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81B1 -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81B1
KR102148281B1 KR1020187029849A KR20187029849A KR102148281B1 KR 102148281 B1 KR102148281 B1 KR 102148281B1 KR 1020187029849 A KR1020187029849 A KR 1020187029849A KR 20187029849 A KR20187029849 A KR 20187029849A KR 102148281 B1 KR102148281 B1 KR 10214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ynchronization
priority
coverage rang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938A (ko
Inventor
리 자오
위안위안 리
하이쥔 저우
루이 자오
잉 펭
쟈이 팡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12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ynchronizing potentially movabl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01S19/11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wherein the cooperating elements are pseudolites or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signal rep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Abstract

본 공개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3월 31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출원 No. 201610197109.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차량도로 협업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등 기술에 기반하여 차량과 차량, 차량 도로 정보의 인터랙티브 및 공유를 진행하고, 차량과 인프라 사이의 스마트 협업을 진행하여, 시스템 자원 이용을 최적화하고, 도로 교통 안전을 향상하며, 교통 정체를 완화하는 목표를 이룬다.
종래에 3GPP 표준 연구에서 LTE(장기 진화) D2D(기기와 기기) 통신 표준은 3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분할했다. 우선순위는 내림순으로, 커버리지 내 단말기 > 일부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 > 커버리지 밖의 단말기이다. 표준은 SLSS 동기화 시퀀스 및 PSBCH가 전송하는 1비트의 커버리지 범위(in coverage) 마크 비트의 조합을 이용하여 동기화 우선순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규정했으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과 같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집합에 있으며, 취하는 값의 범위는 [0, 167]이고, in coverage 마크는 True이다.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와 동기화되며, 송신한 동기화 시퀀스는 상기 단말기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UE(커버리지 내의 단말기)의 동기화 시퀀스와 동일하나, 그 in coverage 마크는 False이다.
커버리지 밖의 단말기는 3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1) 선택한 동기화 참조 단말기는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이고, 송신한 동기화 시퀀스 번호는 참조 UE(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의 동기화 시퀀스의 번호+168이다.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집합에 있으며, 취하는 값의 범위는 [168, 335]이고, 그 in coverage 마크는 False이다.
2) 선택한 동기화 참조 단말기는 커버리지 밖의 단말기이고, 송신한 동기화 시퀀스는 선택한 참조 UE(커버리지 밖의 단말기)의 동기화 시퀀스와 동일하다.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집합에 있으며, 취하는 값의 범위는 [168, 335]이고, in coverage 마크는 False이다.
3) 상기 단말기가 그 어떤 동기화 참조 UE도 선택하지 않고,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형성하면,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집합에 있으며, 단말기는 [168, 335] 중 어느 하나의 시퀀스를 자신의 동기화 시퀀스로서 선택하여 송신한다. in coverage 마크는 False이다.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에서 2가지 동기화 소스가 존재할 수 있으며, GNSS의 노드가 제공한 동기화 소스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여전히 기지국을 동기화 소스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LTE D2D 통신 중, 기지국 eNB를 센터 노드로 하는 집중식 동기화 네트워크에서, 커버리지 내의 UE는 eNB로부터 획득한 동기화를 전달하여, 상기 eNB 커버리지 밖의 UE도 커버리지 내 UE의 동기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분적 커버리지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 에지측의 UE도 커버리지 내의 UE가 전달한 D2DSS(D2D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 밖의 UE는 D2DSS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D2D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eNB로부터 멀리 떨어진 커버리지 밖의 UE도, ISS에 기반한 동기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LTE D2D에서, GNSS를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노드는 동기화 소스로서 고려되지 않으며, 동기화 메커니즘은 기지국만을 핵심으로 하고, 기지국의 클록을 외부로 전달한다.
한편,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차량 노드는 핸드폰 단말기에 비해 처리 능력이 더 강하여 노드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도 확실한 동기화 신호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바로 동기화 소스로 될 수 있으며, 동기화 수렴을 가속화하고, 동기화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균일한 타이밍을 형성하고 동기화 클러스터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네트워크 중의 동기화 통신을 지원하도록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의 동기화 정보 송신 메커니즘을 개량 설계할 필요가 있다. LTE D2D에서 기지국 중심으로 통합적인 동기화 체계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차량도로 협업 통신 시스템은 GNSS를 도입하므로, 다수의 동기화 소스가 동기화 정보를 제공하여, 동기화 수렴을 가속화하고 동기화 클러스터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말기가 수신한 후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여 동기화 조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합리적인 동기화 정보 송신 방법을 형성하지 못했다.
본 공개의 목적은 관련 기술에서 기지국만을 동기화 소스로 함에 따라 동기화 수렴이 늦고 동기화 클러스터(cluster)가 많으며 동기화 정밀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는 제1 상대적 관계, 제2 상대적 관계 및 제3 상대적 관계를 포함하며,
제1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것이고, 제2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와 동기화할 수 있는 관계이며, 제3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관계이다.
그 중,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노드가 이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 기반의 동기화 및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며, 또한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우선순위 확정 모듈, 표시자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는 제1 상대적 관계, 제2 상대적 관계 및 제3 상대적 관계를 포함하며,
제1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것이고, 제2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와 동기화할 수 있는 관계이며, 제3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관계이다.
그 중, 상기 장치는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은, 상기 노드가 이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 기반의 동기화 및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1 유닛,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4 유닛은 제1 서브 유닛과 제2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제5 유닛, 제6 유닛, 제7 유닛, 제8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6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7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8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5 유닛, 제6 유닛 및 제7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8 유닛은 제3 서브 유닛, 제4 서브 유닛과 제5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은 제1 설정 유닛, 제2 설정 유닛, 제3 설정 유닛과 제4 설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은 제5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며, 또한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상기 기술적 수단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는, 차량도로 협업 통신 시스템 중의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통해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고, 동기화 시퀀스와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을 통해 서로 다른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함으로써, 그밖의 다른 노드가 서로 다른 동기화 우선순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GNSS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노드를 동기화 소스로 하는 것을 지원하고, 기지국을 동기화 소스로 하는 것도 지원함으로써, 동기화 수렴을 가속화하고, 동기화 클러스터의 개수를 줄이고 동기화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LTE D2D 통신 기준 중 동기화 우선순위 및 시퀀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공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기본 단계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기본 단계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제1례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와 시퀀스를 나타낸 원리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제2례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와 시퀀스를 나타낸 원리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제3례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와 시퀀스를 나타낸 원리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공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술적 수단과 장점이 더 명료해지도록,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와 같이, 본 공개의 제1 실시예는 아래 단계를 포함한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11: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한다.
단계 12: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한다.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은 일반적으로 차량도로 협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단계 12에서 설정한 동기화 시퀀스와 커버리지 범위 마크는 차량용 네트워크 중의 동기화 정보를 통해 송신되어, 차량용 네트워크 중의 동기화 통신을 지원한다.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는 구체적으로 ‘in coverage 마크’로 부른다.
본 공개의 제1 실시예는 GNSS를 도입하므로, 통신 시스템에는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다수의 동기화 소스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GNSS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를 동기화 소스로 하거나, 또는 기지국을 여전히 동기화 소스로 한다. 다수의 동기화 소스가 동기화 정보를 제공하면, 동기화 수렴을 가속화하고, 동기화 클러스터를 줄이며, 동기화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과 같이, 본 공개의 제2 실시예는 아래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20: 상기 노드가 이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한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 기반의 동기화 및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이 다양한 동기화 소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전에 먼저 그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고, 그 동기화 방법을 결합하여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해야만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 제2 우선순위, 제3 우선순위 및 제4 우선순위로 구분한다. 또한, GNSS 기반의 동기화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에 대해 그 구분 방법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GNSS 기반의 동기화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에 대해, 동기화 우선순위를 구분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21: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한다.
단계 22: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한다.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더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먼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를 아래와 같이 개괄한다. 노드와 GNSS는 세 가지 연결 관계를 가진다. 첫 번째 연결 관계는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관계이다. 두 번째 연결 관계는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관계, 즉 노드가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관계이다. 세 번째 연결 관계는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관계, 즉 노드가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관계이다. 이어서,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아래와 같이 개괄한다.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는 세 가지 상대적 관계를 가진다. 제1 상대적 관계는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커버리지 내의 노드로 부른다. 제2 상대적 관계는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노드가 커버리지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버리지 내의 노드와 동기화될 수 있는 것으로,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로 부른다. 제3 상대적 관계는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노드가 커버리지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커버리지 밖의 노드로 부른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세 가지 연결 관계를 세 가지 상대적 관계와 각각 조합하하며, 그 조합을 통해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한다.
나아가,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단계 21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1: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2: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즉, 커버리지 밖의 노드와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경우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제2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는, 상기 제2 우선순위의 노드는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3: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면,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든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든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모두 제3 우선순위이다. 즉, 상기 제3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는, 상기 제3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는, 상기 제3 우선순위의 노드는,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4: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즉, 만약 노드가 상기 제1 우선순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또한 제2 우선순위의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으며 제3 우선순위의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제4 우선순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214는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41: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면,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든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든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모두 제4 우선순위이다. 즉 상기 제4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는, 상기 제4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는, 상기 제4 우선순위의 노드는,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42: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이고, 또한 상기 커버리지 밖의 노드가 그 어떤 동기화 참조 노드도 선택하지 않고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형성한 경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제4 우선순위이다.
더 나아가,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단계 21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5: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제1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내의 노드라는 조건과, 기지국과 동기화된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6: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커버리지 밖의 노드를 가리킨다. 상기 제2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7: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커버리지 밖의 노드를 가리킨다. 상기 제3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1단계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8: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즉, 만약 노드가 상기 제1 우선순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또한 제2 우선순위의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으며, 제3 우선순위의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제4 우선순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218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81: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커버리지 밖의 노드를 가리킨다. 즉 상기 제4 우선순위의 노드는, 커버리지 밖의 노드라는 조건과, 2단계 및 2단계 이상 도약하여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노드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계 2182: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를 가리킨다. 즉,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 방법에서, 노드가 부분적 커버리지 내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가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든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든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모두 제4 우선순위이다.
단계 2182: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노드가 커버리지 밖의 노드이고, 상기 커버리지 밖의 노드가 그 어떤 동기화 참조 노드도 선택하지 않고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형성하면,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는 제4 우선순위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2 실시예에서 단계 22는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21: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제1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이고, 제2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이다.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의 값의 범위는 [0, 167]이고,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의 값의 범위는 [168, 335]이다. 커버리지 범위 마크는 in coverage 마크이고, 그 중 제1 마크는 True, 제2 마크는 False이다.
이 단계는 제1 우선순위의 노드에 대해 동기화 시퀀스와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GNSS 기반의 동기화: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에서 선택하며, id는 제1 고정값 X1으로 설정하고,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에서 선택하며, id는 제3 고정값 X3으로 설정하고, 제3 고정값 X3은 id_net 시퀀스에서 X1와 X2를 제외한 값으로 설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단계에서 동기화 시퀀스는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구성하며,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단계 222: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GNSS 기반의 동기화와 기지국 기반 동기화의 경우, 제2 우선순위의 노드에 대한 설정은 모두 아래와 같다. 즉,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id는 제1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단계 223: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GNSS 기반의 동기화와 기지국 기반 동기화의 경우, 제3 우선순위의 노드에 대한 설정은 모두 아래와 같다. 즉,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id는 제2 고정값 X2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단계 224: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는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기설정 값은 168)의 합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제4 우선순위의 노드에 대하여, GNSS에 대한 동기화든 기지국에 대한 동기화든 모두 아래 세 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a)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에서 선택하고, id의 값은 제2 고정값 X2+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b)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id의 값은 동기화 참조 노드의 시퀀스와 같으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c)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 균일한 분포를 이용하며, id_oon 시퀀스 범위 내 [168, 335]에서 하나의 값을 임의로 선택하여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시퀀스로 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나아가, 단계 22는 아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225: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며, 또한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한다.
더 나아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에 대하여,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아래 한 가지 경우를 더 포함한다.
d) eNB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동기화 참조 노드는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고, 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는 참조 노드(제1 우선순위의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의 id 값+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제1례: GNSS 기반 동기화의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도 4와 같이, GNSS 기반 동기화의 동기화 시퀀스(SLSS id) 및 in coverage 마크의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1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제2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3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2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4 우선순위의 노드: 아래 경우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X2+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동기화 참조 노드의 시퀀스와 같으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인 경우: 균일한 분포를 이용하며, id_oon 시퀀스 범위 내 [168, 335]에서 임의로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시퀀스로 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2례: 기지국 기반 동기화의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도 5와 같이, 기지국 기반 동기화의 동기화 시퀀스 SLSS id 및 in coverage 마크의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1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로부터 X1과 X2를 제외하고 선택하며, R12 D2D의 설계를 다시 이용하며, eNB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해 구성하되, 고정값 Y1 또는 Y2로 설정하고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제2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3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2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4 우선순위의 노드: 아래 경우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X2+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동기화 참조 노드의 시퀀스와 같으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인 경우: 균일한 분포를 이용하며, id_oon 시퀀스 범위[168, 335] 내에서 임의로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시퀀스로 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SLSS id는 동기화 참조 노드의 SLSS id 값+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3례: GNSS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 시스템도 포함한다.
도 6과 같이, 시스템의 SLSS id와 in coverage 마크의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1 우선순위의 노드:
GNSS 기반의 동기화: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 시퀀스로부터 X1과 X2를 제외하고 선택하며, R12 D2D의 설계를 다시 이용하며, eNB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해 구성하되, 고정값 Y1 또는 Y2로 설정하고, In coverage는 True로 설정한다.
제2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1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3 우선순위의 노드: 동기화 시퀀스는 id_net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는 고정값 X2로 설정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제4 우선순위의 노드: 아래 경우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X2+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인 경우: 동기화 시퀀스는 id_oon 시퀀스로부터 선택하고, SLSS id의 값은 동기화 참조 노드의 시퀀스와 같으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인 경우: 균일한 분포를 이용하며, id_oon 시퀀스 범위 내 [168, 335]에서 임의로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의 동기화 시퀀스로 하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부분적 커버리지 내 노드의 SLSS id는 동기화 참조 노드의 SLSS id 값+168이며, In coverage는 False로 설정한다.
정리하면, 본 공개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은, 동기화 시퀀스와 in coverage 마크의 재조합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기화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동기화 정보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수신 노드로 하여금 동기화 우선순위를 구분하도록 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종래 표준을 적게 변경하여, 다양한 동기화 레벨을 수신 노드가 구분하는 데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신뢰성 있는 GNSS를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노드를 동기화 소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eNB를 동기화 소스로 하는 것도 지원한다. 또한, 동기화 수렴을 가속화하고, 동기화 정밀도를 향상하며, 동기화 클러스터의 개수를 줄이며, 균일한 타이밍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상기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본 공개의 제3 실시예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우선순위 확정 모듈(31)과 표시자 설정 모듈(32)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31)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32)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은, 상기 노드가 이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 기반의 동기화 및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31)은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과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1 유닛,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유닛은 제1 서브 유닛과 제2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31)은 제5 유닛, 제6 유닛, 제7 유닛과 제8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6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7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8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5 유닛, 제6 유닛 및 제7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8 유닛은 제3 서브 유닛, 제4 서브 유닛과 제5 서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32)은 제1 설정 유닛, 제2 설정 유닛, 제3 설정 유닛과 제4 설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32)은 제5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에 부분적으로 커버되며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가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을 적용한 표시 장치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든 실시형태는 모두 상기 제3 실시예에 적용되고,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4 실시예
상기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본 공개의 제4 실시예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400); 및 버스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400)에 연결된 메모리(42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420)는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실행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400)가 상기 메모리(42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우선순위 확정 모듈(31)과 표시자 설정 모듈(32)을 구현하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31)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32)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에 대응되므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정보의 전송 장치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상기 제4 실시예에 적용되고, 모두 동일 또는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상은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 따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도 일부 개량하고 윤색할 수 있으며, 이들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로 보야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노드가 사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는 단계-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의 동기화 및 기지국의 동기화에 기반하는 것을 포함하고;
    노드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 및
    그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는 제1 상대적 관계, 제2 상대적 관계 및 제3 상대적 관계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관계이고,
    제2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와 동기화할 수 있는 관계이며,
    제3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관계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며, 또한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8.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 우선순위 확정 모듈 및 표시자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방법 확정 모듈은, 노드가 이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동기화 방법은 GNSS 기반의 동기화 및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과 제4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1 유닛, 제2 유닛 및 제3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는 제1 상대적 관계, 제2 상대적 관계 및 제3 상대적 관계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관계이고,
    제2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나,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와 동기화할 수 있는 관계이며,
    제3 상대적 관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관계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 확정 모듈은 제5 유닛, 제6 유닛, 제7 유닛 및 제8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5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상기 노드와 상기 기지국이 동기화된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6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7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8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제5 유닛, 제6 유닛 및 제7 유닛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유닛은 제1 서브 유닛 및 제2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8 유닛은 제3 서브 유닛, 제4 서브 유닛 및 제5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수의 다른 노드의 순차적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4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서브 유닛은,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설정 모듈은 제1 설정 유닛, 제2 설정 유닛, 제3 설정 유닛, 제4 설정 유닛 및 제5 설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1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의 동기화 방법이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3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1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2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1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가 제3 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1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3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고정값과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참조 노드가 제4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상기 동기화 참조 노드의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가 서로 같도록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며, 만약 상기 노드가 독립적인 동기화 소스를 이용하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제2 동기화 시퀀스 중의 임의의 값으로 확정하며,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설정 유닛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가 제4 우선순위인 경우, 만약 상기 노드가 기지국 기반의 동기화를 이용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으며, 또한 상기 노드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의 노드가 송신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노드가 선택한 동기화 노드가 제1 우선순위의 노드이면,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를 제2 동기화 시퀀스로 확정하고, 상기 제2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를 상기 동기화 노드의 제1 동기화 시퀀스의 표시자와 기설정 값의 합으로 확정하고,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제2 마크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장치.
  13. 노드가 사용하는 동기화 방법을 확정하는 단계-상기 동기화 방법은 GNSS의 동기화 및 기지국의 동기화에 기반하는 것을 포함하고;
    노드와 GNSS의 연결 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 및
    그 중 상기 동기화 방법이 GNSS 기반의 동기화인 경우, 상기 노드와 GNSS의 연결관계 및 상기 노드와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의 상대적 관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기지국 커버리지 범위 밖에 있고 또한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상기 노드가 상기 GNSS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없으나 상기 노드가 다른 노드의 전달을 통해 상기 GNSS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토대로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 및 상기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노드의 동기화 시퀀스와 상기 커버리지 범위 마크의 조합은 상기 노드의 동기화 우선순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인,
    차량도로 협업 통신 시스템용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87029849A 2016-03-31 2017-03-31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KR102148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197109.8A CN107295625B (zh) 2016-03-31 2016-03-31 一种同步优先级的标识方法及装置
CN201610197109.8 2016-03-31
PCT/CN2017/078922 WO2017167254A1 (zh) 2016-03-31 2017-03-31 一种同步优先级的标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938A KR20180124938A (ko) 2018-11-21
KR102148281B1 true KR102148281B1 (ko) 2020-10-14

Family

ID=5996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849A KR102148281B1 (ko) 2016-03-31 2017-03-31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0463B2 (ko)
EP (1) EP3439379B1 (ko)
JP (1) JP6708750B2 (ko)
KR (1) KR102148281B1 (ko)
CN (1) CN107295625B (ko)
WO (1) WO2017167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872A (zh) * 2018-05-10 2022-06-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JP2021532637A (ja) * 2018-07-16 2021-11-25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同期源の優先度決定方法、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14365514A (zh) * 2019-08-28 2022-04-15 Lg 电子株式会社 在nr v2x中选择同步参考的方法和设备
CN110730498B (zh) * 2019-10-23 2022-09-30 深圳市慧宇系统有限公司 一种导航定位授时同步系统及其同步方法
CN112367702B (zh) * 2020-10-27 2022-01-04 Tcl通讯(宁波)有限公司 同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616587B1 (en) * 2020-11-30 2023-03-28 Meta Platforms, Inc. Remote clock synchronization using network communication and satellite signa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658A1 (en) 2010-06-03 2013-01-10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ynchronization among micro base stations
WO2015057156A2 (en) 2013-10-18 2015-04-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the-air synchronization for small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117375A1 (en) 2013-10-31 2015-04-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WO2015114418A1 (en) 2014-01-29 2015-08-06 Sony Corporation Synchronization method for a device-to-device discovery and/or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US20150264588A1 (en)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037466A1 (en) * 2013-05-06 2016-02-04 Rongzhen Yang Prioritized synchronization signals and mechanism for distributed device-to-devic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4117C (zh) 2002-12-12 2006-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网中防止定时环路形成的方法
CN1956431A (zh) 2005-10-28 2007-05-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实现同步的方法
CN101123465B (zh) 2006-08-09 2012-07-04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用于进行网络设备间同步的方法和装置
US8374163B2 (en) 2007-11-09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of wireless nodes
CN101938824B (zh) 2009-06-29 2013-01-2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空口同步方法、设备及系统
WO2012048729A1 (en) 2010-10-11 2012-04-19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US9036550B2 (en) 2011-09-14 2015-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terminal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CN103347246B (zh) 2013-07-18 2016-08-17 西安电子科技大学 蜂窝网络中嵌入式d2d环境下邻近用户间的发现方法
CN103828398A (zh) * 2013-07-26 2014-05-28 华为终端有限公司 同步信号的承载方法和用户设备
CN104796368B (zh) * 2014-01-17 2018-05-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同步信息的发送、检测方法及用户设备
WO2017052687A1 (en) * 2015-09-24 2017-03-30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ellular synchronization referenc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0658A1 (en) 2010-06-03 2013-01-10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ynchronization among micro base stations
US20160037466A1 (en) * 2013-05-06 2016-02-04 Rongzhen Yang Prioritized synchronization signals and mechanism for distributed device-to-device systems
WO2015057156A2 (en) 2013-10-18 2015-04-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the-air synchronization for small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117375A1 (en) 2013-10-31 2015-04-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WO2015114418A1 (en) 2014-01-29 2015-08-06 Sony Corporation Synchronization method for a device-to-device discovery and/or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US20150264588A1 (en)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6569A1 (en) 2019-04-18
EP3439379A4 (en) 2019-03-27
CN107295625B (zh) 2019-08-16
KR20180124938A (ko) 2018-11-21
EP3439379B1 (en) 2021-12-22
JP2019516290A (ja) 2019-06-13
US10750463B2 (en) 2020-08-18
EP3439379A1 (en) 2019-02-06
WO2017167254A1 (zh) 2017-10-05
CN107295625A (zh) 2017-10-24
JP6708750B2 (ja)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281B1 (ko) 동기화 우선순위의 표시 방법과 장치
US10925026B2 (e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844036B2 (en) Termin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terminal
CN110291822B (zh) 同步信号选择
CN108476484A (zh) 用户装置、同步信号发送方法
CN103702408B (zh) 上行同步的方法和装置
EP3232718A1 (en) Device
TW201735692A (zh) 同步方法、同步裝置和同步源
CN110972106B (zh) 同步方法、通信装置和网络设备
KR101936657B1 (ko) 랜덤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3355A1 (zh) 设备对设备d2d通信的方法和d2d终端设备
CN101682404B (zh) 用于选择和发送可变帧格式的方法和装置
KR102139561B1 (ko)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04094639B (zh) 无线通信系统、通信方法、基站装置以及移动终端
CN108632980B (zh) 一种同步方法及终端
CN110720236B (zh) 一种同步载波选取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1263432B (zh) 信息传输方法及设备
CN115734331A (zh) 同步块的传输方法及装置
CN112910616A (zh) 信息传输方法、通信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