(60)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너 링(40B)은 아우터 링(40A)에 매립될 수 있다. 이너 링(40B)은 아우터 링(40A)에 일부 또는 전부 매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와 비교하여 이너 링(40B)의 돌출 정도가 감소되므로 링 구조물(40A, 40B, 40C)이 감시 카메라의 화각에서 벗어나기 용이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너 링(40B)은 판상의 링 형상을 벗어나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의 공간은 이너 링(40B)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너 링(40B)의 렌즈부(10) 측 바닥면은 개방되어 상기 내부의 공간이 상기 바닥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이너 링(40B)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개구의 폭(횡단면적)은 렌즈부(10) 측으로 갈수로 커질 수 있다.
발광부(100)는 이너 링(40B)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발광부는 이너 링(40B) 내부에 숨겨질 수 있다. 이너 링(40B)의 바닥면은 개방되었으므로, 발광부(100)는 이너 링(40B)의 바닥면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고 내부 공간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이너 링(40B)의 내부 공간 어디에나 부착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너 링(40B)의 내부 공간에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층이 마련될 수 있다.
이너 링(40B)에는 슬릿(S)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너 링(40B)의 내측면에 슬릿(S)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S)은 이너 링(40B)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00)는 슬릿(S)과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슬릿(S)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발광부(100)에서 조사된 광은 슬릿(S)을 통해 방출되어 렌즈부(10)의 일면(L) 상에서 밝게 빛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은 빛번짐 왜곡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에서, 상기 링 구조물(40)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링(41);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41)의 상측(렌즈부(10)와 먼 방향)에 부착되는 제2 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링 구조물(4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링(41)의 두께가 제2 링(42)의 두께보다 클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부(100)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제1 링(41)은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부(100)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열에 견딜 수 있다. 한편, 제1 링(41)에는 발광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42)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도 19(b)와 같이 투명커버(50)가 씌워졌을 때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링(41)과 제2 링(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링(41)과 제2 링(42)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두 링(41, 42)의 경사각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41)과 제2 링(42)의 경사면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링(41)과 제2 링(42)의 경사면들의 형태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41)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발광부(100)는 제1 링(41)의 경사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투명판(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판(G)은 링 구조물(40)의 제3 개구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투명판(G)의 측면은 발광부(100)와 대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투명판(G)은 투명하기 때문에 감시 카메라의 일반촬영모드에서 촬영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0(b)를 참조하면, 발광부(100)가 발광함에 따라 광이 투명판(G) 내에서 반사하고 투명판(G)은 빛날 수 있다. 투명판(G)이 밝게 빛 나면서, 획득되는 영상에는 빛번짐이 유발될 수 있다. 발광부(100)가 조사한 광은 투명판(G) 내부에서 전반사되거나, 전반사에 가깝게 반산될 수 있다. 한편, 투명판(G)에는 일반촬영모드 촬영에는 식별되지 않는 스크래치가 마련되어, 발광부(100)의 광이 상기 스크래치에 의해 투명판(G) 내부에서 반사될 수 있다.
발광부(100)가 발광함에 따라 투명판(G)은 특정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이 청색광인 경우 투명판(G)은 청색으로 빛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획득되는 영상에는 청색으로 빛번짐이 유발되고, 영상은 왜곡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감지부(1)와 제어부(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가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는 발광부(10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2)는 발광부(100)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1)는 사용자(3)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스마트폰, 휴대폰,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3)는 감지부(1)가 감지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4)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3)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소유하고 있고, 감지부(1)가 감지하게끔 하는 사용자 단말(4)은 스마트폰으로 한정할 수 있다.
감지부(1)는 사용자 단말(4)과 네트워크(N)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단말,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VoLTE, Wi-Fi, Bluetooth, NFC, RFID, 홈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과 감지부(1)는 블루투스로 페어링되면 감지부(1)가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가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하면, 제어부(2)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는 발광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는 발광부(100)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가 사용자(사용자 단말)(3, 4)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사용자(3)의 사생활을 자동으로 보호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가 사용자 단말(4)을 인식한다는 것은 사용자(3)가 감시 카메라의 감시 영역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3)는 감시 카메라로 감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시 기능을 의도적으로 상실시킨다. 만약, 사용자(3)가 감시 영역에 놓여 있을 때, 촬영 영상이 해킹되더라도 획득되는 영상은 빛번짐으로 왜곡되므로 사용자(3)의 사생활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감지부(1)는 사용자 단말(4)과 감시 카메라 간의 거리(D)에 따라 제어부(2)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감지부(1)는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하였을 때, 감시 카메라와 사용자 단말(4) 간의 거리(D)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값 이하일 때에 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3)가 감시 카메라에 가까이 있을 때에만 사생활보호모드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가 발광부(100)를 동작시키는 경우, 제어부(2)는 사용자 단말(4)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0)가 동작을 시작하였다는 메시지나 알림이 사용자 단말(4)에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가 발광부(100) 동작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도 제어부(2)는 사용자 단말(4)에 피드백(메시지나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가 사용자 단말(4)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3)는 사용자 단말(4)을 통해 감시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3)는 감시 카메라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고, 발광부(100)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는, 발광부(100)의 발광에 따른 열 발생으로 인해 렌즈부(10)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0)의 발광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는 감시 카메라로의 전원 공급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감시 카메라를 대기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는 발광부(100)와 감시 카메라 전원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발광부(100)와 연결되는 발광회로선(5), 감시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선(6), 메인회로선(7) 그리고 스위치(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a)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는 일반촬영모드며, 회로는 메인회로선(7), 스위치(8), 전원공급회로선(6)으로 연결되며, 발광부(100)는 발광하지 않는다. 감시 카메라는 정상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는 사생활보호모드이며, 회로는 메인회로선(7), 스위치(8), 발광회로선(5)으로 연결되며, 발광부(100)가 발광할 수 있다. 반면, 감시 카메라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꺼질 수 있다. 감시 카메라는 촬영을 중지하며, 발광부(100)의 발광에 의해 사용자는 사생활보호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발광부(100)의 발광 시간이 길어질 때, 발광부(100)의 광에 따른 렌즈부(10)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렌즈부
20: 홀더
30: 하우징
40: 링 구조물
50: 투명커버
60: 지지체
100: 발광부

Claims (11)

  1. 일반촬영모드와 사생활보호모드 중 하나로 선택 구동되고, 렌즈부로 집광한 것을 처리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사생활보호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영상에 빛번짐을 유발하여 상기 영상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렌즈부 측으로 기준값 이상의 밝기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는 링(ring)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물은
    아우터 링(outer ring); 및
    상기 아우터 링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발광부가 부착되는 이너 링(inner ring)을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은 상기 아우터 링에 매립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구조물은,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1 링; 및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의 상측에 부착되는 제2 링을 포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발광시키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노출시키는 링(ring)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링 구조물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0190101688A 2019-06-18 2019-08-20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14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H12020050266A PH12020050266A1 (en) 2019-06-18 2020-08-08 Surveillance camera having privacy pro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2202 2019-06-18
KR1020190072202 2019-06-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454A Division KR102152780B1 (ko) 2020-08-20 2020-08-20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0200104453A Division KR102152779B1 (ko) 2020-08-20 2020-08-20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351B1 true KR102148351B1 (ko) 2020-08-26

Family

ID=7224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688A KR102148351B1 (ko) 2019-06-18 2019-08-20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8351B1 (ko)
PH (1) PH120200502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536A (ko) * 2012-12-20 2015-08-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프라이버시 모드를 갖춘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536A (ko) * 2012-12-20 2015-08-2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프라이버시 모드를 갖춘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050266A1 (en)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870A (ko) 조명 장치
US20070103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recording features of cameras
US20090213208A1 (en) Panoramic camera
KR101271730B1 (ko) 감시카메라
EP3232124A1 (en) Intelligent lamp group
US11092479B2 (en) Sensor assembly and a device comprising such sensor assembly
KR101173542B1 (ko)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KR102152779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US20130155233A1 (en) Monitoring camera
KR100938153B1 (ko) 난반사용 방지패드가 부착된 돔형 감시카메라
KR20100038740A (ko) 인체감지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101380232B1 (ko) 감시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투광기
JP2015060832A (ja) 監視カメラ付き照明装置
KR102148351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2152780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JP2007166570A (ja) Ledライト内蔵監視カメラ
US10146104B2 (en) Lamp cup and camera
KR200455617Y1 (ko) 적외선 카메라의 빛 차단장치
CN209897195U (zh) 一种便携式隐藏摄像头的检测装置
KR101228338B1 (ko) Cctv 카메라 및 그의 감시 방법
JP2015076872A (ja) 監視カメラ付き照明装置
KR102049728B1 (ko) 비상조명 겸용 cctv led 센서등
JP2006171951A (ja) 侵入者監視装置及び侵入者監視システム
KR20200133645A (ko) 렌즈 가림 기능을 구비한 감시 카메라
TWI515504B (zh) 攝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