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82B1 -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 Google Patents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82B1
KR102147982B1 KR1020180090734A KR20180090734A KR102147982B1 KR 102147982 B1 KR102147982 B1 KR 102147982B1 KR 1020180090734 A KR1020180090734 A KR 1020180090734A KR 20180090734 A KR20180090734 A KR 20180090734A KR 102147982 B1 KR102147982 B1 KR 10214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uction pipe
crane
horizontal fram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5211A (en
Inventor
신영구
Original Assignee
최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호 filed Critical 최원호
Priority to KR102018009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82B1/en
Publication of KR2020001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91Pu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빠르게 채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금 채취장치는, 염전(10) 외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 12)을 따라 이동하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과 그 수직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1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100)에는 수평 프레임(12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아울러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흡입관(130)이 설치된다. 따라서 크레인(100)과 흡입관(130)의 움직임에 의하여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안전하면서도 빠르게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채취된 소금은 흡입관(130)과 연결된 공급관(150)을 따라 공급대차(160)로 공급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quickly collecting salt produced in a salt field by an automated method. This salt collecting device moves along a pair of rails 11 and 12 installed parallel to the outside of the salt field 10,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10 and the vertical frames 110 A crane 100 made of 120 is provided. In addition, the crane 100 is installed with a suction pipe 130 tha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adjusts the overall length. Therefore, by the movement of the crane 100 and the suction pipe 130, the salt produced in the salt field can be safely and quickly collected. And the collected salt is supplied to the supply cart 160 along the supply pipe 150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30.

Description

소금 채취장치{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본 발명은 소금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크레인과 흡입기를 이용하여 안전하면서도 빠르게 자동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t coll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lt collecting device that allows the salt produced in a salt field to be safely and quickly collected automatically using a crane and an inhaler.

소금 채취는 작업자가 염전에서 대파와 같은 도구로 소금을 긁어 모으고 삽으로 운반차량에 담아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채취방법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인력으로 소금을 직접 채취한다는 점에서 많은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인해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Salt collec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a method in which a worker scrapes and collects salt with a tool such as green onions in a salt field, and transports it with a shovel in a transport vehicle. However, as is known, this method requires a lot of labor and working time in that salt is directly collected by manpow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cost due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종래에도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소금채취방법이 일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염전 바닥의 소금을 긁어모아 담을 수 있는 자동 대파장치를 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10-1223416호는 단순 이동시에는 이동바퀴를 이용하고, 소금 채취작업시에는 동력으로 움직이는 동력구동바퀴를 구동시켜 소금을 채집하는 장치를 제안하기도 했다.In the past, various salt harvesting methods that reduce labor and improve productivity have been partially proposed. For example, it could be an automatic cutting device that can scrape and store salt from the bottom of a salt farm.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3416 proposes a device for collecting salt by using a moving wheel for simple movement, and driving a power driving wheel that is driven by power when collecting salt.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소금을 채취할 때 여전히 작업자가 일부 작업(예를 들면 소금을 삽으로 모아주는 작업)을 직접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일부 작업공정은 동력을 이용하여 소금 채취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금채취 작업에 있어 소금을 모아주어야 하는 등의 작업은 작업자 자신이 반드시 직접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still have a problem in that an operator must perform some work (for example, a work of collecting salt with a shovel) when collecting salt. That is, some work processes use pow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alt collection, but still, the workers themselves must perform the work themselves, such as collecting salt in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so sufficient improvement effects could not be expected. .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염전에서의 소금채취과정을 완전 자동화함으로써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충분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l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improving labor reduc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by completely automating the salt extraction process in a salt field.

즉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염전 바닥에서 직접 흡입하고, 그 흡입된 소금은 소정 위치에 마련된 공급대차로 공급, 적재하도록 하는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노동력은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생산성은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the entire process of directly inhaling salt produced in the salt field from the salt field floor, and supplying and loading the inhaled salt to a supply truck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reby minimizing the labor force of worke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the purpose of not only improving productivity, but also preventing workers' safety accident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작업공간인 염전 외측에 평형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그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하고 소금 채취작업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입관; 일단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대차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관에서 전달되는 소금을 상기 공급대차로 공급하며, 신축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공급관; 그리고 상기 소금 채취작업을 위한 명령을 조작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소금 채취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rails installed in equilibrium outside the salt field, which is a predetermined working space; A crane moving along the rail and comprising a pair of vertical frames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A suction pipe that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is adjusted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salt collecting operation and move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above the supply truck to supply salt delivered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supply truck, and configured in a stretchable structure; And it provides a sal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box for operating the command for the salt collecting operation.

상기 흡입관은, 상기 수평 프레임과 결합하는 헤드부; 상기 염전 바닥과 마주보는 흡입부; 상기 헤드부와 흡입부 사이를 연결하는 다단 구조의 몸체부; 그리고 상기 흡입부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염전바닥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기 설정된 값이 되면 흡입관의 길이조절을 위한 구동을 중지시키는 센서신호를 상기 제어박스로 출력한다.The suction pipe, the head portion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 suction part facing the salt farm floor; A body portion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connecting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suction portion; And a sensor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a distance from the salt farm floor, and the sensor sends a sensor signal to the control box to stop driving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when it reaches a preset value. Print.

상기 제어박스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 상기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소금 채취작업의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드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작업경로를 따라 상기 크레인과 흡입관을 이동시키면서 소금을 채취하고 채취된 소금을 공급대차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 box includes a power switch for power on/off;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nsor signal; A mode switch for selecting a moving path of the salt collecting operation; When power is applied, while moving the crane and the suction pipe along the work path selected by the mode switch,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salt and controlling the collected salt to be supplied to a supply truck.

여기서 상기 제어박스는, 카메라가 촬영한 염전바닥의 촬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소금이 남아있는 위치로 크레인과 흡입관을 이동시켜 소금 채취작업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한다.Here, the control box further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salt farm floor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crane and the suction pipe to a location where salt remains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add a salt collecting operation. To do i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소금 채취장치에 의하면, 소금을 생산하는 염전 주변에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을 설치하고, 아울러 그 크레인에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입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인 및 흡입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초기에 스위치 조작만으로 자동 운전되는 크레인 및 흡입기에 의하여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al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rane that can move along a rail is installed around a salt field that produces salt, and an inhaler tha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is provided on the crane. And it provides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rane and the inhal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ollect the salt produced in the salt farm by a crane and a suction machine that is automatically operated only by operating the switch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그리고 채취된 소금은 소정 통로를 통해 공급대차로 공급하고 있고, 이처럼 본 발명은 소금 채취작업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있어, 작업자의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ed salt is supplied to a supply truck through a predetermined passage.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es the entire process of the salt collection operation, and thus, an effect of reducing labor and improving productivity of the worker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금 채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금 채취장치에 적용된 흡입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금 채취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al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ction pipe applied to the sal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al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의 염전(10) 주위에 한 쌍의 레일(11,12)이 설치된다. 레일(11,12)은 염전(10) 가장자리 변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염전(10)의 긴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s shown in FIG. 1, a pair of rails 11 and 12 are installed around the salt farm 10 of a certain area. The rails 11 and 12 may be installed in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r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dge of the salt field 10, and the drawings show a state installed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salt field 10.

이러한 레일(11,12)에는 크레인(100)이 설치된다. 상기 크레인(100)은 상기 레일(11,1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 휠(101)과, 상기 이동 휠(101)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110),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상방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100)은 염전(10)의 너비에 따라 그 크기(즉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크레인의 크기가 커질 경우 수평 프레임(120)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11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을 측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과 같은 무게를 분산하는 구조로 구성되게 하여 수평 프레임(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 crane 100 is installed on these rails 11 and 12. The crane 100 includes a pair of moving wheels 101 moving along the rails 11 and 12, a vertical frame 11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moving wheel 101, and the vertical frame ( It consists of a horizontal frame 120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110). And the crane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hat is, the siz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alt farm 10, and also supports the horizontal frame 120 when the size of the crane increases. The vertical frame 110 for may be configured in plur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vertical frame is viewed from the side, it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distributes weight such as a triangle,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120 can be stably supported.

여기서 상기 레일(11,12)은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상기 레일(11,12)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이동 휠(101)에 의하여 염전 가장자리에서 충분히 크레인(100)의 이동이 가능할 경우라면 레일(11,12)을 설치하지 않고 소금 채취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the rails 11 and 12 will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stalled. That is, even if the rails 11 and 12 are not installed, if the crane 100 can be sufficiently moved from the edge of the salt field by the moving wheel 101, the salt collection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installing the rails 11 and 12. Because there is.

상기 수평 프레임에(120)는 염전(10) 바닥에 있는 소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30)이 설치된다. 흡입관(130)은 상기 수평 프레임(120)에서 하방으로 염전 바닥을 향하여 설치되며 안테나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소금채취를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흡입관(130)은 길이가 최대한 짧은 상태를 가지며, 작업시에는 소금 채취를 위해 염전 바닥까지 그 길이가 길어진 상태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관(130)의 길이조절은 후술하는 헤드부(131)에 설치된 제1모터(131a)가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30)은 수평 프레임(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수평 프레임(120) 내에 설치되는 제2모터(131b, 도 3 참조)가 수행한다. The horizontal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ipe 130 for sucking salt on the bottom of the salt pan 10. The suction pipe 130 is installe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frame 120 toward the salt farm floor and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like an antenna. That is, when salt is not collected, the suction pipe 130 has the shortest length as possible, and during operation,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130 is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salt field for salt collection.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suction pipe 130 is performed by the first motor 131a installed in the head part 131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uction pipe 13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motor 131b (see FIG. 3)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rame 120.

즉, 상기 흡입관(130)은 수평 프레임(120)과 결합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흡입관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평 프레임(120)과 결합하는 헤드부(131), 소금을 흡입하는 흡입부(132), 그리고 헤드부(131)와 흡입부(132) 사이의 몸체부(133)로 구성되며, 몸체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모터(131a)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구조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suction pipe 1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ipe 130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frame 120.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such a suction pip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head portion 131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the suction portion 132 for inhaling salt, and between the head portion 131 and the suction portion 132 Consist of the body portion 133, the body portion 133 is made of a multi-stage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the first motor (131a)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2모터(131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프레임(120)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모터(131b)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헤드부(131)는 상기 수평 프레임(120)에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될 것이고, 이와 같은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모터(131b)와 헤드부(131)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및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The second motor 131b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rame 12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drive of the second motor 131b, the head part 131 will be mov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drawing for such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power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belt and a gear that transmits power must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motor 131b and the head 131.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20)과 헤드부(131)와의 결합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수평 프레임(120)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홈에 헤드부(131)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모터(131b)의 구동력에 따라 헤드부(131)가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즉 수평 프레임(120)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성체를 설치하고 헤드부(131)의 접촉면은 자성체와 반응하는 물질로 형성하면, 상기 자성체의 좌우방향 이동에 따라 헤드부(131) 역시 이동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a method of combining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head part 131 is various.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head portion 131 is 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motor 131b while the head portion 131 is mounted in the guide groove.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Alternatively, coupling by magnetic force may be possible. That is, if a magnetic material that moves left and righ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head part 131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reacts with the magnetic material, the head part 131 will als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magnetic material. .

그리고 헤드부(131)에는 제1모터(131a)와 함께 흡입펌프(131c)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펌프(131c)는 염전 바닥의 소금을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이고, 후술하는 공급관(150)과 연결되어서 흡입된 소금을 그 공급관(150)으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a suction pump 131c is installed in the head part 131 together with the first motor 131a. The suction pump 131c is a pump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sucking salt from the salt farm floor, and is connected to a supply pipe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deliver the sucked salt to the supply pipe 150.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흡입관(130)은 수평 프레임(120)의 좌우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며, 아울러 크레인(100)은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염전(10)의 모든 위치에 흡입관(130)은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이동은 실질적으로 염전(10)에서 생산되는 모든 소금을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ction pipe 130 is driv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crane 100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it is at all positions of the salt farm 10 The suction pipe 130 may be positioned. And this positional movement means that substantially all of the salt produced in the salt field 10 can be sufficiently inhaled.

상기 흡입관(130)은 염전 바닥면과의 간격 조절이 중요하다. 상기 흡입펌프(131c)의 성능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럼에도 흡입관(130)의 끝단과 바닥면과의 거리가 멀거나 너무 가까우면 염전 바닥에 있는 소금을 원활하게 흡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suction pipe 130 with the bottom of the salt farm. This is because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suction pump 131c,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uction pipe 130 and the bottom surface is far or too close, it is difficult to smoothly suck the salt in the salt farm.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관(130)의 선단, 즉 흡입부(132)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135)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135)는 거리조절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신호는, 흡입관(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명령이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sensor 135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pipe 130, that is, the suction part 132. The sensor 135 is a sensor that detects distance adjustment, and serves to output a sensor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value. Here, the sensor signal is a command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1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흡입관(130)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단구조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흡입관(130)은 그 길이가 고정된 상태이고 반면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염전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 예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ipe 130 has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can be adjus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uction pipe 130 has a fixed length, the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110 may be adjusted to provide the same effec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figuration exampl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lt farm.

본 발명은 상기 센서(135)와 함께 염전(10)에서 소금 채취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 염전(10) 바닥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0)를 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40)는 수평 프레임(120)상에 장착되어서 소금 채취 작업전에 염전(10)의 크기를 촬영하여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염전(10)의 크기를 촬영한다는 것은, 크레인(100)의 이동, 그리고 흡입관(130)의 수평이동 및 길이조절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함이다. 또한 카메라(140)는 소금 채취작업 후에 염전에 남아있을 수 있는 소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in the salt field 10 may be added together with the sensor 135. As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it may be a camera 140 for photographing the bottom of the salt field 10. As shown in FIG. 1, the camera 14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 120, so that the size of the salt field 10 may be photographed before the salt collection oper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Here, photographing the size of the salt field 10 is to proper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ane 10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and length adjustment of the suction pipe 130. In addition, the camera 140 may provide salt information that may remain in the salt field after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상기 흡입관(120)에는 공급관(150)이 연결된다. 공급관(150)은 흡입된 소금을 운반대차(16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공급관(150)의 일단은 흡입관(120)의 헤드부(131)와 연결되며 타단은 운반대차(160)의 상부에 위치한다. A supply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20. The supply pipe 150 is for supplying the sucked salt to the transport cart 160, one end of the supply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head 131 of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other end is at the top of the transport cart 160. Located.

그리고 공급관(150)은 일단이 흡입관(130)과 연결된 상태로서, 흡입관(13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공급관(150)도 이와 대응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공급관(150)은 신축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길이가 조절되는 자바라관 형태이다. 따라서 공급관(150)이 일단이 흡입관(130)과 함께 움직이더라도 공급관(150)의 타단은 운반대차(160)의 상부에 항상 정위치로 고정되어 소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ly pipe 1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30, and when the suction pipe 13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upply pipe 150 also moves correspondingly, so the supply pipe 150 has to be constructed in a stretchable structure. It is natural. For example, it is a bellows tube with adjustable length. Therefore, even if one end of the supply pipe 150 moves together with the suction pipe 130, the other end of the supply pipe 150 is always fixed to the top of the transport cart 160 to supply salt.

소금을 공급받고 운반하는 상기 운반대차(160)는 크레인(100)의 이동속도와 동기화되도록 구성된다. 운반대차(160)는 무인으로 구동되는 차량이거나 또는 운전자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일 수 있다. 이러한 운반대차는 후술하는 제어박스(200)가 전달하는 크레인(100)의 이동속도를 기초로 하여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직접 조절한다.The transport cart 160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salt is configured to be synchronized with the moving speed of the crane 100. The carriage 160 may be an unmanned vehicle or a vehicle driven by a driver. Such a transport cart automatically controls the speed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crane 100 transmitted by the control box 200 to be described later, or is directly adjusted by the driver.

그러나 운반대차(160)가 반드시 구동력에 의해 이동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를들면 공급관(150)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면 운반대차(160)는 소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소금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경우 공급관(150)에는 길어진 길이만큼 소금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펌프(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However, the carriage 160 will not necessarily need to be moved by the driving force.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supply pipe 150 is formed sufficiently long, the transport cart 160 can be supplied with salt while being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course, in this case, it would be better to further include a supply pump (not shown) in the supply pipe 150 to sufficiently supply salt as long as the length is longer.

소금 채취작업의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박스(200)가 설치된다. 제어박스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고, 예를 들면 수직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A control box 200 is installed that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of salt extraction. The control box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an operator, and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박스(200)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202),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4), 전원 온 동작 후 카메라(140)의 촬영 정보 및 센서신호에 따라 크레인(100)과 흡입관(120), 공급관(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금 채취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6)가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box 200 includes a power switch 202 for power on/off, a receiver 204 for receiving a sensor signal,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sensor signals of the camera 140 after the power-on operation. Accordingly, a control unit 206 is provided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rane 100,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supply pipe 130 to control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또한 제어박스(200)에는 작업경로를 선택하는 모드스위치(208)가 구성된다. 여기서 작업경로는, 염전에서 소금 채취를 위한 경로를 말하는 것으로, 좌에서 우, 다시 우에서 좌방향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반복해서 진행하는 경로와, 상에서 하, 다시 하에서 상방향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반복해서 진행하는 경로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로 선택은 염전 크기 및 작업량 등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진행경로로서, 대각선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로 등도 얼마든지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box 200 is configured with a mode switch 208 for selecting a work path. Here, the work path refers to the path for salt extraction in the salt farm, and the path that proceeds repeatedly in the left-right direction, such as from left to right, and then from right to left, and the path that goes up and down, such as from top to bottom, and back to bottom. This is the path to proceed. And to choose this path. The selection of the route can be selected by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salt farm size and workload. In addition, as other progress paths, any number of paths running in a diago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그리고 제어박스(200)는 메모리(209)를 더 구성한다. 메모리(209)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정보와, 그 촬영정보를 기초로 하여 소금이 남아있는 염전에서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현재 작업중인 크레인(100) 및 흡입관(130)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획득된다. 이러한 메모리(209)에 의하여 소금 채취작업 후에 염전에 남아있는 소금을 더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And the control box 200 further configures the memory 209. The memory 209 stores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0 and location information in a salt field where salt remains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he locations of the currently working crane 100 and the suction pipe 130. The memory 209 may further collect the salt remaining in the salt field after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다음에는 염전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작업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채취는 염전(10)의 가장자리에 레일(11, 12)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11, 12)에 크레인(100)이 설치된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크레인(100)이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이어야 한다. Next, we will look at the work of extracting salt from the salt field. Sal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 a state in which rails 11 and 12 are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salt farm 10, and the crane 100 is installed on the rails 11 and 12. In addition, the crane 100 must be in a state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상기 초기 위치는, 소정 위치부터 크레인(100)을 이동시켜가면서 소금을 채취할 수 있는 처음의 위치를 말하며, 이러한 위치는 작업자가 셋팅하거나 또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정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전(10)의 모서리 부분이 되거나 또는 소금 채취를 시작해야 할 부분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인(100)의 초기 위치 셋팅은 작업자가 전원이 인가된 후 핸들(미도시)을 조작하여 조정한다.The initial position refers to the first position at which salt can be collected while moving the crane 100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is position may be set by an operator or may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140 . For example, it will be the corner of the salt field 10 or the part where salt collection should begin. And the initial position setting of the crane 100 is adjusted by the operator manipulating the handle (not shown) after power is applied.

아울러 이처럼 크레인(100)이 초기 위치에 위치되면, 염전 바닥면과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관(130)의 길이 조절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은 제어부(206)가 센서(135)로부터 센서신호를 받을 때까지 제1모터(131a)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crane 100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of the suction pipe 130 is performed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salt farm floor. This length adjustment is to drive the first motor 131a until the control unit 206 receives a sensor signal from the sensor 135.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소금 채취를 위한 준비과정은 완료되고, 작업자가 모드스위치(208)를 조작하면 미리 정해진 작업경로를 따라 크레인(100)은 전진방향으로 이동되며 흡입관(130)은 수평 프레임(120)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흡입관(130)이 이동할 때 흡입펌프(131c)의 구동에 따라 염전 바닥면에 놓여진 소금은 흡입관(130) 내로 빨려들어갈 것이고, 계속해서 공급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관(150)내에서 이동하여 공급대차(160)로 공급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salt collection is completed, and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mode switch 208, the crane 10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along a predetermined work path, and the suction pipe 130 is a horizontal frame 120 ) To move left and right. And when the suction pipe 130 moves, the salt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lt farm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suction pump 131c will be sucked into the suction pipe 130, and it is continuously moved and supplied in the supply pipe 15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upply pump. It will be supplied to the balance (160).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모드 스위치(208)에 의해 선택된 진행경로를 따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1회 작업, 예를 들면 일측 가장자리에서 타측 가장자리까지 이동하여 소금채취가 완료되면, 크레인(100)은 레일(11, 12)을 따라 전진 이동하는 작업이 더 수행됨은 당연할 것이고, 이처럼 크레인(100)이 전진 이동한 다음에는 상술한 소금채취 작업이 계속 수행된다.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rogress path selected by the mode switch 208. Of course, once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salt is collected by moving from one edge to the other, the crane 100 moves forward along the rails 11 and 12. In this way, after the crane 100 moves forward, the above-described salt extraction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그리고 상기 크레인(100)이 이동하면, 크레인(100)의 일 측면에 마련된 공급대차(160)도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공급관(150)이 충분히 길게 형성된 경우라면, 상기 공급대차(160)는 염전(10) 외부에 정지된 상태로 있어도 무방할 것이다. And when the crane 100 moves, the supply truck 1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rane 100 also moves at the same speed. Of course, if the supply pipe 150 is formed sufficiently long, the supply cart 160 may be in a stationary state outside the salt farm 10.

상기 공급대차로(160)의 소금 공급은 그 공급대차(160)의 적재량과 공급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소금량을 측정하여 계속 공급 또는 공급 중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대차(160)의 적재량이 만재가 되면, 다음 공급대차(160)가 마련될 때까지 소금 채취작업은 일시 중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The supply of salt to the supply truck 160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or stopped by measur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supply truck 160 and the amount of salt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150. And, when the loading amount of the supply truck 160 is full, it is natural that the salt collection operation should be temporarily suspended until the next supply truck 160 is provided.

이처럼 크레인(100)과 상기 크레인(100)에 결합된 흡입관(130), 공급관(150)에 의하여 염전(10)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빠르게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전에 크레인(100)의 초기 위치만 셋팅하고 작업 명령을 내리는 것에 의해 소금 채취작업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ickly collect the salt produced in the salt farm 10 by the crane 100 and the suction pipe 130 coupled to the crane 100, and the supply pipe 150, an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a crane (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that salt extraction is performed by setting only the initial position of 100) and issuing a work order.

그리고 본 발명은 소금 채취작업 후 염전(10)에 남아있을 소금을 다시 채취하는 작업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소금 채취작업이 수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염전(10)에는 소금이 일부 남아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염전(10)에 남아있는 소금까지 완전하게 채취가능한 것은 크레인(100)에 카메라(1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alt collect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collecting salt remaining in the salt pan 10 may be further performed. That is, even if the above-described salt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some salt may remain in the salt field 1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collect the salt remaining in the salt field 10 because the camera 140 is installed in the crane 100.

상기 카메라(140)는 전원 인가 후 소금 채취를 위한 작업 초기부터 염전(10)을 촬영한 정보를 제어부(206)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6)는 상기 카메라(140)가 전달하는 촬영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면서, 흡입관(130)이 지나간 자리에 소금이 남아있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위치에 소금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 위치 정보를 메모리(209)에 저장한다. The camera 14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alt field 10 to the control unit 206 from the beginning of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after power is applied. Then, the controller 206 analyze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amera 140 in real time, and determines whether salt remains in the place where the suction pipe 130 has passed.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salt exists in a predetermined loc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09.

따라서 작업중인 염전에 대한 소금 채취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206)는 메모리(209)에 재작업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었는지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결과, 메모리(209)에 저장된 정보가 없다면 다른 염전 공간으로 이동하여 소금 채취작업을 하게 될 것이고, 만약 메모리(209)에 저장된 정보가 있다면 그 위치로 크레인(100)을 이동시켜 남아있는 소금을 완벽하게 채취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salt collection operation for the salt field in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06 checks whether information for rework is stored in the memory 209. As a result of this test, if there is no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9, the salt will be collected by moving to another salt field, and if there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9, the crane 100 is moved to the location and the remaining salt Make sure to collect perfect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ation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즉, 본 실시 예는 일정 면적의 염전에 하나의 크레인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염전마다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소금 채취작업시 하나의 염전에 복수의 크레인을 설치하여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at is,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one crane is installed in a salt pond of a certain area, but since the size is different for each salt field,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cranes may be installed in one salt pond during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10: 염전
100: 크레인
11, 12: 레일
101: 이동 휠
110: 수직 프레임
120: 수평 프레임
130: 흡입관
131: 헤드부
132: 흡입부
133: 몸체부
135: 센서
140: 카메라
150: 공급관
160: 공급대차
200: 재어박스
202: 전원 스위치
204: 수신부
206: 제어부
208: 모드 스위치
209: 메모리
10: salt pan
100: crane
11, 12: rail
101: moving wheel
110: vertical frame
120: horizontal frame
130: suction pipe
131: head portion
132: suction unit
133: body part
135: sensor
140: camera
150: supply pipe
160: supply loan
200: jaerbox
202: power switch
204: receiver
206: control unit
208: mode switch
209: memory

Claims (4)

소정 작업공간인 염전(10) 외측에 평형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12);
상기 레일(11,12)을 따라 이동하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과 그 수직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100);
상기 수평 프레임(120)과 결합하고 소금 채취작업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흡입관(130);
일단이 상기 흡입관(130)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대차(160)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관(130)에서 전달되는 소금을 상기 공급대차(160)로 공급하며, 신축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공급관(150);
상기 흡입관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염전바닥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135); 그리고
상기 센서(135)의 신호에 기초하여, 소금 채취작업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박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35)는 기 설정된 값이 되면 흡입관(130)의 길이조절을 위한 구동을 중지시키는 센서신호를 상기 제어박스(200)로 출력하는 소금 채취장치.
A pair of rails 11 and 12 installed in equilibrium outside the salt field 10 which is a predetermined working space;
A crane 100 comprising a horizontal frame 120 that moves along the rails 11 and 12 and connects a pair of vertical frames 110 and the vertical frames 110;
A suction pipe 130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adjusted in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salt extraction operation and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1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3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bove the supply truck 160 to supply the salt delivered from the suction pipe 130 to the supply truck 160, and a supply pipe configured in a stretchable structure ( 150);
A sensor (135) mounted at the tip of the suction pipe and detecting a distance to the salt farm floor; And
On the basis of the signal from the sensor 135, including a control box 200 for performing control for the salt extraction operation;
When the sensor 135 reaches a preset value, the salt collecting device outputs a sensor signal for stopping the driv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130 to the control box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30)은,
상기 수평 프레임(120)과 결합하는 헤드부(131),
상기 염전(10) 바닥과 마주보는 흡입부(132), 그리고
상기 헤드부(131)와 흡입부(132) 사이를 연결하는 다단 구조의 몸체부(133)를 포함하는 소금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pipe 130,
A head portion 131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20,
A suction part 132 facing the bottom of the salt pan 10, and
Sal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multi-stage body portion (133) connecting between the head portion (131) and the suction portion (13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200)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202),
상기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4),
상기 소금 채취작업의 작업경로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208),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드 스위치(208)에 의해 선택된 작업경로를 따라 상기 크레인(100)과 흡입관(130)을 이동시키면서 소금을 채취하고 채취된 소금을 공급대차(160)로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206)를 포함하는 소금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box 200,
Power switch 202 for power on/off,
A receiver 204 for receiving the sensor signal,
A mode switch 208 for selecting a working path of the salt collecting operation, and
When power is applied,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salt while moving the crane 100 and the suction pipe 130 along the work path selected by the mode switch 208 and controls the collected salt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truck 160 ( 20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200)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염전바닥의 촬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0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6)는 상기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소금이 남아있는 위치로 크레인(100)과 흡입관(130)을 이동시켜 소금 채취작업을 추가로 수행하는 소금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box 200,
The camera 140 further includes a memory 209 for stor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salt field taken by the camera 140,
The control unit 206 moves the crane 100 and the suction pipe 130 to a location where salt remains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further perform a salt collecting operation.
KR1020180090734A 2018-08-03 2018-08-03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KR102147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34A KR102147982B1 (en) 2018-08-03 2018-08-03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34A KR102147982B1 (en) 2018-08-03 2018-08-03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11A KR20200015211A (en) 2020-02-12
KR102147982B1 true KR102147982B1 (en) 2020-10-14

Family

ID=6956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34A KR102147982B1 (en) 2018-08-03 2018-08-03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57B1 (en) * 2021-11-12 2022-07-19 박흥성 Automation system for sun salt pro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639B1 (en) * 2020-07-02 2023-01-06 신영구 Device for gethering salts
KR102270180B1 (en) * 2020-12-30 2021-06-29 (유)장성테크 Bay salt manufactu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191A (en) * 1998-12-24 2000-07-15 이구택 Device for continuously loading and unloading powdery material
KR101907679B1 (en) * 2016-12-30 2018-10-12 (주)세영 Device for providing sa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57B1 (en) * 2021-11-12 2022-07-19 박흥성 Automation system for sun salt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11A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82B1 (en) Salt extraction device of saltfield
US11835207B2 (en) Mounting device
CN107520379A (en) Plain net welding machine
CN207205133U (en) Plain net welding machine
CN110406308A (en) A kind of wall paper spreading robot and its method of adjustment, wall paper spreading method
CN108226178A (en) equipment appearance detecting system
CN103407320A (en) Fully-automatic framed painting assembly line
CN107824722A (en) A kind of automatic pin cutter
EP2527104A1 (en) Automatic cutting machine for sheet material
CN208733306U (en) Multi-machine heads recycle sewing system
CN109664548B (en) Strip pasting and enclosing device of automatic wine box assembling machine
JP2005239343A (en) Yard crane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system
JP5929472B2 (en) Seedling transplanter
CN110431999B (en) Gantry type automatic fruit harvesting robot
CN104860110B (en) longitudinal automatic plate collecting machine
JP6274016B2 (en) Spare seedling frame for seedling transplanter
JP6460686B2 (en) Transplanter
CN110303814A (en) A kind of piece alignment means and its control method
JP2019146505A (en) Autonomously traveling field work vehicle
JP5772396B2 (en) Seedling transplanter
CN104353981A (en) Full-automatic assembly machine with three groups of cover boards for flat plate collector
JP2005067753A (en) Transfer crane
CN109984118B (en) Self-adaptive medicine applying device
CN107378242A (en) A kind of kettle body laser marking bonding machine
CN208151603U (en) se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